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룻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룻기는 모압 출신의 룻이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돌아와 이스라엘의 사회 복지 전통에 따라 이삭을 줍고, 나오미의 지혜로 친척 보아스와 결혼하여 다윗의 조상이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사사기 시대에 유다의 베들레헴 출신 엘리멜렉이 모압으로 이주했다가 가족을 잃고 나오미와 룻이 고향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보여준다. 룻은 이방 여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율법을 따르고, 보아스와의 결혼을 통해 다윗 왕가의 조상이 된다. 룻기는 여성의 주체성, 이방인 포용,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계대 결혼과 친족 구원자 등의 주제를 다루며, 페미니즘, 노동의 존엄성, 여성의 자립, 소외된 사람들을 옹호하는 이야기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룻기 - 베레스
    베레스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유다와 그의 며느리 다말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아들 중 하나로, 다윗 왕의 조상이자 예수의 족보에 포함된 인물이다.
  • 룻기 - 보아스
    보아스는 룻기에 나오는 베들레헴의 부유한 지주이자 나오미의 친척으로, 룻에게 호의를 베풀어 결혼하고 다윗 왕가의 조상이 되었으며, 솔로몬 성전 기둥의 이름이자 랍비 유대교에서 다양한 해석을 받는 인물이며, 마태오 복음서에서 예수의 조상으로 언급된다.
  • 케투빔 - 애가
    애가는 예루살렘 파괴를 애도하고 백성 회복을 간청하는 구약성경의 한 책으로,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 네 장은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대로 시작하는 아크로스틱 형식이고, 익명의 저자가 바빌론 유배 시기에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케투빔 - 느헤미야기
    느헤미야기는 페르시아 시대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에스라와 함께 백성들의 회개와 개혁을 이끈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1인칭 회고록 형식이며 기원전 5세기 후반 사건을 다룬다.
  • 기원전 5세기 책 - 출애굽기
    출애굽기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 노예 생활에서 해방시키고 시나이 산에서 하나님과 계약을 맺는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이름들"로 불리며 주요 사건들을 다루고 구원 역사와 이스라엘 민족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서술이며 서양 예술과 문학에 영감을 주었다.
  • 기원전 5세기 책 - 느헤미야기
    느헤미야기는 페르시아 시대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 에스라와 함께 백성들의 회개와 개혁을 이끈 이야기를 담은 구약성경으로, 1인칭 회고록 형식이며 기원전 5세기 후반 사건을 다룬다.
룻기
성경 정보
이름룻기
히브리어 명칭(메길라트 룻)
구분구약성경 케투빔 (성문서)
주제다윗 왕조의 기원과 하나님구속사
기록 시기불명 (다윗 왕조 시대 추정)
주요 등장인물룻, 나오미, 보아스
장 수4장
주요 사건룻의 이방인에서 이스라엘 백성으로의 귀화, 보아스와의 결혼, 오벳 출산
메시지하나님섭리와 신실하심
이방인에 대한 하나님사랑구원
의 헌신과 믿음
내용 개요
1장나오미의 가족이 모압으로 이주, 남편과 두 아들 사망, 나오미와 룻이 베들레헴으로 귀환
2장룻이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보아스의 호의를 얻음
3장나오미의 조언에 따라 룻이 보아스에게 기업 무를 자의 의무 이행을 요청
4장보아스가 기업 무를 자의 의무를 이행하고 룻과 결혼, 오벳을 낳고 다윗 왕조의 계보를 잇게 됨
특징
문학적 특징짧고 간결한 이야기 구조
인물들의 심리 묘사
대화와 행동을 통한 이야기 전개
시적 표현과 비유 사용
신학적 특징하나님주권섭리 강조
이방인에 대한 하나님구원 계획 제시
믿음순종의 중요성 강조
다윗 왕조의 정통성 확립에 기여
같이 보기
관련 성경사사기
사무엘상
마태복음
관련 인물보아스
나오미
오벳
다윗

2. 인물 특징

룻은 늙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왔지만 모압 출신의 이방 여인이었다.

나오미는 룻의 늙은 시어머니로, 룻과 함께 베들레헴으로 왔다.

보아스는 룻의 이야기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지만,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룻, 나오미와의 관계 외에 추가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없다. 다만 룻이 이방 여인 이였다는 사실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2. 1. 룻

룻은 늙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왔지만 모압 출신의 이방 여인이었다.

2. 2. 나오미

룻은 늙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왔지만 모압 출신의 이방 여인이었다.

2. 3. 보아스

룻은 늙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따라 베들레헴으로 왔지만 모압 출신의 이방 여인이었다.

3. 줄거리

모압에 살던 이스라엘 여성인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둘째 며느리 룻과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온다. 효성이 지극한 룻은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이삭을 남기는 이스라엘의 사회복지 전통(고엘)에 따라 일꾼들이 일부러 떨어뜨린 이삭을 주워 시어머니를 봉양한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그 밭의 주인은 친척인 보아즈(보아스)였고, 이를 안 나오미의 지혜덕분에 보아즈와 룻은 결혼하였다. 이들의 후손은 예수의 조상인 다윗이었다.

룻과 오르바에게 모압 땅으로 돌아가라고 설득하는 나오미. (1795)


『사사기』 시대에 유다베들레헴 출신인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Naomi (biblical figure)영어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땅으로 이주했다. 두 아들은 그 땅의 딸들과 결혼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를, 두 아들 역시 각각의 아내 오르바와 룻을 남겨둔 채 죽고 만다. 그래서 나오미는 남편의 고향 유다로 돌아갈 것을 결심하고, 아들들의 과부가 된 두 며느리에게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권한다. 그러나 룻만은 나오미 곁에 머물기를 원했고, 이렇게 두 사람은 엘리멜렉의 고향, 베들레헴으로 귀향했다.

룻은 밭에서 보리를 줍게 된다. 고대 팔레스타인에서는 가난한 사람이 수확 때 떨어진 이삭을 줍는 것은 일종의 권리로 인정되었다. (이삭 줍기 참조). 그 밭의 소유자는 엘리멜렉의 먼 친척에 해당하는 보아스라는 인물이었다. 보아스는 시어머니에게 헌신하는 룻에게 감탄하여 그녀를 위해 편의를 봐준다.

나오미는 보아스가 기업 무를 권리를 가진 사람임을 알고, 룻에게 그를 통해 기업을 무르도록 계획한다. 룻은 나오미의 지시에 따라 보아스의 잠자리에 들었고, 보아스는 룻의 사정을 알고 기업 무를 권리를 행사하기로 결심한다. 다만, 보아스보다 더 가까운 친족이 있어 그에게 먼저 권리가 있음을 알리고, 룻을 나오미에게 돌려보내며 선물을 준다.

모압에 살던 이스라엘 여성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둘째 며느리 룻과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온다. 효성이 지극한 룻은 가난한 사람을 위해 이삭을 남기는 이스라엘의 사회복지 전통(고엘)에 따라 일꾼들이 일부러 떨어뜨린 이삭을 주워 시어머니를 봉양한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그 밭의 주인은 친척인 보아스(보아스)였고, 이를 안 나오미의 지혜 덕분에 보아스와 룻은 결혼하였다. 이들의 후손은 예수의 조상인 다윗이었다.

룻기 4:1-12는 보아스가 성문에서 남자들과 함께하는 장면이다. 보아스는 기업 무를 권리를 가진 또 다른 친족에게 찾아가, 친족으로서의 책임 이행권을 양보받는다. 이로써 보아스는 룻을 정식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다. (계대결혼)

룻기 4:13-17은 룻에게 아들이 태어나는 장면이다. 보아스의 아내가 된 룻은 아들 오벳을 낳는다. 오벳은 다윗의 할아버지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룻기의 족보 부록 (4:18-22)은 다음과 같다:

족보
베레스
헤스론
암미나답
나손
살몬
보아스
오벳
이새
다윗



『사사기』 시대에 유다베들레헴 출신인 엘리멜렉은 아내 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땅으로 이주했다. 두 아들은 그 땅의 딸들과 결혼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를, 두 아들 역시 각각의 아내 오르바와 룻을 남겨둔 채 죽고 만다. 그래서 나오미는 남편의 고향 유다로 돌아갈 것을 결심하고, 아들들의 과부가 된 두 며느리에게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권한다. 그러나 룻만은 나오미 곁에 머물기를 원했고, 이렇게 두 사람은 엘리멜렉의 고향, 베들레헴으로 귀향했다.

이 『룻기』의 핵심은 모압 사람인 룻이 이스라엘 사람의 관습을 따르고, 그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의 자손을 존속시켰다는 점에 있다. 신은 인류를 창조했을 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고 선언했고, 계대결혼의 관습은 바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룻 자신은 이미 과부였고, 시어머니로부터 재혼 승인도 받았지만, 그것을 거절하고 이스라엘 사람으로 살기를 선택했다. 이것이 그녀가 성경 중 한 편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던 이유이다. 성경적인 해석에서는 더 나아가, 그 자손이 이스라엘의 세습 왕이 되고, 나아가 구세주를 낳는 은총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

3. 1. 1막: 서론과 문제 - 죽음과 공허 (1:1-22)

모압에 살던 이스라엘 여성인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둘째 며느리 룻과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온다. 효성이 지극한 룻은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이삭을 남기는 이스라엘의 사회복지 전통(고엘)에 따라 일꾼들이 일부러 떨어뜨린 이삭을 주워 시어머니를 봉양한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그 밭의 주인은 친척인 보아즈(보아스)였고, 이를 안 나오미의 지혜덕분에 보아즈와 룻은 결혼하였다. 이들의 후손은 예수의 조상인 다윗이었다.

『사사기』 시대에 유다베들레헴 출신인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Naomi (biblical figure)영어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땅으로 이주했다. 두 아들은 그 땅의 딸들과 결혼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를, 두 아들 역시 각각의 아내 오르바와 룻을 남겨둔 채 죽고 만다. 그래서 나오미는 남편의 고향 유다로 돌아갈 것을 결심하고, 아들들의 과부가 된 두 며느리에게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권한다. 그러나 룻만은 나오미 곁에 머물기를 원했고, 이렇게 두 사람은 엘리멜렉의 고향, 베들레헴으로 귀향했다.

3. 2. 2막: 룻과 보아스의 만남 (2:1-23)

모압에 살던 이스라엘 여성인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둘째 며느리 룻과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온다. 룻은 가난한 사람을 위해서 이삭을 남기는 이스라엘의 사회복지 전통에 따라 일꾼들이 일부러 떨어뜨린 이삭을 주워 시어머니를 봉양한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그 밭의 주인은 친척인 보아스(보아즈)였고, 이를 안 나오미의 지혜 덕분에 보아스와 룻은 결혼하였다. 이들의 후손은 예수의 조상인 다윗이었다.

룻은 밭에서 보리를 줍게 된다. 고대 팔레스타인에서는 가난한 사람이 수확 때 떨어진 이삭을 줍는 것은 일종의 권리로 인정되었다. (이삭 줍기 참조). 그 밭의 소유자는 엘리멜렉의 먼 친척에 해당하는 보아스라는 인물이었다. 보아스는 시어머니에게 헌신하는 룻에게 감탄하여 그녀를 위해 편의를 봐준다.

3. 3. 3막: 나오미의 계획과 룻의 순종 (3:1-18)

나오미는 보아스가 기업 무를 권리를 가진 사람임을 알고, 룻에게 그를 통해 기업을 무르도록 계획한다. 룻은 나오미의 지시에 따라 보아스의 잠자리에 들었고, 보아스는 룻의 사정을 알고 기업 무를 권리를 행사하기로 결심한다. 다만, 보아스보다 더 가까운 친족이 있어 그에게 먼저 권리가 있음을 알리고, 룻을 나오미에게 돌려보내며 선물을 준다.

3. 4. 4막: 해결과 결말 - 생명과 충만 (4:1-22)

모압에 살던 이스라엘 여성 나오미는 남편과 두 아들을 잃고 둘째 며느리 룻과 고향 베들레헴으로 돌아온다. 효성이 지극한 룻은 가난한 사람을 위해 이삭을 남기는 이스라엘의 사회복지 전통(고엘)에 따라 일꾼들이 일부러 떨어뜨린 이삭을 주워 시어머니를 봉양한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그 밭의 주인은 친척인 보아스(보아스)였고, 이를 안 나오미의 지혜 덕분에 보아스와 룻은 결혼하였다. 이들의 후손은 예수의 조상인 다윗이었다.

룻기 4:1-12는 보아스가 성문에서 남자들과 함께하는 장면이다. 보아스는 기업 무를 권리를 가진 또 다른 친족에게 찾아가, 친족으로서의 책임 이행권을 양보받는다. 이로써 보아스는 룻을 정식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다. (계대결혼)

룻기 4:13-17은 룻에게 아들이 태어나는 장면이다. 보아스의 아내가 된 룻은 아들 오벳을 낳는다. 오벳은 다윗의 할아버지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룻기의 족보 부록 (4:18-22)은 다음과 같다:

족보
베레스
헤스론
암미나답
나손
살몬
보아스
오벳
이새
다윗



『사사기』 시대에 유다베들레헴 출신인 엘리멜렉은 아내 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땅으로 이주했다. 두 아들은 그 땅의 딸들과 결혼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엘리멜렉은 아내 나오미를, 두 아들 역시 각각의 아내 오르바와 룻을 남겨둔 채 죽고 만다. 그래서 나오미는 남편의 고향 유다로 돌아갈 것을 결심하고, 아들들의 과부가 된 두 며느리에게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권한다. 그러나 룻만은 나오미 곁에 머물기를 원했고, 이렇게 두 사람은 엘리멜렉의 고향, 베들레헴으로 귀향했다.

이 『룻기』의 핵심은 모압 사람인 룻이 이스라엘 사람의 관습을 따르고, 그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의 자손을 존속시켰다는 점에 있다. 신은 인류를 창조했을 때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고 선언했고, 계대결혼의 관습은 바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룻 자신은 이미 과부였고, 시어머니로부터 재혼 승인도 받았지만, 그것을 거절하고 이스라엘 사람으로 살기를 선택했다. 이것이 그녀가 성경 중 한 편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던 이유이다. 성경적인 해석에서는 더 나아가, 그 자손이 이스라엘의 세습 왕이 되고, 나아가 구세주를 낳는 은총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

4. 저술 시기 및 배경

저자는 분명하지 않지만, 전통적으로는 사무엘이 이 책을 작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룻이 이스라엘인이 아닌 점과 이방인에 대한 포용적 태도를 강조하는 점은, 족외혼이 논란이 되었던 기원전 5세기에 쓰여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에스라기 9장 1절과 느헤미야기 13장 1절에서 볼 수 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 책이 페르시아 통치기인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책의 말미에 등장하는 다윗의 가계도는 바빌론 유수제사장들이 첨가한 것으로 본다. 제사장(Priestly)에 의해 덧붙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이 족보는 이야기 전개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지만, 정교하게 구성되어 창세기부터 열왕기에 이르는 이스라엘 역사에 이 책을 통합시킨다.

『룻기』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룻기』가 원래 『사사기』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베들레헴을 "유다의 베들레헴"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이 두 책 외에는 『사무엘기』상 17장 12절뿐이고, 사용된 언어상으로도 『룻기』와 『사사기』는 유사하여 두 책이 거의 같은 시대에 성립되었다고 추정한다.

한편, 내용상 『룻기』의 성립을 기원전 400년 - 350년경으로 보는 설도 있다. 느헤미야기 13:23-27에는 이방인 배척의 분위기가 강하게 나타나는데, 당시 이스라엘 사회는 이방인과의 결혼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이방인들을 배척하는 분위기가 만연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룻과 같이 이방 여인을 포용하고, 그녀를 통해 다윗 왕조의 계보가 이어지는 이야기는, 족외혼에 대한 배타적인 시각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룻기는 이방인에 대한 관용과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혈통 중심의 배타적인 사회 분위기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10]

4. 1. 다양한 학설

룻기의 저자는 분명하지 않지만, 전통적으로는 사무엘이 이 책을 작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룻이 이스라엘인이 아닌 점과 이방인에 대한 포용적 태도를 강조하는 점은, 족외혼이 논란이 되었던 기원전 5세기에 쓰여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에스라-느헤미야 9:1과 느헤미야기 13:1에서 볼 수 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룻기가 페르시아 통치기인 기원전 6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책의 말미에 등장하는 다윗의 가계도는 바빌론 유수제사장들이 첨가한 것으로 본다.

『룻기』의 성립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룻기』가 원래 『사사기』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베들레헴을 "유다의 베들레헴"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이 두 책 외에는 『사무엘기』상 17장 12절뿐이고, 사용된 언어상으로도 『룻기』와 『사사기』는 유사하여 두 책이 거의 같은 시대에 성립되었다고 추정한다.

한편, 내용상 『룻기』의 성립을 기원전 400년 - 350년경으로 보는 설도 있다. 느헤미야기 13:23-27에는 이방인 배척의 분위기가 강하게 나타나는데, 그러한 분위기를 우려한 그룹에 속한 저자가 이방인에 대한 관용이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작품으로 썼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10]

5. 룻기의 주제와 현대적 해석

학자들은 룻기를 현대적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점점 더 많이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페미니즘은 이 이야기를 노동의 존엄성과 여성의 자립의 이야기로 재해석해왔으며,[8]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강하고 자원이 풍부한 여성들의 관계를 기념하는 것으로 보았다.[9] 또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소외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는 책으로 보았다.

"레벤스포트"(생명의 문), 룻기 4:10의 인용문이 기초에 새겨져 있음; 예티 엘자스(Yetty Elzas)의 청동 기념 조각상. 1940-1945년 사이에 추방되어 살해된 바헤닝언과 주변 지역의 유대인 71명을 기리는 기념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 ''보아스의 밭에서 루'', 1828년


유대교에서는 룻을 성경의 다른 등장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탈무드에서 룻이 사사기에 등장하는 모압 왕의 딸이라고 여기지만, 다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므로, 이는 다윗 왕의 출신을 고귀하게 보이려는 의도라고 생각된다.

5. 1. 이방인 포용과 환대

룻기는 에즈라느헤미야 시대(기원전 5세기)의 유대인 남성과 비유대인 여성 간의 결혼 문제와 관련된 정치적 우화로 읽힐 수 있다. 에즈라-느헤미야 이야기에서는 이러한 결혼을 파기했지만, 룻기는 유대교로 개종한 이방인이 훌륭한 유대인이 될 수 있고, 이방인 아내가 유대 율법의 모범적인 추종자가 될 수 있으며, 그들과 그들의 자손을 공동체에서 배제할 이유가 없음을 가르친다.

등장인물의 이름은 이야기의 허구성을 암시한다. 남편이자 아버지인 엘리멜렉은 "나의 하나님은 왕이시다"라는 뜻이고, 아내 나오미는 "기쁨"을 뜻하지만, 아들 말론("병")과 기룐("쇠약")이 죽은 후, 나오미는 자신을 "쓰라림"을 뜻하는 마라라고 부르라고 요청했다.

모압에 대한 언급은 의문을 제기한다. 성경에서 모압은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 성적 타락, 우상 숭배와 연관되어 있으며, 데바림/דְּבָרִ֔יםhe(신명기) 23:3–6은 암몬 사람이나 모압 사람을 "}}의 회중"에서 배제하고 심지어 그들의 열 번째 세대까지도 제외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압 여인 룻은 유다인과 결혼했고, 사후에도 여전히 가족의 일원으로 여겨졌다. 룻은 또 다른 유다인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은 다윗의 조상이 되었다. 미쉬나는 모압 남자만 회중에서 금지된다고 설명한다.

유대교에서는 룻을 성경의 다른 등장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탈무드에서 룻이 사사기에 등장하는 모압 왕의 딸이라고 여기지만, 다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므로, 이는 다윗 왕의 출신을 고귀하게 보이려는 의도라고 생각된다.

5. 2. 여성의 주체성과 연대

학자들은 룻기를 현대적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점점 더 많이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페미니즘은 이 이야기를 노동의 존엄성과 여성의 자립 이야기로 재해석해왔으며,[8]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강하고 자원이 풍부한 여성들의 관계를 기념하는 것으로 보았다.[9] 또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소외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는 책으로 보았다.

5. 3.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학자들은 룻기를 현대적인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점점 더 많이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페미니즘은 이 이야기를 노동의 존엄성과 여성의 자립 이야기로 재해석해왔으며,[8]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강하고 자원이 풍부한 여성들의 관계를 기념하는 것으로 보았다.[9] 또 다른 사람들은 이 책을 소외되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는 책으로 보았다.

유대교에서는 룻을 성경의 다른 등장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탈무드에서 룻이 사사기에 등장하는 모압 왕의 딸이라고 여기지만, 이 해석은 다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므로, 다윗 왕의 출신을 고귀하게 보이려는 의도의 표현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5. 4. 계대 결혼과 친족 구원자

룻기는 신명기와 같은 책에 제시된 율법을 실제 관행의 증거로 사용하려는 어려움을 보여준다. 나오미는 계대 결혼을 통해 자신과 룻을 위한 안전을 마련하고자, 보아스가 잠든 후 그의 발을 덮고 누우라고 룻에게 지시한다. 보아스는 그의 발치에 여자가 있는 것을 보고 놀라 깨어나고, 룻은 그에게 자신을 구속(결혼)해 주기를 원한다고 설명한다. 이 이야기의 이 부분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은 '발'을 완곡 어구로 사용하여 생식기를 암시하는 성적인 암시를 보는 것이다.[7]

엘리멜렉의 땅을 상속할 상속자가 없었기 때문에, 관습은 망자의 가족의 대를 잇기 위해 가까운 친척(보통 죽은 남자의 형제)이 고인의 미망인과 결혼하도록 요구했다(신명기 25:5-10). 이 친척은 "친족 구원자"인 ''고엘''이라고 불렸다. 보아스는 엘리멜렉의 형제도 아니고 룻은 그의 미망인도 아니었으므로, 학자들은 이 사건을 "계대 결혼과 유사한" 것으로 언급한다. 또 다른 남자가 보아스보다 엘리멜렉의 더 가까운 친척이고, 따라서 룻에 대한 우선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야기에 복잡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갈등은 토지가 가족 안에 머물도록 요구하는 관습을 통해 해결된다. 즉, 한 가족은 빈곤을 막기 위해 땅을 저당 잡을 수 있었지만, 율법은 친족이 그 땅을 다시 가족에게 사도록 요구했다(레위기 25:25이하). 보아스가 계약이 체결되는 장소인 성문에서 가까운 친족을 만났을 때, 그 친족은 처음에는 엘리멜렉(이제는 나오미)의 땅을 사기로 동의했다. 그러나 룻을 아내로 삼아야 한다는 말을 듣자 제안을 철회했다. 그리하여 보아스는 나오미와 룻의 "친족 구원자"가 되었다.

유대교에서는 룻을 성경의 다른 등장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탈무드에서 룻이 사사기에 등장하는 모압 왕의 딸이라고 여기나, 이 해석은 다른 사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으므로, 다윗 왕의 출신을 고귀하게 보이려는 의도의 표현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6. 가계도

이 책에 언급된 다양한 관계는 다음과 같은 가계도를 형성한다.

엘리멜렉[11]나오미[12]
보아스말론[13]오르바[14]기룐[15]
오벳
이새[16]
다윗



룻기 4장 18-22절은 유다의 아들 베레스에서 다윗까지의 족보를 이름과 함께 담고 있다.

베레스
헤스론
아미나답
나손
살몬
보아스
오벳
이새
다윗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and Judaism in the Second Temple Period, Volume 1: Yehud, the Persian Province of Judah Continuum
[2] 웹사이트 Dead sea scrolls - Ruth https://thewaytoyahu[...]
[3] 서적 A Guide to the Dead Sea Scrolls and Relate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9-02-15
[4] 간행물 The Pulpit Commentary
[5] 웹사이트 Special letters in the Hebrew Bible https://www.win.tue.[...]
[6] 서적 A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Twelve: The Minor Prophets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7] 문서 For "feet" as a euphemism for genitals see, for example, Amy-Jill Levine, "Ruth," in Newsom and Ringe (eds.), ''The Women's Bible Commentary'', pp. 78-84. The usual interpretation, as given here, is that Ruth is told to uncover Boaz's genitals, but see Kirsten Nielsen, "Other Writings," in McKenzie and Graham (eds.), ''The Hebrew Bible Today'', pp.175-176, where it is argued that Ruth is to uncover herself.
[8] 서적 Reading Ruth : contemporary women reclaim a sacred story https://www.worldcat[...] Ballantine Books 1994
[9] 웹사이트 The Old Testament Story of Ruth: a Biblical Heroine for Everyone https://www.learnrel[...] 2021-06-12
[10] 서적 新共同訳聖書辞典 キリスト新聞社 1995
[11] 문서 하나님은 왕이다라는 뜻. 다윗의 고조할아버지.
[12] 문서 룻의 시어머니
[13] 문서 뜻: 병약자. 엘리멜렉과 나오미 사이에서 태어난 기룐의 형제.
[14] 문서 나오미의 며느리, 곧 기룐의 아내이다.
[15] 문서 낭비하다는 뜻.
[16] 문서 다윗의 아버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