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07년 AFC 아시안컵 성적에 따라 대한민국, 이라크 등이 본선에 직행하고, 레바논과 몰디브가 1차 예선을 치렀다. 1차 예선 승자, 일본 등을 포함한 20개국이 최종 예선을 치렀으며, 최종 예선에서 승리한 10개국과 개최국 카타르, 2007년 AFC 아시안컵 상위 3개국, AFC 챌린지컵 우승팀 2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투르크메니스탄은 기권했고, 인도는 2008년 AFC 챌린지컵 우승으로 예선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예선은 5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AFC 아시안컵에 관한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랍권 대회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FIFA 자격 정지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198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이후 2026년 FIFA 월드컵과 2027년 AFC 아시안컵을 통해 재도약을 준비 중인 쿠웨이트 대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AFC 아시안컵에 관한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대한축구협회 창립 후 국제 무대에서 활동하며 월드컵 4강, 아시안컵 2회 우승, EAFF E-1 풋볼 챔피언십 5회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한 '태극전사'로 불리는 팀으로, 붉은색 유니폼과 호랑이 엠블럼을 상징으로 한다.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영문 명칭2011 AFC Asian Cup qualification
기간2008년 4월 9일 – 2010년 3월 3일
참가 팀 수24
연맹 수1
경기 수56
총 득점158
최다 득점자신지 오카자키(6골)
이전 대회2007년
다음 대회2015년

2. 예선 진행 방식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본선 자동 진출팀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이 참가하여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예선은 참가팀 수를 조정하기 위한 1차 예선(예비 라운드)과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최종 예선(조별 리그)으로 구성되었다.

1차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 랭킹이 낮은 팀들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예선 참가팀 수를 20개 팀으로 맞추기 위해 계획되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투르크메니스탄이 조 추첨 전에 기권하면서, 최하위 시드 두 팀인 레바논몰디브 간의 홈 앤드 어웨이 경기만 치러졌다. 1차 예선 승리팀은 최종 예선에 합류했다.

최종 예선에는 1차 예선 승리팀과 나머지 시드를 배정받은 19개 팀을 포함하여 총 20개 팀이 참가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2007년 12월 6일에 예선 라운드 시드를 발표했으며[1], 이를 바탕으로 20개 팀을 4팀씩 5개 조로 나누었다. 각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풀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 총 10개 팀이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한편, 인도는 최종 예선 조 추첨까지 마쳤으나, 2008년 AFC 챌린지컵에서 우승하여 본선 자동 진출 자격을 얻게 되면서 최종 예선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예선에 참가하지 않거나 기권한 일부 팀들은 AFC 챌린지컵을 통해 본선 진출 자격을 얻을 기회를 가졌다.

최종적으로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개최국 카타르, 2007년 AFC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AFC 챌린지컵 우승 2개 팀(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최종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을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2. 1. 자동 진출

개최국인 카타르2007년 AFC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인 이라크(우승), 사우디아라비아(준우승), 대한민국(3위)은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또한 AFC 챌린지컵 우승 팀 자격으로 2008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인 인도2010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본선 진출권을 확보했다.

최종 예선 진출 현황


국가진출 자격진출 확정 날짜과거 대회 출전 기록1, 2
카타르개최국2007년 7월 29일7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2000년, 2004년, 2007년)
이라크2007년 AFC 아시안컵 우승국2007년 7월 25일6 (1972년, 1976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사우디아라비아2007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국2007년 7월 25일7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대한민국2007년 AFC 아시안컵 3위2007년 7월 28일11 (1956년, '1960년', 1964년, 1972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인도2008년 AFC 챌린지컵 우승국2008년 8월 13일2 (1964년, 198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0년 AFC 챌린지컵 우승국2010년 2월 27일2 (1980년, 1992년)



참고:

:1 '''굵은 글씨'''는 해당 연도 우승

:2 ''이탤릭체''는 개최국

2. 2. 1차 예선

아시아 축구 연맹(AFC) 랭킹 하위 팀인 레바논몰디브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1차 예선을 치렀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레바논6 – 1몰디브4 – 02 – 1



2008년 4월 9일 레바논 베이루트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레바논이 몰디브를 4-0으로 이겼다. 레바논의 마흐무드 엘 알리(5분), 알리 야쿠브(11분), 아바스 아메드 아트위(13분, 페널티골), 모하메드 가다르(39분)가 득점했다.

2008년 4월 23일 몰디브 말레라스미 단두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레바논이 몰디브에 2-1로 승리했다. 몰디브는 샴빌 카심(22분)이 득점했고, 레바논은 모하마드 코르하니(9분)와 나스라트 알자말(75분)이 득점했다.

'''레바논'''이 합계 6 - 1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2. 3. 최종 예선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최종 예선은 1차 예선(예비 라운드) 승자와 2007년 AFC 아시안컵 성적에 따른 자동 진출팀(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AFC 챌린지컵 우승팀(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최국(카타르)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7년 12월 6일, 최종 예선 참가팀에 대한 시드를 배정하여 발표했다.[1] 최종 예선에는 총 20개 팀이 참가하여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각 조 상위 2개 팀(총 10개 팀)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시드 배정최종 예선 조 추첨을 위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가팀 및 진행 과정원래 최종 예선 참가 예정이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투르크메니스탄은 조 추첨 전에 기권했다. 이 팀들은 2008년2010년 AFC 챌린지컵에 참가하여 해당 대회를 통해 본선 진출을 노릴 수 있었다. 실제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0년 AFC 챌린지컵에서 우승하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1차 예선(예비 라운드)에서는 레바논몰디브를 상대로 승리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인도는 원래 최종 예선 C조에 배정되었으나, 2008년 AFC 챌린지컵에서 우승하며 본선 자동 진출 자격을 얻게 되어 최종 예선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7월 3일 카타르도하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을 통해 10개 팀이 본선 진출을 확정했으며, 이들과 함께 개최국 카타르, 2007년 AFC 아시안컵 상위 3개 팀(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AFC 챌린지컵 우승 2개 팀(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포함하여 총 16개 팀이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3. 시드 배정 및 조 추첨

2007년 12월 6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11년 대회 예선을 위한 시드 배정을 발표하였다.[5] 2007년 AFC 아시안컵 결과에 따라 일부 상위 팀과 개최국 카타르는 본선에 자동 진출했으며, 나머지 팀들은 시드에 따라 예선 단계에 배정되었다.

최종 예선 참가팀 수를 20개로 맞추기 위해, AFC 랭킹이 가장 낮은 레바논몰디브가 1차 예선을 치렀다. 2008년 4월 9일4월 23일에 열린 홈 앤 어웨이 경기 결과, 레바논이 합계 6-1로 승리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한편, 예선 참가 예정이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투르크메니스탄은 조 추첨 전에 기권했다. 다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후 2010년 AFC 챌린지컵에서 우승하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인도 역시 2008년 AFC 챌린지컵 우승으로 자동 진출 자격을 얻어 예선에서 제외되었다.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7월 3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6] 참가팀들은 시드 순위에 따라 4개의 포트로 나뉘어 추첨되었다.

3. 1. 시드 배정

2007년 AFC 아시안컵 결과에 따라 개최국 카타르와 상위 3팀인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은 예선 없이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팀들은 예선 참가를 위해 시드 배정을 받았다.

참가팀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예선 면제최종 예선부터 참가1차 예선부터 참가



※ 당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얀마, 투르크메니스탄도 참가 신청을 했으나 조 추첨 전에 기권했다.

예선 조 추첨은 2008년 7월 3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으며[6], 최종 예선 참가팀은 다음과 같이 포트를 배정받았다.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3. 2. 조 추첨 결과

조 추첨은 2008년 7월 3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6]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4. 조별 리그 결과

각 조별 예선 결과, 상위 2개 팀이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경기승점
오스트레일리아632164+211
쿠웨이트623165+19
오만62224408
인도네시아603336-33

4. 1. A조

예멘: 알파들리 47'구마모토 현립 체육경기장, 구마모토30,654명탄하이 (중국)2009년 1월 21일19:30 UTC+8홍콩1 – 3바레인홍콩: 청슈웨이 90r />바레인:'' 압둘라티프 10, 파타디 37', 이사 87'홍콩 경기장, 홍콩6,013명보민찌 (베트남)2009년 1월 28일16:15 UTC+3예멘1 – 0홍콩예멘: 알셀위 51'알리 모흐센 알무라이시 스타디움, 사나10,000명압둘라 알힐랄리 (오만)2009년 1월 28일18:15 UTC+3바레인1 – 0일본바레인: 이사 24'바레인 국립경기장, 리파11,200명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2009년 10월 8일19:20 UTC+9일본6 – 0홍콩일본: 오카자키 18, 75, 78, 나가토모 29, 나카자와 51', 툴리오 67'아웃소싱 경기장, 시즈오카16,028명모르센 토키 (이란)2009년 11월 18일17:45 UTC+3바레인4 – 0예멘바레인: 압둘라티프 20, 파타디 28, 하비브 64, 아레프 알달리 75 (자책골)바레인 국립경기장, 리파1,000명모흐센 바스마 (시리아)2009년 11월 18일18:30 UTC+8홍콩0 – 4일본일본: 하세베 33, 사토 75, 나카무라 84', 오카자키 90+1'홍콩 경기장, 홍콩13,254명피터 그린 (호주)2010년 1월 6일16:15 UTC+3예멘2 – 3일본예멘: 알아켈 13, 압보드 39
일본: 히라야마 42, 55, 79'알리 모흐센 알무라이시 스타디움, 사나10,000명알리 알바드와위 (아랍에미리트)2010년 1월 6일18:00 UTC+3바레인4 – 0홍콩바레인: 압둘라티프 34, 40, 43', 알다킬 79'바레인 국립경기장, 리파1,550명압둘라 발리데흐 (카타르)2010년 1월 20일16:15 UTC+3예멘3 – 0바레인예멘: 알노노 5, 25, 알아비디 86'알리 모흐센 알무라이시 스타디움, 사나7,000명모르센 토키 (이란)2010년 3월 3일19:30 UTC+9일본2 – 0바레인일본: 오카자키 36', 혼다 90+2'도요타 경기장, 도요타38,042명압둘 말리크 (싱가포르)2010년 3월 3일20:00 UTC+8홍콩0 – 0예멘홍콩 경기장, 홍콩1,212명보민찌 (베트남)


4. 2. B조

(내용 없음)

4. 3. C조

2008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인 인도는 예선 시작 전에 본선 진출이 확정되어 이 조에서 제외되었고, 다른 팀으로 대체되지 않았다.[3] 따라서 C조는 3팀으로만 경쟁하게 되었다.

C조 순위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아랍에미리트9430171+6
2우즈베키스탄9430173+4
3말레이시아04004212-10



'''경기 결과'''

날짜시간 (UTC)홈 팀결과원정 팀경기장관중 수심판
2009년 1월 21일20:45 (+8)말레이시아0 - 5아랍에미리트쿠알라룸푸르 KLFA 스타디움10,000명벤 윌리엄스 (오스트레일리아)
오마르 29, 45+1(PK), 마타르 62, 76, A. 할릴 85'
2009년 1월 28일19:00 (+4)아랍에미리트0 - 1우즈베키스탄샤르자 알 샤르자 스타디움15,000명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F. 타지예프 30'
2009년 11월 14일16:00 (+5)우즈베키스탄3 - 1말레이시아타슈켄트 JAR 스타디움5,000명마수드 모라디 (이란)
제파로프 46, 게인리히 57, 65 (우즈베키스탄) / 자콴 아드하 68 (말레이시아)
2009년 11월 18일17:30 (+8)말레이시아1 - 3우즈베키스탄쿠알라룸푸르 국립 경기장2,000명탄 하이 (중화인민공화국)
바드로 73 (말레이시아) / 가푸로프 33, 나시모프 59, 카파제 74 (우즈베키스탄)
2010년 1월 6일19:00 (+4)아랍에미리트1 - 0말레이시아두바이 알 샤밥 스타디움3,500명모흐센 바스마 (시리아)
A. 할릴 90+3'
2010년 3월 3일18:00 (+5)우즈베키스탄0 - 1아랍에미리트타슈켄트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20,000명타예브 하산 샴수자만 (방글라데시)
알 만할리 90+2'


4. 4. D조



베트남 3 – 1 레바논

득점: 응우옌민프엉 (11'), 레꽁빈 (30'), 응우옌부퐁 (69') / 모그라비 (73')

장소: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13,000명

심판: 도마 마사아키 (일본)
'''2009년 1월 14일''' 14:00 UTC+2

시리아 3 – 2 중국

득점: 알사이드 (8' PK, 24'), 알카티브 (39' PK) / 취보 (51'), 류젠 (90+4')

장소: 알레포 알레포 국제경기장

관중: 7,000명

심판: 모르센 토키 (이란)
'''2009년 1월 21일''' 19:35 UTC+8

중국 6 – 1 베트남

득점: 가오린 (2', 20', 84'), 두웨이 (27'), 장닝 (37'), 하오쥔민 (47') / 응우옌부퐁 (11')

장소: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15,300명

심판: 김동진 (대한민국)
'''2009년 1월 28일''' 17:00 UTC+2

레바논 0 – 2 시리아

득점: 제하드 알후세인 (37'), 알카티브 (77')

장소: 시돈 사이다 시립경기장

관중: 300명

심판: 압둘라 발리데흐 (카타르)
'''2009년 11월 14일''' 19:00 UTC+7

베트남 0 – 1 시리아

득점: 라페 (90+4')

장소: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30,000명

심판: 벤 윌리엄스 (오스트레일리아)
'''2009년 11월 14일''' 17:00 UTC+2

레바논 0 – 2 중국

득점: 위하이 (44'), 취보 (72')

장소: 베이루트 베이루트 시립경기장

관중: 2,000명

심판: 알리 알바드와위 (아랍에미리트)
'''2009년 11월 18일''' 14:00 UTC+2

시리아 0 – 0 베트남

장소: 알레포 알레포 국제경기장

관중: 19,000명

심판: 압둘라 알힐랄리 (오만)
'''2009년 11월 22일''' 20:05 UTC+8

중국 1 – 0 레바논

득점: 두웨이 (19')

장소: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21,520명

심판: 매슈 브리즈 (오스트레일리아)
'''2010년 1월 6일''' 19:30 UTC+8

중국 0 – 0 시리아

장소: 항저우 황룡 스포츠 센터

관중: 29,570명

심판: 도마 마사아키 (일본)
'''2010년 1월 6일''' 14:15 UTC+2

레바논 1 – 1 베트남

득점: 엘 알리 (19') / 팜타인르엉 (39')

장소: 시돈 사이다 시립경기장

관중: 50명

심판: 발렌틴 코발렌코 (우즈베키스탄)
'''2010년 1월 17일''' 19:00 UTC+7

베트남 1 – 2 중국

득점: 레꽁빈 (76' PK) / 양쉬 (35'), 장린펑 (43')

장소: 하노이 미딘 국립경기장

관중: 3,000명

심판: 압둘 말리크 (싱가포르)
'''2010년 3월 3일''' 14:30 UTC+2

시리아 4 – 0 레바논

득점: 알제노 (4'), 알아그하 (10'), J. 알후세인 (47'), A. 알후세인 (60')

장소: 다마스쿠스 아바시인 경기장

관중: 16,000명

심판: 김동진 (대한민국)

4. 5. E조

경기승점
이란6411112+913
요르단62224408
태국61323306
싱가포르6204615−96


'''이란 vs 싱가포르'''
'''요르단 vs 태국'''
'''싱가포르 vs 요르단'''
'''태국 vs 이란'''
'''싱가포르 vs 태국'''
'''이란 vs 요르단'''
'''태국 vs 싱가포르'''
'''요르단 vs 이란'''
'''싱가포르 vs 이란'''
'''태국 vs 요르단'''
'''이란 vs 태국'''
'''요르단 vs 싱가포르'''

참조

[1] 뉴스 Australia, Japan top seeds for 2011 Asian Cup draw https://sports.yahoo[...]
[2] 간행물 Regulations AFC Asian Cup 2011 – Qualifiers http://images.the-af[...] 2012-05-27
[3] 뉴스 Asian Cup qualifying Group C recast http://www.the-afc.c[...] AFC 2008-09-15
[4] 웹사이트 日本代表vsイエメン代表 http://www.ntv.co.jp[...] 日本テレビ 2011-11-02
[5] 뉴스 Australia, Japan top seeds for 2011 Asian Cup draw http://sports.yahoo.[...]
[6] 뉴스 AFC, 2011아시안컵 조추첨 결과 발표 http://sports.news.n[...] 2018-04-07
[7] 뉴스 Asian Cup qualifying Group C recast http://www.the-afc.c[...] AFC 2008-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