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15년 대기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15년 대기근은 1315년부터 1317년까지 북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심각한 기근이다. 중세 온난기 이후 소빙하기의 시작과 잦은 악천후, 인구 과잉, 식량 생산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1315년 봄부터 이어진 궂은 날씨로 인해 곡물 생산이 실패하고 식량 가격이 폭등했으며, 잉글랜드 국왕조차 식사를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식량난을 겪었다. 대기근은 인구 감소, 사회, 경제, 정치, 문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 유럽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유럽 - 흑사병
    흑사병은 피부가 검게 변하는 증상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 감염으로 14세기 유럽을 강타하여 인구 감소와 사회 변화를 야기했으며, 중앙아시아 기원설이 유력한 가운데 림프절 종창, 고열, 폐렴 등의 증상을 보인다.
  • 유럽의 기근 - 홀로도모르
    홀로도모르는 1932~1933년 소련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대기근으로, 소련 정부의 곡물 징발 정책, 농업 집단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탄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인재이며, 집단 학살 논쟁이 존재하나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반인도적 범죄 또는 집단 학살로 인정하고 우크라이나에서 추모일로 기념한다.
  • 유럽의 기근 - 아일랜드 대기근
    아일랜드 대기근은 1845년부터 1849년까지 아일랜드에서 감자 역병으로 인한 감자 작황 붕괴, 영국 지주들의 착취, 영국 정부의 미온적 대처로 발생하여 약 100만 명의 사망자와 200만 명의 이민자를 야기하고 아일랜드의 인구 감소와 민족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 비극적인 사건이다.
  • 중세 유럽의 사회 - 중세 후기의 위기
    중세 후기의 위기는 14세기와 15세기 유럽에서 소빙하기로 인한 기근, 흑사병 창궐로 인한 인구 급감, 전쟁과 민중 봉기 등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한 일련의 사회, 경제, 환경적 변화를 일컫는 역사적 개념이다.
  • 중세 유럽의 사회 - 농민
    농민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조건을 가졌고, 토지 소유 여부, 사회경제적 지위, 정치적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1315년 대기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대기근
원인지속적인 폭우와 추운 날씨
시기1315년 ~ 1317년 (일부 지역은 1322년까지 지속)
지역북서유럽 전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플랑드르, 프랑스, 독일, 스칸디나비아, 폴란드, 발트해 국가)
영향
사망자 수수백만 명
결과식인 풍습 증가
범죄 증가
질병 확산
사회 불안정
경제 침체
인구 감소
백년 전쟁의 간접적 원인

2. 배경

중세 유럽에서는 기근이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었다. 예를 들어, 14세기 동안 프랑스 왕국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여러 차례 국지적인 기근이 발생했다.[16] 대부분의 사람들은 먹을 것이 충분하지 않았고, 삶은 노년까지 살아남기 위한 비교적 짧고 고된 투쟁이었다. 잉글랜드 왕가에 대한 공식 기록에 따르면, 1276년의 출생 시 평균 기대 수명은 35.28세였다.[16] 대기근이 발생한 1301년에서 1325년 사이에는 29.84세로, 흑사병이 발생한 1348년에서 1375년 사이에는 17.33세로 급감했다.[16]

2. 1. 중세 온난기의 종식과 소빙하기

중세 온난기(10세기에서 13세기) 동안 유럽의 인구는 이전 시대에 비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19세기까지 다시 회복되지 못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실제로, 프랑스 시골 지역의 일부는 아직도 14세기 초보다 인구가 적다.[16] 밀의 수확 비율 (씨앗을 심어 수확하고 소비할 수 있는 씨앗의 수)은 1280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고, 식량 가격은 상승했다.

대기근의 시작은 중세 온난기의 종말 이후였다. 1310년에서 1330년 사이, 북유럽은 중세 시대에 가장 심각하고 지속적인 악천후를 겪었는데, 혹독한 겨울과 비가 많이 오고 추운 여름이 특징이었다. 대기근은 화산 폭발로 인해 촉발되었을 수 있으며, 소빙하기 동안 발생했다.[4] 변화하는 기상 패턴, 위기에 대처하는 중세 정부의 무능력, 역사적으로 높은 인구 수준은 식량 생산에 여유가 거의 없는 시기를 만들었다.[16]

2. 2. 인구 과잉과 식량 생산의 한계

중세 유럽에서는 기근이 자주 발생했다. 예를 들어, 14세기 동안 프랑스 왕국에서는 1304년, 1305년, 1310년, 1315–1317년 (대기근), 1330–1334년, 1349–1351년, 1358–1360년, 1371년, 1374–1375년, 1390년에 국지적인 기근이 발생했다.[16] 잉글랜드 왕국은 1321년, 1351년, 1369년에도 기근을 겪었다.[16] 대부분의 사람들은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지 못했고, 삶은 노년까지 생존하기 위한 짧고 힘든 투쟁이었다. 잉글랜드 왕가의 기록에 따르면, 1276년의 출생 시 평균 기대 수명은 35.28세였다.[16] 1301년에서 1325년 사이에는 29.84세였지만, 흑사병이 발생한 1348년에서 1375년 사이에는 17.33세로 급감했다.[16]

중세 온난기(10세기에서 13세기) 동안 유럽의 인구는 이전에 비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일부 지역은 19세기가 되어서야 회복될 정도였다. 프랑스 시골 지역은 14세기 초보다 인구가 적은 곳도 있다.[16] 밀 수확 비율(심은 씨앗 하나당 수확하는 씨앗의 수)은 1280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고, 식량 가격은 상승했다. 좋은 수확기에는 7:1, 나쁜 수확기에는 2:1까지 떨어졌다. 현대 농업의 수확 비율은 30:1 이상이다 (농업 생산성 참조).[16]

대기근은 중세 온난기가 끝나고 1310년에서 1330년 사이 북유럽에 혹독한 겨울과 비가 많고 추운 여름이 지속되는 악천후가 닥치면서 시작되었다. 대기근은 화산 폭발로 인해 촉발되었을 수 있으며, 소빙하기 동안 발생했다.[4] 변화하는 기상 패턴, 위기에 대처하는 중세 정부의 무능력, 높은 인구 수준은 식량 생산에 여유가 거의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16]

3. 대기근 (1315년 ~ 1317년)

1328년 유럽


1315년부터 1317년까지 이어진 대기근은 유럽 사회에 큰 피해를 입혔다. 1317년 여름에 날씨가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유럽 인구는 폐렴, 기관지염, 결핵 등 질병과 식량 부족으로 쇠약해진 상태였다. 씨앗 곡물마저 부족해 식량 생산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식량 공급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고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325년에 이르러서였다. 역사가들은 대기근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정확히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도시와 마을에서 인구의 10~25%가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16] 특히 잉글랜드 남부에서는 10~15%,[13] 프랑스 북부에서는 약 10%의 인구가 감소했다.[14]

흑사병(1347–1351)이 몇 달 만에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것과 비교하면, 대기근은 수년 동안 지속되며 사람들의 고통을 더욱 연장시켰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16] 장피에르 르게는 대기근이 "특히 농촌의 과잉 인구에 대한 자연스러운 출구였던 도시에 이미 과밀했던 세상에서 대량 학살을 일으켰다"고 언급했다.[12]

3. 1. 이상 기후와 흉년

1315년 봄, 유럽 대부분 지역에 평소보다 많은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봄과 여름 내내 비가 계속되었고 기온은 서늘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곡물은 익지 못했고, 광범위한 작물 실패로 이어졌다. 곡물은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항아리와 단지 안에 보관되었다. 동물을 위한 짚과 건초를 말릴 수 없어서 가축에게 먹일 사료가 없었다. 흙은 폭우로 인해 극도로 축축해져 파종할 밭을 갈 수 없었다.[10] 잉글랜드에서는 요크셔노팅엄의 저지대가 침수되었고, 요크셔의 포스 강에 있는 양어장이 쓸려 내려갔다.[5]

식량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고기를 절이고 보존하는 유일한 방법인 소금은 젖은 날씨에 염수를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구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소금 가격은 30실링에서 40실링으로 상승했다.[6] 로렌에서는 밀 가격이 320%나 상승하여 농민들은 빵을 살 수 없게 되었다. 장기적인 비상사태에 대비한 곡물 비축량은 왕족, 영주, 귀족, 부유한 상인, 그리고 교회에 한정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인구 증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이하의 수확량만으로도 일부 사람들은 굶주리게 되었고, 실패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사람들은 숲에서 야생 식용 뿌리, 풀, 견과류, 나무껍질을 수확하기 시작했다.[6]

문서화된 여러 사건들은 기근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는 1315년 8월 10일 세인트 알반스에 들렀는데, 자신과 수행원에게 줄 빵을 구하기 어려웠다. 이는 잉글랜드 국왕이 식사를 할 수 없었던 드문 경우였다.[7] 브리스톨의 연대기에는 1315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었다. "큰 기근으로 인해 사망자가 많아 살아있는 자들이 죽은 자를 매장하기 어려웠고, 말 고기와 개 고기가 좋은 고기로 여겨졌으며, 심지어 자기 자식을 먹는 자들도 있었다. 감옥에 있던 도둑들은 새로 감옥에 갇힌 자들을 붙잡아 찢어 죽이고 산 채로 잡아먹었다."[8]

프랑스의 루이 10세가 이끄는 프랑스는 플랑드르를 침공하려 했지만, 네덜란드의 저지대 지역에서는 들판이 물에 잠겨 군대가 갇히게 되었고, 퇴각을 강요받았으며, 가지고 갈 수 없게 되자 식량을 불태웠다.[9]

1316년 봄, 유럽 인구는 에너지가 고갈되고 스스로를 부양할 여력이 없는 상태에서 계속 비가 내렸다. 귀족부터 농민까지 사회의 모든 계층이 영향을 받았지만, 특히 인구의 95%를 차지하고 비축 식량이 없었던 농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0] 어느 정도의 구제를 제공하기 위해, 견인 가축을 도살하고, 씨앗 곡물을 먹고, 아이들을 스스로 살아남도록 내버려두고("헨젤과 그레텔" 참조), 노인들 사이에서는 젊은 세대가 밭에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자발적인 기아를 택하는 방식으로 미래를 담보로 했다.[10] 당시의 연대기 기록자들은 인육 섭취 사건을 많이 기록했다. 기근 동안 사람들은 최근 죽은 사람들의 무덤을 열고 음식을 훔쳐 먹었다고 한다.[11] 린 H. 넬슨은 "그러한 이야기가 단순한 소문일 뿐인지 확신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10]

기근의 절정은 1317년으로, 궂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그해 여름에 날씨는 정상적인 패턴으로 돌아왔다.

3. 2. 식량 가격 폭등과 사회 혼란

1315년 봄부터 유럽 대부분 지역에 비가 많이 내렸고, 여름 내내 기온이 낮아 곡물이 익지 못해 광범위한 흉작이 발생했다.[10] 잉글랜드에서는 요크셔노팅엄의 저지대가 침수되었고, 요크셔의 포스 강에 있는 양어장이 쓸려 내려갔다.[5]

식량 가격이 폭등하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고기를 절이고 보존하는 데 필요한 소금은 젖은 날씨 때문에 구하기 어려워져 가격이 30실링에서 40실링으로 올랐다.[6] 로렌에서는 밀 가격이 320%나 상승하여 농민들은 빵을 살 수 없었다. 왕족, 영주, 귀족, 부유한 상인, 교회를 제외한 일반 백성들은 비축 식량이 부족했다.[6] 사람들은 숲에서 야생 식용 뿌리, 풀, 견과류, 나무껍질 등을 찾아 먹기 시작했다.[6]

기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여러 사건들이 기록되었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는 1315년 8월 10일 세인트 알반스에서 자신과 수행원에게 줄 빵조차 구하기 어려웠다.[7] 브리스톨의 연대기에는 1315년에 "큰 기근으로 인해 사망자가 많아 살아있는 자들이 죽은 자를 매장하기 어려웠고, 말 고기와 개 고기가 좋은 고기로 여겨졌으며, 심지어 자기 자식을 먹는 자들도 있었다. 감옥에 있던 도둑들은 새로 감옥에 갇힌 자들을 붙잡아 찢어 죽이고 산 채로 잡아먹었다."라는 기록이 있다.[8]

프랑스의 루이 10세는 플랑드르를 침공하려 했지만, 네덜란드의 저지대가 물에 잠겨 퇴각해야 했고, 가지고 갈 수 없는 식량을 불태웠다.[9]

1316년 봄에도 비가 계속되면서, 귀족부터 농민까지 사회 모든 계층이 피해를 입었지만, 특히 인구의 95%를 차지하고 비축 식량이 없었던 농민들이 가장 큰 고통을 겪었다.[10] 어느 정도의 구제를 위해 견인 가축을 도살하거나 씨앗 곡물을 먹고, 아이들을 스스로 살아남도록 내버려 두거나, 노인들이 젊은 세대를 위해 자발적으로 굶는 일들이 벌어졌다.[10] 당시 연대기 기록자들은 인육 섭취 사건을 많이 기록했는데, 사람들이 최근 죽은 사람들의 무덤을 열고 음식을 훔쳐 먹었다고 한다.[11]

3. 3. 기근의 참상

1315년 봄, 유럽 대부분 지역에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봄과 여름 내내 비가 계속되었고 기온은 서늘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곡물은 익지 못했고, 광범위한 작물 실패로 이어졌다. 곡물은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항아리와 단지 안에 보관되었다. 동물을 위한 짚과 건초를 말릴 수 없어서 가축에게 먹일 사료가 없었다. 흙은 폭우로 인해 극도로 축축해져 파종할 밭을 갈 수 없었다.[10] 잉글랜드에서는 요크셔노팅엄의 저지대가 침수되었고, 요크셔의 포스 강에 있는 양어장이 쓸려 내려갔다.[5]

식량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가격이 두 배로 뛰었다. 고기를 절이고 보존하는 유일한 방법인 소금은 젖은 날씨에 염수를 효과적으로 증발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구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소금 가격은 30실링에서 40실링으로 상승했다.[6] 로렌에서는 밀 가격이 320%나 상승하여 농민들은 빵을 살 수 없게 되었다. 장기적인 비상사태에 대비한 곡물 비축량은 왕족, 영주, 귀족, 부유한 상인, 그리고 교회에 한정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인구 증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평균 이하의 수확량만으로도 일부 사람들은 굶주리게 되었고, 실패할 여지가 거의 없었다. 사람들은 숲에서 야생 식용 뿌리, 풀, 견과류, 나무껍질을 수확하기 시작했다.[6]

문서화된 여러 사건들은 기근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는 1315년 8월 10일 세인트 알반스에 들렀는데, 자신과 수행원에게 줄 빵을 구하기 어려웠다. 이는 잉글랜드 국왕이 식사를 할 수 없었던 드문 경우였다.[7] 브리스톨의 연대기에는 1315년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었다. "큰 기근으로 인해 사망자가 많아 살아있는 자들이 죽은 자를 매장하기 어려웠고, 말 고기와 개 고기가 좋은 고기로 여겨졌으며, 심지어 자기 자식을 먹는 자들도 있었다. 감옥에 있던 도둑들은 새로 감옥에 갇힌 자들을 붙잡아 찢어 죽이고 산 채로 잡아먹었다."[8]

프랑스의 루이 10세가 이끄는 프랑스는 플랑드르를 침공하려 했지만, 네덜란드의 저지대 지역에서는 들판이 물에 잠겨 군대가 갇히게 되었고, 퇴각을 강요받았으며, 가지고 갈 수 없게 되자 식량을 불태웠다.[9]

1316년 봄, 유럽 인구는 에너지가 고갈되고 스스로를 부양할 여력이 없는 상태에서 계속 비가 내렸다. 귀족부터 농민까지 사회의 모든 계층이 영향을 받았지만, 특히 인구의 95%를 차지하고 비축 식량이 없었던 농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0] 어느 정도의 구제를 제공하기 위해, 견인 가축을 도살하고, 씨앗 곡물을 먹고, 아이들을 스스로 살아남도록 내버려두고("헨젤과 그레텔" 참조), 노인들 사이에서는 젊은 세대가 밭에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자발적인 기아를 택하는 방식으로 미래를 담보로 했다.[10] 당시의 연대기 기록자들은 인육 섭취 사건을 많이 기록했다. 기근 동안 사람들은 최근 죽은 사람들의 무덤을 열고 음식을 훔쳐 먹었다고 한다.[11] 린 H. 넬슨은 "그러한 이야기가 단순한 소문일 뿐인지 확신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10]

기근의 절정은 1317년으로, 궂은 날씨가 계속되었다. 그해 여름에 날씨는 정상적인 패턴으로 돌아왔다. 그 무렵,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결핵과 같은 질병으로 너무나 쇠약해졌고, 씨앗 곡물의 대부분을 먹어 치웠기 때문에, 식량 공급이 비교적 정상 수준으로 돌아오고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325년이었다. 역사가들은 사망자 수를 두고 논쟁을 벌이지만, 많은 도시와 마을 인구의 10~25%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6] 흑사병 (1347–1351)이 더 많은 사람들을 죽였지만, 몇 달 만에 한 지역을 휩쓸고 지나간 반면, 대기근은 수년 동안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고통을 연장시켰다.[16]

장피에르 르게는 대기근이 "특히 농촌의 과잉 인구에 대한 자연스러운 출구였던 도시에 이미 과밀했던 세상에서 대량 학살을 일으켰다"고 언급했다.[12] 사망률 추정치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잉글랜드 남부에서는 10~15%의 손실이 발생했다.[13] 프랑스 북부에서는 인구의 약 10%가 감소했다.[14]

4. 지리적 범위

1315년 대기근은 영국 제도, 북부 프랑스, 저지대 국가, 스칸디나비아, 독일, 서부 폴란드를 포함한 북유럽에 영향을 미쳤다.[15] 발트 국가 일부도 대기근의 영향을 받았으며, 남쪽 경계는 알프스 산맥과 피레네 산맥이었다.[15]

4. 1. 피해 지역

1315년 대기근은 영국 제도, 북부 프랑스, 저지대 국가, 스칸디나비아, 독일, 서부 폴란드를 포함한 북유럽 지역에 피해를 입혔다.[15] 발트해 연안 국가들은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일부 발트 국가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15] 대기근의 남쪽 경계는 알프스 산맥과 피레네 산맥이었다.

4. 2. 간접적 영향

대기근은 멀리 동쪽 발트해에는 간접적인 영향만 받았지만, 일부 발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다.[15]

5. 결과

1315년 대기근은 사망자 수, 영향을 받은 광대한 지리적 범위, 기간 및 지속적인 결과로 주목할 만하다.

5. 1. 인구 감소

1315년 대기근은 1050년경 시작된 전례 없는 인구 증가 시대를 종식시켰다. 일부에서는 이미 수십 년 동안 인구 증가가 둔화되었다고 믿지만, 대기근은 이 시기를 의심할 여지 없이 종결시켰다.[16][2] 대기근의 영향은 이미 쇠약해진 인구가 흑사병과 같은 14세기의 미래 사건으로 추가적인 재앙을 겪게 되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다.[16][2]

5. 2. 사회, 경제적 영향

1315년 대기근은 1050년경부터 시작된, 전례 없는 인구 증가 시대를 종식시켰다. 비록 일부에서는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인구 증가세가 둔화되었다고 믿지만, 대기근으로 인해 이 시기가 확실하게 끝났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16] 대기근은 이미 쇠약해진 인구가 흑사병과 같은, 14세기에 닥칠 또 다른 재앙을 겪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2]

5. 3. 문화적 영향

14세기 중세 유럽은 이미 광범위한 사회적 폭력을 경험했으며, 강간과 살인과 같이 당시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행위조차 현대에 비해 (특히 인구 규모에 비례하여) 훨씬 더 흔하게 발생했다.[16][17]

대기근은 범죄의 급증을 초래했으며, 심지어 평소에는 범죄 행위에 기울지 않던 사람들조차 자신이나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어떤 수단도 가리지 않게 되었다.[16] 대기근 이후 수십 년 동안 유럽은 더욱 거칠고 폭력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보다 훨씬 더 험악한 곳이 된 것이다.[16] 이는 사회의 모든 계층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백년 전쟁 동안 14세기에 전쟁이 수행된 방식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때 기사도가 종말을 맞이했는데, 이는 12세기와 13세기에는 귀족들이 전장에서보다 토너먼트 경기에서 사고로 죽을 가능성이 더 높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16]

대기근은 대기근으로 인한 위기에 대처하는 데 실패하면서 중세 정부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켰다.[16] 이는 이미 인기가 없었던 에드워드 2세에게 특히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대기근은 잉글랜드와 유럽 대륙 모두에서 신의 보복으로 여겨졌지만, 잉글랜드인들은 교회의 부도덕함보다는 왕의 잘못된 통치와 부도덕함에 자신들의 불행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경향이 더 강했다. 이는 1327년 그의 몰락에 기여했다.

5. 4. 종교적 영향

''에드워드 2세 시대의 악한 시대에 관한 시''(c. 1321)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16]

Poem on the Evil Times of Edward II|에드워드 2세 시대의 악한 시대에 관한 시영어

당시 거의 모든 인간 사회는 자연 재해를 자신들의 명백한 잘못에 대한 신의 보복으로 여겼다. 거의 모든 문제에 대한 마지막 의존은 종교였고, 로마 가톨릭교회만이 유일하게 용인되는 기독교 신앙이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 사회에서, 아무리 많은 기도를 해도 기근의 근본 원인에는 효과가 없는 듯했다. 따라서 기근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제도적 권위를 약화시켰고,[16] 로마 가톨릭 교회가 이단으로 여겼던 후기의 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그 이유는 이들이 교황청에 반대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 내부의 부패와 교리적 오류에 기도의 실패를 돌렸기 때문이다.[16]

참조

[1] 논문 The great European Famine of 1315, 1316, 1317 1930-10
[2]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3] 문서
[4] 서적 In the wake of the plague: the Black Death and the world it made https://archive.org/[...] Free Press
[5] 논문 The Great European Famine of 1315, 1316, and 1317 https://www.jstor.or[...] 2021-05-25
[6] 웹사이트 Famine of 1315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0-11-01
[7] 웹사이트 Edward II: The Great Famine, 1315 to 1317 http://edwardtheseco[...] 2009-01-28
[8] 논문 Bristol Archives 09594/1 https://www.bristol.[...] Bristol Record Society 2019-09-30
[9]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n the Recent Past http://www.fcpp.org/[...] Frontier Centre for Public Policy 2010-11-01
[10] 웹사이트 The Great Famine and the Black Death 1315–1317, 1346–1351 http://www.vlib.us/m[...] WWW Virtual Library 2010-11-07
[11] 웹사이트 Another Look at the Plague https://engines.egr.[...] 2024-04-28
[12]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13]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14]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15] 서적 The Great Famin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8-29
[16] 서적 Medieval Europe: Crisis and Renewal The Teaching Company
[17] 웹사이트 http://www.sfgate.co[...] 2016-10-02
[18] 논문 The great European Famine of 1315, 1316, 1317 https://archive.org/[...] 1930-10
[19] 서적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