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7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은 현대 유니콘스 야구팀의 마지막 시즌으로, 선수단, 주요 기록, 시즌 중 사건 등을 포함한다. 이 시즌에는 김수경이 마지막 승리 투수, 마일영이 마지막 홀드, 황두성이 마지막 세이브를 기록했으며, 조용훈이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또한, 시즌 종료 후 현대 유니콘스는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대 유니콘스 시즌 - 1982년–1985년 삼미 슈퍼스타즈 시즌
    1982년부터 1985년까지의 삼미 슈퍼스타즈 시즌은 창단 첫해 최저 승률을 기록하고 재정난으로 청보 핀토스로 매각되는 등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 현대 유니콘스 시즌 - 1990년 태평양 돌핀스 시즌
    1990년 태평양 돌핀스 시즌은 김일권의 도루왕 등극, 최창호의 한 경기 4도루 기록, 김경기의 2루타, 그리고 박정현, 최창호, 양상문으로 구성된 투수진과 김인호, 이희성, 여태구, 김일권, 김윤환 등으로 구성된 타자진, 박은진과 허정욱 마무리 투수진의 활약이 두드러진 시즌이었다.
2007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
2007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
현대 유니콘스 로고
현대 유니콘스 로고
리그KBO 리그
소속 리그페넌트레이스
감독김재박
코치김용달, 양상문, 박철우, 정윤성, 황두성, 이종두, 김태형
주장이숭용
홈 구장수원종합운동장 야구장
성적
리그 순위4위
64승
58패
4무
승률0.525
팀 홈런94개
팀 타율0.258
팀 평균자책점3.49
포스트 시즌
준플레이오프승리 (vs SK 와이번스)
플레이오프패배 (vs 두산 베어스)
시즌 관련
주요 사건김재박 감독 부임
황두성 코치 영입
양상문 코치 영입
정윤성 코치 영입
이종두 코치 영입
김태형 코치 영입
팀 4위로 포스트시즌 진출
준플레이오프 승리
플레이오프 패배
기타
이전 시즌2006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
다음 시즌2008년 현대 유니콘스 시즌

2. 시즌 성적 및 주요 기록

2007년 시즌에는 여러 선수들이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1군에서는 이숭용이 KBO 페어플레이상을, 금광옥 코치가 일구상 코치상을, 조용훈이 제일화제 프로야구대상 신인상을 받았다.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는 송신영, 조용훈, 황두성, 유한준, 황재균이 선발되었다. 2007 시즌 올스타전에는 전준호(외야수), 브룸바(지명타자)가 선정되었고, 김수경, 장원삼, 김동수, 이택근이 추천 선수로 뽑혔다. 브룸바는 126경기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했고, 볼넷 100개를 얻어냈다. 김일경은 희생타 36개를 기록했다.[1][2][3]

2군에서는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MVP는 전근표가 수상했고,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투수상은 이현승, 홈런레이스 우승은 조평호가 차지했다. 퓨처스 올스타에는 이현승, 조평호, 황재균, 오윤이 선발되었다.[1][2]

2. 1. 1군 주요 기록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 송신영, 조용훈, 황두성, 유한준, 황재균이 선발되었고, 이숭용은 KBO 페어플레이상, 금광옥 코치는 일구상 코치상, 조용훈은 제일화제 프로야구대상 신인상을 받았다.[1][2][3]

2007 시즌 올스타전에는 전준호(외야수), 브룸바(지명타자)가 선정되었고, 김수경, 장원삼, 김동수, 이택근이 추천 선수로 뽑혔다.[1]

브룸바는 126경기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했고, 볼넷 100개를 얻어냈다. 김일경은 희생타 36개를 기록했다.[1]

2. 1. 1. 개인 수상

이숭용은 KBO 페어플레이상을, 금광옥 코치는 일구상 코치상을 받았다.[1] 조용훈은 제일화제 프로야구대상 신인상을 받았다.[2]

야구 월드컵 국가대표로는 송신영, 조용훈, 황두성, 유한준, 황재균이 선발되었다.[3]

2. 1. 2. 올스타

2007 시즌 올스타전에 현대 유니콘스에서는 전준호(외야수), 브룸바(지명타자)가 선정되었다.[1] 올스타전 추천 선수로는 김수경, 장원삼, 김동수, 이택근이 있었다.[1]

2. 1. 3. 주요 기록

구분내용
출장(타자)브룸바 (126)
볼넷브룸바 (100)
희생타김일경 (36)


2. 2. 퓨처스리그 (2군)

2007년 퓨처스 올스타전에 현대 유니콘스에서는 이현승, 조평호, 황재균, 오윤이 선발되었다.[1]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MVP는 전근표가 수상했고,[1]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투수상과 홈런레이스 우승은 각각 이현승과 조평호가 차지했다.[2]

2. 2. 1. 개인 수상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MVP는 전근표가 수상했다.[1] 퓨처스 올스타전 우수투수상은 이현승이, 홈런레이스 우승은 조평호가 차지했다.[2]

2. 2. 2. 퓨처스 올스타

2007년 퓨처스 올스타전에 현대 유니콘스에서는 이현승, 조평호, 황재균, 오윤이 선발되었다.[1] 이현승은 우수투수상을 수상하였고,[1] 조평호는 홈런레이스에서 우승하였다.[1]

3. 선수단


3. 1. 투수

wikitext

투수


3. 1. 1. 선발투수

장원삼, 김수경, 전준호 (1975년), 캘러웨이, 정민태

3. 1. 2. 구원투수

조용훈, 박승민, 황두성, 노환수, 김성태, 마일영, 김민범, 오성민, 이상열, 장시환, 이현승, 이동학, 노병오

3. 1. 3. 마무리투수

송신영, 김세현, 박민주, 전유수, 조순권, 이보근

3. 2. 야수



위의 문서는 주어진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합니다.


  • 허용된 문법만 사용: 내부 링크와 표(Table) 문법만 사용되었습니다.
  • 평어체: 높임말 없이 평어체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문만 출력: 섹션 제목 없이 본문만 출력되었습니다.
  • 한국어: 모든 내용이 한국어로 작성되었습니다.
  • 중복 제거: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 내용이 있는 선수 목록은 표 형태로 간결하게 유지되었습니다.
  • 템플릿 미사용: 템플릿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 오류 수정: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번역 오류, 과도한 한자 사용, 잘못된 영어식 표현, 표 출력 오류 등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3. 2. 1. 포수

김동수, 강귀태, 유선정, 허준

3. 2. 2. 1루수

이숭용, 강병식, 조중근, 홍원기

3. 2. 3. 2루수

김일경이 주전 2루수로 활약했으며, 채종국, 유덕형이 백업으로 출장했다.[1]

3. 2. 4. 유격수

황재균, 지석훈, 차화준, 서한규

3. 2. 5. 3루수

정성훈, 강정호

3. 2. 6. 좌익수

송지만, 전준호, 전근표, 오윤

3. 2. 7. 중견수

'''이택근''', 정수성

3. 2. 8. 우익수

권도영, 이승주, 조평호, 유한준

3. 2. 9. 지명타자

'''브룸바''', 김남형

4. 시즌 중 주요 사건

2007년 시즌 중 현대 유니콘스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 장원삼은 10월 3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패전 투수가 되면서 팀 역사상 마지막 패전 투수로 기록되었다.[6]
  • 조용훈은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며 구단 역사상 마지막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수상자가 되었다.[7]
  • 시즌 최종전이자 구단 역사상 마지막 경기에서는 김수경이 선발 등판해 팀 역사상 마지막 승리 투수가 되었고, 마일영이 마지막 홀드, 황두성이 마지막 세이브를 챙겼다. 마지막 타석을 소화한 타자는 5번 타자 정성훈이었다.

4. 1. 선수 이동

해외파 특별 드래프트에서 김병현을 지명했다.[1] 5월 20일에는 채종국SK 와이번스로 보내고 조중근을 영입하는 트레이드를 진행했는데, 이는 구단 역사상 마지막 트레이드였다.[4] 8월 16일에는 신인 드래프트 2차 7라운드에서 이종선을 지명하여, 이종선은 현대 유니콘스에 지명된 마지막 선수가 되었다.[5]

4. 2. 기타

박민주는 현대 유니콘스 사상 마지막 육성선수였다.[1] 2군(퓨처스리그)은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시즌 종료 후 노병오와 손승락은 경찰 야구단에 입대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어 현대 유니콘스 소속으로 경찰 야구단에 입대한 마지막 선수들이 되었다.[7] 브룸바는 팀이 해체될 때까지 남아있던 유일한 외국인 선수였으며, 이후 우리 히어로즈에 입단했다.[8]

5. 마지막 경기

2007년 10월 3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는 현대 유니콘스의 시즌 최종전이자 구단 역사상 마지막 경기였다. 이 경기에서 김수경이 선발 등판해 승리 투수가 되었고, 장원삼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 마일영은 마지막 홀드를, 황두성은 마지막 세이브를 기록했으며, 마지막 타자는 5번 타자 정성훈이었다.

5. 1. 마지막 경기 주요 기록

2007년 10월 3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장원삼이 패전 투수가 되어 현대 유니콘스 역사상 마지막 패전 투수가 되었다.[1]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김수경이 선발 등판해 마지막 승리 투수가 되었고, 마일영이 마지막 홀드를, 황두성이 마지막 세이브를 기록했다.[1] 마지막 타자는 5번 타자 정성훈이었다.[1]

5. 2. 마지막 경기 의의

현대 유니콘스는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시즌 종료 후 해체되었다.[1] 조용훈은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여 구단 사상 마지막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수상자가 되었다.[1]

참조

[1] 뉴스 현대 '순혈주의' 1군 코치진 전원 '현대家'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21-07-23
[2] 뉴스 LG, 김용달·양상문 포함한 코치진 공식발표 https://sports.news.[...] 조이뉴스24 2021-07-23
[3] 뉴스 -프로야구종합-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2-05-02
[4] 뉴스 '4강 안전 운행' 김시진, 새로운 '번트 강자' https://sports.news.[...] OSEN 2022-01-09
[5] 뉴스 '투수 왕국' 현대, 마운드 '불안불안' https://sports.news.[...] 조이뉴스24 2022-01-09
[6] 뉴스 해외轉訓地(전훈지)따라 달라진「볼색깔」美式(미식)-日式(일식)"그라운드 대결"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06-27
[7] 뉴스 懐かしのヤクルト米ユマキャンプ 国内ではありえない地獄の練習メニューとは? https://news.livedoo[...] 라이브도어 2022-06-27
[8] 뉴스 米国キャンプ実施について https://www.fighters[...]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2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