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리커브보우를 사용하는 개인전, 단체전, 혼성 단체전 5개 종목으로 진행된다. 랭킹 라운드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며, 2020년 도쿄 올림픽부터 혼성 단체전이 추가되었다.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70m 거리에서 세계양궁연맹의 규칙을 준수한다. 대한민국은 모든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임시현은 여자 개인전 랭킹 라운드에서 세계 신기록을, 여자 단체전과 혼성 단체전 랭킹 라운드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12팀 36명이 참가하여 메달을 놓고 경쟁하는 종목으로, 대한민국 대표팀이 결승에서 프랑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는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 각 1명으로 구성된 16팀이 참가하여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기이며, 김우진과 임시현이 출전한 대한민국 대표팀이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양궁 -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
2020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51개국 128명의 선수가 참가,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고 안산 선수의 3관왕 달성으로 주목받았으며 일부 논란이 있었으나 다양한 국가가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확인했다. - 올림픽 양궁 -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
190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미국 선수 29명만이 참가하여 6개의 세부 종목에서 메달이 수여되었고, 조지 브라이언트와 마틸다 하웰이 각각 남녀부 2관왕, 미국은 전 종목 메달을 석권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양궁 |
대회 | 2024년 하계 올림픽 |
![]() | |
개최지 | 레잘리드 |
기간 | 2024년 7월 25일 – 8월 4일 |
참가 규모 | 128명 |
참가국 | 53개국 |
세부 종목 | 5개 (남자 2, 여자 2, 혼성 1) |
이전 대회 | 2020 |
다음 대회 | 2028 |
2. 역사
양궁은 고대 시대부터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온 스포츠로,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몇 차례 올림픽에서 제외되기도 했지만, 1972년 뮌헨 올림픽부터 다시 정식 종목으로 복귀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1. 대한민국 양궁의 역사
대한민국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양궁 종목에 참가하기 시작하여,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여자 양궁은 올림픽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효자 종목으로 인정받고 있다.3. 경기 방식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 경기는 모든 종목에서 리커브보우를 사용하며, 세계양궁연맹이 공인한 70m 거리와 경기 규칙을 준수한다.[41]
경기는 랭킹 라운드와 토너먼트(본선)로 나뉘며, 모든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다. 준결승전 패자는 동메달 결정전을 치른다.[41]
과녁은 중앙의 10점부터 바깥쪽으로 1점까지 점수가 낮아지는 구조이다.
3. 1. 랭킹 라운드
랭킹 라운드에서 상위 4개 팀은 단체전 8강에 직행했다. 나머지 8개 팀은 5위부터 12위까지 시드를 받아 남은 8강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서로 대결했다.[1]단체전은 개인전과 동일한 양궁 올림픽 라운드 세트 시스템을 따랐으며, 각 세트는 6발의 화살(팀 구성원당 2발)로 구성되었고 4세트만 진행되었다.
3. 2. 토너먼트 (본선)
랭킹 라운드 결과에 따라 대진표가 작성되며,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준결승에서 패배한 선수 또는 팀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른다.[1]3. 3. 세부 종목별 경기 방식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의 세부 종목은 개인전, 단체전, 혼성 단체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경기는 모두 리커브보우를 사용하며, 세계양궁연맹이 공인한 규정을 따른다.개인전
- 5세트제: 각 세트당 3발을 쏘며, 세트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을 획득한다.
- 6점 선취 시 승리: 6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승리한다.
- 5-5 동점 시 슛오프: 5세트 종료 후 동점일 경우, 1발의 슛오프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 중앙에 가장 가까운 화살을 쏜 선수가 승리한다.[41]
단체전
- 4세트제: 각 세트당 팀원 2발씩 총 6발을 쏘며, 세트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을 획득한다.
- 5점 선취 시 승리: 5점을 먼저 얻는 팀이 승리한다.
- 4-4 동점 시 슛오프: 4세트 종료 후 동점일 경우, 팀원 각 1발씩 총 3발의 슛오프를 통해 승자를 결정한다.[41]
혼성 단체전
4. 예선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세계 양궁 연맹은 2022년 초에 올림픽 쿼터 배정 규칙을 변경하여 전 세계 양궁 선수들에게 지리적으로 보편적인 기회를 제공하기로 합의하였다. 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에는 남녀 각각 64명, 총 128명의 선수가 참가한다.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남녀 각각 최대 3명, 총 6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단체전 출전권을 획득한 국가는 3명의 선수를 개인전에도 출전시킬 수 있으며, 올림픽 출전권은 선수 개인이 아닌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부여된다.[39]
개인전에는 남녀 각각 64명이 출전하며, 단체전에 출전하는 국가는 남녀 각각 최대 3명까지, 그 외 국가는 남녀 각각 최대 1명까지 출전 가능하다. 리커브 단체전에는 남녀 종목당 12장의 출전권이 배정되며, 총 36명의 선수들이 조별 예선을 통해 경쟁한다. 최종 예선전에서는 3장의 출전 티켓이 남아있으며,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는 시상대에 오를 수 있는 쿼터 수가 3장으로 줄었다. 대신 나머지 5장의 출전 티켓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별 단체 우승팀과 최종 예선 대회 이후 세계 랭킹을 통해 판정된 상위 2개 팀에게 각각 돌아간다.[40]
개최국 프랑스는 남녀 혼성 리커브 단체전과 함께 남녀 각 3장의 쿼터가 보장되어 있으며, 추가로 다양성 원칙에 따라 이번 올림픽에 자국 양궁 선수를 출전시키고자 하는 NOC 가운데 자격을 갖춘 국가에 주는 출전권 4장도 배정되어 있다.[4]
4. 1. 출전권 획득 방법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 양궁 연맹은 2022년 초에 올림픽 출전권 배정 규칙을 변경하여 전 세계 양궁 선수들에게 지리적으로 보편적인 기회를 제공하기로 합의하였다.[3]2024년 하계 올림픽 양궁에는 총 128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남녀 각각 64명씩 출전한다.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성별 당 최대 3명씩, 총 6명까지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다. 단체전 출전권을 획득한 국가는 개인전에 3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국가는 개인전에 남녀 각각 최대 1명만 출전시킬 수 있다.[10][11]
개최국인 프랑스는 남녀 단체전 출전권과 함께 개인전 출전권 (남녀 각 3장)을 자동 획득한다.[4]
단체전 출전권 획득 방법단체전에는 남녀 각각 12개국이 출전하며, 다음의 과정을 통해 출전권이 배분된다.
출전 자격 | 남자 | 여자 |
---|---|---|
개최국 | 프랑스 | 프랑스 |
세계 선수권 | 대한민국 튀르키예 일본 | 독일 멕시코 |
아시아 선수권 | 카자흐스탄 | 대한민국 |
팬아메리카 선수권 | 콜롬비아 | 미국 |
유럽 선수권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세계 최종 예선 | 멕시코 중화 타이베이 영국 | 중국 말레이시아 영국 중화 타이베이 |
올림픽 랭킹 | 인도 중국 | 인도 인도네시아 |
개인전 출전권 획득 방법단체전 출전국을 제외한 국가의 개인전 출전권 (남녀 각 28명)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배분된다.[11]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독일 베를린): 개인전 상위 3개국 (남녀 각 3장)[3]
- 대륙별 예선:
- 아시안 게임 (아시아): 혼성 단체전 상위 1개국 (남녀 각 1장)
- 유럽 경기 대회 (유럽): 혼성 단체전 상위 1개국 (남녀 각 1장)
- 팬아메리카 게임 (아메리카): 혼성 단체전 상위 1개국 (남녀 각 1장)
- 퍼시픽 게임 (오세아니아): 혼성 단체전 상위 1개국 (남녀 각 1장)
- 아프리카: 혼성 단체전 상위 1개국 (남녀 각 1장)
- 세계 최종 예선: 남녀 각 2장
- 다양성 원칙에 따른 초청: 남녀 각 2장[4]
출전권 획득 현황(표 생략 - 내용이 복잡하고, 출전권 획득 방법 섹션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음)
출전권을 획득한 NOC는 출전권을 획득한 선수 외에도 파견할 수 있지만, 표준 기록(Minimum Qualification Score)을 달성한 선수에 한정된다.[10][11]
5.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중앙유럽 서머타임 (UTC+2) 기준이며, 한국 시각은 이보다 7시간 빠르다.[42]
날짜 | 종목 | 경기 | 시작 | 종료 |
---|---|---|---|---|
7월 25일 | 여자 개인전 | 랭킹 라운드 | 09:30 | 12:30 |
남자 개인전 | 랭킹 라운드 | 14:15 | 17:15 | |
7월 28일 | 여자 단체전 | 16강전 | 09:30 | 11:05 |
여자 단체전 | 4강/준결승/결승전 | 14:15 | 17:55 | |
7월 29일 | 남자 단체전 | 16강전 | 09:30 | 11:05 |
남자 단체전 | 4강/준결승/결승전 | 14:15 | 17:55 | |
7월 30일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12:00 | 15:55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17:45 | 20:25 |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7월 31일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12:00 | 15:55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17:45 | 20:25 |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8월 1일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09:30 | 13:25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남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15:30 | 19:25 | |
여자 개인전 | 64강/32강전 | |||
8월 2일 | 혼성 단체전 | 16강전 | 09:30 | 12:05 |
혼성 단체전 | 4강/준결승/결승전 | 14:15 | 17:25 | |
8월 3일 | 여자 개인전 | 16강전 | 09:30 | 11:15 |
여자 개인전 | 4강/준결승/결승전 | 13:00 | 15:20 | |
8월 4일 | 남자 개인전 | 16강전 | 09:30 | 11:15 |
남자 개인전 | 4강/준결승/결승전 | 13:00 | 15:20 |
6. 참가국
국가 (NOC) | 남자 | 여자 | 혼성 | 합계 | ||
---|---|---|---|---|---|---|
개인 | 단체 | 개인 | 단체 | |||
아르헨티나 | 1 | 1 | ||||
오스트레일리아 | 1 | 1 | 2 | |||
오스트리아 | 1 | 1 | ||||
아제르바이잔 | 1 | 1 | ||||
방글라데시 | 1 | 1 | ||||
부탄 | 1 | 1 | ||||
브라질 | 1 | 1 | 2 | |||
캐나다 | 1 | 1 | 2 | |||
차드 | 1 | 1 | ||||
칠레 | 1 | 1 | ||||
중화인민공화국 | 3 | 3 | 6 | |||
콜롬비아 | 3 | 1 | 4 | |||
쿠바 | 1 | 1 | ||||
체코 | 1 | 1 | 2 | |||
덴마크 | 1 | 1 | ||||
이집트 | 1 | 1 | 2 | |||
엘살바도르 | 1 | 1 | ||||
에스토니아 | 1 | 1 | ||||
핀란드 | 1 | 1 | ||||
프랑스 | 3 | 3 | 6 | |||
독일 | 1 | 3 | 4 | |||
영국 | 3 | 3 | 6 | |||
기니 | 1 | 1 | ||||
인도 | 3 | 3 | 6 | |||
인도네시아 | 1 | 3 | 4 | |||
이란 | 1 | 1 | ||||
이스라엘 | 1 | 1 | 2 | |||
이탈리아 | 3 | 1 | 4 | |||
일본 | 3 | 1 | 4 | |||
카자흐스탄 | 3 | 3 | ||||
룩셈부르크 | 1 | 1 | ||||
말레이시아 | 3 | 3 | ||||
멕시코 | 3 | 3 | 6 | |||
몰도바 | 1 | 1 | 2 | |||
몽골 | 1 | 1 | ||||
네덜란드 | 1 | 3 | 4 | |||
폴란드 | 1 | 1 | ||||
푸에르토리코 | 1 | 1 | ||||
루마니아 | 1 | 1 | ||||
산마리노 | 1 | 1 | ||||
슬로바키아 | 1 | 1 | ||||
슬로베니아 | 1 | 1 | 2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1 | ||||
대한민국 | 3 | 3 | 6 | |||
스페인 | 1 | 1 | 2 | |||
중화 타이베이 | 3 | 3 | 6 | |||
튀니지 | 1 | 1 | ||||
튀르키예 | 3 | 1 | 4 | |||
우크라이나 | 1 | 1 | 2 | |||
미국 | 1 | 3 | 4 | |||
우즈베키스탄 | 1 | 1 | 2 | |||
베트남 | 1 | 1 | 2 |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1 | ||||
총 53개 NOC | 64 | 12 | 64 | 12 | 27 | 128 |
이번 대회에는 총 53개국이 참가한다.
7. 메달리스트
장샤를 발라동
토마 시로
바티스트 아디스
메테 가조즈
무함메드 이을드르므시
베르킴 튀메르
남수현
임시현
전훈영
리자만
안치쉬안
양샤오레이
앙헬라 루이스
아나 파울라 바스케스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김우진
임시현
플로리안 운루
미셸 크로펜
브레이디 엘리슨
케이시 코프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