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피트 6인치 궤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피트 6인치 궤간은 철도 궤간의 한 종류로, 762mm의 궤간을 사용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운행 중이다. 이 문서에서는 2피트 6인치 궤간 철도가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인 철도 노선들을 국가별로 정리하고 있다. 과거에는 아프가니스탄, 앤티가 바부다, 호주, 바베이도스, 칠레, 키프로스, 멕시코, 미얀마,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폐지되었거나 궤간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브라질, 인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세인트 키츠 네비스, 타이완 등에서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피트 6인치 궤간 | |
---|---|
개요 | |
궤간 | 762 mm (2 ft 6 in) |
다른 이름 | 2 ft 6 in 궤간 760 mm 궤간 1⁄4 표준궤 11⁄2 in 궤간 11⁄5⁄8 in 궤간 11⁄3⁄4 in 궤간 5⁄2 in 궤간 5⁄15⁄16 in 궤간 7⁄2 in 궤간 11⁄3⁄32 in 궤간 11⁄7⁄16 in 궤간 3⁄3⁄8 in 궤간 8⁄2 in 궤간 11⁄27⁄32 in 궤간 5⁄21⁄32 in 궤간 |
역사 및 사용 | |
개발자 | 토머스 홀 에버라드 칼스롭 |
사용 국가 | 여러 국가 (주로 영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
특징 | 협궤 철도 시스템 주로 식민지 지역에서 사용 |
주요 사용 사례 | |
산업 철도 | 광산 농장 삼림 |
여객 철도 | 관광 철도 지역 사회 연결 |
변형 궤간 | |
760 mm 궤간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오스트리아 폴란드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 브라질 포르투갈 스페인 러시아 |
기타 | |
참고 | 762 mm와 760 mm는 매우 유사하여 상호 운용 가능 역사적 중요성이 높음 |
2. 전 세계 762mm 궤간 철도 목록
국가/지역 | 철도 |
---|---|
아프가니스탄 | |
앤티가 바부다 | |
오스트레일리아 | |
바베이도스 | |
브라질 | |
칠레 | |
중국 | |
퀴라소 | |
키프로스 | |
아이티 | |
인도 | |
이라크 | |
일본 | |
멕시코 | |
모잠비크 | |
미얀마 | |
네팔 | |
나이지리아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파키스탄 | |
세인트 키츠 네비스 | |
시에라리온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대한민국 | |
스리랑카 | |
타이완 | |
영국 | |
미국 |
2. 1. 아시아
- 아프가니스탄: 카불-다룰아만 노면전차 (폐지)
- 인도: 칼카-심라 철도, 캉그라 밸리 철도 (운행 중)
- 일본:
- 미얀마: 아라칸 경철도 (운행 상태 불명), 마디야 경철도 (폐지)
- 네팔: 자낙푸르 및 쿠르타 (2022년 1,676mm 궤간으로 변경)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장진선, 강계선, 백무선, 포천선, 삼지연선, 신흥선, 운율선, 운산선 (운행 중)
- 파키스탄: 반누-탱크 지선 (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다우드 켈-라키 마르와트 지선 (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라르카나-자코바바드 경철도 (1924년 개통, 1956년 1,676mm 궤간으로 변경, 2005년 폐선), 좁 밸리 철도 (1929년 개통, 1986년 폐선)
- 대한민국: 수인선 (폐선 후 1,435mm로 재건설)
- 스리랑카: 켈라니 밸리 노선 (1992년 1,676mm 궤간으로 변경)
- 타이완: 아리산 임업 철도, 화롄-타이둥 선 (1,067mm 궤간으로 변경), 타이완 설탕 철도 (운행 중)
- 중국:
2. 1. 1. 대한민국
- 수인선 (폐선 후 로 재건설)
2.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1. 3. 일본
2. 1. 4. 중국
2. 1. 5. 인도
- 인도
- 칼카-심라 철도 (운행 중)
- 캉그라 밸리 철도 (운행 중)
2. 1. 6. 네팔
- 자낙푸르 및 쿠르타 (2022년 궤간으로 변경)
2. 1. 7. 미얀마
- 아라칸 경철도 (운행 상태 불명)
- 마디야 경철도 (폐지)
2. 1. 8. 파키스탄
- 반누-탱크 지선 (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 다우드 켈-라키 마르와트 지선 (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 라르카나-자코바바드 경철도 (1924년 개통, 1676mm 궤간으로 변경 1956년, 2005년 폐선)
- 좁 밸리 철도 (1929년 개통, 1986년 폐선)
2. 1. 9. 스리랑카
스리랑카 철도의 켈라니 밸리 노선은 1992년에 1,676mm 궤간으로 변경되었다.2. 1. 10. 타이완
- 아리산 임업 철도 (운행 중)
- 화롄-타이둥 선 (궤간으로 변경) (운행 중)
- 타이완 설탕 철도 (운행 중)
2. 2.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나마퀄랜드 철도 (폐지)
- * 시바 노면전차[4] (폐지)
- 모잠비크
- * 가자 철도 (운행 중)
- 시에라리온
- * 시에라리온 정부 철도 (폐지)
- 나이지리아
- * 바우치 경철도 (1067 mm 궤간 노선도 존재) (폐지)
2. 2. 1. 남아프리카 공화국
2. 2. 2. 모잠비크
- 가자 철도 (운행 중)
2. 2. 3. 시에라리온
- 시에라리온 정부 철도 (폐지)
2. 2. 4.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에는 바우치 경철도가 있었으나, ( 궤간 노선도 존재) 현재는 폐지되었다.2. 3. 아메리카
- 미국
:* 사카틀란 철도[2] (폐지)
:* 에스트라다 데 페호 오에스테 데 미나스 (운행 중)
:* FC 칼레타 콜로소 아 아구아스 블랑카스 (폐지)
:* FC 데 후닌 (폐지)
:* FC 데 안토파가스타 아 볼리비아 (볼리비아로 연결됨) (1000mm 궤간으로 변경)(운행 중)
:* 과거 앤티가 바부다에는 80km 길이의 사탕수수 농장 네트워크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1]
:* 바베이도스에는 바베이도스 철도가 있었으나, 이는 1,067mm 궤간으로 변경되었다가 (폐지)되었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세인트 키츠 경치 철도[3] (운행 중)
- 아이티
:*
2. 3. 1. 미국
- 수인선 (폐선 후 로 재건설)
2. 3. 2. 멕시코
2. 3. 3. 브라질
- 에스트라다 데 페호 오에스테 데 미나스 (운행 중)
2. 3. 4. 칠레
- FC 칼레타 콜로소 아 아구아스 블랑카스 (폐지)
- FC 데 후닌 (폐지)
- FC 데 안토파가스타 아 볼리비아 (볼리비아로 연결됨) (1000mm 궤간으로 변경)(운행 중)
2. 3. 5. 앤티가 바부다
과거 앤티가 바부다에는 80km 길이의 사탕수수 농장 네트워크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1]2. 3. 6. 바베이도스
바베이도스에는 바베이도스 철도가 있었으나, 이는 1,067mm 궤간으로 변경되었다가 (폐지)되었다.2. 3. 7. 세인트키츠 네비스
2. 3. 8. 아이티
2. 4. 오세아니아
- 크로스 철도 노선 (폐지)
- 젬브룩 철도 노선 (퍼핑 빌리 철도) (운행 중)
- 팜우즈-부데림 노면전차 (폐지)
- 타이어스 밸리 노면전차 (폐지)
- 왈할라 골드필드 철도 (운행 중)
- 왈할라 철도 노선 (폐지)
- 웰시풀 제티 철도 노선 (폐지)
- 화이트필드 철도 노선 (폐지)
2. 4. 1. 오스트레일리아
- 크로스 철도 노선 (폐지)
- 젬브룩 철도 노선 (퍼핑 빌리 철도) (운행 중)
- 팜우즈-부데림 노면전차 (폐지)
- 타이어스 밸리 노면전차 (폐지)
- 왈할라 골드필드 철도 (운행 중)
- 왈할라 철도 노선 (폐지)
- 웰시풀 제티 철도 노선 (폐지)
- 화이트필드 철도 노선 (폐지)
2. 5. 유럽
키프로스 정부 철도는 1905년부터 1951년까지 운행된 철도로, 총 연장 76마일(122 km), 2피트 6인치(762 mm) 궤간을 사용했다. 재정 문제로 인해 1951년 12월 31일 폐선되었다.[5]2. 5. 1. 영국
2. 5. 2. 키프로스
키프로스 정부 철도 (폐지)2. 6. 과거의 762mm 궤간 철도
아프가니스탄의 카불-다룰아만 노면전차와 앤티가 바부다의 80km 길이 사탕수수 농장 네트워크[1], 오스트레일리아의 크로스 철도 노선, 팜우즈-부데림 노면전차, 타이어스 밸리 노면전차, 왈할라 철도 노선, 웰시풀 제티 철도 노선, 화이트필드 철도 노선은 모두 폐지되었다.[1] 바베이도스의 바베이도스 철도는 1067mm 궤간으로 변경되었다가 폐지되었다.[1] 칠레에서는 FC 칼레타 콜로소 아 아구아스 블랑카스와 FC 데 후닌이 폐지되었고, FC 데 안토파가스타 아 볼리비아는 1000mm로 궤간이 변경되어 볼리비아까지 연결되어 운행 중이다.[1] 퀴라소 빌렘스타트의 말차 노면전차도 운행이 중단되었다.키프로스의 키프로스 정부 철도, 멕시코의 사카틀란 철도[2], 미얀마의 마디야 경철도, 나이지리아의 바우치 경철도(1067mm 궤간 노선도 존재), 시에라리온의 시에라리온 정부 철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마퀄랜드 철도와 시바 노면전차[4], 대한민국의 수인선 (1435mm로 재건설) 등이 폐지되었다.[4]
파키스탄에서는 반누-탱크 지선(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다우드 켈-라키 마르와트 지선(1913년 개통, 1995년 폐선), 라르카나-자코바바드 경철도(1924년 개통, 1956년 1676mm로 변경, 2005년 폐선), 좁 밸리 철도(1929년 개통, 1986년 폐선)가 있었다. 스리랑카의 켈라니 밸리 노선은 1992년에 1676mm 궤간으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ailways in Antigua & Barbuda
http://sinfin.net/ra[...]
[2]
웹사이트
Preserved Narrow Gauge Steam in Mexico 2012, Part 2
http://www.internati[...]
[3]
웹사이트
St. Kitts Scenic Railway - official website
http://www.stkittssc[...]
[4]
간행물
Railway History Group - Bulletin No. 118 July 2013 - The Sheba Railway
http://www.2fpt.com/[...]
[5]
문서
1フィート = 304.8 mm, 1インチ = 25.4 mm, 2フィート6インチ = 2×304.8+6×25.4 = 762 mm
[6]
웹사이트
Railways in Antigua & Barbuda
http://sinfin.net/ra[...]
[7]
웹사이트
Preserved Narrow Gauge Steam in Mexico 2012, Part 2
http://www.internati[...]
[8]
웹사이트
St. Kitts Scenic Railway - official website
http://www.stkittssc[...]
[9]
간행물
Railway History Group - Bulletin No. 118 July 2013 - The Sheba Railway
http://www.2fpt.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