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문서이다. 대한민국,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일본, 브라질, 카메룬, 캐나다의 선수 명단이 각 팀별로 정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은 65,533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요코하마 국제 종합 경기장에서 프랑스가 파트리크 비에라의 결승골로 일본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 - 대한민국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축구 국가대표팀 - 서덕규
서덕규는 2001년 울산 현대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2008년에 은퇴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 캐나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축구 국가대표팀 -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CONCACAF 소속으로 1904년 올림픽 금메달, CONCACAF 골드컵 2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FIFA 월드컵에 두 번 진출했고 2026년 월드컵을 공동 개최한다. - 캐나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축구 국가대표팀 - 폴 스톨테리
폴 스톨테리는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 보유자이자 분데스리가와 풋볼 리그 컵 우승을 경험한 은퇴한 축구 선수 및 현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수석 코치이다.
|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
|---|
2. 참가국
2. 1. A조
2. 2. B조
3. 선수 명단
3. 1. A조
3. 1. 1. 대한민국
감독: 거스 히딩크|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팀 |
|---|---|---|---|---|
| 1 | GK | 이운재 | 1973년 4월 26일 | 상무 FC |
| 2 | DF | 강철 | 1971년 11월 2일 | LASK 린츠 |
| 3 | DF | 최성용 | 1975년 12월 25일 | LASK 린츠 |
| 4 | MF | 송종국 | 1979년 2월 20일 | 부산 아이콘스 |
| 5 | DF | 박용호 | 1981년 3월 25일 | 안양 LG 치타스 |
| 6 | DF | 유상철 | 1971년 10월 18일 | 가시와 레이솔 |
| 7 | DF | 김태영 | 1970년 11월 8일 | 전남 드래곤즈 |
| 8 | MF | 윤정환 | 1973년 2월 16일 | 세레소 오사카 |
| 9 | FW | 김도훈 | 1970년 7월 21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 10 | FW | 최용수 | 1973년 9월 10일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11 | FW | 설기현 | 1979년 1월 8일 | 로열 앤트워프 |
| 12 | GK | 김용대 | 1979년 10월 11일 | 연세대학교 |
| 13 | DF | 서덕규 | 1978년 10월 22일 | 울산 현대 |
| 14 | MF | 서동원 | 1975년 8월 14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15 | DF | 이민성 | 1973년 6월 23일 | 상무 FC |
| 16 | FW | 안효연 | 1978년 4월 16일 | 교토 퍼플 상가 |
| 17 | MF | 하석주 | 1968년 2월 20일 | 포항 스틸러스 |
| 18 | FW | 황선홍 | 1968년 7월 14일 | 가시와 레이솔 |
| 19 | DF | 이영표 | 1977년 4월 23일 | 안양 LG 치타스 |
| 20 | DF | 홍명보 (주장) | 1969년 2월 12일 | 가시와 레이솔 |
| 21 | MF | 박지성 | 1981년 2월 25일 | 교토 퍼플 상가 |
| 22 | MF | 고종수 | 1978년 10월 30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23 | GK | 최은성 | 1971년 4월 5일 | 대전 시티즌 |
3. 1. 2. 프랑스
르메르 감독의 지휘 아래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는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 이후 다시 한번 세계 정상에 올랐다.- '''골키퍼:''' 라메, 쿠페, 랑드로
- '''수비수:''' 사뇰, 리자라쥐, 지예, 드사이 (주장), 실베스트르, 브레슈, 르뵈프, 카랑뵈, 카마라
- '''미드필더:''' 비에라, 조르카에프, 피레스, 카리에르, 다쿠르, 로베르
- '''공격수:''' 아넬카, 윌토르, 네, 말레, 뒤가리
프랑스는 결승전에서 일본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 우승으로 프랑스는 2000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과 함께 2000년대 초반 세계 축구 최강국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3. 1. 3. 오스트레일리아
프랭크 파리나 감독|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골 | 소속 클럽 |
|---|---|---|---|---|---|---|
| 1 | GK | 마크 슈워처 | 1972년 10월 6일 (28세) | 미들즈브러 (잉글랜드영어) | ||
| 2 | DF | 케빈 머스캣 | 1973년 8월 7일 (27세) | 울버햄튼 원더러스 (잉글랜드영어) | ||
| 3 | DF | 크레이그 무어 | 1975년 12월 12일 (25세) | 레인저스 (스코틀랜드sco) | ||
| 4 | MF | 폴 오콘 | 1972년 4월 5일 (29세) | 미들즈브러 (잉글랜드영어) | ||
| 5 | DF | 토니 비드마르 | 1970년 7월 4일 (30세) | 레인저스 (스코틀랜드sco) | ||
| 6 | DF | 토니 포포비치 | 1973년 7월 4일 (27세) | 산프레체 히로시마 (일본일본어) | ||
| 7 | MF | 요시프 스코코 | 1975년 12월 10일 (25세) | K.R.C. 겡크 (벨기에nl) | ||
| 8 | DF | 스탠 라자리디스 | 1972년 8월 16일 (28세) | 버밍엄 시티 (잉글랜드영어) | ||
| 9 | FW | 존 알로이지 | 1976년 2월 5일 (25세) | 코벤트리 시티 (잉글랜드영어) | ||
| 10 | MF | 브렛 에머턴 | 1979년 2월 22일 (22세) | 페예노르트 (네덜란드nl) | ||
| 11 | FW | 데이비드 즈릴리치 | 1974년 4월 13일 (27세) | SpVgg 운터하힝 (독일de) | ||
| 12 | GK | 클린트 볼턴 | 1975년 8월 22일 (25세) | 시드니 올림픽 (호주영어) | ||
| 13 | MF | 마크 브레시아노 | 1980년 2월 11일 (21세) | 엠폴리 (이탈리아it) | ||
| 14 | DF | 숀 머피 | 1970년 11월 5일 (30세) | 셰필드 유나이티드 (잉글랜드영어) | ||
| 15 | DF | 헤이든 폭스 | 1977년 6월 23일 (23세) |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 (잉글랜드영어) | ||
| 16 | DF | 스티브 호르바트 | 1971년 3월 14일 (30세) | 멜버른 나이츠 (호주영어) | ||
| 17 | MF | 스티브 코리카 | 1973년 3월 24일 (28세) | 산프레체 히로시마 (일본일본어) | ||
| 18 | DF | 스콧 치퍼필드 | 1975년 12월 30일 (25세) | 울런공 울브스 (호주영어) | ||
| 19 | MF | 아우렐리오 비드마르 | 1967년 2월 3일 (34세) | 애들레이드 시티 (호주영어) | ||
| 20 | FW | 클레이턴 제인 | 1977년 7월 12일 (23세) | 릴레스트롬 (노르웨이no) | ||
| 21 | FW | 아치 톰슨 | 1978년 10월 23일 (22세) | 마르코니 스탤리온스 (호주영어) | ||
| 22 | FW | 마일 스테르요프스키 | 1979년 5월 27일 (22세) | 릴 (프랑스프랑스어) | ||
| 23 | GK | 프랭크 유릭 | 1973년 10월 28일 (27세) | 바이어 레버쿠젠 (독일de) |
3. 1. 4. 멕시코
감독: 엔리케 메사|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소속팀 |
|---|---|---|---|---|---|
| 1 | GK | 오스왈도 산체스 | 1973년 9월 21일 (27세) | 과달라하라 | |
| 2 | DF | 클라우디오 수아레스 | 1968년 12월 17일 (32세) | 티그레스 UANL | |
| 3 | DF | 호아킨 벨트란 | 1977년 4월 29일 (24세) | 푸마스 UNAM | |
| 4 | DF | 다비드 오테오 | 1973년 7월 27일 (27세) | 티그레스 UANL | |
| 5 | MF | 두일리오 다비노 | 1976년 3월 21일 (25세) | 아메리카 | |
| 6 | MF | 마르코 안토니오 루이스 | 1969년 7월 12일 (31세) | 과달라하라 | |
| 7 | MF | 다비드 랑헬 | 1969년 11월 12일 (31세) | 톨루카 | |
| 8 | MF |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 1979년 8월 7일 (21세) | 아틀라스 | |
| 9 | MF | 호세 마누엘 아분디스 | 1973년 6월 11일 (27세) | 아틀란테 | |
| 10 | FW | 하레드 보르헤티 | 1973년 8월 14일 (27세) | 산토스 라구나 | |
| 11 | FW | 다니엘 오소르노 | 1979년 3월 16일 (22세) | 아틀라스 | |
| 12 | GK | 에루베이 카부토 | 1975년 9월 6일 (25세) | 아틀라스 | |
| 13 | MF | 파벨 파르도 | 1976년 7월 26일 (24세) | 아메리카 | |
| 14 | MF | 게르만 비야 | 1973년 4월 2일 (28세) | 아메리카 | |
| 15 | FW | 안토니오 데 니그리스 | 1978년 4월 1일 (23세) | 몬테레이 | |
| 16 | MF | 알베르토 코요테 | 1967년 3월 26일 (34세) | 과달라하라 | |
| 17 | DF | 옥타비오 발데스 | 1973년 12월 7일 (27세) | 파추카 | |
| 18 | MF | 세사레오 빅토리노 | 1979년 3월 19일 (22세) | 파추카 | |
| 19 | MF | 호아킨 레예스 | 1978년 2월 20일 (23세) | 산토스 라구나 | |
| 20 | MF | 빅토르 루이스 | 1969년 6월 7일 (31세) | 톨루카 | |
| 21 | MF | 루이스 에르네스토 페레스 | 1981년 1월 12일 (20세) | 넥사카 | |
| 22 | DF | 우고 차베스 | 1976년 10월 16일 (24세) | 모렐리아 | |
| 23 | GK | 오스카르 다우트 | 1976년 6월 8일 (24세) | 푸에블라 |
3. 2. B조
3. 2. 1. 일본
감독: 필리프 트루시에- 가와구치 요시카쓰
- 우에무라 겐이치
- 마쓰다 나오키
- 모리오카 류조
- 이나모토 준이치
- 핫토리 도시히로
- 나카타 히데토시
- 모리시마 히로아키
- 니시자와 아키노리
- 미우라 아쓰히로
- 나카야마 마사시 ((c))
- 나라자키 세이고
- 야마시타 요시테루
- 이토 데루요시
- 후지타 토시야
- 나카타 고지
- 묘진 도모카즈
- 도다 가즈유키
- 구보 다쓰히코
- 하토 야스히로
- 오노 신지
- 스즈키 다카유키
- 쓰즈키 료타
3. 2. 2. 브라질
감독: 레앙- 지다
- 제 마리아
- 루시우
- 에드미우송
- 레오마르
- 구스타부 메리
- 레안드루
- 밤페타
- 소니 안데르송
- 호베르트
- 카를루스 미겔
- 카를루스 제르마누
- 에바니우송
- 세자르 벨리
- 카사파
- 레우
- 바그네르
- 호솀바크
- 줄리우 바프티스타
- 하몽
- 와싱통
- 마그누 아우베스
- 파비우 코스타
3. 2. 3. 카메룬
르샹트르 감독은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할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을 발표했다.- '''골키퍼:''' 알리움 부카르(삼순스포르, 터키), 자크 송오(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스페인), 이드리스 카를로스 카메니(르 아브르 AC, 프랑스)
- '''수비수:''' 빌 차토(몽펠리에 HSC, 프랑스), 피에르 워메(볼로냐 FC 1909, 이탈리아), 리고베르 송(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잉글랜드), 레몽 칼라(CF 에스트레마두라, 스페인), 피에르 은장카(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프랑스), 로렌(아스날 FC, 잉글랜드), 다니엘 몽샤레(사블, 카메룬), 올리비에 차추아(사블, 카메룬), 미셸 펜세(데스포르티부 다스 아베스, 포르투갈)
- '''미드필더:''' 제레미(레알 마드리드 CF, 스페인), 조엘 에팔레(에트니코스 피레우스 FC, 그리스), 니콜라 알누지(차이쿠르 리제스포르, 터키), 마르크비비앙 푀(올랭피크 리옹, 프랑스), 살로몽 올렘베(낭트, 프랑스), 다니엘 은곰 콤(레반테 UD, 스페인)
- '''공격수:''' 베르나르 추탕(로다 JC, 네덜란드), 사뮈엘 에토(RCD 마요르카, 스페인), 파트리크 음보마(파르마 칼초 1913, 이탈리아), 피우스 은디에피(CS 세당 아르덴, 프랑스), 조제프데지레 조브(미들즈브러 FC, 잉글랜드)
리고베르 송이 주장을 맡았으며, 대부분의 선수들이 유럽 리그에서 활약했다. 특히, 사뮈엘 에토와 파트리크 음보마 등 공격진은 좋은 활약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3. 2. 4. 캐나다
오지크 감독은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할 캐나다 대표팀 명단을 구성했다. 다음은 선수 명단이다.- '''골키퍼'''
- 포레스트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잉글랜드)
- 온스타드 (로체스터 라이노스, 미국)
- 마이크 프랭크스 (히버니언, 스코틀랜드)
- '''수비수'''
- 마크 왓슨 (D.C. 유나이티드, 미국)
- 메네지스 (보타포구, 브라질)
- 데 보스 (던디 유나이티드, 스코틀랜드) (주장)
- 칼 플레처 (몬트리올 임팩트, 캐나다)
- 케빈 맥케나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스코틀랜드)
- '''미드필더'''
- 제프 클라크 (포틀랜드 팀버스, 미국)
- 벤트 (코펜하겐, 덴마크)
- 스톨테리 (베르더 브레멘, 독일)
- 다소비치 (세인트 존스톤, 스코틀랜드)
- 크사우사 (리빙스턴, 스코틀랜드)
- 브레넌 (노팅엄 포리스트, 잉글랜드)
- 임호프 (장크트갈렌, 스위스)
- 헤이스팅스 (인버네스 칼레도니언 시슬, 스코틀랜드)
- 은살리와 (1. FC 뉘른베르크, 독일)
- 마크 비르참 (밀월, 잉글랜드)
- '''공격수'''
- 코라친 (올덤 애슬레틱, 잉글랜드)
- 쿠시 (회네포스, 노르웨이)
- 데 로사리오 (산호세 어스퀘이크스, 미국)
- 페스키솔리도 (풀럼, 잉글랜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