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It B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et It Be는 1970년 발매된 비틀즈의 열두 번째이자 마지막 정규 앨범으로, 밴드의 해체 직전 녹음된 곡들을 담고 있다. 앨범은 원래 《Get Back》이라는 제목으로 라이브 공연을 기획하며 시작되었으나, 멤버 간의 불화로 인해 앨범 제작 과정이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필 스펙터가 앨범의 최종 프로듀싱을 맡아 오버더빙 등의 편집 작업을 거쳐 앨범을 완성했다.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했지만,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2003년에는 폴 매카트니가 필 스펙터의 편곡에 불만을 품고 리믹스 앨범 《Let It Be... Naked》를 발매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사운드트랙 음반 - On a Clear Day You Can See Forever
On a Clear Day You Can See Forever는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와 이브 몽탕이 참여하고 앨런 제이 레너와 버턴 레인이 각각 가사와 음악을 맡은, 1970년 영화 《맑은 날에는 영원히 볼 수 있어요》의 사운드트랙 앨범으로, 1970년 컬럼비아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어 빌보드 200 차트에서 108위를 기록했으며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1970년 사운드트랙 음반 - Zabriskie Point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영화 《자브리스키 포인트》는 1960년대 후반 미국의 사회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젊은이들의 저항 정신을 다루며, 베트남 전쟁, 히피 문화 등을 반영하여 개봉 당시 상업적 성공은 못 거두었지만 컬트 영화로 인정받았다. - 필 스펙터가 프로듀싱한 음반 -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의 1970년 솔로 데뷔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는 아서 야노프 박사의 원초 요법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심리적 고통과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진솔하게 담아낸 앨범으로, "Mother", "Working Class Hero", "God" 등의 대표곡과 간결한 사운드, 솔직하고 강렬한 가사가 특징이다. - 필 스펙터가 프로듀싱한 음반 - Some Time in New York City
Some Time in New York City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가 1971년에 발표한 앨범으로, 여성 억압, 사회 불평등 등 당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스튜디오 앨범과 라이브 실황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 비틀즈의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비틀즈의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Let It B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아티스트 | 비틀즈 |
발매일 | 1970년 5월 8일 |
녹음 | 1968년 2월 4일, 8일 1969년 1월 24일–31일 1970년 1월 3일, 4일, 8일 1970년 4월 1일 |
녹음 장소 | 애플, EMI, 올림픽 사운드, 런던 애플 코어 옥상, 런던 |
장르 | 록 블루스 |
길이 | 35분 10초 |
레이블 | 애플 |
프로듀서 | 필 스펙터 |
비틀즈 연대기 | |
이전 앨범 | 애비 로드 (1969) |
다음 앨범 | The Beatles' Christmas Album (1970) |
비틀즈 북미 연대기 | |
이전 앨범 | Hey Jude (1970) |
다음 앨범 | From Then to You (1970) |
싱글 | |
싱글 1 | 겟 백 (1969년 4월 11일) |
싱글 2 | Let It Be (1970년 3월 6일) |
싱글 3 | 더 롱 앤 와인딩 로드 (1970년 5월 11일) |
일본 발매 정보 | |
일본 발매일 | 1970년 6월 5일 |
차트 성적 | |
(정보 필요) | (정보 필요) |
인증 | |
(정보 필요) | (정보 필요) |
외부 미디어 | |
전곡 듣기 (플레이리스트) | Let It Be - 2009년 리마스터반, Universal Music Group 제공의 YouTube 아트 트랙. |
2. 배경
폴 매카트니는 1966년 8월 이후 중단했던 라이브 공연을 재개하여 밴드의 결속력을 높이고자 했다.[80][81] 1968년 10월, 그는 언론에 밴드가 곧 TV 스페셜에서 라이브 공연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존 레논을 비롯한 다른 멤버들은 라이브 공연에 반대했지만, 《The Beatles》(일명 "화이트 앨범") 등에서 사용된 과도한 오버더빙과 멀티레이어 레코딩에서 벗어나 초기 작품처럼 "스튜디오 라이브" 형태로 녹음하는 데는 동의했다.
1969년 1월, 비틀즈는 《Get Back》이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이는 폴 매카트니의 제안으로, 비틀즈가 초심으로 돌아가 라이브 공연을 재개하려는 의도였다. 존 레논은 이에 반대했지만, 오버더빙과 멀티레이어 레코딩을 지양하고 "스튜디오 라이브" 컨셉으로 녹음하는 것에는 동의했다. 앨범 커버는 첫 앨범 《Please Please Me》처럼 EMI 본사 건물에서 내려다보는 사진을 사용했다.
애플 레코드사(Apple Corps)는 12월에 런던 라운드하우스에서 공연할 계획을 발표했지만, 멤버 간 의견 차이와 일정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 애플 필름스의 데니스 오델은 비틀즈가 라이브 공연 복귀를 준비하기 위해 트위크넘 필름 스튜디오에서 리허설하는 모습을 촬영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그곳에서 ''매직 크리스찬''을 촬영하기 위해 스튜디오 공간을 예약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라이브 연주를 전제로 복잡한 편집 작업을 거치지 않은 신곡을 선보이는 세션을 트위크넘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기획은 이후 비틀즈가 신곡을 완성해가는 과정을 촬영하여 공개 연주를 포함한 TV 특집 프로그램용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83] 감독은 "페이퍼백 라이터"와 "헤이 주드" 등의 프로모션 필름을 제작한 마이클 린제이 호그가 맡았다.
3. 녹음 및 제작
키보디스트 빌리 프레스턴이 라이브 공연을 위해 고용되어 2주간 비틀즈와 함께 작업했으며, 애플 레코드 건물 옥상 공연에도 참여했다.
TV 라이브 공연 녹음 논의는 1969년 1월 트위크넘 스튜디오에서 있었다. 언론은 비틀즈가 런던 라운드하우스에서 공연할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이는 성사되지 않았다. 매카트니는 로마 원형 경기장이나 크루저 선상 공연을 제안했으나, 결국 애플 레코드 건물 옥상에서 공연이 이루어졌다. 관객은 멤버들의 측근과 애플 레코드 직원들이었다. 이때 녹음된 곡들 중 일부는 실제 앨범에 수록되었고, 공연 전체 녹음본은 부틀렉으로 인기를 끌었다.
트위크넘 스튜디오에서는 〈Stand By Me〉, 〈Ain't She Sweet〉, 〈Maggie Mae〉, 〈Words Of Love〉, 〈Blue Suede Shoes〉 등 커버곡과 《Abbey Road》 수록곡 〈Mean Mr. Mustard〉, 〈Maxwell's Silver Hammer〉, 〈Oh! Darling〉,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Golden Slumbers〉 등이 시연되었다. 멤버들 솔로 앨범 수록곡 초기 버전(레논의 〈Jealous Guy〉, 해리슨의 〈All Things Must Pass〉, 매카트니의 〈Teddy Boy〉 등)도 녹음되었다. 이 세션은 모두 녹화되어 영화 《Let It Be》의 기초 자료가 되었다.
세션 참여자들은 멤버 간 불화를 감지했고, 비틀즈 해체는 확실시되었다. 레논은 헤로인 중독과 오노 요코와의 관계에 몰두하며 밴드에 소극적이었다. 매카트니의 노력은 다른 멤버들에게 통제로 받아들여졌고, 조지 해리슨은 잠시 밴드를 떠나기도 했다.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다음 앨범 참여를 거절하기도 했다.
1968년 10월, 비틀즈는 더블 앨범 ("화이트 앨범") 세션을 마쳤다. 이 세션은 그룹 내 분열을 드러냈지만, 밴드는 앙상블 연주 기회를 즐겼다. 존 레논은 "우리 껍데기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말했고, 조지 해리슨은 "더 캐번에서처럼 펑키해지려 한다"고 말했다.[4]
폴 매카트니는 라이브 공연 재개를 열망했다. 1968년 10월, 그는 언론에 TV 스페셜 라이브 쇼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 레코드사는 라운드하우스 콘서트 계획을 발표했지만 무산되었다. 애플 필름스 대표 데니스 오델은 트위크넘 필름 스튜디오에서 리허설 촬영을 제안했다.
마이클 린제이-호그가 프로젝트 연출을 맡았다. 1969년 1월 2일 리허설이 시작되었지만, 콘서트 장소는 정해지지 않았다.[6]
트위크넘 리허설은 피터 브라운이 "적대적인 무기력"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붕괴되었다.[7] 레논은 헤로인 중독으로 밴드와 거리를 뒀고, 매카트니의 아이디어를 경멸했다. 해리슨은 미국 체류에서 영감을 받아 새 곡을 발표했지만, 일부는 묵살되었다. 매카트니의 노력은 과도한 통제로 해석되었다.
영화 스튜디오 분위기, 이른 아침 시작, 촬영 팀의 간섭은 불만을 고조시켰다. 1월 6일, 맥카트니와 해리슨 사이에 긴장된 대화가 오갔다. 1월 10일, 레논과 해리슨은 격렬한 언쟁을 벌였다. 해리슨은 밴드를 떠난다고 발표했다.[5]
1월 15일 회의에서 밴드는 해리슨 복귀 조건을 수용했다. 공개 콘서트 계획을 포기하고, 애플 스튜디오에서 새 앨범 녹음을 촬영하기로 했다.[5] 조지 마틴은 EMI 스튜디오에서 녹음기를 빌려왔고, 글린 존스와 함께 시설을 정비했다.
애플 세션은 1월 21일에 시작되었다. 해리슨은 빌리 프레스턴을 초대해 참여시켰다. 프레스턴은 대부분 녹음에 참여했고, 애플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가 되었다. 맥카트니와 린제이-호그는 공개 콘서트를 계속 희망했다.
1969년 1월 30일, 비틀즈는 사빌 로에 있는 애플 본사 옥상에서 예고 없이 공연했다. 이는 비틀즈의 마지막 라이브 공연이 되었다.
3. 1. ''Get Back'' 앨범
엔지니어 글린 존스는 1969년 3월, 다소 "거친" 버전의 ''Get Back'' 앨범을 냈다. 여기에는 최종 발매된 앨범에 수록된 곡들 외에 폴 매카트니의 〈테디 보이〉가 추가되었다.[150]
1969년 3월 10일부터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세션 내용을 앨범으로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96] 존스는 싱글 〈겟 백〉 믹싱 작업에도 참여한 후, 멤버들의 의향을 반영하여 5월 28일에 마스터 테이프를 완성했다.[151]
1969년 5월 28일 버전의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151]
A면 | B면 |
---|---|
1969년 12월 15일, 비틀즈는 다시 글린 존스에게 ''Get Back'' 제작을 의뢰했는데, 이때는 ''Get Back'' 세션 때 녹음된 곡 외에 새로 녹음된 곡들이 포함되었다. 1969년 12월 15일부터 1970년 1월 8일까지 믹싱 작업이 계속되었다.[151]
1970년 1월 5일 버전에서는 영화에 등장하지 않았던 〈테디 보이〉가 제외되고, 리허설 장면에 등장한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레논이 오노 요코와 왈츠를 추는 장면에서 등장한 〈아이 미 마인〉[106]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버전도 멤버들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1970년 1월 5일 버전의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A면 | B면 |
---|---|
3. 2. 최종 믹싱
1970년 3월, 존 레논과 조지 해리슨은 폴 매카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프로듀서 필 스펙터에게 ''Get Back'' 세션 녹음 테이프를 넘겨 앨범 제작을 의뢰했다.[96] 필 스펙터는 이 테이프를 편집하여 현재의 《Let It Be》 앨범을 완성했다.필 스펙터는 〈The Long and Winding Road〉를 비롯한 몇몇 곡에 코러스와 오케스트라를 추가하는 등 과도한 편집을 가했다. 폴 매카트니는 이러한 편곡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하며, 특히 〈The Long and Winding Road〉가 원했던 간결한 피아노 발라드 형태가 아닌 것에 분노했다. 매카트니는 이러한 버전의 발매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는 결국 비틀즈 탈퇴 선언에 영향을 주었다.
1970년 5월 8일, 앨범 《Let It Be》와 동명의 영화 《Let It Be》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비틀즈 멤버들은 이미 해산된 상태나 다름없었다.
이후 필 스펙터의 프로듀싱에 대한 비판이 계속되자, 존 레논은 플레이보이와의 인터뷰에서 "스펙터는 가장 엿같은 것만 모아놓은 것에서 가치 있는 것을 창조해 내었다"며 그를 변호했다.
2003년 11월, ''Get Back'' 세션의 원래 의도를 살려 필 스펙터의 오버 더빙을 제거한 《Let It Be... Naked》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서는 〈Dig It〉과 〈Maggie Mae〉 대신 〈Don't Let Me Down〉이 수록되었다.
4. 곡 목록
wiki
A면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B면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
1. Two of Us | 폴 매카트니, 존 레논 | 3:36 | 1. I've Got a Feeling | 폴 매카트니, 존 레논 | 3:37 | |
2. Dig a Pony | 존 레논 | 3:54 | 2. One After 909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 2:54 | |
3. Across the Universe | 존 레논 | 3:48 | 3. The Long and Winding Road | 폴 매카트니 | 3:38 | |
4. I Me Mine | 조지 해리슨 | 2:26 | 4. For You Blue | 조지 해리슨 | 2:32 | |
5. Dig It | 존 레논 | 0:50 | 5. Get Back | 폴 매카트니 | 3:09 | |
6. Let It Be | 폴 매카트니 | 4:03 | ||||
7. 매기 메이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 0:40 | ||||
작곡: 레논-매카트니 (5번 트랙은 레논-매카트니-해리슨-스타키, 7번 트랙은 민요 편곡) |
4. 1. 오리지널 앨범
1970년 초, 3월 발매 예정이었던 싱글 〈Let It Be〉에 맞춰 영화와 사운드트랙 앨범의 명칭도 《Get Back》에서 《Let It Be》로 변경하기로 결정되었다.1월 27일, 조지 해리슨의 권유를 받은 존 레논은, 구면인 미국 프로듀서 필 스펙터에게 앨범 제작을 의뢰했다.[110] 솔로 싱글 《인스턴트 카르마》의 완성도와 호조의 판매량에 만족하여, 그라면 《Let It Be》를 좋은 앨범으로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다. 3월 23일에는 폴 매카트니에게는 알리지 않고, 해리슨과 함께 보류되었던 "겟 백 세션"의 음원을 위탁했다. 스펙터는 오버 더빙 등을 통해 음원을 편집하여, 4월 2일에 완성했다.[81]
레논과 해리슨은, 중단될 뻔했던 "겟 백 세션"의 음원을 단기간 안에 앨범으로 정리한 필 스펙터의 일을 높이 평가하여, 이후에도 각자의 솔로 작품에서 그를 프로듀서로 기용했다. 그러나 매카트니는 "더 롱 앤드 와인딩 로드"에 추가된 오케스트라 편곡에 강한 불만을 품는 등, 자신을 제외한 채 진행된 스펙터의 일을 평가하지 않았다. 매카트니는 앨범 발매 중지를 요구하며 소송을 검토했지만, 앨범 발매에 관한 계약이 한 장 남아 있었기 때문에, 마지못해 발매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4월 10일, 매카트니가 그룹 탈퇴 의향을 밝혔다는 보도가 영국의 대중지 《데일리 미러》에 실렸고,[111] 비틀즈가 사실상 해산한 약 1개월 후인 5월 8일 영국에서, 5월 18일에는 미국에서 앨범 《Let It Be》가 발매되었으며, 이어서 5월 20일에는 영화 《Let It Be》가 극장 개봉되었다.
영국에서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5월 23일자부터 3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지에서는 6주 연속, 《멜로디 메이커》지에서는 8주 연속 1위였다. 미국에서는 《빌보드》지의 Top LPs에서 6월 13일자부터 4주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112] 1970년도 연간 랭킹 31위였다.[113] 《캐시박스》지에서는 6주 연속 1위, 1970년도 연간 랭킹 14위. 미국에서만 400만달러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1000만달러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제13회 그래미상에서는 최우수 사운드트랙상을 수상했다. 또한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2020년 개정판에서는 342위에 랭크되었다.[114][115]
앨범 재킷 디자인은 《애비 로드》의 재킷을 담당한 존 코쉬가 맡았으며, 이단 러셀이 촬영한 "겟 백 세션"에서의 멤버 4명의 사진이 사용되었다. 또한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The Beatles Get Back》이라는 제목의 풀 컬러 사진집이 포함된 박스 사양으로 발매되었다. 이 사진집은, 러셀의 "겟 백 세션" 당시의 사진, 영화에 사용된 대화, 잡지 《롤링 스톤》의 조나단 코트와 데이비드 달튼의 에세이로 구성되었다 . 미국반은 게이트폴드 사양으로, 안쪽에 러셀이 촬영한 사진 9장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비틀즈에게 있어서, 링고 스타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이 없는 오리지널 앨범으로서는, 《하드 데이즈 나이트》 이후 2번째 작품이 된다.[116] 또한, 전작 《애비 로드》에 이어, 본작도 스테레오반만 발매되었으며, 모노럴반은 제작되지 않았다.[117]
4. 2. Rejected Glyn Johns versions
1969년 3월,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은 글린 존스에게 ''Get Back'' 세션 녹음 편집을 맡겼다.[150] 존스는 올림픽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앨범 작업을 진행하여 5월 28일 마스터 테이프를 완성했다.1969년 5월 28일 존스가 제작한 마스터 테이프에는 다음과 같은 곡들이 수록되었다.
사이드 1 | 사이드 2 |
---|---|
- 〈Rocker (Instrumental)〉: 레논-매카트니 작곡.
- 〈Save the Last Dance for Me〉: 독 포머스와 모트 슈먼이 작곡, 더 드리프터스가 1960년 발표.
''Get Back'' 앨범은 1969년 6월 발매 예정이었으나 9월, 12월로 연기되었고, 결국 비틀즈는 앨범 발매를 영구 보류했다.
1969년 12월 15일, 비틀즈는 글린 존스에게 ''Get Back'' 제작을 다시 의뢰했다. 1969년 12월 15일부터 1970년 1월 8일까지 믹싱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수록곡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사이드 1 | 사이드 2 |
---|---|
[151]
새 믹스에는 〈Teddy Boy〉가 빠지고, 〈Across the Universe〉(1968년 리믹스)와 〈I Me Mine〉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비틀즈는 이 앨범도 발표하지 않았다.
5. 참여자
'''비틀즈'''
- 존 레논 – 리드 및 백 보컬, 리듬 기타, "Get Back" 리드 기타, "For You Blue" 랩 스틸 기타, "Two of Us", "Across the Universe", "Maggie Mae" 어쿠스틱 기타, "Dig It" 및 "The Long and Winding Road" 6현 베이스 기타, "Two of Us" 휘파람
- 폴 매카트니 – 리드 및 백 보컬, 베이스 기타, "Two of Us"와 "Maggie Mae" 어쿠스틱 기타, "Dig It", "Across the Universe", "Let It Be", "The Long and Winding Road", "For You Blue" 피아노, "I Me Mine" 해먼드 오르간, "I Me Mine"과 "Let It Be" 일렉트릭 피아노, "Let It Be" 마라카스
- 조지 해리슨 – 리드 및 리듬 기타, "For You Blue"와 "I Me Mine" 어쿠스틱 기타, "Across the Universe" 탐부라, "I Me Mine"과 "For You Blue" 리드 보컬, 백 보컬
- 링고 스타 – 드럼, "Across the Universe" 마라카스
'''추가 연주자'''
- 빌리 프레스턴 – "Dig a Pony", "I've Got a Feeling", "One After 909", "The Long and Winding Road"와 "Get Back" 일렉트릭 피아노, "Dig It"과 "Let It Be" 해먼드 오르간
- 리처드 앤서니 휴슨 – "I Me Mine" 및 "The Long and Winding Road" 현악기 및 금관 악기 편곡
- 존 바햄 – "Across the Universe", "I Me Mine", "The Long and Winding Road" 합창 편곡
- 조지 마틴 – "Dig It" 쉐이커, "Let It Be" 현악 및 금관 편곡, 프로듀싱
- 린다 매카트니 – "Let It Be" 백 보컬
- 브라이언 로저스 – "Across the Universe" 현악 및 금관 편곡
'''제작'''
6. 재발매
- 1976년,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에서 발매된 ''렛 잇 비'' 앨범은 1979년까지 미국에서 절판되었다가,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레코드가 캐피톨 레코드에 인수되면서 재발매되었다. ''렛 잇 비''는 캐피톨 레이블, 카탈로그 번호 SW 11922로 재발매되었다.[38]
- 2003년, 폴 매카트니는 필 스펙터가 프로듀싱한 오리지널 음반인 ''Let It Be''에 오랫동안 불만을 품고 《Let It Be... Naked》라는 제목의 리믹스 앨범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스펙터가 추가한 요소를 제거하고, 다른 테이크, 편집, 믹스가 담겨 있다. "Maggie Mae" 및 "Dig It"이 생략되었으며, "Don't Let Me Down"의 라이브 옥상 공연이 추가되었다.[39]
- 2009년 9월 9일,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4년에 걸쳐 최신 레코딩 기술과 빈티지 스튜디오 장비를 사용하여 리마스터 작업이 이루어진 디지털 리마스터반이 발매되었다. 클릭음, 보컬의 파열음 등은 복원되었고, 노이즈 제거 등도 곡 본래의 장점을 잃지 않도록 이루어졌다.
- 2021년 10월 15일, 스페셜 에디션이 다양한 형태로 발매되었다. 오리지널 앨범의 새로운 믹스는 자일스 마틴과 샘 오켈에 의해 리믹스되었다. 슈퍼 디럭스 에디션과 디지털 배포판에는 미발표 음원 27곡, 1969년 5월에 존스에 의해 정리되었지만 미발표되었던 『겟 백』의 스테레오 LP 믹스, 싱글 버전 등 4곡들이 EP 『렛 잇 비』, 블루레이에 하이레졸루션 스테레오, 5.1 서라운드, 돌비 애트모스로 믹스된 오리지널 앨범의 뉴 스테레오 믹스가 수록되어 있다.[120][121]
국가 | 발매일 | 판매 형태 | 레이블 | 카탈로그 번호 | 버전 | 비고 |
---|---|---|---|---|---|---|
영국 | 1970년 5월 8일 | LP box set | Apple Records | PSX 1 | 오리지널 | 사진집 『THE BEATLES GET BACK』이 부속. |
미국 | 1970년 5월 18일 | LP | Apple Records | AR 34001 | 게이트폴드 재킷 사양[133] | |
일본 | 1970년 6월 5일 | LP box set | 토시바 음악공업 | AP 9009 | 사진집 『THE BEATLES GET BACK』이 부속. | |
영국 | 1970년 11월 9일 | LP | Apple Records | PCS 7096 | 싱글 커버 사양. | |
일본 | 1971년 2월 25일 | LP | 토시바 EMI | AP-80189 | 미국반과 동일한 게이트폴드 재킷 사양. | |
1976년 6월 20일 | EAS-80561 | |||||
미국 | 1986년 | LP | Capitol Records / SRC | SW-11922 | ||
1986년 11월 | LP / LP BOX | 모바일 피델리티 / EMI | MFLS1-109 | 하프 스피드 컷의 고음질반 | ||
일본 | 1992년 7월 29일 | LP | 토시바 EMI | TOJP-7084 | 1987년 리마스터 | |
일본 | 2004년 1월 21일 | LP | 토시바 EMI | TOJP 60143 | ||
유럽 | 2012년 | LP | Apple Records | PCS 7096 | 2009년 리마스터 | 180g 중량반 |
미국 | 2012년 11월 13일 | Apple Records | 094638247210 | |||
일본 | 2012년 11월 14일 | 토시바 EMI | TOJP-60194 | 수입반 국내 사양 (EU 생산 180g 중량반) | ||
영국, 외 | 2017년 11월 8일 | LP 부속 잡지 | De Agostini / Apple Records | 0094638247210 | The Beatles Vinyl Collection #19 | |
일본 | 2018년 1월 4일 | 데아고스티니・재팬 | 더 비틀즈 LP 레코드 컬렉션 10호 | |||
영국, 외 | 2021년 10월 15일 | LP | Apple Records/Universal Music | 07138653 | 뉴 스테레오 믹스 |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미국, 캐나다 | Apple Records/Capitol Records | B0032263-01 | ||||
일본 | 유니버설 뮤직 | UIJY-75220 | 수입반 국내 사양 (EU 생산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
영국, 외 | 픽쳐 LP | Apple Records/Universal Music | 0602435922416 |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
일본 | 유니버설 뮤직 | PDJT-1030 | 수입반 국내 사양 (EU 생산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
영국, 외 | 5LP | Apple Records/Universal Music | 06025071388990 |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
일본 | 유니버설 뮤직 | UIJY-75215~9 | 수입반 국내 사양 (EU 생산 하프 스피드 컷 180g 중량반) |
7. 평가
Let It Be영어 스페셜 에디션은 2021년 10월 15일에 다양한 형태로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1LP, 1LP(피처 디스크), 1CD, 2CD 디럭스, 슈퍼 디럭스(5CD + 블루레이)[120][121][122], 슈퍼 디럭스(5LP + 북클릿)[123], 디지털 배포[124] 등이 포함되었다. 원래는 발매 50주년인 2020년에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었다.[122]
자일스 마틴과 샘 오켈[125][126]은 이전 50주년 기념 리믹스 에디션과 마찬가지로 오리지널 앨범의 새로운 믹스를 담당했다.[120][121] 이들은 필 스펙터가 리프로듀스한 오리지널 버전을 바탕으로 오리지널 레코딩 세션과 루프탑 콘서트의 8트랙 테이프에서 직접 새로운 믹스를 만들었다.
슈퍼 디럭스 에디션과 디지털 배포판에는 오리지널 앨범의 뉴 스테레오 믹스 외에도 미발표 음원 27곡, 1969년 5월에 존스에 의해 정리된 미발표 Get Back영어 스테레오 LP 믹스[127], 4곡들이 EP 등이 수록되었다.[128][120][121] 블루레이에는 하이레졸루션 스테레오, 5.1 서라운드, 돌비 애트모스로 믹스된 오리지널 앨범의 뉴 스테레오 믹스가 포함되었다.[129]
이 스페셜 에디션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최고 2위, 빌보드 200에서 최고 5위[146]를 기록했다. 이는 2010년 12월 이후 미국 앨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였으며, 1970년 8월 이후 처음으로 톱 10에 진입한 기록이다.[131]
참조
[1]
뉴스
Let It Be, Paul
https://www.chicagot[...]
2019-10-06
[2]
웹사이트
The Beatles ''Let It Be''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9-24
[3]
웹사이트
Ranking the songs of The Beatles' final album 'Let It Be' on the 50th anniversary
https://faroutmagazi[...]
2020-10-03
[4]
간행물
George Is a Rocker Again! (Part 2)
1968-09-28
[5]
간행물
Get It Better: The Story of ''Let It Be… Naked''
https://www.rocksbac[...]
2003-11
[6]
문서
The Beatles: Get Back
2021
[7]
서적
"The Love You Make: An Insider's Story of the Beatles"
[8]
서적
Mojo Special Limited Edition: 1000 Days of Revolution (The Beatles' Final Years – 1 January 1968 to 27 September 1970)
Emap
[9]
문서
In the Q&A session with Peter Jackson before the 30 January 2022 IMAX showing of the rooftop performance, Jackson said it was "about a half hour".
[10]
뉴스
Beatles rooftop birthday: It's 40 years since the fab four's last ever concert
https://www.bbc.co.u[...]
BBC
2013-12-12
[11]
웹사이트
The Beatles: Get Back Part 3: Days 17–22
https://www.disneypl[...]
2021-11-29
[12]
웹사이트
Beatles – the Legendary 22-9-69 'Get Back' Radio Broadcast (Godfather Records GR 412) – Collectors Music Reviews
https://www.collecto[...]
2009-09-23
[13]
서적
The Beatles: Day-by-Day, Song-by-Song, Record-by-Record
iUniverse
[14]
간행물
Lennon Remembers, Part One
https://www.rollings[...]
2020-04-18
[15]
서적
100 Best Beatles Songs: A Passionate Fan's Guide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17-04-12
[16]
웹사이트
The Beatles – Let It Be album review
https://faroutmagazi[...]
2024-10-31
[17]
뉴스
Chuck Klosterman Repeats The Beatles
https://www.avclub.c[...]
2013-05-26
[18]
간행물
The Beatles' 'Let It Be' at 45: Classic Track-by-Track Album Review
http://www.billboard[...]
2017-07-26
[19]
뉴스
Beatle Discs
https://www.highbeam[...]
2017-04-20
[20]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70s
https://archive.org/[...]
Ticknor and Fields
2015-10-03
[21]
뉴스
The Beatles – Let It Be (8th May, 1970), review
https://www.telegrap[...]
2021-12-11
[22]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Muze
[23]
웹사이트
The Beatles: Let It Be
http://pitchfork.com[...]
2015-10-03
[24]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5]
웹사이트
The Beatles – Let It Be (album review 2) – Sputnikmusic
http://sputnikmusic.[...]
2015-10-03
[26]
서적
The Beatles Diary Volume 2: After the Break-Up 1970–2001
Omnibus Press
[27]
뉴스
The Beatles: ''Let It Be'' (Apple)
http://www.rocksback[...]
1970-05-09
[28]
간행물
The Beatles Let It Be Album Review
https://www.rollings[...]
2015-03-25
[29]
간행물
"Review: The Beatles ''Let It Be''; Paul McCartney ''McCartney''; Ringo Starr ''Sentimental Journey''"
1970-08
[30]
서적
Mojo Special Limited Edition: 1000 Days of Revolution (The Beatles' Final Years – 1 January 1968 to 27 September 1970)
Emap
[31]
간행물
The R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07-12-10
[32]
서적
Rolling Stone – Special Collectors Issue –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Wenner Media Specials
[33]
간행물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07-10
[34]
서적
All Time Top 1000 Albums
Virgin Books
2006
[35]
웹사이트
Let It Be [2021 Mix – Super Deluxe Edition]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10-21
[36]
웹사이트
The 43rd Academy Awards, 1971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4-10-04
[37]
웹사이트
Mojo 203 / October 2010
http://www.mojo4musi[...]
mojo4music.com
2021-12-11
[38]
서적
Billboard –
https://archive.org/[...]
Nielsen Business Media
1976-11-06
[39]
웹사이트
The Naked Truth About The Beatles' Let It BeNaked [sic]
http://mixonline.com[...]
Mix magazine/ Penton Media, Inc
2004-01-01
[40]
웹사이트
'The Beatles: Get Back', a Disney+ Original Documentary Series Directed by Peter Jackson, to Debut Exclusively on Disney+
https://www.thebeatl[...]
2021-07-07
[41]
웹사이트
The Beatles Expanded Let It Be/Get Back Release Is Due In October
https://www.noise11.[...]
noise11.com
2021-08-13
[4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43]
간행물
RPM – Library and Archives Canada
http://www.collectio[...]
2012-10-12
[44]
웹사이트
dutchcharts.nl The Beatles – Let It Be
http://dutchcharts.n[...]
MegaCharts
2012-10-12
[45]
서적
Suomi soi 4: Suuri suomalainen listakirja
Tammi
[46]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2-05-31
[47]
웹사이트
Yamachan Land (Japanese Chart Archives) - Albums Chart Daijiten > The Beatles
http://www7a.biglobe[...]
Original Confidence
2012-10-12
[48]
웹사이트
norwegiancharts.com The Beatles – Let It Be
http://norwegianchar[...]
2012-10-12
[49]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69–1972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
2012-10-12
[50]
웹사이트
The Beatles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www.officialc[...]
2016-05-13
[51]
웹사이트
The Beatles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1-09-30
[52]
웹사이트
Album Search: The Beatles – Let It Be
http://www.officialc[...]
Media Control
2012-10-12
[53]
웹사이트
austriancharts.at The Beatles – Let It Be
http://austrianchart[...]
2012-10-12
[54]
웹사이트
ultratop.be The Beatles – Let It Be
https://www.ultratop[...]
Ultratop
2012-10-12
[55]
웹사이트
ultratop.be The Beatles – Let It Be
https://www.ultratop[...]
Ultratop
2012-10-12
[56]
웹사이트
danishcharts.dk The Beatles – Let It Be
https://danishcharts[...]
2012-10-12
[57]
웹사이트
finnishcharts.com The Beatles – Let It Be
http://finnishcharts[...]
2012-10-12
[58]
웹사이트
Highest position and charting weeks of ''Let It Be'' (2009 Remaster) by The Beatles
http://www.oricon.co[...]
Oricon
2012-10-12
[59]
웹사이트
mexicancharts.com The Beatles – Let It Be
http://mexicancharts[...]
mexicancharts.com
2012-10-12
[60]
웹사이트
portuguesecharts.com The Beatles – Let It Be
http://portuguesecha[...]
2012-10-12
[61]
웹사이트
The Beatles – Let It Be
http://spanishcharts[...]
2012-10-12
[62]
웹사이트
swedishcharts.com The Beatles – Let It Be
http://swedishcharts[...]
2012-10-12
[63]
웹사이트
The Beatles – Let It Be – hitparade.ch
http://hitparade.ch/[...]
Swiss Music Charts
2012-10-12
[64]
웹사이트
charts.nz The Beatles – Let It Be
https://charts.nz/sh[...]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New Zealand
2012-10-12
[65]
웹사이트
Official Albums Chart Top 100 (13 September 2009 – 19 September 2009)
http://www.officialc[...]
2016-05-14
[66]
웹사이트
ARIA Top 50 Albums for week of 25 October 2021
https://www.aria.com[...]
ARIA Charts
2021-10-24
[67]
웹사이트
NZ Top 40 Albums Chart
https://aotearoamusi[...]
Recorded Music NZ
2021-10-25
[68]
웹사이트
Young Thug's "Punk" Debuts at No.1 on Billboard 200 Albums Chart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1-10-25
[69]
웹사이트
1970s Albums Chart Archive
http://www.everyhit.[...]
The Official Charts Company
2012-10-12
[70]
웹사이트
Billboard.BIZ – TOP POP ALBUMS OF 1970
http://www.billboard[...]
2012-10-12
[71]
웹사이트
Top-ten of the Japanese Year-End Albums Charts 1970–1974
http://entamedata.we[...]
Oricon
2012-10-12
[72]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73]
웹사이트
Discos de oro y platino
http://www.capif.org[...]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2019-09-30
[74]
뉴스
Beatles albums finally go platinum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9-04
[75]
AllMusic
Let It Be - The Beatles {{!}} Songs, Reviews, Credits
2020-10-10
[76]
간행물
2014-09
[77]
간행물
The Beatles' 'Let It Be' at 45: Classic Track-by-Track Album Review
https://www.billboar[...]
2020-10-10
[78]
문서
1987年のCD化においてイギリス盤公式オリジナル・アルバムと同等の扱いを受けたアメリカ・[[キャピトルレコード]]編集アルバムの『[[マジカル・ミステリー・ツアー (代表的なトピック)|マジカル・ミステリー・ツアー]]』が、2009年9月9日にリリースされたデジタルリマスター盤において発売日順に従い9作目に順番付けられたため、現在は13作目とされているが、[[ビートルズの作品#英国盤公式オリジナル・アルバム|イギリス盤公式オリジナル・アルバム]]としては12作目である。
[79]
잡지
George Is a Rocker Again! (Part 2)
1968-09-28
[80]
뉴스
Let It Be, Paul
https://www.chicagot[...]
2019-10-06
[81]
뉴스
『レット・イット・ビー』の終わらない旅 -52年目の〈ゲット・バック・セッション〉-
https://www.phileweb[...]
phileweb.com
2021-12-10
[82]
문서
映画『[[ヘルプ!4人はアイドル]]』などの撮影に使用された。
[83]
문서
あくまでもライブ用のリハーサル・セッションの記録が目的であったので、撮影しやすいという観点からトゥイッケナム映画撮影所が選ばれた。
[84]
문서
この名称は正式なものではなく、このセッションで作られた曲「[[ゲット・バック]]」、未発売に終わったアルバム『ゲット・バック』、さらにマッカートニーの「原点回帰」的なコンセプトの一連のプロジェクトを結び付けて後から言われるようになったものであって、最初から「'''原点に返ろう'''=Get back」という言葉を明確かつ具体的に掲げてセッションが行われた訳ではない。
[85]
문서
『[[ザ・ビートルズ: Get Back]]』DISC 1、[[ウォルト・ディズニー・ジャパン]]、2022年7月13日。
[86]
문서
『[[ザ・ビートルズ: Get Back]]』DISC 2、[[ウォルト・ディズニー・ジャパン]]、2022年7月13日。
[87]
문서
The Beatles: Get Back| Jackson| 2021| 00:10:40
[88]
문서
口論の光景は映画にも使われた。
[89]
문서
"{{harvnb|Lewisohn|1996|pages=306-307}}"
[90]
문서
これらのリハーサルの模様は、映画『[[レット・イット・ビー (映画)|レット・イット・ビー]]』に一部採用されているほか、2003年に発売された『[[レット・イット・ビー...ネイキッド]]』の[[ボーナス・トラック|ボーナス・ディスク]]『Fly on the Wall』、さらに2021年に発売された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のスーパー・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には、「ゲット・バック - リハーサル・アンド・アップル・ジャムズ」の名称で音源の一部が収録された。
[91]
문서
本来は20日から始まるはずだったが機器の設置が間に合わず、録音は見合わせられた。
[92]
뉴스
20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The Beatles' Rooftop Concert
http://www.mojo4musi[...]
Mojo
2019-06-26
[93]
뉴스
20 Things You Need To Know About The Beatles' Rooftop Concert
http://www.mojo4musi[...]
Mojo
2019-06-26
[94]
문서
「[[トゥ・オブ・アス]]」「[[ザ・ロング・アンド・ワインディング・ロード]]」「レット・イット・ビー」の3曲で、いずれもこの日の映像が映画で使用された。
[95]
문서
「[[アイ・ミー・マイン]]」「レット・イット・ビー」「フォー・ユー・ブルー」は、1970年1月にアルバム収録のための追加レコーディングが、すでにグループを脱退していたレノン抜きで行われた。
[96]
문서
この依頼を受ける前、「ゲット・バック・セッション」直後の2月5日に「ルーフトップ・コンサート」のミキシングを[[アラン・パーソンズ]]とともに行っている。
[97]
문서
[[ドリフターズ (アメリカ)|ドリフターズ]]のカバー曲。
[98]
문서
シングル盤に収録されたテイクと同じ音源。
[99]
문서
『レット・イット・ビー』のものとはベース・トラックは同じであるが、『レット・イット・ビー』のものは1970年1月8日にヴォーカルを録音し直し、オーバー・ダビングしたものである。なお『ザ・ビートルズ・アンソロジー3』に収録されたものとは同じ日の録音であるが別テイクである。
[100]
문서
『レット・イット・ビー』とは同じテイクであるが、こちらではフェード・アウトして終わる。
[101]
문서
『レット・イット・ビー』には短く編集された音源が収録された。
[102]
문서
シングル盤とは同じテイクであるが、オーケストラはフィーチャーされていない。オーケストラがオーバー・ダビングされたのは、前述の通り1970年1月4日のセッションである。
[103]
문서
『ザ・ビートルズ・アンソロジー3』に収録されたものと同じ。『レット・イット・ビー』とは同じテイクであるが、オーケストラはフィーチャーされていない。
[104]
문서
レノンも気に入ったこの写真は、のちに『[[ザ・ビートルズ1967年〜1970年]]』のジャケットに用いられた。
[105]
문서
レノンは9月に行われたアップル本社での会議で脱退を宣言していたが、レコード会社との契約更新に悪影響があることを恐れたマネージャーの[[アラン・クレイン]]の説得で秘密にされていた。
[106]
문서
[107]
문서
[108]
booklet
Anthology 3
Apple Records
[109]
뉴스
Buried Treasure: The Story of the Beatles' Lost Tapes
http://www.rollingst[...]
2020-04-27
[110]
문서
[111]
문서
[112]
웹사이트
Billboard 200 Chart
https://www.billboar[...]
Billboard
1970-07-04
[113]
웹사이트
Billboard.BIZ – TOP POP ALBUMS OF 1970
http://www.billboard[...]
2019-03-30
[114]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1-12-28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웹사이트
The Naked Truth About The Beatles' Let It BeNaked
https://web.archive.[...]
Mix Books
2021-11-15
[119]
웹사이트
ザ・ビートルズの全オリジナル・アルバム、遂にデジタル・リマスターが9月9日発売に!!
https://rockinon.com[...]
2021-11-15
[120]
뉴스
ビートルズ、アルバム 『レット・イット・ビー』が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で発売決定
https://nme-jp.com/n[...]
BandLab UK Limited
2021-08-28
[121]
뉴스
ビートルズ「レット・イット・ビー」SPエディションが10・15世界同時発売
https://www.daily.co[...]
株式会社デイリースポーツ
2021-08-27
[122]
웹사이트
ザ・ビートルズ『レット・イット・ビー』 ビートルズ最後のアルバムを貴重音源満載の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で味わいつくす
https://www.cdjourna[...]
CDジャーナル
2021-12-02
[123]
뉴스
THE BEATLES(ザ・ビートルズ)、最後のオリジナル・アルバム『Let It Be』が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で10月15日リリース決定
https://tower.jp/art[...]
タワーレコード
2021-09-29
[124]
웹사이트
改めて触れたい色あせないビートルズの魅力 新装された名盤「レット・イット・ビー」を解説
https://www.tokyo-sp[...]
東スポWeb
2022-03-19
[125]
웹사이트
Sam Okell
https://www.abbeyroa[...]
2024-12-20
[126]
웹사이트
Sam Okell Awards
https://www.imdb.com[...]
2024-12-20
[127]
서적
51年目に聴き直す「レット・イット・ビー」深掘り鑑賞ガイド(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ムック)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メント
2021-11-16
[128]
문서
[129]
웹사이트
Streaming the rooftop concert
http://webgrafikk.co[...]
The Daily Beatle
2022-03-19
[130]
웹사이트
ザ・ビートルズのルーフトップ・コンサートが完全版で初の音楽配信開始。新規ミックスした10曲収録
https://www.udiscove[...]
uDiscoverMusic
2022-03-19
[131]
웹사이트
ビートルズ『Let It Be』が全米5位を獲得、51年ぶりにTOP10入り
https://www.udiscove[...]
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2021-11-20
[132]
웹사이트
Let It Be
[133]
문서
[134]
문서
[135]
웹사이트
Top Albums/CDs - Volume 13, No. 22
http://www.collectio[...]
カナダ国立図書館・文書館
2020-10-10
[136]
웹사이트
Swedish Charts 1969-1972
http://www.hitsaller[...]
Hitsallertijden
2020-10-10
[137]
뉴스
Offizielle Deutsche Charts - The Beatles - Let It Be
https://www.offiziel[...]
2020-10-10
[138]
웹사이트
finnishcharts.com - The Beatles - Let It Be
https://finnishchart[...]
2021-11-18
[139]
뉴스
ザ・ビートルズ“リマスター”全16作トップ100入り「売上金額は23.1億円」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0-10-10
[140]
웹사이트
Billboard Japan Top Albums Sales {{!}} Charts
https://www.billboar[...]
阪神コンテンツリンク
2022-03-19
[141]
웹사이트
mexicancharts.com - The Beatles - Let It Be
http://mexicancharts[...]
2020-10-10
[142]
뉴스
10/25付週間アルバムランキング1位はENHYPENの『DIMENSION:DILEMMA』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1-11-18
[143]
웹사이트
Billboard Japan Download Albums {{!}} Charts
https://www.billboar[...]
阪神コンテンツリンク
2021-10-20
[144]
웹사이트
Billboard Japan Hot Albums {{!}} Charts
https://www.billboar[...]
阪神コンテンツリンク
2021-10-20
[145]
웹사이트
Billboard Japan Top Albums Sales {{!}} Charts
https://www.billboar[...]
阪神コンテンツリンク
2021-10-20
[146]
뉴스
The Beatles' 'Let It Be' Returns to Billboard Charts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1-10-25
[147]
웹사이트
1970s Albums Chart Archive
http://www.everyhit.[...]
The Official Charts Company
2020-10-10
[148]
웹사이트
Discos de oro y platino
http://www.capif.org[...]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2020-10-10
[149]
뉴스
Beatles albums finally go platinum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9-02
[150]
서적
The Complete Beatles Chronicle
Chancellor Press
1996
[151]
서적
The Complete Beatles Recording Sessions
Hamlyn Publishing Group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