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1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1방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민영 방송사이다. 2001년 12월 15일 강원민방(GTB)으로 개국하여, 2011년 G1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텔레비전 채널은 Ch. 40 (LCN 6-1)이며, G1 Fresh FM 라디오는 춘천, 원주, 강릉, 태백, 평창, 속초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로 방송된다. SBS 계열이며, UHD TV 방송과 지상파 DMB 방송도 송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1방송 - G1 Fresh FM
G1 Fresh FM은 G1방송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다양한 주파수와 송신소를 통해 여러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G1방송 DMB로도 청취 가능하다. - G1방송 - G1방송 DMB
G1방송 DMB는 2021년 1월 1일부터 채널명을 변경하고 11-1번으로 변경된 G1방송의 DMB 채널로, 뉴스, 시사, 교양, 오락, 스포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강원 지역 시청자에게 지역 정보를 전달하며, Go G1, 데이터 채널과 같은 부가 채널과 서비스를 제공했다. - 2003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한국국제방송재단에서 운영하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 관련 정보와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뉴스, 문화, 음악 프로그램 및 심층 인터뷰를 제공한다. - 2003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경인방송
경인방송은 인천방송으로 개국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남부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이었으나, 경영난으로 TV 방송을 종료하고 현재는 FM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OBS경인TV와 콘텐츠 교류를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MBC강원영동
MBC강원영동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가시청권역으로 하는 문화방송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8년 영동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는 강릉과 삼척 방송국을 운영하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강원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춘천불교방송
춘천불교방송은 2002년 춘천에서 개국하여 강원도 지역 방송망을 확장해 왔으며, 춘천, 속초, 양양, 강릉 등에서 방송되고 2023년 6월 11일 춘천시 중앙로 10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G1방송 | |
---|---|
G1 방송 소개 | |
![]() | |
![]() | |
영문명 | Gangwon No. 1 Broadcasting |
약칭 | G1 |
슬로건 | 강원특별자치도 대표방송 |
회사 정보 | |
한국명 | 주식회사 G1방송 |
한자 | 株式會社 G1放送 |
창립일 | 2001년 4월 23일 |
개국일 | TV: 2001년 12월 15일 Fresh-FM: 2003년 10월 10일 |
이전 명칭 | GTB 강원민방 (2001~2011년) G1 강원민방 (2011~2021년) |
본사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소양강로 274 (장학리 635번지) |
사장 | 전종률 (대표이사 사장) |
네트워크 | SBS |
모기업 | SG건설 |
웹사이트 | G1방송 공식 웹사이트 |
재무 정보 (2022년 기준) | |
자본금 | 16,000,000,000원 |
매출액 | 21,943백만 원 |
영업 이익 (2021년 기준) | 2,031백만 원 |
순이익 (2021년 기준) | 2,168백만 원 |
자산 총액 (2021년 12월 기준) | 44,524백만 원 |
주주 구성 | |
주요 주주 | SG건설: 25% 조창진: 10.19% 태영건설: 7.00% 대양: 5.31% 아모르컨벤션웨딩: 5.21% SYS홀딩스: 5.07% 대림산업: 5.00% 대림운수: 5.00% 금강개발: 5.00% 우리사주조합: 0.44% 기타: 27.50% |
직원 수 | 93명 |
자회사 및 계열사 | |
자회사 | G1프로덕션 G1문화재단 G1방송플러스 |
계열사 | 강촌레일바이크 SBS M&C 9Colors |
2. 연혁
- 2001년 4월 23일 - 주식회사 강원민방 설립.
- 2001년 12월 15일 - 텔레비전 방송 개국.
- 2003년 5월 15일 - FM 방송 FreshFM영어 개국.
- 2005년 6월 1일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개국.
- 2008년 6월 30일 - 지상파 DMB 개국.
- 2011년 10월 10일 - 약칭을 GTB에서 G1으로 변경.
- 2012년 10월 25일 -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종료.
2. 1. 태동기(설립기) (1999년 ~ 2001년)
- 1999년 11월 16일: 강원민방 설립 추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2000년 3월 9일: 강원민방 사업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였다.
- 2000년 10월 13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전신인 방송위원회에서 강원지역 민영방송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 2001년 4월 10일: (주)강원민방 창립총회가 열리고, 초대 대표이사로 박기병 사장이 취임하였다.
- 2001년 4월 23일: (주)강원민방('''GTB''') 법인이 설립되었다.
- 2001년 5월 2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전신인 방송위원회에서 강원지역 민영방송(TV) 허가를 추천하였다.
- 2001년 8월 13일: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신인 정보통신부에서 GTB-TV 방송을 허가하였다. (호출부호 HLCG-TV / 주파수: 춘천 UHF57, 원주 UHF54, 강릉 UHF36)
- 2001년 12월 1일: 시험방송을 시작하였다.
- 2001년 12월 15일: GTB TV가 개국하였다.[1] SBS 계열사 중에서는 두 번째로 늦게 방송을 시작했다. 초기 명칭은 강원민방이었다. 개국 당시 춘천 지역에서 수신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2001년 12월 26일 강원케이블방송과 상업적 협약을 맺고 다음 날부터 방송을 시작했다.[2][3]
2. 2. 기반구축기 (2002년 ~ 2004년)
- 2002년 6월 13일: HTB 홋카이도TV방송과 한·일 우호협정을 체결하였다.[1]
- 2002년 10월 14일: 삼척 봉황산중계소 허가를 받았다. (주파수 UHF 50)[1]
- 2002년 11월 11일: 방송위원회로부터 디지털TV방송 허가추천을 받았다.[1]
- 2003년 1월 20일: 삼척 봉황산중계소 시험방송을 시작하였다.[1]
- 2003년 1월 27일: 방송위원회로부터 GTB-FM방송 허가추천을 받았다.[1]
- 2003년 1월 30일: 삼척 봉황산중계소 본방송을 개시하였다.[1]
- 2003년 5월 15일: 정보통신부로부터 GTB-FM방송 허가를 받았다. (호출부호 HLCG-FM)[1]
- 2003년 6월 7일: 디지털TV 방송국 허가를 받았다. (주파수: 화악산 CH44, 대룡산 CH16)[1]
- 2003년 6월 10일: 강원체신청으로부터 GTB-FM방송 괘방산중계소 허가를 받았다.[1]
- 2003년 9월 8일: GTB Fresh-FM 라디오 시험방송을 시작하였다.[1]
- 2003년 10월 10일: GTB Fresh-FM 라디오를 개국하였다. (주파수: 춘천권 105.1㎒, 강릉권 106.1㎒)[1]
- 2004년 2월 16일: 태백지국을 개소하였다.[1]
- 2004년 8월 10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시·군지역 DTV방송국 추천 허가추천을 받았다.[1]
- 2004년 12월 10일: 방송위원회로부터 GTB-TV방송 재허가 추천을 받았다.[1]
- 2004년 12월 28일: 정보통신부로부터 GTB-TV방송 재허가를 받았다.[1]
2. 3. 성장발전기 (2005년 ~ 2010년)
연도 | 내용 |
---|---|
2005년 3월 28일 | 시·군지역 DTV지상파방송국 허가 (정보통신부) (주파수: 백운산 CH56, 태기산 CH68, 괘방산 CH16)[1] |
2005년 5월 10일 | GTB Fresh-FM 방송 대룡산중계소 변경허가 추천 (방송위원회,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1] |
2005년 6월 1일 | DTV 개국 (춘천권)[1] |
2005년 11월 23일 | GTB-FM방송 재허가 추천 (방송위원회,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1] |
2005년 12월 14일 | GTB-FM방송 재허가 (정보통신부, 현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1] |
2006년 1월 1일 | DTV 개국 (원주권, 강릉권)[1] |
2006년 12월 27일 | 강원권역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허가추천 사업자 선정 (방송위원회,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1] |
2007년 3월 27일 | 강원권역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허가추천 (방송위원회, 현 방송통신심의위원회)[1] |
2007년 5월 2일 | GTB지상파 DMB방송국 허가 (정보통신부, 현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1] |
2007년 12월 11일 | GTB-TV, DTV, FM방송 재허가 추천[1] |
2007년 12월 31일 | GTB-TV, DTV, FM방송 재허가[1] |
2008년 2월 29일 | GTB TV DTV FM DMB 강원민방 - 방송통신위원회[1] |
2008년 6월 25일 | 원주권 FM 중계소 허가 신청[1] |
2008년 6월 30일 | 춘천권 지상파 DMB 개국[1] |
2009년 2월 23일 | GTB Fresh-FM 원주중계소 허가 (103.1MHz) 원주, 횡성 일부 (방송통신위원회)[1] |
2009년 6월 1일 | GTB Fresh-FM 원주권 개국(FM 103.1MHz)[1] |
2010년 5월 1일 | 업무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베트남 QTV)[1] |
2010년 6월 16일 | 업무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원주영상미디어센터)[1] |
2010년 12월 31일 | GTB-TV, DTV, FM, DMB 방송 재허가 (방송통신위원회)[1] |
2. 4. 변혁기(도약기) (2011년 ~ 2016년)
강원민방은 2011년 10월 10일 창립 10주년을 맞아 사명을 '''G1(Gangwon No.1 Broadcasting)'''으로 변경했다.[1] 이와 함께 방송국 명칭도 '''GTB강원민방''' (Gangwon Television Broadcasting)에서 '''G1강원민방'''(Gangwon No.1 Broadcasting)으로 바뀌었다.연도 | 내용 |
---|---|
2011년 | |
2012년 | |
2013년 | |
2014년 | 12월 4일: 중화인민공화국 CCTV 닷컴 한국어방송과 우호교류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2015년 | 12월 8일: 속초에 DTV 중계소를 개소했다. |
2016년 |
2. 5. UHD 시대 (2017년 ~ 현재)
- 2017년 12월 29일: UHD 개국 (강릉, 평창)[1]
- 2018년 3월 13일: 제5대 대표이사 허인구 사장 취임.[1]
- 2021년 1월 4일: 방송국 명칭을 G1강원민방에서 G1방송으로 변경[1]
- 2021년 3월 2일: ㈜지원방송으로 사명 변경[1]
- 2023년 10월 11일: 창사 22주년 기념식 개최[1]
3. 사명 변천 과정
4. 방송 정보
G1방송은 TV와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 텔레비전
- 채널: Ch. 36 (LCN 6-1)[1]
- 개국: 2001년 12월 15일[1]
- 계열: SBS[1]
- 호출 부호: HLCG-DTV[1]
- FM 라디오 (G1 Fresh FM)
- 주파수: FM 105.1 MHz (춘천), FM 103.1 MHz (원주), FM 106.1 MHz (강릉), FM 99.3 MHz (태백), FM 88.3 MHz (평창), FM 101.3 MHz (속초)[5]
- 개국: 2003년 10월 10일 (춘천, 강릉), 2009년 6월 1일 (원주), 2011년 12월 16일 (태백), 2012년 9월 1일 (평창), 2016년 7월 29일 (속초)[5]
- 계열: SBS 파워FM[5]
- 호출 부호: HLCG-FM[5]
4. 1. TV 방송
2001년 8월 정보통신부로부터 허가를 받고 12월 1일 시험방송을 거쳐 12월 15일, 강원민방의 TV방송이 개국하면서 강원도 민영방송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어 2005년 6월 1일에는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하였으며, 방송망을 강원도 전역으로 점차 확대하고 있다. KBS의 지역국과 MBC 계열국에 비하면 방송 송출 권역이 상대적으로 좁은 편으로, 강원도 영서, 영동 권역과 경기도 동부, 충북 북부 일부와 경북 북부 일부를 방송권역으로서 방송 중이다. 2021년 1월 4일부터 '''G1강원민방 TV'''에서 '''G1방송 TV'''로 변경하였다.[1]자체 방송 프로그램의 의무 편성 비율은 23%다.[1]
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화악산 송신소 | 40 | 2.5kW |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2리 228-15 | ||
대룡산 중계소 | 16 | 1kW | 16 | 1kW | 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
다목리 소출력 | 40 | 0.05W | 40 | 0.05W | 강원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
원천리 소출력 | 40 | 0.05W | 40 | 0.05W | 강원 화천군 하남면 원천리 |
강촌 소출력 | 40 | 0.05W | 40 | 0.05W | 강원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
서천 소출력 | 40 | 0.05W | 40 | 0.05W | 강원 춘천시 남산면 서천리 |
홍천 중계소 | 47 | 20W | 47 | 20W | 강원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 산68 |
백운산 중계소 | 50 | 1kW | 50 | 1kW | 강원 원주시 판부면 신촌리 산80 |
매지 소출력 | 50 | 0.05W | 50 | 0.05W | 강원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
태기산 중계소 | 34 | 2kW | 36 | 1kW | 강원 횡성군 태기면 둔방내리 |
둔내 소출력 | 36 | 0.05W | 강원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 ||
괘방산 중계소 | 55 | 4kW | 16 | 2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 |
청대산 중계소 | 25 | 2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151 | ||
대관령 중계소 | 34 | 300W |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산1 | ||
초록봉 중계소 | 44 | 1kW |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5-1 | ||
봉황산 중계소 | 37 | 90W | 강원 삼척시 정상동 산41 | ||
함백산 중계소 | 16 | 500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660 | ||
통리 소출력 | 16 | 0.05W | 강원 태백시 통동 69-8 | ||
증산 소출력 | 16 | 0.05W | 강원 정선군 남면 무릉리 |
- 전국 TOP 10 가요쇼 (CJB 제작)[1]
- 열린 예술무대 뒤란 (ubc 제작)[1]
- 네모세모 (ubc 제작)[1]
- 최강 1교시 (KNN TV 제작)[1]
- THE 인사이드(김우진, 강민주 아나운서 진행)[1]
- 강원매거진 7[1]
- 이야기 구구절절 2[1]
- 팔도강산 고고[1]
- TV홈닥터 더 나은 클리닉 (개그우먼 박소영 진행)[1]
- G1 열린TV 시청자세상 (김우진, 강민주 아나운서 진행)[1]
- 네트워크 현장 고향이 보인다 (SBS 제작, 김우진, 강민주 아나운서 진행)[1]
- [http://www.tbc.co.kr/tbc_tv/theme/tv_themes12.html 테마스페셜] (TBC 제작)[1]
- [http://www.tjb.co.kr/sub0108 화첩기행] (TJB 제작)[1]
4. 2. 라디오 방송 (G1 Fresh FM)
G1 Fresh FM은 G1방송이 운영하는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라디오 방송이다. 2003년 5월 15일 방송허가를 받은 후, 같은 해 10월 10일 춘천 대룡산 송신소(강원 북서권)와 강릉 괘방산 중계소(강릉권)에서 방송을 송출하며 개국했다.[5] SBS와 라디오 네트워크 협정을 맺고 SBS 파워FM의 프로그램을 70~80% 비율로 편성하고 있다.2009년 6월 1일에는 원주권, 2011년 12월 16일에는 태백 함백산 중계소(영동내륙 남부), 2012년 9월 1일에는 횡성 태기산 중계소(평창, 횡성, 영월, 정선권), 2016년 7월 29일에는 속초 청대산 중계소(속초, 고성, 양양) 지역을 설치하면서 가청권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5]
프로그램명 | 방송 시간 | 진행자 |
---|---|---|
강민주의 예감 좋은 날 | 매일 아침 9시 ~ 11시 | 강민주 |
당신의 11시 이가연입니다 | 매일 오전 11시 ~ 12시 | 이가연 |
밤& | 매일 밤 11시 ~ 12시 | 김우진 |
뮤직블로그 | 매일 새벽 1시 ~ 3시 | 1부(윤영호PD), 2부 (김우진)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윗도골 중계소 | FM 103.1MHz | 500W | HLCG-FM | 강원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 산76-39 |
대룡산 송신소 | FM 105.1MHz | 3kW | 강원 춘천시 동내면 고은리 산1-2 | |
괘방산 중계소 | FM 106.1MHz | 1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 |
함백산 중계소 | FM 99.3MHz | 100W | 강원 태백시 황지동 660 | |
횡성 중계소 | FM 88.3MHz | 100W | 강원 횡성군 둔내면 태기리 산1-5 | |
방림 중계소 | FM 90.5MHz | 100W | 강원 평창군 평창읍 하리 산1-5 | |
속초 중계소 | FM 101.3MHz | 100W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151 |
4. 3. 지상파 DMB 방송 (G1 DMB)
G1방송은 대한민국 강원도 전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이다. SBS와 함께 U-1 DMB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2005년 12월 1일에 지상파DMB 방송을 개국하였다. 현재 임대채널을 포함, 총 5개의 채널을 송출하고 있다. 호출부호는 HLCG-TDMB이다.5. 조직
G1방송은 대표이사 사장 직속으로 시청자 위원회를 두고 있다. 방송사업본부, 경영지원본부, 영서지사, 영동지사, 서울지사로 구성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
! 조직
|-
| 방송사업본부
|
광고사업국 |
---|
광고심의팀 |
방송사업팀 |
편성제작국 |
---|
편성제작팀 |
기획제작팀 |
영상제작팀 |
보도국 |
---|
취재팀 |
영상취재팀 |
|-
! 경영지원본부
|
경영국 |
---|
경영팀 |
정책팀 |
기술국 |
---|
기술팀 |
6. 본사 및 지사 위치
구분 | 주소 |
---|---|
본사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면 소양강로 274 |
영서지사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만대로 200-22 블루타워 2층 203호 |
영동지사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5번길 33, 2층 |
서울지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800 파라곤 436호 |
7. 해외 제휴 방송사
- 北海道テレビ放送|홋카이도 TV 방송일본어
- Đài Phát thanh và Truyền hình Quảng Ninh|꽝닌 미디어 그룹vi
- OTB 방송사
- CCTV.com|CCTV.Com중국어 한국어방송
참조
[1]
뉴스
정통부, 강원민방 TV방송 허가
https://www.mk.co.kr[...]
2001-08-14
[2]
뉴스
춘천권 ′난시청′ 파장 확산
https://www.kado.net[...]
2001-12-23
[3]
뉴스
′춘천권 오늘부터 GTB 시청′
https://www.kado.net[...]
2001-12-28
[4]
뉴스
강원민방 사주 "주식 10% 헌납"
https://www.mk.co.kr[...]
2004-11-16
[5]
문서
(강원도 대표방송) 부분은 대부분 생략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