흠숭지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흠숭지례는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느님께 드리는 절대적인 경배인 '라트리아'와 성인 등에게 드리는 비희생적 경의를 구분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라트리아는 희생적인 성격을 가지며, 가톨릭교회는 성체와 성체 조배 때에도 흠숭이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정교회는 라트레이아와 프로스키네시스를 구분하며, 개신교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신학과 교리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가톨릭 신학과 교리 - 신앙교리성
신앙교리성은 가톨릭교회 내에서 신앙과 윤리 도덕에 대한 교리를 증진 및 보존하며, 신앙에 대한 위반, 윤리적 문제, 성사 집행과 관련된 범죄를 심리하는 교황청의 기관으로, 이단 심판을 담당했던 검사성성이 그 기원이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흠숭지례 | |
|---|---|
| 개요 | |
| 유형 | 기독교 용어 |
| 의미 | 신에게 바치는 숭배 |
| 대상 | 삼위일체 |
| 관련 개념 | 흠숭, 존경, 예배 |
| 어원 | |
| 그리스어 | λατρεία(latreia) |
| 라틴어 | Latria |
2. 용어의 정의와 기원
"worship"이라는 단어는 웨스트 색슨 방언 명사 ''weorðscip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가치 있는'을 뜻하는 ''weorð''와 '-ship'을 뜻하는 ''-scipe''의 합성어이다.[10] 이 단어는 하느님과 관련하여서는 강한 의미(''latria'')로 사용되지만, 인간과 관련해서는 약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His Worship the Mayor" 또는 "Your Worship"(법정에서 치안 판사에게 말할 때)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성인 숭배(''dulia'')가 하느님 숭배(''latria'')와 구별되는 경우도 있다.[10] ''Adoration''(경배)은 ''latria''를 명확하게 번역하며, 오직 하느님께만 드려야 하는 절대적인 경외심을 표현한다.[11]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 신자들은 미사 또는 신성한 전례 중에 ''latria''로 경배한다. 가톨릭 신자들은 자신들이 갈바리아 산기슭에서 벌어진 희생에 문자 그대로 참여한다고 여기며, 그리스도께서 한 번 드리신 것은 "신성한 영원에 참여"한다고 믿는다.[12] 감리교에서는 성찬식이 십자가 위의 그리스도의 희생을 재현하는 일종의 희생이라고 가르친다.[13] USCCB의 공식 성명에 따르면, 감리교 신자와 가톨릭 신자는 성찬례의 희생적 언어가 '그리스도의 한 번의 희생', '지금 여기서 그 희생을 간청하는 것', '찬양과 감사의 희생을 바치는 것', '아버지께 자신을 바친 그리스도와 연합하여 자신을 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데 동의한다.[14]
정교회에서는 신에 대한 λατρείαel (라트레이아, 라트리아[15], 숭배, 예배)와 사람에 대한 προσκύνησιςel (프로스퀴네시스, 프로스키니시스[16], 숭경, 엎드려 절함)는 구별된다. 전자는 신에게만 바쳐지는 예배이며, 후자는 성상이나 성인 등에게도 행해진다.[17][18] 70인역 성서에서도 προσκύνησιςel는 사람에게 사용된다. 창세기 23장 7절에서 아브라함이 "그 땅의 백성 헷 사람들에게 예(禮)를 하고" 있는 장면, 룻기 2장 10절에서 룻이 보아스에게 "엎드려 절하고" 있는 장면, 사무엘기상 24장 8절에서 다윗이 "땅에 엎드려 절하였다"는 장면 등에서 그리스어 원문에는 προσκύνησιςel가 사용되었다.[18]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도 Latrīa는 Dulia, Hyperdulia와 구별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 10권 1장에서 그리스어의 라트레이아, 라틴어의 셀비투스가 신 예배를 의미하는 말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2. 1. 흠숭 (라트리아, λατρεία)
Latriala(라트리아) 또는 경배는 희생적인 성격을 가지며, 오직 하느님께만 드릴 수 있다.[5]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 신자들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 요셉, 세례자 요한 및 다른 성인들에게 다른 정도의 경의를 표하며, 이러한 비희생적 경의는 각각 hyperdulia영어(하이퍼둘리아), protodulia영어(프로토둘리아), dulia영어(둘리아)라고 불린다. 영어에서 둘리아는 '존경'이라고도 불린다.[5] 하이퍼둘리아는 본질적으로 복되신 동정녀에게만 제공되는 둘리아의 강화된 정도이다.[6]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제롬 시대부터 언급된 이러한 구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신학대전(A.D. 1270)에서 더욱 명확하게 상세히 설명했다.[7]
worship영어(워십)은 '가치 있는 상태'라는 뜻의 웨스트 색슨 방언 명사 weorðscipeang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가치 있는'을 뜻하는 weorðang와 '-ship'을 뜻하는 -scipeang의 합성어이다.[10] worship영어은 하느님과 관련하여 강력한 의미(latriala)로 사용되지만, 인간과 관련하여 약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Adoration영어(경배)은 latriala를 명확하고 명백하게 번역하며, 오직 하느님께만 드려야 하는 절대적인 희생적 경외심을 표현하는 더 나은 번역을 제공한다.[11]
특히 로마 가톨릭 신자와 동방 정교회 신자는 종교 의식인 미사 또는 신성한 전례 중에 latriala로 경배한다. 가톨릭 신자들은 자신들이 갈바리아 산기슭에서 벌어진 희생에 문자 그대로 참여한다고 여기며, 그리스도께서 한 번 드리신 것은 "신성한 영원에 참여"한다.[12]
정교회에서는 신에 대한 λατρείαel(라트레이아, 라트리아[15], 숭배, 예배)와 사람에 대한 προσκύνησιςel(프로스퀴네시스, 프로스키니시스[16], 숭경, 엎드려 절함)는 구별된다. 전자는 신에게만 바쳐지는 예배이며, 후자는 성상이나 성인 등에게도 행해진다.[17][18]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도 Latrīala는 Duliala, Hyperduliala와 구별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 10권 1장에서 그리스어의 라트레이아, 라틴어의 셀비투스가 신 예배를 의미하는 말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성인이나 천사에 대한 숭경이 Duliala,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 숭경이 Hyperduliala로 되어 있다.
2. 2. 공경 (둘리아, δουλεία / 프로스키네시스, προσκύνησις)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제롬 시대부터 언급된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에서 "경의는 하느님의 탁월함 때문에 하느님께 드려야 하며, 이는 특정한 피조물들에게 동일한 정도가 아닌 비례에 따라 전달됩니다."라고 더 명확하게 설명했다.[7] 즉, 인간 주님께 드리는 둘리아는 하느님의 주권에 드리는 라트리아와 구별되는 덕이라는 것이다. 둘리아는 종들이 주인에게 가지는 존경이며, 노예 상태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7]신약학자 제임스 던은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가톨릭 흠숭지례 전통에 대해 논하며, 신약성경에서 δουλεία (둘리아)가 항상 부정적인 의미, 즉 '노예, 비굴함'으로만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8]
빌 마운스는 신약성경의 δουλεία 사용례를 다음과 같이 표로 정리했다.[9]
| 성경 구절 | 내용 |
|---|---|
| 로마서 8:15 | 여러분은 종살이의 영을 받아서 다시 두려움에 놓이게 된 것이 아니라, 양자 삼으시는 영을 받았습니다. 그 영을 힘입어 우리는 "아빠, 아버지!" 하고 부르짖습니다. |
| 로마서 8:21 | 피조물 자체도 썩어 없어지는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가 누리는 영광스러운 자유에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
| 갈라디아서 4:24 | 이것은 비유로 말하는 것입니다. 두 여자는 두 언약을 뜻합니다. 하나는 시나이 산에서 온 것으로, 종이 될 자녀를 낳습니다. 그는 하갈입니다. |
| 갈라디아서 5:1 |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해방시켜 자유를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굳건히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
| 히브리서 2:15 | 또 죽음의 공포 때문에 한평생 종노릇하는 모든 사람을 해방하시려는 것입니다. |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체와 성체 조배 때에도 흠숭이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16세기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성체성사 안에 그리스도가 참으로 실재적으로 그리고 실체적으로 존재하며, 미사 중에 빵과 포도주가 참으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바뀐다고 가르쳤다. 축성된 뒤에도 빵과 포도주 자체가 남아 있지 않고 다만 빵과 포도주의 형상만 남아 있고, 빵과 포도주 자체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고 한다.[3]
정교회에서는 신에 대한 λατρεία|라트레이아|라트리아el[15] (숭배, 예배)와 사람에 대한 προσκύνησις|프로스퀴네시스|프로스키니시스el[16] (숭경, 엎드려 절함)를 구별한다. 전자는 신에게만 바쳐지는 예배이며, 후자는 성상이나 성인 등에게도 행해진다.[17][18]
제임스 던은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가톨릭 흠숭지례 전통에 대해 논하며, 신약성경에서 δουλεία (둘리아)가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언급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worship'이라는 단어는 웨스트 색슨 방언 명사인 ''weorðscip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가치 있는'을 뜻하는 ''weorð''와 '-ship'을 뜻하는 ''-scipe''의 합성어이다.[10] 'worship'은 하느님과 관련하여서는 강한 의미(''latria'')로 사용되지만, 인간과 관련하여서는 약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His Worship the Mayor", 또는 "Your Worship"(법정에서 치안 판사에게 말할 때), 또는 성인 숭배(''dulia'')가 하느님 숭배(''latria'')와 구별되는 경우 등이 있다. ''Adoration''(경배)은 ''latria''를 명확하고 명백하게 번역하며, 오직 하느님께만 드려야 하는 절대적인 희생적 경외심을 표현하는 더 나은 번역을 제공한다.[11]
[1]
서적
Catholic beliefs and traditions
정교회에서는 신에 대한 λατρείαel (라트레이아, 라트리아[15], 숭배, 예배)와, 사람에 대한 προσκύνησιςel (프로스퀴네시스, 프로스키니시스[16], 숭경, 엎드려 절함)는 구별된다. 전자는 신에게만 바쳐지는 예배이며, 후자는 성상이나 성인 등에게도 행해진다.[17][18]
그리스어 번역 구약성서인 70인역 성서에서도, 후자는 사람에게 사용되고 있다. 창세기 23장 7절에서 아브라함이 "그 땅의 백성 헷 사람들에게 예(禮)를 하고" 있는 장면, 룻기 2장 10절에서 룻이 보아스에게 "엎드려 절하고" 있는 장면, 사무엘기상 24장 8절에서 다윗이 "땅에 엎드려 절하였다"는 장면 등, 그 외에도 여러 곳에서,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προσκύνησιςel가 사용되고 있다.[18] 정교회에서는, 구약성서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의 요한 계시록에서도, 요한이 두 번이나 천사의 발 아래 엎드려 절하려(프로스키니시스) 했던 것은, 이러한 라트리아와 프로스키니시스의 구분이 전제되어 있다고 이해된다.[18]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도, Latrīa는 Dulia, Hyperdulia와 구별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 10권 1장에서, 그리스어의 라트레이아, 라틴어의 셀비투스가 신 예배를 의미하는 말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성인이나 천사에 대한 숭경이 Dulia,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 숭경이 Hyperdulia로 되어 있다.
3.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교황 바오로 6세는 1965년 회칙 《신앙의 신비》에서 "가톨릭 교회는 미사 중과 미사 밖에서 모두 성찬례 성사에 마땅히 바쳐야 하는 이 흠숭지례를 항상, 그리고 지금도 보여주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이 신념을 확인했다.[4]
트리엔트 공의회는 성찬례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에 대한 구체적인 확언과 성체 숭배의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3]
> 하나님의 외아들은 외부적 숭배를 포함하여 "흠숭지례"의 숭배로 성찬례의 거룩한 성사 안에서 숭배를 받아야 한다.
''라트리아''(Latria) 또는 ''경배''는 희생적인 성격을 가지며, 오직 하느님께만 드릴 수 있다.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신자들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 요셉, 세례자 요한 및 다른 성인들에게 다른 정도의 경의를 표하며, 이러한 비희생적 경의는 각각 ''하이퍼둘리아''(hyperdulia), ''프로토둘리아''(protodulia), ''둘리아''(dulia)라고 불린다. 영어에서 둘리아는 ''존경''이라고도 불린다.[5] 하이퍼둘리아는 본질적으로 복되신 동정녀에게만 제공되는 둘리아의 강화된 정도이다.[6]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성 제롬 시대부터 언급된 이러한 구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신학대전 (1270년)에서 더욱 명확하게 상세히 설명했다.[7]
4. 정교회의 가르침
그리스어 번역 구약성서인 70인역 성서에서도 후자는 사람에게 사용되고 있다. 창세기 23장 7절에서 아브라함이 "그 땅의 백성 헷 사람들에게 예(禮)를 하고" 있는 장면, 룻기 2장 10절에서 룻이 보아스에게 "엎드려 절하고" 있는 장면, 사무엘기상 24장 8절에서 다윗이 "땅에 엎드려 절하였다"는 장면 등, 그 외에도 여러 곳에서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προσκύνησις|프로스퀴네시스el가 사용되고 있다.[18] 정교회에서는 구약성서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의 요한 계시록에서 요한이 두 번이나 천사의 발 아래 엎드려 절하려(프로스키니시스) 했던 것도 이러한 라트리아와 프로스키니시스의 구분이 전제되어 있다고 이해한다.[18]
5. 개신교의 비판
douleia영어는 '노예, 비굴함'의 의미로만 사용되며, 항상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즉, 육체의 부패에 대한 노예 (롬 8:21), 율법에 대한 노예 (갈 5:1), 죽음의 두려움에 대한 노예 (히 2:15).[8]
빌 마운스는 다음 표를 통해 신약성경의 δουλεία 사용례를 제시한다:[9]구절 내용 로마서 8:15 여러분은 종살이의 영을 받아서 다시 두려움에 놓이게 된 것이 아니라, 양자 삼으시는 영을 받았습니다. 그 영을 힘입어 우리는 "아빠, 아버지!" 하고 부르짖습니다. 로마서 8:21 피조물 자체도 썩어 없어지는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가 누리는 영광스러운 자유에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갈라디아서 4:24 이것은 비유로 말하는 것입니다. 두 여자는 두 언약을 뜻합니다. 하나는 시나이 산에서 온 것으로, 종이 될 자녀를 낳습니다. 그는 하갈입니다. 갈라디아서 5:1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해방시켜 자유를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굳건히 서서 다시는 종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히브리서 2:15 또 죽음의 공포 때문에 한평생 종노릇하는 모든 사람을 해방하시려는 것입니다.
개신교에서는 λατρείαel(라트레이아, 흠숭)와 προσκύνησιςel(프로스퀴네시스, 경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정교회나 로마 가톨릭교회의 마리아 숭배를 성경 무오설에 반한다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19]
6. 언어적 구분
특히 로마 가톨릭 신자와 동방 정교회 신자는 종교 의식인 미사 또는 신성한 전례 중에 ''latria''로 경배한다. 가톨릭 신자들은 자신들이 갈바리아 산기슭에서 벌어진 희생에 문자 그대로 참여한다고 여기며, 그리스도께서 한 번 드리신 것은 "신성한 영원에 참여"한다고 믿는다.[12]
정교회에서는 신에 대한 λατρείαel(라트레이아, 라트리아[15], 숭배, 예배)와, 사람에 대한 προσκύνησιςel(프로스퀴네시스, 프로스키니시스[16], 숭경, 엎드려 절함)가 구별된다. 전자는 신에게만 바쳐지는 예배이며, 후자는 성상이나 성인 등에게도 행해진다.[17][18]
그리스어 번역 구약성서인 70인역 성서에서도, 후자는 사람에게 사용되고 있다. 창세기 23장 7절에서 아브라함이 "그 땅의 백성 헷 사람들에게 예(禮)를 하고" 있는 장면, 룻기 2장 10절에서 룻이 보아스에게 "엎드려 절하고" 있는 장면, 사무엘기상 24장 8절에서 다윗이 "땅에 엎드려 절하였다"는 장면 등, 그 외에도 여러 곳에서 그리스어 원문에서는 προσκύνησιςel가 사용되고 있다.[18] 정교회에서는 구약성서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의 요한 계시록에서도 요한이 두 번이나 천사의 발 아래 엎드려 절하려(프로스키니시스) 했던 것은 이러한 라트리아와 프로스키니시스의 구분이 전제되어 있다고 이해된다.[18]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도 Latrīa는 Dulia, Hyperdulia와 구별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 10권 1장에서 그리스어의 라트레이아, 라틴어의 셀비투스가 신 예배를 의미하는 말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성인이나 천사에 대한 숭경이 Dulia, 성모 마리아에 대한 특별 숭경이 Hyperdulia로 되어 있다.
참조
[2]
서적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2-07-12
[3]
서적
The History of Eucharistic Adoration
[4]
웹사이트
Mysterium Fidei, item 56
https://www.vatican.[...]
Vatican website
2020-03-15
[5]
웹사이트
What Is Devotion to Mary?
https://web.archive.[...]
Mother of all peoples
2006-11-24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II II, 84, 1
https://web.archive.[...]
New 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04-05-02
[8]
간행물
Did the First Christians Worship Jesus? : the New Testament Evidence
SPCK
[9]
웹사이트
Bill Mounce
https://www.billmoun[...]
[10]
문서
OEtymD|worship
[11]
웹사이트
Adoration
http://www.newadvent[...]
New 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06-07-20
[12]
웹사이트
CCC § 1085
https://www.vatican.[...]
Vatican Website
2020-03-15
[13]
서적
This Holy Mystery, Study Guide: A United Methodist Understanding of Holy Communion
https://books.google[...]
The General Board of Discipleship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14]
서적
Methodist-Catholic Dialogues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and The General Commission on Christian Unity and Interreligious Concerns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15]
문서
ラトレイア:古典ギリシャ語再建音、ラトリア:現代ギリシャ語転写
[16]
문서
プロスキュネーシス:古典ギリシャ語再建音、プロスキニシス:現代ギリシャ語転写
[17]
웹사이트
イコン
http://www.orthodoxj[...]
[18]
문서
正教徒と福音派の対話 聖なるものへの伏拝
http://www.eastern-o[...]
長司祭
[19]
서적
カトリックとは何ぞや
聖書図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