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8대 원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대 원로는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중국 공산당의 원로 집단을 지칭한다. 이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 중국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개혁개방 정책 추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8대 원로에는 덩샤오핑, 천윈, 리셴녠, 펑전, 양상쿤, 보이보, 왕전, 덩잉차오 등이 포함되었으며,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의 자손들은 족벌주의와 정실주의의 혜택을 받아 '태자당'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인조 - 팔호
    팔호는 명나라 정덕제 시기에 유근을 중심으로 황제를 보좌하며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고 탐욕과 부패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며 반대 세력을 탄압하다가 유근의 몰락과 함께 쇠퇴한 8명의 환관 집단을 지칭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 홍군
    홍군은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게릴라 전술로 국민당의 토벌 작전을 막으며 성장했으나 장정 이후 팔로군과 신4군으로 개편되어 항일 전쟁에 참여했고, 국공내전 후 중국 인민해방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정치적·이념적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로 활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 정치지도원
    정치지도원은 공산주의 국가 군대에서 정치 교육, 사상 통제, 지휘관 감시를 수행하여 군의 정치적 안정과 사상적 통일을 목표로 하지만, 비효율성 문제로 폐지되거나 기능이 축소되기도 한다.
  • 명수 8 - G8
    G8은 주요 선진국 정상들의 모임으로,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러시아의 제명으로 현재는 G7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경제, 정치, 외교, 안보 등 다양한 국제 현안을 논의한다.
  • 명수 8 - 팔선
    팔선은 중국 도교 신화에 등장하는 각기 다른 특징과 상징물을 가진 여덟 명의 신선으로, 시대와 매체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게 나타나며 민간 신앙의 대상이자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한다.
8대 원로
개요
명칭팔대원로 (八大元老)
별칭팔로 (八老)
로마자 표기Ba da yuanlao (Bā dà yuánlǎo)
주요 구성원덩샤오핑
천윈
리셴녠
펑전
양상쿤
보이보
왕전
쑹런충
역할 및 영향력
주요 역할1980년대와 1990년대 중국의 정치적 의사 결정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
영향력 행사 방식공식 직위 없이도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후계자 지명에 영향력을 행사
권력 기반중국 공산당 내에서의 오랜 경력과 깊은 인맥
주요 활동 시기
시기1980년대 ~ 1990년대
주요 활동개혁개방 정책 추진
톈안먼 사건 진압 결정
장쩌민 체제 출범 지원
평가
긍정적 평가개혁개방을 추진하여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
부정적 평가톈안먼 사건 진압을 결정하여 민주화 운동을 억압했다는 비판
권력 남용 비판공식 직위 없이 막후에서 권력을 행사했다는 비판

2. 구성원

8대 원로는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한 여덟 명의 원로 정치인들을 지칭하며, 회원 자격은 공식적으로 명시된 적이 없었다.[5] 8대 원로에는 초기 구성원과 후기 구성원으로 나뉜다.

8대 원로 구성원[5]
이름이미지역임 직위출생지
(출신)
비고
덩샤오핑
(1904–1997)
광안, 쓰촨성
(지수이, 장시성)
[8][9]
천윈
(1905–1995)
칭푸, 상하이[9]
리셴녠
(1909–1992)
황안, 후베이성[9]
펑전
(1902–1997)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1983–1988)허우마, 산시성[9]
양상쿤
(1907–1998)
퉁난, 충칭[9]
보이보
(1908–2007)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임 (1982–1992)딩샹, 산시성[9]
왕전
(1908–1993)
류양, 후난성[9]
쑹런충
(1909–2005)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임 (1985–1992)류양, 후난성[7][9]
덩잉차오
(1904–1992)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1983–1988)난닝, 광시성
(광산, 허난성)
[8][10]
시중쉰
(1913–2002)
푸핑, 산시성
(덩저우, 허난성)
[11]
완리
(1916–2015)
둥핑, 산둥성



;구성원 생애 연표

초기 구성원 8인이 모두 사망한 후에는 쑹런충, 완리, 시중쉰 3명이 8대 원로에 포함되었다.

2. 1. 초기 구성원

8대 원로의 회원 자격은 공식적으로 명시된 적이 없었다. 권력의 주요 보유자인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8대 원로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5]

8대 원로 초기 구성원
이름이미지역임 직위출생지
(출신)
참고
덩샤오핑
(1904–1997)
광안 쓰촨성
(지수이 장시성)
[8][5][9]
천윈
(1905–1995)
칭푸 상하이[5][9]
리셴녠
(1909–1992)
황안 후베이성[5][9]
펑전
(1902–1997)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1983–1988)허우마 산시성[5][9]
양상쿤
(1907–1998)
퉁난 충칭[5][9]
보이보
(1908–2007)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임 (1982–1992)딩샹 산시성[5][9]
왕전
(1908–1993)
류양 후난성[5][9]
쑹런충
(1909–2005)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임 (1985–1992)류양 후난성[7][5][9]
덩잉차오
(1904–1992)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1983–1988)난닝 광시성
(광산 허난성)
[8][5][10]
시중쉰
(1913–2002)
푸핑 산시성
(덩저우 허난성)
[5][11]
완리
(1916–2015)
둥핑 산둥성[5]



이후 리셴녠, 왕전, 덩잉차오를 대신하여 쑹런충, 완리, 시중쉰 3명이 들어갔다.

2. 2. 후기 구성원

다음은 초기 구성원 8인이 사망한 후, 그들을 대신하여 8대 원로에 들어간 3명이다.

  • 쑹런충(宋任穷|쑹런충중국어, 1909년 - 2005년) : 중앙고문위원회 부주임
  • 완리(万里|완리중국어, 1916년 - 2015년)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1988년 - 1993년)
  • 시중쉰(习仲勋|시중쉰중국어, 1913년 - 2002년) : 전 국무원 부총리


3. 주요 활동 및 영향력

1982년 중앙 고문위원회 설립 이후, 8대 원로는 겉으로는 은퇴했지만 실제로는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능가하는 권력을 행사했다. 이들은 주요 결정에 깊숙이 관여했으며, 제2차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자오쯔양 총서기 해임, 장쩌민 후임 결정 등이 그 예시이다. 당시 중국은 "8노(老) 치국"이라 불리며 8대 원로의 영향력을 꼬집는 비판이 있었다.

1992년 중앙 고문위원회가 폐지되고 1997년 덩샤오핑이 사망하면서 8대 원로의 영향력은 약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3. 1. 개혁개방 초기

1982년에 설립된 중앙 고문위원회 소속으로, 겉으로는 은퇴한 원로 간부 8명이 당의 최고 지도부인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능가하는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1987년 11월 당시 상무위원은 자오쯔양, 리펑, 차오스, 후치리, 야오이린 5명이었다. 중요한 결정은 8대 원로에게 위임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제2차 톈안먼 사건의 무력 행사, 자오쯔양 총서기 해임과 그 후임으로 장쩌민을 앉히는 결정이 그들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오쯔양의 해임 이유 중 하나로, 방중한 소련 공산당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와의 기자 회견에서 덩샤오핑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다고 밝힌 점이 꼽혔다. 당시 중국은 "8노(老) 치국"이라고 조롱받았다.

8대 원로는 전원이 혁명 1세대 지도자이면서 문화 대혁명에서 자본주의 추종자로 간주되어 불우한 시기를 겪고, 이를 극복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8대 원로의 자녀 세대 중에는 태자당이라고 불리는 집단의 일원이 된 사람도 있다. 8대 원로가 건재했던 시기에 국무원 총리,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을 역임한 리펑저우언라이덩잉차오 부부의 양자이다. 2012년 중국 공산당 총서기에 취임한 시진핑은 8대 원로 중 한 명인 시중쉰의 아들이다. 마찬가지로 2012년에 실각한 보시라이 역시 보이보의 아들이며, 태자당의 유력 인사였다.

3. 2. 1989년 톈안먼 사건

1989년 톈안먼 사건의 무력 행사와 자오쯔양 총서기 해임 및 그 후임으로 장쩌민을 앉히는 결정은 8대 원로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오쯔양의 해임 이유 중 하나는 방중한 소련 공산당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와의 기자 회견에서 덩샤오핑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다고 밝힌 점이 꼽혔다. 당시 중국은 "8노(老) 치국"이라고 조롱받았다.

3. 3. 장쩌민 체제 출범

1992년에 중국 공산당 중앙 고문위원회가 폐지되고, 1997년에 중국의 최고 실력자인 덩샤오핑이 사망하면서, 중국 원로의 영향력은 감소한 것으로 여겨진다. 제2차 톈안먼 사건의 무력 행사, 자오쯔양의 총서기 해임과 그 후임으로 장쩌민을 앉히는 결정은 8대 원로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중국은 "8노(老) 치국"이라고 조롱받았다.

3. 4. 권력 집중 및 족벌주의

8대 원로의 자손들은 족벌주의정실주의의 혜택을 크게 받아 "태자당" 또는 "황태자당"으로 알려진 집단을 구성한다. 이들은 당의 계급을 통해 승진하며, 지방 행정직에 임명되더라도 관할 구역 내에서 모든 반대를 쉽게 무력화할 수 있다. 그들은 종종 다른 당 간부들보다 상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들의 혈통으로 인해 더 큰 명성을 누린다.[4] 블룸버그는 이들 자손들이 다양한 공공 및 민간 기업에서의 역할을 통해 축적한 막대한 부에 대해 보도했다.[6]

8대 원로는 전원이 혁명 1세대 지도자이면서 문화 대혁명에서 자본주의 추종자로 간주되어 불우한 시기를 겪고, 이를 극복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8대 원로의 자녀 세대 중에는 태자당이라고 불리는 집단의 일원이 된 사람도 있다. 8대 원로가 건재했던 시기에 국무원 총리,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을 역임한 리펑저우언라이덩잉차오 부부의 양자이다. 2012년 중국 공산당 총서기에 취임한 시진핑은 8대 원로 중 한 명인 시중쉰의 아들이다. 2012년에 실각한 보시라이 역시 보이보의 아들이며, 태자당의 유력 인사였다.

3. 5. 톈안먼 사건 책임론

1989년 제2차 톈안먼 사건의 무력 행사, 자오쯔양 총서기 해임과 그 후임으로 장쩌민을 앉히는 결정은 8대 원로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졌다.[1] 자오쯔양의 해임 이유 중 하나는 방중한 소련 공산당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와의 기자 회견에서 덩샤오핑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다고 밝힌 점이었다.[1] 당시 중국은 "8노(老) 치국"이라고 조롱받았다.[1]

4. 역사적 평가

八大元老|bā dà yuánlǎo중국어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비공식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중국공산당의 원로 정치인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덩샤오핑을 중심으로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끌었지만, 동시에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정치 개혁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

8대 원로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인물출생사망비고
덩샤오핑1904년1997년
리셴녠1909년1992년
펑전1902년1997년
왕전1908년1993년
천윈1905년1995년
양상쿤1907년1998년1997년 이후 생존
보이보1908년2007년1997년 이후 생존
덩잉차오1904년1992년
쑹런충1909년2005년1997년 이후 생존
시중쉰1913년2002년1997년 이후 생존
완리1916년2015년1997년 이후 생존


참조

[1] 서적 Politics in China: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Prisoner of the State: The Secret Journal of Premier Zhao Ziyang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9-05-19
[3] 서적 Prisoner of the State: The Secret Journal of Zhao Ziyang Simon and Schuster 2009
[4] 뉴스 Bo Xilai probe shows up China's outdated system of government South China Morning Post 2012-04-20
[5] 웹사이트 The 'eight immortals' who jockeyed for control of a nation https://www.scmp.com[...] 2021-09-18
[6] 뉴스 Heirs of Mao's Comrades Rise as New Capitalist Nobility https://www.bloomber[...] 2012-12-28
[7] 웹사이트 'Eight Elders' Wield Power Behind the Scenes in China https://www.latimes.[...] 2021-09-18
[8] 웹사이트 CIVIL-MILITARY CHANGE IN CHINA: ELITES, INSTITUTES, AND IDEAS AFTER THE 16TH PARTY CONGRESS. Chapter 5: Premier Wen and Vice President Zeng: The "Two Centers" of China's "Fourth Generation". https://www.files.et[...]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2021-09-18
[9] 뉴스 Mapping China's Red Nobility http://www.bloomberg[...] 2021-09-18
[10] 서적 Xi Jinping: Red China, The Next Generation https://books.google[...] UPA 2015-11-20
[11] 웹사이트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its 50th anniversary was ignored but its legacy lives on today https://www.europarl[...] 2021-09-18
[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