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1996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 진출할 아시아 팀을 가리기 위해 2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서부와 동부 권역으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으며, 최종 예선은 8개 팀이 두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 2위 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올림픽 본선 진출팀을 결정했다. 최종 예선은 말레이시아 샤알람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1]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은 1995년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 또는 중립 지역에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2. 진행 방식
3. 1차 예선
조 팀 1 팀 2 팀 3 팀 4 최종 예선 진출 A조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국 (4전 전승) B조 일본 중화 타이베이 태국 일본 (4전 전승) C조 대한민국 홍콩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4전 전승) D조 인도 오만 파키스탄 오만 E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F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G조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H조 이라크 요르단 카타르 이라크
3. 1. 대진 추첨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조 추첨은 1994년 11월 23일에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국제축구연맹(FI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1][3]
3. 2. A조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1차 예선 A조 경기는 1995년 6월 24일부터 7월 29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중국'''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995년 6월 24일 | |||
---|---|---|---|
싱가포르 | 2–0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
1995년 7월 2일 | |||
중국 | 4–0 | 싱가포르 | 쿤밍 퉈둥 스포츠 센터, 쿤밍 |
1995년 7월 9일 | |||
중국 | 2–1 | 말레이시아 | 쿤밍 퉈둥 스포츠 센터, 쿤밍 |
1995년 7월 16일 | |||
말레이시아 | 0–0 | 싱가포르 | 스타디움 메르데카, 쿠알라룸푸르 |
1995년 7월 22일 | |||
말레이시아 | 0–2 | 중국 | 스타디움 메르데카, 쿠알라룸푸르 |
1995년 7월 29일 | |||
싱가포르 | 1–3 | 중국 |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싱가포르 |
3. 3. B조 (일본, 중화 타이베이, 태국)
1차 예선 B조 1라운드 경기는 1995년 5월 26일부터 5월 30일까지 태국 수판부리에서, 2라운드 경기는 1995년 6월 8일부터 6월 14일까지 일본 나고야에서 각각 열렸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4 | 4 | 0 | 0 | 16 | 1 | +15 | 12 |
태국 | 4 | 2 | 0 | 2 | 12 | 6 | +6 | 6 |
중화 타이베이 | 4 | 0 | 0 | 4 | 1 | 22 | -21 | 0 |
'''일본'''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날짜 | 경기 결과 | 경기장 |
---|---|---|
1995년 5월 26일 | 태국|태국th 0–5 일본|일본일본어 | 수판부리 주립경기장, 수판부리 |
1995년 5월 28일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1–4 일본|일본일본어 | 수판부리 주립경기장, 수판부리 |
1995년 5월 30일 | 태국|태국th 7–0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수판부리 주립경기장, 수판부리 |
1995년 6월 8일 |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0–5 태국|태국th | 미즈호 공원 육상 경기장, 나고야 |
1995년 6월 11일 | 일본|일본일본어 6–0 중화 타이베이|중화 타이베이중국어 | 미즈호 공원 육상 경기장, 나고야 |
1995년 6월 14일 | 일본|일본일본어 1–0 태국|태국th | 미즈호 공원 육상 경기장, 나고야 |
3. 4. C조 (대한민국, 홍콩, 인도네시아)
1차 예선 C조 경기는 1995년 5월 21일부터 1995년 8월 26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날짜 | 결과 | 비고 | ||
---|---|---|---|---|
1995년 5월 21일 | 홍콩 | 0–5 | 대한민국 | 웡곡대구장, 홍콩 |
1995년 5월 25일 | 인도네시아 | 1–2 | 대한민국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
1995년 5월 30일 | 인도네시아 | 1–0 | 홍콩 |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자카르타 |
1995년 8월 19일 | 대한민국 | 7–0 | 홍콩 | 광주무등경기장, 광주 |
1995년 8월 22일 | 대한민국 | 1–0 | 인도네시아 | 동대문운동장, 서울 |
1995년 8월 26일 | 홍콩 | 1–4 | 인도네시아 | 웡곡대구장, 홍콩 |
3. 5. D조 (인도, 오만, 파키스탄)
1차 예선 D조 경기는 1995년 10월 7일부터 10월 29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오만'''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경기일 | 경기 결과 | 경기 장소 |
---|---|---|
1995년 10월 7일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0 – 2 عمان|오만ar | 카윰 스타디움, 페샤와르 |
1995년 10월 11일 |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1 – 2 भारत|인도hi | 카윰 스타디움, 페샤와르 |
1995년 10월 18일 | عمان|오만ar 3 – 2 भारत|인도hi |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
1995년 10월 22일 | भारत|인도hi 3 – 1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1995년 10월 25일 | عمان|오만ar 6 – 0 پاکستان|파키스탄ur |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
1995년 10월 29일 | भारत|인도hi 1 – 2 عمان|오만ar | 파토르다 스타디움, 마르가오 |
3. 6. E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1차 예선 E조 경기는 1995년 5월 20일부터 10월 7일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 6 | 5 | 1 | 0 | 19 | 5 | +14 | 16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6 | 3 | 1 | 2 | 12 | 8 | +4 | 10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6 | 1 | 1 | 4 | 9 | 14 | -5 | 4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6 | 1 | 1 | 4 | 9 | 22 | -13 | 4 |
카자흐스탄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일시 | 경기 | 장소 |
---|---|---|
1995년 5월 20일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1 – 5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
1995년 5월 20일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0 – 3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
1995년 6월 10일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2 – 2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
1995년 6월 10일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2 – 0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 타슈켄트 |
1995년 6월 24일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1 – 2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 타슈켄트 |
1995년 6월 24일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3 – 0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
1995년 8월 12일 |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2 – 1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파흐타코르 중앙경기장, 타슈켄트 |
1995년 8월 12일 |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3 – 1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
1995년 9월 2일 |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6 – 0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
1995년 9월 2일 |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1 – 1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
1995년 10월 7일 |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 5 – 4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
1995년 10월 7일 |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3 – 1 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 알마티 중앙경기장, 알마티 |
3. 7. F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1차 예선 F조 경기는 1995년 8월 24일부터 9월 28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995년 8월 24일 |
---|
사우디아라비아 2–0 시리아 |
킹 파흐드 경기장, 타이프 |
1995년 8월 31일 |
쿠웨이트 0–1 사우디아라비아 |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시티 |
1995년 9월 8일 |
시리아 0–1 쿠웨이트 |
아바시인 경기장, 다마스쿠스 |
1995년 9월 15일 |
시리아 0–1 사우디아라비아 |
아바시인 경기장, 다마스쿠스 |
1995년 9월 21일 |
사우디아라비아 0–0 쿠웨이트 |
킹 파흐드 경기장, 타이프 |
1995년 9월 28일 |
쿠웨이트 2–2 시리아 |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시티 |
3. 8. G조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아랍에미리트)
1차 예선 G조 경기는 1995년 9월 13일부터 10월 22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아랍에미리트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날짜 | 경기 결과 | 경기장 |
---|---|---|
1995년 9월 13일 | 투르크메니스탄 2–4 이란 | 누사이 스타디움, 아시가바트 |
1995년 9월 23일 | 아랍에미리트 2–1 투르크메니스탄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1995년 9월 29일 | 이란 1–1 아랍에미리트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
1995년 10월 5일 | 이란 4–0 투르크메니스탄 |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
1995년 10월 15일 | 투르크메니스탄 1–1 아랍에미리트 | 누사이 스타디움, 아시가바트 |
1995년 10월 22일 | 아랍에미리트 1–0 이란 | 자예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아부다비 |
3. 9. H조 (이라크, 요르단, 카타르)
1차 예선 H조 경기는 1995년 9월 15일부터 10월 20일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라크'''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995년 9월 15일 | |
---|---|
요르단 1 – 2 카타르 |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
1995년 9월 22일 | |
카타르 0 – 0 이라크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
1995년 9월 29일 | |
요르단 0 – 4 이라크 |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 |
1995년 10월 6일 | |
카타르 4 – 2 요르단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
1995년 10월 11일 | |
이라크 3 – 2 카타르 | 알샤브 스타디움, 바그다드 |
1995년 10월 20일 | |
이라크 1 – 1 요르단 | 알샤브 스타디움, 바그다드 |
4. 최종 예선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1996년 3월 16일부터 3월 27일까지 말레이시아 샤알람에서 열렸다.[4] 1차 예선 각 조 1위를 차지한 8개 팀이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 2위 팀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선 토너먼트는 A조 1위 팀 대 B조 2위 팀, B조 1위 팀 대 A조 2위 팀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 진출한 두 팀은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 패배한 팀은 3·4위전에 진출했는데, 여기서 이긴 팀이 마지막으로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전후반 90분 동안 승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연장전(전반 15분, 후반 15분)을 치렀으며, 연장전에서 골든골을 넣은 팀이 승리했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했다.[2]
조별 예선 결과 A조에서는 일본과 이라크가,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 일본은 사우디아라비아를 2-1로 꺾고, 대한민국은 이라크를 2-1로 꺾으며 각각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라크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1. 대진 추첨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조 추첨은 1994년 11월 23일에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국제축구연맹(FI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1][5][6] 추첨 당시에는 1차 예선이 시작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최종 예선 진출 팀이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았다.A조 | B조 |
---|---|
1차 예선 B조 1위* | 1차 예선 A조 1위* |
1996년 1월 5일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경기 일정을 확정하기 위한 별도의 추첨을 진행했다.[4][7]
A조 | B조 |
---|---|
Iraq|이라크영어 (A1) | Казахстан|카자흐스탄ru (B1) |
4. 2. 조별 예선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조별 예선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에는 4개의 팀이 배정되어 경기를 치렀다.A조에는 이라크ar, 일본일본어, 아랍에미리트ar, 오만ar이 속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B조에는 카자흐스탄, 중국,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가 포함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윤정환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도사리가 동점골을 기록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8] 카자흐스탄과의 경기에서는 이기형과 우성용의 득점으로 2:1 승리를 거두었다.[9] 중국과의 경기에서는 이기형과 이우영의 득점으로 3:0 완승을 거두었다.[10] 이 경기는 승부조작 가능성을 막기 위해 스타디움 메르데카로 경기 장소가 변경되었다. 카자흐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현지 비와 교통 체증으로 인해 1시간 연기되기도 했다.[9][8]
4. 2. 1. A조 (이라크, 일본, 아랍에미리트, 오만)
이라크ar, 일본일본어, 아랍에미리트ar, 오만ar이 A조에 속했다.일시 | 경기 | 득점 | 경기장 | |||
---|---|---|---|---|---|---|
1996년 3월 16일 | 이라크 | 1 – 1 | 일본 | 와하이브 | 조 | 샤알람 |
1996년 3월 16일 | 아랍에미리트 | 1 – 3 | 오만 | 사이드 | K. 알아라이미, S. 알합시 | 샤알람 |
1996년 3월 18일 | 이라크 | 3 – 1 | 아랍에미리트 | 와하이브, 파우지, 차티르 | A. 아흐메드 | 샤알람 |
1996년 3월 18일 | 일본 | 4 – 1 | 오만 | 마에조노, 조, 나카타 | D. 알무카이니 | 샤알람 |
1996년 3월 20일 | 일본 | 1 – 0 | 아랍에미리트 | 우에무라 | 샤알람 | |
1996년 3월 20일 | 이라크 | 1 – 0 | 오만 | 차티르 | 샤알람 |
4. 2. 2. B조 (카자흐스탄, 중국,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대한민국 | 3 | 2 | 1 | 0 | 6 | 2 | +4 | 7 |
사우디아라비아 | 3 | 1 | 2 | 0 | 6 | 2 | +4 | 5 |
중국 | 3 | 1 | 1 | 1 | 5 | 6 | -1 | 4 |
카자흐스탄 | 3 | 0 | 0 | 3 | 3 | 10 | -7 | 0 |
- 1996년 3월 17일
- * 대한민국 1 : 1 사우디아라비아 (샤알람 스타디움)[8]
- 윤정환 (대한민국, 선제골)
- 알도사리 (사우디아라비아, 동점골)
- * 카자흐스탄 2 : 4 중국 (샤알람 스타디움)[8]
- 1996년 3월 21일
- * 대한민국 3 : 0 중국 (스타디움 메르데카)[10]
- 이기형, 이우영 (대한민국)
-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는 승부조작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경기 장소가 변경되었다.
- * 카자흐스탄 0 : 4 사우디아라비아 (샤알람 스타디움)[9][8]
- 카자흐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는 현지 비와 교통 체증으로 1시간 연기되었다.
4. 3.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1996년 3월 24일부터 3월 27일까지 샤알람에서 진행되었다. 준결승전에서 일본과 대한민국이 각각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를 2-1로 꺾고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라크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며,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일본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4. 3. 1. 준결승전
1996년 3월 24일 20:00(UTC+08:00)에 샤알람의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 마에조노가 전반 4분과 후반 13분에 득점하고, 알도사리가 후반 32분에 득점하여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이 승리로 일본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1]1996년 3월 24일 22:15(UTC+08:00)에 샤알람의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이라크의 경기에서 최용수가 전반 19분과 전반 30분에 득점하고, 살렘이 후반 44분에 득점하여 대한민국이 2:1로 승리했다. 이 승리로 대한민국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2]
4. 3. 2. 3·4위전
템플릿과 , ,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경기 정보는 텍스트로 간략하게 요약하는 것이 좋습니다.1996년 3월 27일 샤알람 스타디움에서 열린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3·4위전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라크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결승골은 연장 전반 7분에 칼리드 알라샤이드가 기록했다.
4. 3. 3. 결승전
조 쇼지일본어(조 쇼지)가 80분에 득점하였지만, 이상헌한국어(이상헌)이 79분에, 최용수한국어(최용수)가 82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하여 일본(일본)은 대한민국(대한민국)에 1-2로 패배하였다.[1]5. 대한민국 대표팀의 성과 및 의의
대한민국은 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뉴스
한국, 올림픽 축구에선C조 편성
https://v.daum.net/v[...]
연합뉴스
1994-11-24
[2]
뉴스
<올림픽축구낙수> 전.후반 무승부시 공동우승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6-03-27
[3]
뉴스
96올림픽 亞洲(아주)지역 축구 예선 한국, 홍콩—印尼(인니)와 C조 편성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4-11-25
[4]
뉴스
한국축구,올림픽 최종예선서 사우디와 첫 대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6-01-05
[5]
뉴스
96올림픽 축구 첫 관문 "무난"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4-11-25
[6]
뉴스
한국 올림픽축구 아시아 C조 편성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4-11-25
[7]
뉴스
축구 올림픽팀 사우디와 첫판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6-01-06
[8]
뉴스
<올림픽축구낙수> 심판 늦은 도착에 1시간 연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6-03-21
[9]
뉴스
<올림픽축구 낙수> 경기지연으로 관중 늘어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6-03-21
[10]
뉴스
한국—중국전 경기장소 바뀌었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