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35개국 21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구덕실내체육관에서 전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남자 8체급, 여자 8체급으로 나뉘어 경기가 치러졌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2018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자카르타에서 겨루기와 품새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품새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대한민국은 금메달 5개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태권도 - 1994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태권도는 8개의 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이란이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177개 국가 및 난민팀에서 온 94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체급별 경쟁을 펼친 국제 태권도 대회로, 대한민국이 금메달 5개 등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태권도 대회 -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2011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되어 144개국 949명의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남자부는 이란, 여자부는 대한민국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이란은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을 제치고 처음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낳았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야구는 사직야구장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중국, 필리핀 5개국이 참가하여 예선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대한민국이 금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02년 아시안 게임 농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농구는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이 금메달, 여자부에서 중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부 13개국, 여자부 6개국이 참가했다.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대회 정보
종목태권도
대회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픽토그램
태권도 픽토그램
개최지부산
경기장구덕실내체육관
기간2002년 10월 10일 ~ 10월 13일
참가 선수219명
참가국35개국
이전 대회1998
다음 대회2006

2. 경기장

도시경기장경기
부산구덕실내체육관전 경기


3. 경기 일정

2002년 아시안 게임 태권도 경기는 10월 10일부터 10월 13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종목별 예선과 결선 경기가 날짜별로 분산되어 치러졌다. 자세한 경기 일정은 "경기 세부 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경기 세부 일정

(목)10월 11일
(금)10월 12일
(토)10월 13일
(일)남자 54kgPF남자 58kgPF남자 62kgPF남자 67kgF남자 72kgPF남자 78kgPF남자 84kgPF남자 +84kgF여자 47kgPF여자 51kgPF여자 55kgPF여자 59kgF여자 63kgPF여자 67kgPF여자 72kgPF여자 +72kgFP: 예선, F: 결선



변경 사항:

4. 메달 집계

순위나라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대한민국123116
2중화 타이베이3407
3이란1124
4베트남0415
5중국0257
6태국0202
7필리핀0055
8네팔0033
9인도네시아0022
9요르단0022
9카자흐스탄0022
9말레이시아0022
13아프가니스탄0011
13인도0011
13쿠웨이트0011
13카타르0011
13사우디아라비아0011
13우즈베키스탄0011
13예멘0011



대한민국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를 획득하여 2위를, 이란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3위를 기록했다.

4. 1. 메달리스트

(-54 kg){{lang|ko|박희철|}} (한국)

| 추무옌|중국어 (타이베이)

| 무하마드 달람 이맘id (인도네시아)아크람 알-누르|ar (예멘)

|-

| 플라이급
(-58 kg)

| 김대룡|한국어 (한국)

| 베흐자드 호다다드fa (이란)

| 수렌드라 반다리영어 (인도)톰리 고tl (필리핀)

|-

| 밴텀급
(-62 kg)

| 황즈슝|중국어 (타이베이)

| 김향수|한국어 (한국)

| 알리 알-아스마르ar (요르단)갈리 알-마트라피ar (사우디아라비아)

|-

| 페더급
(-67 kg)

| 남연식|한국어 (한국)

| 쑝유치|중국어 (타이베이)

| 파벨 유가이uz (우즈베키스탄)디팍 비스타ne (네팔)

|-

| 라이트급
(-72 kg)

| 하디 사에이fa (이란)

| 이재신|한국어 (한국)

| 예스볼 예르덴kk (카자흐스탄)이야드 알-사이피ar (요르단)

|-

| 웰터급
(-78 kg)

| 오선택|한국어 (한국)

| 딘 브엉 두이vi (베트남)

| 마지드 아플라키fa (이란)류양|중국어 (중국)

|-

| 미들급
(-84 kg)

| 김경훈|한국어 (한국)

| 판 떤 닷vi (베트남)

| 딘도 심파오tl (필리핀)아르만 칠마노프kk (카자흐스탄)

|-

| 헤비급
(+84 kg)

| 문대성|한국어 (한국)

| 응우옌 반 훙vi (베트남)

| 압둘카데르 알-아다미ar (카타르)아흐마드 알-아타르ar (쿠웨이트)

|}

|

} (타이베이)

| 응우옌 티 휜 지에우|vi (베트남)

| 왕잉 (중국), 강지현 (대한민국)

|-

| 플라이급
(-51kg)

| 임수정 (대한민국)

| 야오파 보라폴차이 (태국)

| 주아나 왕사 푸트리 (인도네시아), 델린 코르데로 (필리핀)

|-

| 밴텀급
(-55kg)

| 윤경림 (대한민국)

| Chonnapas Premwaew|th (태국)

| 파르바네 테라니 (이란), 레누카 마가르 (네팔)

|-

| 페더급
(-59kg)

| 윤선희 (대한민국)

| 쩡 페이화|중국어 (타이베이)

| 레 티 늉|vi (베트남), 왕숴 (중국)

|-

| 라이트급
(-63kg)

| 김연지 (대한민국)

| 劉林|류린중국어 (중국)

| 李佩芬|리페이펀중국어 (말레이시아), 리투 지미 라이 (네팔)

|-

| 웰터급
(-67kg)

| 김수옥 (대한민국)

| 張婉真|창 완첸중국어 (타이베이)

| 뤄웨이 (중국), 베로니카 도밍고 (필리핀)

|-

| 미들급
(-72kg)

| 최진미 (대한민국)

| 첸 중 (중국)

| 로이아 자마니 (아프가니스탄), 샐리 솔리스 (필리핀)

|-

| 헤비급
(+72kg)

| 왕이시엔 (타이베이)

| 윤현정 (대한민국)

| 李宛原|리 완유엔중국어 (말레이시아), 렌 루이홍 (중국)

|}

|}

4. 1. 1. 남자

(-54 kg)
} (예멘)

|-

| 플라이급
(-58 kg)

| 김대룡|金大㯬한국어 (한국)

| 베흐자드 호다다드fa (이란)

| 수렌드라 반다리영어 (인도)톰리 고tl (필리핀)

|-

| 밴텀급
(-62 kg)

| 황즈슝|黃志雄중국어 (타이베이)

| 김향수|한국어 (한국)

| 알리 알-아스마르ar (요르단)갈리 알-마트라피ar (사우디아라비아)

|-

| 페더급
(-67 kg)

| 남연식|南然植한국어 (한국)

| 쑝유치|중국어 (타이베이)

| 파벨 유가이uz (우즈베키스탄)디팍 비스타ne (네팔)

|-

| 라이트급
(-72 kg)

| 하디 사에이fa (이란)

| 이재신|한국어 (한국)

| 예스볼 예르덴kk (카자흐스탄)이야드 알-사이피ar (요르단)

|-

| 웰터급
(-78 kg)

| 오선택|吳善澤한국어 (한국)

| 딘 브엉 두이vi (베트남)

| 마지드 아플라키fa (이란)류양|劉陽중국어 (중국)

|-

| 미들급
(-84 kg)

| 김경훈|金京勳한국어 (한국)

| 판 떤 닷vi (베트남)

| 딘도 심파오tl (필리핀)아르만 칠마노프kk (카자흐스탄)

|-

| 헤비급
(+84 kg)

| 문대성|文大成한국어 (한국)

| 응우옌 반 훙vi (베트남)

| 압둘카데르 알-아다미ar (카타르)아흐마드 알-아타르ar (쿠웨이트)

|}

4. 1. 2. 여자

(-47kg)
체급금메달은메달동메달
핀급
(-47kg)
{{lang|zh|천스신|}박희철|朴熙哲한국어 (한국)추무옌|朱木炎중국어 (타이베이)무하마드 달람 이맘id (인도네시아){{lang|ar|아크람 알-누르|}陳詩欣|천스신중국어 (타이베이)응우옌 티 휜 지에우|응우옌티휜지에우vi (베트남)왕잉 (중국), 강지현 (대한민국)
플라이급
(-51kg)
임수정 (대한민국)야오파 보라폴차이 (태국)주아나 왕사 푸트리 (인도네시아), 델린 코르데로 (필리핀)
밴텀급
(-55kg)
윤경림 (대한민국)Chonnapas Premwaew|촌나파스 픔와에우th (태국)파르바네 테라니 (이란), 레누카 마가르 (네팔)
페더급
(-59kg)
윤선희 (대한민국)曾佩華|쩡 페이화중국어 (타이베이)레 티 늉|레 티 늉vi (베트남), 왕숴 (중국)
라이트급
(-63kg)
김연지 (대한민국)劉林|류린중국어 (중국)李佩芬|리페이펀중국어 (말레이시아), 리투 지미 라이 (네팔)
웰터급
(-67kg)
김수옥 (대한민국)張婉真|창 완첸중국어 (타이베이)뤄웨이 (중국), 베로니카 도밍고 (필리핀)
미들급
(-72kg)
최진미 (대한민국)첸 중 (중국)로이아 자마니 (아프가니스탄), 샐리 솔리스 (필리핀)
헤비급
(+72kg)
왕이시엔 (타이베이)윤현정 (대한민국)李宛原|리 완유엔중국어 (말레이시아), 렌 루이홍 (중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