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식 함상공격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7식 함상공격기는 1930년대 일본 해군이 운용한 함상 공격기로, 나카지마 비행기가 개발했다. 요코스카 B4Y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미쓰비시 중공업의 B5M과 경쟁하여 채택되었다. B5N1, B5N2 등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3명의 승무원과 91식 어뢰, 폭탄 등을 탑재했다.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항공모함 및 육상 기지에서 운용되었으며, 진주만 공격 등 주요 해전에 참여했다. B6N의 개발 기반이 되었으며, 전쟁 후반에는 가미카제 공격에도 사용되었다. 현재 온전한 기체는 남아 있지 않으며, 일부 복원된 기체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그러먼 F4F 와일드캣
그러먼 F4F 와일드캣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상 전투기로, 튼튼한 기체 구조와 12.7mm 기관총 6정을 장착했으며, 태평양 전쟁 초기와 영국 해군에서 활약했다. - 1937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XB-15
보잉 XB-15는 1930년대 미국 육군 항공대의 장거리 전략 폭격기 시제기로, 혁신적인 기능을 갖추었으나 엔진 마력 부족으로 양산되지 못하고 수송기로 개조되어 운용되었으며, 후대 항공기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폭격기 - 99식 함상폭격기
99식 함상폭격기는 일본 해군 항공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운용한 함상 급강하 폭격기로, 아이치 항공기에서 개발 및 생산되었으며, 연합군에서는 'Val'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폭격기 - 4식 중폭격기
4식 중폭격기는 1941년 일본 육군이 요구하여 미쓰비시에서 개발한 중폭격기로, 97식 중폭격기의 단점을 개선하여 튼튼한 기체, 우수한 방어 무장, 급강하 폭격 능력, 긴 항속 거리를 갖추고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다 종전과 함께 635기가 생산되었다. - 진주만 공격 - 헐 노트
헐 노트는 1941년 미국 국무장관 코델 헐이 일본에 제시한 외교 문서로,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및 중국 철수 등을 요구하며, 진주만 공격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 진주만 공격 - 소류 (항공모함)
소류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1937년 취역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여했으나 1942년 미 해군 공격으로 침몰했다.
97식 함상공격기 | |
---|---|
개요 | |
종류 | 함상 공격기/고고도 폭격기 |
제작 국가 | 일본 |
제작사 | 나카지마 비행기 |
설계자 | 나카무라 가츠지(B5N), 다카하시 미지로(B5M) |
최초 비행 | 1937년 1월 (B5N), 1936년 11월 (B5M) |
퇴역 | 1945년 |
운용 |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 |
생산 대수 | 1,149대 (B5N) |
명칭 | |
별칭 | "케이트" (Kate) |
개발 및 생산 | |
개발 기반 | B5M |
파생형 | B5N1 B5N2 B5M |
운용 | |
주요 운용국 | 일본 제국 |
제원 (B5N2) | |
길이 | 10.3 m |
날개폭 | 15.52 m |
높이 | 3.7 m |
날개 면적 | 37.7 m² |
자체 중량 | 2,279 kg |
총 중량 | 3,803 kg |
엔진 | 나카지마 "사카에" 11형 엔진 |
엔진 출력 | 735 kW (986 hp) |
성능 | |
최고 속도 | 378 km/h (235 mph, 204 노트) |
항속 거리 | 1,991 km (1,237 마일, 1,075 해리) |
실용 상승 한도 | 8,230 m (27,000 ft) |
상승률 | 6.2 m/s (1,220 ft/min) |
무장 | |
기관총 | 7.7 mm 기관총 1정 (후방) |
폭탄 | 800 kg 어뢰 1발 800 kg 폭탄 1발 250 kg 폭탄 2발 |
관련 정보 | |
관련 기종 | 나카지마 B6N |
2. 개발
1935년 일본 제국 해군은 노후화된 요코스카 B4Y를 대체할 신형 함상공격기 개발을 요구했다. 나카지마 사는 가즈치 나카무라(Katsuji Nakamura) 팀장의 설계팀을 통해 항공모함 운용에 최적화된 저익 단엽기 형태의 97식 함상공격기를 개발했다. 초기에는 K형으로 불렸으며, 미쓰비시 사의 B5M과 경쟁 끝에 채택되었다.[22] 1937년 1월 첫 시제품이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유압식이었던 주익 접이 방식은 일본 유압 기술의 문제로 인해 양산형에서는 수동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2]
97식 함상 공격기는 이후 나카지마 B6N의 기본 모체가 되었고, 전쟁 중후반에는 훈련용, 훈련용 목표물 예인용, 또는 대잠수함전에 이용되었다.
2. 1. 파생형
- '''K형''' : 나카지마에서 내부적으로 불렀던 시제품 명칭이다. 1937년 1월에 첫 비행을 했다.[2]
- '''B5N1''' : 최초 생산형이다. 중일 전쟁 중의 실전 경험을 통해 초기 B5N1 생산 모델의 몇 가지 약점(승무원 및 연료 탱크 방어 부족)이 드러났다.
- '''B5N1-K''' : B5N1을 개조한 고등 훈련기이다. 1942년 4월 7일에 '''97식 연습용 공격기 11형'''으로 개칭되었다.[15]
- '''B5N2''' : 개량형. 미쓰비시 A6M 전투기의 초기 모델에 사용된 ''사카에'' 11형, 14기통 2열성형 엔진이 장착되었고, 유선형 설계를 위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성능이 약간 개선되었지만 약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1939년부터 B5N1을 대체하여 생산 및 운용되었다. 1942년 4월 7일에 '''97식 함상 공격기 12형'''으로 개칭되었다.

3. 특징
97식 함상공격기(B5N)는 조종사, 폭격수/관측수, 통신사/기총사수의 3인으로 구성되었다. 후방석 관측수는 7.7mm 92식 루이스 경기관총(루식 기관총)을 담당했다.[1] 폭격수는 중앙에 앉았고, 항법사/폭격수/관측원 자리에는 90식 폭격 조준기가, 조종석에는 3식 반사 조준기 나침반이 장착되었다.[2] 통신사/사수는 96식 3형(이후 2식 3형) 무선 통신 세트를 사용하고, 92식 기관총을 조작했다.[2]
97식 함상공격기는 항공모함뿐만 아니라 육상 기지에서도 운용되었다.[1] 중일 전쟁에서는 주로 800kg 폭탄을 장착하고 지상 목표물 공격에 투입되었고, 태평양 전쟁에서는 폭탄과 어뢰를 모두 사용했다.[1] 91식 어뢰 1발이나 99식 80호 철갑탄 1발, 또는 250kg 폭탄 2발이나 60kg 폭탄 6발을 탑재할 수 있었다.[2] 어뢰와 폭탄을 교체하는 작업은 2시간 이상 걸리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2]
초기에는 대부분 은색으로 도색되었으나, 태평양 전쟁 발발 전에 짙은 녹색으로 변경되었다.[2]
4. 운용
97식 함상공격기는 1938년 중일 전쟁에 처음 투입되었다. 초기형(B5N1)은 실전 운용 결과 방어력 부족 문제가 드러났다.[16] 개량된 B5N2는 진주만 공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히류에서 출격한 B5N2는 미 전함 애리조나를 격침시켰고, 뇌격기는 웨스트 버지니아, 캘리포니아, 오클라호마, 유타를 격침시켰다. 진주만 공격 당시 3호 143기가 출격하여, 뇌격대는 미국 해군태평양 함대의 전함 4척을 포함한 6척의 함정을 뇌격, 어뢰 36발을 명중시켰다(미측 자료에서는 23발). 후치다 미쓰오 해군 중좌가 발신한 "토라 토라 토라"도 이 기체에서 발신되었다.
97식 함상공격기는 산호해 해전에서 미국 해군 항공모함 렉싱턴을 격침시키고, 산타크루즈 해전에서 호넷을 격침시켰으며, 미드웨이 해전에서 요크타운을 무력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97식 함상공격기는 보통 아이치 D3A 급강하 폭격기와 함께 적 항공모함에 대한 합동 공격을 수행했다.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는 뇌격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급강하 폭격기만 먼저 보내 미 항공모함을 공격하려 했으나, 뇌격기가 전투가 끝날 때까지 발진하지 않아 실패했다.
후속 기종인 B6N이 등장하면서 97식 함상공격기는 점차 2선급으로 물러나 비행 훈련, 표적 예인, 대잠전 등의 보조적인 역할을 맡았다. 일부는 레이더와 자기 이상 탐지기를 장착하고 대잠 초계 임무에 투입되기도 했다. 마리아나 해전까지는 항모에서 운용되었으며, 이후에는 주로 육상 기지에서 운용되었다.
97식 함상공격기는 1944년 10월 필리핀 방어 작전에서 폭격기로 사용되어 큰 손실을 보았고, 전쟁 후반에는 ''가미카제'' 공격에도 사용되었다. 1945년 8월 하순, 슈무슈 섬에 잔존해 있던 북동해군 항공대 소속 97식 함상공격기 몇 기가 육군기와 함께 소련군 상륙 선단에 폭격을 가했으며, 이것이 일본 해군 항공대의 마지막 전투가 되었다.
5. 제원 (B5N2)
항목 | 제원 |
---|---|
승무원 | 3명 |
길이 | 10.3m |
날개 너비 | 15.52m |
높이 | 3.7m |
날개 면적 | 37.7m2 |
비무장 상태 중량 | 2279kg |
무장 만재 상태 중량 | 3800kg |
최대 이륙 중량 | 4100kg |
동력 | 나카지마 사카에 11형 엔진 1기 (1,000hp) |
최대 속도 | 378kmh (고도 3600m) |
순항 속도 | 259kmh (고도 3000m) |
항속 거리 | 978km (최대 1991km) |
실용 상승 한계 | 8260m |
상승률 | 6.5m/s |
익면하중 | 100.8kg/m2 |
상승 시간 | 3000m까지 7분 40초 |
무장 |
[6][8][17]
항법사/폭격수/항공 관측원의 위치에는 좌석 앞쪽 왼쪽에 90식 폭격 조준기가, 조종석 프레임 상단에 3식 반사 조준기 나침반이 장착되었다. 통신사/항공 사수 위치에는 해군 3인승 항공기용 표준 무선 통신 세트(96식 3형, 이후 2식 3형)가 장착되었다.[6]
6. 전후 상황
1,150대의 97식 함상공격기가 생산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온전하게 남아있는 기체는 없다. 현재 영국과 미국에서 부분적으로 복원된 기체가 전시 중이다.[4][5]
영국 웨스트 서섹스 발콤에 있는 윙스 박물관에는 2003년 쿠릴 열도에서 회수된 B5N2 한 대가 전시되어 있다.[4] 이 기체는 339번째로 제조된 기체로, 제553해군항공대에서 운용되다가 북동해군항공대로 배치 전환되었다. 이후 패전으로 인해 슈무슈섬에 버려졌다가 회수되었다.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에 있는 진주만 항공 박물관에도 B5N2가 전시되어 있다.[5] 이 기체는 종전 후 라바울의 부나카나우 비행장에서 뉴질랜드군에 인도된 기체로, 2016년 4월 18일에 전시가 시작되었다.[21]
2015년에는 다네가섬 앞바다에 침몰된 기체가 확인되어 2021년 6월 인양되었으며, 오이타현 우사시에 문화재로 보존될 예정이다.[19][20]
형명 | 번호 | 소재지 | 소유자 | 공개 상황 | 상태 | 비고 |
---|---|---|---|---|---|---|
12형 | 53-305 H-305 나카지마 5353 | 영국 웨스트 서섹스 주 | 윙스 뮤지엄 | 공개 | 정적 전시 | 339번째로 제조, 제553해군항공대 운용, 북동해군항공대 배치, 슈무슈섬에서 회수. |
12형 | 302 | 미국 하와이 주 | 진주만 항공 박물관 | 공개 | 정적 전시 | 라바울 부나카나우 비행장에서 뉴질랜드군에 인도, 2016년 4월 18일 전시 시작.[21] |
영화 《도라 도라 도라》, 《진주만》, 《최후의 카운트다운》 등에서 97식 함상공격기를 모방한 기체가 등장한다. 이 기체들은 BT-13 밸리언트나 T-6 텍산을 개조하여 제작되었다.
참조
[1]
서적
Combat aircraft of World War II
[2]
간행물
[3]
간행물
[4]
웹사이트
Ghosts of the Tundra
http://www.wingsmuse[...]
2015-09-28
[5]
웹사이트
Nakajima B5N2 'Kate' Unveiled at Pacific Aviation Museum Pearl Harbor
http://www.warbirdsn[...]
2016-04-21
[6]
간행물
[7]
웹사이트
The Incomplete Guide to Airfoil Usage
https://m-selig.ae.i[...]
[8]
논문
Nakajima B5N (Kate)
[9]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中島篇
出版協同社
[10]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三菱篇
出版協同社
[11]
문서
日本軍用機の全貌
酣燈社
[12]
서적
日本傑作機開発ドキュメント 設計者の証言 上
酣燈社
1994-08-05
[13]
서적
白菊特攻隊
光人社NF文庫
[14]
문서
昭和17年4月7日付 昭和17年海軍省内令兵第25号。以下名称改正の箇所について同じ。一部雑誌では昭和17年夏に名称を改正したと記述しているが、それは誤り。
[15]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中島篇
出版協同社
[16]
서적
日本傑作機開発ドキュメント 設計者の証言 上
酣燈社
1994-08-05
[17]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中島篇
出版協同社
[18]
서적
日本航空機総集 三菱篇
出版協同社
[19]
웹사이트
種子島沖 旧海軍“攻撃機”海底から引き揚げ(2021年6月25日) {{!}} ANNnewsCH
https://www.youtube.[...]
2021-06-26
[20]
웹사이트
種子島で引き揚げの九七艦攻、宇佐市へ到着 平和の尊さ継承へ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7-31
[21]
웹사이트
Nakajima B5N2 ‘Kate’ Unveiled at Pacific Aviation Museum Pearl Harbor
http://www.warbirdsn[...]
Warbirds News
2016-04-21
[22]
웹인용
Nakajima type 97 carrierborne bomber
http://airwar.hihome[...]
2001-06-06
[23]
문서
저익 단엽기란, 동체 하부에 날개 1개를 붙인 비행기를 뜻한다. 반대로 고익 단엽기는 동체 상부에 날개를 장착한 형태로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 공군]]이 운용했던 [[L-4 연락기]]같은 항공기이다. 복엽기는 동체 상부와 하부에 각기 날개를 단 비행기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대부분의 항공기가 복엽기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