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03년은 연호, 기년, 주요 사건, 문화, 탄생, 사망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해이다. 수나라, 신라, 일본, 고구려, 백제 등 여러 국가에서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으며, 고구려가 수나라에 사신을 파견하고, 백제는 일본에 불교 서적과 불상을 보냈다. 신라에서는 관위십이계가 제정되었고, 태종무열왕이 태어났다. 서고트족의 리우바 2세가 폐위되고 사망했으며, 돌궐의 타르두 칸이 살해되는 등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도 다양한 사건이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603년 | |
---|---|
603년 | |
달력 | |
로마력 | 856 Ab Urbe Condita (AUC) |
중국 달력 | 계묘년 (癸卯年) 쥐띠 |
율리우스력 | 603년 |
주요 사건 | |
사건 | 제1차 테트리 전투 |
국가 설립 | 고구려에서 신라로 망명한 검모잠(고구려)이 한성에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일으키다. |
탄생 | |
인물 | 히다카 왕녀 (일본) 흘해 (신라) |
사망 | |
인물 | 콜룸바 (아일랜드 선교사) 다텔 (이베리아의 왕자) 마우리아누스 (이탈리아 라벤나의 대주교) 우문술 (수나라의 장군) |
2. 연호
3. 기년
수(隋) 문제(文帝) 23년, 신라(新羅) 진평왕(眞平王) 25년, 고구려(高句麗) 영양왕(嬰陽王) 14년, 백제(百濟) 무왕(武王) 4년이다. 간지는 계해이다.
일본 스이코 천황 11년이자 황기 1263년이다.
중국은 수 인수 3년이다.
조선은 고구려 영양왕 14년, 백제 무왕 4년, 신라 진평왕 25년이자 건복 20년이다. 단기 2936년이다.
4. 주요 사건
4. 1. 한국
관위십이계가 제정되었다. 11월에는 진하승이 광륭사를 창건하였다.4. 2. 동아시아
문제 황제가 중국 제국을 안정시키고, 농업 경작지가 크게 증가하며 조선술 기술이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다. 반란을 일으킨 돌궐이 야심 찬 통치자(카간)인 타르두를 서돌궐 카간국(중앙아시아)에서 폐위시키고 살해한다. 허사나 칸이 아버지 타르두의 뒤를 이어 돌궐의 통치자가 되었고, 철륵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일본의 쇼토쿠 태자가 관위 십이 계를 제정하고, 17조 헌법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11월 - 진하승이 광륭사를 창건했다.
4. 3. 유럽
봄 – 비테리크는 귀족들의 지지를 받으며 톨레도의 왕궁을 공격하여 리우바 2세를 폐위시켰다. 그는 리우바 2세의 오른손을 자르고 처형했다. 비테리크는 새로운 서고트 왕국의 왕이 되었다.[1]아길룰프 왕은 크레모나를 포위 공격했고, 슬라브족의 도움으로 도시가 파괴되었다. 그는 파도바와 만토바 (이탈리아 북부)를 점령했으며, 그 영토는 롬바르드족 공작령인 브레시아와 베르가모로 분할되었다.
아길룰프는 아내 테오델린데의 영향으로 아리우스파를 버리고 가톨릭교로 개종했으며, (아들 아달로알드와 함께) 몬차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이후 롬바르디아 철관이 설치되었다.
그레고리오의 기록에 따르면 이탈리아 본토에서 로마 원로원에 대한 마지막 언급이 있었다. 그 기록은 원로원이 포카스 황제와 레온티아 황후의 새로운 조각상을 칭송했다고 전하고 있다.[2]
데그스탄 전투: 노섬브리아의 왕 에델프리드가 스트래스클라이드의 브리튼족과 스코틀랜드인의 연합군을 아단 막 가브란 아래에서 격파하여, 이후 영국 제도로 알려지게 될 북부 지역에서 앵글족의 우위를 확립하다.
4. 4. 기타 지역
문제 황제가 중국 제국을 안정시키고, 농업 경작지가 크게 증가하며 조선술 기술이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다. 일본의 쇼토쿠 태자가 관위 십이 계를 제정하고, 17조 헌법을 저술했다고 전해진다. 반란을 일으킨 돌궐이 야심 찬 통치자(카간)인 타르두를 서돌궐 카간국(중앙아시아)에서 폐위시키고 살해한다. 허사나 칸이 아버지 타르두의 뒤를 이어 돌궐의 통치자가 되었고, 철륵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5. 문화
미래의 교황 보니파시오 3세가 교황 사절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임명되었다. 슈터른 수도원(독일)이 떠돌이 아일랜드 승려 오포에 의해 설립되었다.
6. 탄생
신라의 29대 국왕인 태종무열왕(김춘추)이 태어났다. 무열왕은 신라의 제29대 국왕으로 661년에 사망하였다.
6. 1. 한국
신라의 29대 국왕인 태종무열왕(김춘추)이 태어났다.6. 2. 동아시아
- 무열왕(김춘추)은 신라의 제29대 국왕으로 661년에 사망하였다.
- 양담은 수나라(隋) 양제의 손자이자 연왕으로, 618년에 사망하였다.
- 이원길은 당나라 고조 이연의 넷째 아들로, 626년에 사망하였다.
6. 3. 유럽
7. 사망
- 신라의 공주 숙명공주
- 3월 25일 (스이코 천황 11년 2월 4일) - 아스카 시대의 황족인 구메 황자 (* 생년 미상)
- 클로나흐의 핀탄, 아일랜드의 수도원장
- 리우바 2세, 서고트족의 왕 (583년 출생)
- 문고, 브리튼족 주교 (또는 614년)
- 타르두, 돌궐의 통치자(칸)
7. 1. 한국
신라의 공주 숙명공주가 있었다.7. 2. 동아시아
3월 25일(스이코 천황 11년 2월 4일) - 아스카 시대의 황족인 구메 황자가 사망하였다.7. 3. 유럽
참조
[1]
서적
Visigothic Spain 409–711
[2]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