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RF (방송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RF(오스트리아 방송 협회)는 1923년 오스트리아에서 시작된 공영 방송사로, 라디오 헤카폰의 시험 방송을 시작으로 1955년 ORF로 재편되었다. 현재 ORF는 텔레비전 채널 ORF 1, ORF 2, ORF III 등을 포함한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라디오 채널 Ö1, Ö2, Hitradio Ö3, FM4 등을 제공한다. 재정은 광고와 수신료로 충당하며, 수신료는 주마다 차등 적용된다. ORF는 각 주에 지역 스튜디오를 두고 지역 방송을 제작하며, 주요 인물로는 아르민 아싱어, 미르얌 바이히셀브라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영 방송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공영 방송 - 스페셜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스페셜 브로드캐스팅 서비스(SBS)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공영 방송사로, 다문화 및 다국어 방송을 제공하며 다양한 텔레비전 채널과 라디오 서비스를 통해 다문화주의 증진과 폭넓은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한다.
  • 국영 매체 - 프랑스 24
    프랑스 정부 소유의 프랑스 24는 프랑스 메디아 몽드 산하 국제 뉴스 채널로, 프랑스어, 영어, 아랍어, 스페인어로 전 세계에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프랑스의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국영 매체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ORF (방송사)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에르에프 로고
오에르에프 로고
공식 명칭오스트리아 방송
독일어 명칭Österreichischer Rundfunk (외스테라이히셔 룬트풍크)
이전 명칭Ravag (Radio Verkehrs AG) (라디오 페어케어스 아게)
국가오스트리아
방송망 종류텔레비전 네트워크라디오 네트워크
가청 범위오스트리아, 체코,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의 일부 지역
본사 위치오에르에프-첸트룸, 후고-포르티슈-가세 1, 1136 빈,
주요 인물(롤란트 바이스만) (총괄 이사)
개국일1955년 8월 1일
웹사이트오에르에프 공식 웹사이트
오에르에프 기업 웹사이트
슬로건ORF. Wie wir. (오에르에프. 비 비어. (오에르에프. 우리처럼.))

2. 역사

1923년 4월 1일 오스트리아에서 라디오 헤카폰에 의해 최초의 비규제 시험 전송이 시작되었다. 이는 라디오 개척자이자 애호가인 Oskar Czeija/오스카 체이야de(1887–1958)가 운영하였다. 9월 2일에는 오스트리아 대통령 미하엘 하이니쉬(1858–1940)의 첫 방송 연설이 있었다. 1924년 2월, 방송 시작 허가를 받은 것은 Radio-Verkehrs-Aktiengesellschaft(RAVAG)로, 체야가 사장으로 임명되었다. 1924년 10월 1일부터 전쟁부 건물 내 임시 스튜디오에서 정규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Radio Wien (Welle 530)|italic=node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24년 10월 말까지 청취자는 이미 3만 명이었고, 1925년 1월까지는 10만 명에 달했다.

1924년부터 RAVAG가 사용했던 옛 전쟁부 청사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 된 후 RAVAG는 1955년 8월 1일 ORF로 재편된다. 1974년까지는 연방과 주가 출자한 유한회사였으나, 같은 해 방송법의 개정으로 독점적 공영방송 네트워크로 발족하였다.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 본부


오스트리아에서 최초의 비규제 시험 전송은 1923년 4월 1일에 시작되었으며, 이는 1921년에 무선 면허를 신청한 라디오 개척자이자 애호가인 de/오스카 체이야de(1887–1958)가 운영하는 라디오 헤카폰에 의해 이루어졌다. 처음에 그는 비엔나 브리기테나우 지구에 있는 자신의 전화 공장에서, 나중에는 인근의 TGM 기술 대학에서 전파를 송출했다. 9월 2일에는 오스트리아 대통령 미하엘 하이니쉬(1858–1940)의 첫 방송 연설이 있었다. 1년 후, 독일 텔레풍켄 회사에서 설계한 강력한 송신기가 비엔나 중심부 링슈트라세de에 있는 전 전쟁부 건물 옥상에 설치되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Radio Hekaphon"이 1923년에 시험 방송을 실시, 1924년에는 연방 정부와 빈 시, 민간 은행이 합자하여 공공 라디오 방송국 "RAVAG (Radio-Verkehrs-Aktiengesellschaft ("Radio Communication Company Ltd")"를 개국, 정식으로 면허를 얻어 방송을 시작했다. 그 후, 전쟁성 건물 내에서 라디오 빈도 개국, 1924년 말에는 청취자 약 3만 명, 1925년에는 10만 명이 되었다. 1934년에 제1공화국이 폐지되어 독재적인 오스트로파시즘 체제가 도입되었을 때, RAVAG 스튜디오는 2월 내란의 전장이 되었다. 1935년부터 새로운 방송 거점 라디오 문화관(Radiokulturhaus, 현재의 Funkhaus Wien)이 건축되어 방송이 재개되었다. 당시 정부는 RAVAG를 나치 선전에 이용했다.

1945년 종전 후의 연합군 군정기에 RAVAG가 라디오 방송을 재개, 새로운 라디오 빈도 재개했다. Funkhaus Wien은 빈의 소비에트 연방 관리 지구에 있었고, RAVAG/라디오 빈은 냉전 시대에도 동측의 선전을 계속했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은 자국 계열 방송국을 창설했다.

1955년에 지역 방송국 여러 곳이 통합되어 "오스트리아 방송 연합(Österreichisches Rundspruchwesen ("Austrian Broadcasting Entity") )"이 발족, 그 후, 1958년에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Österreichischer Rundfunk GmbH)"로 개칭. 현재의 ORF의 전신 조직이 되었다.

1967년과 2015년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제작.

2. 1. 설립 초기 (1923년 ~ 1938년)

1923년 4월 1일, 오스트리아에서 라디오 헤카폰에 의해 최초의 비규제 시험 전송이 시작되었다. 이는 라디오 개척자이자 애호가인 Oskar Czeija/오스카 체이야de(1887–1958)가 운영하였다. 9월 2일에는 오스트리아 대통령 미하엘 하이니쉬(1858–1940)의 첫 방송 연설이 있었다. 1924년 2월, 방송 시작 허가를 받은 것은 Radio-Verkehrs-Aktiengesellschaft(RAVAG)로, 체야가 사장으로 임명되었다. 1924년 10월 1일부터 전쟁부 건물 내 임시 스튜디오에서 정규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Radio Wien (Welle 530)|italic=node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24년 10월 말까지 청취자는 이미 3만 명이었고, 1925년 1월까지는 10만 명에 달했다.

초기 RAVAG 쇼는 어린이와 "예술 공예" (예: Bastelstunde)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1925년에는 외부 방송이 처음으로 빈 국립 오페라와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방송되었다. 반면, 뉴스 방송은 오스트리아 언론과 연방 정부의 '중립주의' 정책에 대한 존중의 표시로 작은 부분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8년에는 정기적인 스포츠 방송이 시작되었고, 1930년에는 오스트리아 총선이 광범위하게 보도되었다.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폐지 과정에서 오스트로파시즘 Ständestaat이 1934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수상에 의해 시행되었고, RAVAG|italic=node 스튜디오는 오스트리아 내전 중 무장되었으며, 여러 반군이 스튜디오에 들어가 돌푸스의 사임을 발표했을 때, 나치 7월 쿠데타의 주동자들에 의해서도 무장되었다. 돌푸스의 후임 쿠르트 슈슈니크 (1897–1977)는 파괴된 방송 센터를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 (1886–1983)가 설계하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건립된, 빈 비엔에 있는 테레지아눔 아카데미 근처의 새로운 Radiokulturhaus|italic=node 건물(현재 Funkhaus Wien|italic=node)로 교체했다.

빈 아르헨티니에르슈트라세에 있는 Funkhaus Wien

2. 2. 나치 독일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 1945년)

1938년 안슐루스 이후, RAVAG는 독일의 라이히스-룬트풍크-게젤샤프트(Reichs-Rundfunk-Gesellschaft, RRG)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나치 독일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RAVAG는 독일의 라디오 네트워크의 일부로 운영되었으며, 오스트리아는 독일의 선전 방송을 송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쿠르트 슈슈니크 (1897–1977)는 파괴된 방송 센터를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 (1886–1983)가 설계하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건립된, 빈 비엔에 있는 테레지아눔 아카데미 근처의 새로운 Radiokulturhaus|italic=node 건물(현재 Funkhaus Wien|italic=node)로 교체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RAVAG 방송을 프로파간다 활동에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뮌헨 지역의 독일 송신국에서 방송되는 대규모 국경 간 나치 선전 방송에 맞서 싸웠을 뿐만 아니라 미사 축하의 생중계를 장려했다.

2. 3. 전후 재건과 냉전 시대 (1945년 ~ 1955년)

1923년 4월 1일, 오스트리아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Radio Hekaphon"이 시험 방송을 실시했고, 1924년 연방 정부와 빈 시, 민간 은행이 합자하여 공공 라디오 방송국 "RAVAG (Radio-Verkehrs-Aktiengesellschaft)"를 개국하여 정식으로 면허를 얻어 방송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연합군 군정기 동안 RAVAG는 라디오 방송을 재개했다. Funkhaus Wien은 빈의 소비에트 연방 관리 지구에 있었고, RAVAG/라디오 빈은 냉전 시대에도 동측의 선전을 계속했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은 자국 계열 방송국을 창설했다.

1934년까지 전국에 설치된 중계 송신기를 통해 모든 오스트리아 국민은 월 2 실링의 요금으로 Radio Wien|italic=node을 청취할 수 있었다. 라디오 프로그램은 종종 교양 있는 청취자를 대상으로 클래식 음악, 문학, 강연을 선보였다. 1925년에는 외부 방송이 처음으로 빈 국립 오페라와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방송되었다. 반면, 뉴스 방송은 오스트리아 언론과 연방 정부의 '중립주의' 정책에 대한 존중의 표시로 작은 부분을 차지했다. 1928년에는 정기적인 스포츠 방송이 시작되었고, 1930년에는 오스트리아 총선이 광범위하게 보도되었다.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폐지 과정에서 오스트로파시즘 Ständestaat이 1934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수상에 의해 시행되었고, RAVAG|italic=node 스튜디오는 2월 내전 중 무장되었다. 돌푸스의 후임 쿠르트 슈슈니크는 파괴된 방송 센터를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가 설계하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건립된, 빈 비엔에 있는 테레지아눔 아카데미 근처의 새로운 Radiokulturhaus|italic=node 건물(현재 Funkhaus Wien|italic=node)로 교체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RAVAG 방송을 프로파간다 활동에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뮌헨 지역의 독일 송신국에서 방송되는 대규모 국경 간 나치 선전 방송에 맞서 싸웠다.

1955년에 지역 방송국 여러 곳이 통합되어 "오스트리아 방송 연합(Österreichisches Rundspruchwesen)"이 발족되었고, 그 후, 1958년에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Österreichischer Rundfunk GmbH)"로 개칭되어 현재 ORF의 전신 조직이 되었다.

2. 4. ORF 설립과 발전 (1955년 ~ 현재)

1923년 4월 1일, 오스트리아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Radio Hekaphon"이 시험 방송을 실시했고, 1924년 연방 정부와 빈 시, 민간 은행이 합자하여 공공 라디오 방송국 "RAVAG (라디오 통신 회사/Radio-Verkehrs-Aktiengesellschaftde)"를 설립, 정식으로 면허를 받아 방송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연합군 군정기를 거쳐 RAVAG는 1955년 8월 1일 ORF로 재편되었다. 1955년, 지역 방송국 여러 곳이 통합되어 "오스트리아 방송 연합(Österreichisches Rundspruchwesen)"이 발족되었고, 이는 1958년 "오스트리아 방송 협회(Österreichischer Rundfunk GmbH)"로 개칭되어 현재 ORF의 전신이 되었다.

1924년 2월 방송 시작 허가를 받은 RAVAG는 체야를 사장으로 임명하고, 1924년 10월 1일 전쟁부 건물 내 임시 스튜디오에서 정규 방송을 시작했다. 이 건물은 라디오 빈/Radio Wien (Welle 530)de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24년 10월 말 청취자는 3만 명, 1925년 1월에는 10만 명에 달했다. 1934년까지 전국에 중계 송신기를 설치하여 모든 오스트리아 국민은 월 2 실링의 요금으로 라디오 빈/Radio Wiende을 청취할 수 있었다.

초기 RAVAG 프로그램은 교양 있는 청취자를 대상으로 클래식 음악, 문학, 강연 등을 제공했다. 1925년 빈 국립 오페라와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외부 방송이 처음으로 방송되었다. 1928년에는 정기적인 스포츠 방송이 시작되었고, 1930년에는 오스트리아 총선이 광범위하게 보도되었다. 당시 RAVAG는 약 50만 명의 청취자를 확보하며 대중 매체로 자리 잡았다.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폐지 과정에서 오스트로파시즘 Ständestaat이 1934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수상에 의해 시행되었고, RAVAG|RAVAGde 스튜디오는 오스트리아 내전 중 무장되었다. 돌푸스 후임 쿠르트 슈슈니크는 파괴된 방송 센터를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가 설계하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건립된, 빈 비엔에 있는 테레지아눔 아카데미 근처의 새로운 Radiokulturhaus|라디오쿨투어하우스de(현재 Funkhaus Wien|풍크하우스 빈de) 건물로 교체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RAVAG 방송을 프로파간다 활동에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1945년 종전 후 연합군 군정기에 RAVAG는 라디오 방송을 재개했고, 새로운 라디오 빈도도 개국했다. Funkhaus Wien|풍크하우스 빈de은 빈의 소비에트 연방 관리 지구에 있었고, RAVAG/Radio Wien|라디오 빈de냉전 시대에도 동측의 선전을 계속했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은 자국 계열 방송국을 창설했다.

ORF는 1967년과 2015년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를 제작했다.

3. 재정

ORF의 본사


ORF는 광고료와 수신료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비율은 각각 2:3이다. 1일 광고 방송 시간은 텔레비전은 20분, 라디오는 120분이며, 일요일과 기념일은 광고 방송을 할 수 없다.

ORF는 1998년부터 자회사인 게뷔렌 인포 서비스/Gebühren Info Servicede(GIS)가 관리하는 TV 면허료로 자금을 조달한다. 지불해야 할 금액은 주마다 다르다. 2022년 기준으로 슈타이어마르크주가 연간 TV 면허료가 343.80유로로 가장 높고, 잘츠부르크주부르겐란트주가 연간 라디오 면허료가 94.92유로로 가장 높다. 2022년 7월부터 연간 수수료는 다음과 같다.

텔레비전라디오
부르겐란트주341.40유로94.92유로
케른텐주330.60유로92.52유로
니더외스터라이히주339.00유로93.72유로
오버외스터라이히주269.40유로75.72유로
잘츠부르크주325.80유로94.92유로
슈타이어마르크주343.80유로94.92유로
티롤주317.40유로88.92유로
포어알베르크주269.40유로75.72유로
339.00유로94.20유로



2024년 1월부터 네함머 내각이 발의한 ORF 개혁의 일환으로 GIS 조직이 폐지되고 관련 TV 면허료는 ''ORF-Beitrags Service GmbH''가 관리하는 새로운 의무적인 ORF 가구세로 대체될 예정이다. 그 결과, "GIS 면제"를 선언하고 GIS 수수료를 면제하기 위해 안테나 또는 튜너를 TV에서 제거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허점(2008년 오스트리아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합법으로 선언되고, 2015년 오스트리아 최고 행정 법원에서 확인되어 일반 및 스마트 TV를 내장 안테나 또는 튜너 없이 판매하는 시장을 창출)이 새로운 시스템 하에서 폐쇄될 것이다.

3. 1. 수신료 징수 제도

ORF는 광고료와 수신료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비율은 각각 2:3이다. 1일 광고 방송 시간은 텔레비전은 20분, 라디오는 120분이며, 일요일과 기념일은 광고 방송을 할 수 없다.

ORF는 1998년부터 자회사인 게뷔렌 인포 서비스/Gebühren Info Servicede(GIS)가 관리하는 TV 면허료로 자금을 조달한다. 지불해야 할 금액은 주마다 다르다. 2022년 기준으로 슈타이어마르크주가 연간 TV 면허료가 343.80유로로 가장 높고, 잘츠부르크주부르겐란트주가 연간 라디오 면허료가 94.92유로로 가장 높다. 2022년 7월부터 연간 수수료는 다음과 같다.

텔레비전라디오
부르겐란트주341.40유로94.92유로
케른텐주330.60유로92.52유로
니더외스터라이히주339.00유로93.72유로
오버외스터라이히주269.40유로75.72유로
잘츠부르크주325.80유로94.92유로
슈타이어마르크주343.80유로94.92유로
티롤주317.40유로88.92유로
포어알베르크주269.40유로75.72유로
339.00유로94.20유로



2024년 1월부터 네함머 내각이 발의한 ORF 개혁의 일환으로 GIS 조직이 폐지되고 관련 TV 면허료는 ''ORF-Beitrags Service GmbH''가 관리하는 새로운 의무적인 ORF 가구세로 대체될 예정이다. 그 결과, "GIS 면제"를 선언하고 GIS 수수료를 면제하기 위해 안테나 또는 튜너를 TV에서 제거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허점(2008년 오스트리아 의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합법으로 선언되고, 2015년 오스트리아 최고 행정 법원에서 확인되어 일반 및 스마트 TV를 내장 안테나 또는 튜너 없이 판매하는 시장을 창출)이 새로운 시스템 하에서 폐쇄될 것이다.

4. 채널

ORF의 라디오 채널은 다음과 같다.


  • Ö1: 종합 편성 채널로 클래식 등 음악 프로그램과 뉴스, 시사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Ö2: 9개의 지역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 방송국은 매일 오전과 밤에 자체 방송을 실시한다.
  • 라디오 빈/Radio Wiende ()
  • 라디오 니더외스터라이히/Radio Niederösterreichde (니더외스터라이히주)
  • 라디오 오버외스터라이히/Radio Oberösterreichde (오버외스터라이히주)
  • 라디오 부르겐란트/Radio Burgenlandde (부르겐란트주)
  • 라디오 잘츠부르크/Radio Salzburgde (잘츠부르크주)
  • 라디오 슈타이어마르크/Radio Steiermarkde (슈타이어마르크주)
  • 라디오 티롤/Radio Tirolde (티롤주, 이탈리아의 남부 티롤 지방에도 청취 가능)
  • 라디오 포어아를베르크/Radio Vorarlbergde (포어아를베르크주)
  • 라디오 케른텐/Radio Kärntende (케른텐주)
  • Hitradio Ö3: 팝 음악 채널로, 매주 금요일 Ö3 Austria Top 40이라는 오스트리아 공식 싱글 차트를 발표한다.
  • FM4: 청소년 문화 채널이다.


이전의 Ö2는 9개의 지역 채널(오스트리아의 주 또는 연방주에 하나씩)로 대체되었다. 1964년 국민 투표를 거쳐 1967년, 라디오 방송은 Ö1, Ö2, Ö3의 3개 채널로 정리되었으며, 1995년부터 젊은 층을 위한 FM4가 시작되었다.

이 모든 라디오 채널은 FM 방송으로 지상파 방송되며, SES 아스트라 위성의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동경 19.2°에서 방송된다. ORF의 모든 국내 라디오 채널은 인터넷을 통해서도 스트리밍되며, 인터넷 전용 24시간 뉴스 채널인 Ö1 인포라디오도 운영된다. Ö1의 국제 방송 버전인 Ö1 International은 단파를 통해 방송되며, 영어와 스페인어 프로그램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ORF는 1955년 ORF 1을 개국하며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61년에는 FS2(현재의 ORF 2)가 개국했다. ORF 1은 드라마, 영화, 오락 중심의 종합 편성 채널이며, ORF 2는 문화, 보도 중심의 종합 편성 채널로 일부 지역 자체 방송도 실시한다. 1992년까지 FS1은 ORF 1, FS2는 ORF 2로 방송되었다.

빈에서 ORF 기자의 인터뷰 모습


2005년에는 여행·날씨 전문 방송국인 TW1을 인수하여 2011년 ORF III로 명칭을 변경했다. ORF III는 교양, 예술, 다큐멘터리 중심 채널이다. 2000년 TW1에서 시작한 스포츠 전문 방송은 현재 ORF Sport +로 방송되고 있다.

ORF 텔레비전 채널은 지상파 텔레비전 및 SES 아스트라 1H 위성 텔레비전을 통해 동경 19.2°에서 방송된다. 위성을 통해 ORF 1과 ORF 2는 암호화되어 오스트리아 텔레비전 면허 요금(GIS)을 지불하는 오스트리아 거주자만 시청할 수 있다. ORF 2 유럽은 암호화되지 않아 유럽에서 위성으로 수신할 수 있다.

ORF는 하이브리드 방송 광대역 TV (HbbTV) 이니셔티브를 지지하며, 1995년 3월 6일부터 하루 24시간 방송을 한다. 이탈리아령 볼차노 자치현(남티롤)(과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의 독일어 사용 주민을 위한 방송도 실시하고 있으며, "Südtirol Heute(「오늘의 남티롤」)"라는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고 있다.

ORF의 텔레비전 채널은 다음과 같다.

  • ORF 1
  • ORF 1 HD
  • ORF 2 (지역 프로그램 포함)
  • ORF 2 HD
  • ORF 2 유럽
  • ORF III
  • ORF Sport + (구 ORF Sport Plus)
  • ORF 키즈
  • 3sat (ARD, ZDF, SRF와 제휴)

4. 1. 라디오

ORF의 라디오 채널은 다음과 같다.

  • Ö1: 종합 편성 채널로 클래식 등 음악 프로그램과 뉴스, 시사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Ö2: 9개의 지역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 방송국은 매일 오전과 밤에 자체 방송을 실시한다.
  • 라디오 빈/Radio Wiende ()
  • 라디오 니더외스터라이히/Radio Niederösterreichde (니더외스터라이히주)
  • 라디오 오버외스터라이히/Radio Oberösterreichde (오버외스터라이히주)
  • 라디오 부르겐란트/Radio Burgenlandde (부르겐란트주)
  • 라디오 잘츠부르크/Radio Salzburgde (잘츠부르크주)
  • 라디오 슈타이어마르크/Radio Steiermarkde (슈타이어마르크주)
  • 라디오 티롤/Radio Tirolde (티롤주, 이탈리아의 남부 티롤 지방에도 청취 가능)
  • 라디오 포어아를베르크/Radio Vorarlbergde (포어아를베르크주)
  • 라디오 케른텐/Radio Kärntende (케른텐주)
  • Hitradio Ö3: 팝 음악 채널로, 매주 금요일 Ö3 Austria Top 40이라는 오스트리아 공식 싱글 차트를 발표한다.
  • FM4: 청소년 문화 채널이다.


이전의 Ö2는 9개의 지역 채널(오스트리아의 주 또는 연방주에 하나씩)로 대체되었다. 1964년 국민 투표를 거쳐 1967년, 라디오 방송은 Ö1, Ö2, Ö3의 3개 채널로 정리되었으며, 1995년부터 젊은 층을 위한 FM4가 시작되었다.

이 모든 라디오 채널은 FM 방송으로 지상파 방송되며, SES 아스트라 위성의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동경 19.2°에서 방송된다. ORF의 모든 국내 라디오 채널은 인터넷을 통해서도 스트리밍되며, 인터넷 전용 24시간 뉴스 채널인 Ö1 인포라디오도 운영된다. Ö1의 국제 방송 버전인 Ö1 International은 단파를 통해 방송되며, 영어와 스페인어 프로그램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4. 2. 텔레비전

ORF는 1955년 ORF 1을 개국하며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61년에는 FS2(현재의 ORF 2)가 개국했다. ORF 1은 드라마, 영화, 오락 중심의 종합 편성 채널이며, ORF 2는 문화, 보도 중심의 종합 편성 채널로 일부 지역 자체 방송도 실시한다. 1992년까지 FS1은 ORF 1, FS2는 ORF 2로 방송되었다.

2005년에는 여행·날씨 전문 방송국인 TW1을 인수하여 2011년 ORF III로 명칭을 변경했다. ORF III는 교양, 예술, 다큐멘터리 중심 채널이다. 2000년 TW1에서 시작한 스포츠 전문 방송은 현재 ORF Sport +로 방송되고 있다.

ORF 텔레비전 채널은 지상파 텔레비전 및 SES 아스트라 1H 위성 텔레비전을 통해 동경 19.2°에서 방송된다. 위성을 통해 ORF 1과 ORF 2는 암호화되어 오스트리아 텔레비전 면허 요금(GIS)을 지불하는 오스트리아 거주자만 시청할 수 있다. ORF 2 유럽은 암호화되지 않아 유럽에서 위성으로 수신할 수 있다.

ORF는 하이브리드 방송 광대역 TV (HbbTV) 이니셔티브를 지지하며, 1995년 3월 6일부터 하루 24시간 방송을 한다. 이탈리아령 볼차노 자치현(남티롤)(과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의 독일어 사용 주민을 위한 방송도 실시하고 있으며, "Südtirol Heute(「오늘의 남티롤」)"라는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고 있다.

ORF의 텔레비전 채널은 다음과 같다.

  • ORF 1
  • ORF 1 HD
  • ORF 2 (지역 프로그램 포함)
  • ORF 2 HD
  • ORF 2 유럽
  • ORF III
  • ORF Sport + (구 ORF Sport Plus)
  • ORF 키즈
  • 3sat (ARD, ZDF, SRF와 제휴)

5. 지역 스튜디오

ORF는 각 주에 하나씩의 지역 스튜디오를 두고 있으며, 각 주는 ORF2를 통해 방송되는 자체 라디오 및 주 텔레비전을 제작한다. 티롤의 지역 스튜디오는 이탈리아 남티롤의 독일어 사용 인구를 위한 지역 텔레비전 및 라디오도 제작한다. 각 주마다 자체 스튜디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ORF 프로그램은 빈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쇼가 빈에서 제작되기 때문이다.

6. 주요 인물

오스트리아의 유명 TV 스타들 다수가 ORF에서 활동하고 있다. 여론 조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TV 진행자는 전직 알파인 스키 선수 아르민 아싱어로, 오스트리아판 ''누가 백만장자가 되고 싶은가?''인 ''밀리오넨 쇼/Millionen-Showde''의 진행자이다. 전 MTV 진행자였던 미르얌 바이히셀브라운은 오스트리아판 ''댄싱 위드 더 스타''인 ''댄싱 스타''의 공동 진행자이다.

ORF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코미디 쇼는 코미디언 로베르트 팔프라더가 황제 로베르트 하인리히 1세 역을 맡아 유명 게스트들을 초대해 웃음을 자아내는 ''우리는 황제다''('Wir sind Kaiser')이다. 가장 유명한 뉴스 앵커는 7개의 로미상을 가장 인기 있는 진행자 상으로 수상한 토크쇼 진행자 잉그리드 투른허/Ingrid Thurnherde이다. 또한 심야 뉴스 쇼 ''ZiB 2''에서 날카로운 인터뷰로 유명한 아르민 볼프와 주간 정치 잡지 ''Report''의 진행자 가비 발트너/Gaby Waldnerde도 있다.

7. 로고

ORF(방송사)의 첫 번째 기업 로고인 'ORF 아이'는 1968년 오스트리아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만화가인 에리히 소콜이 디자인했으며, 그는 또한 1967년부터 1992년까지 ORF의 수석 그래픽 아티스트이자 아트 디렉터를 역임했다. 'ORF 아이' 로고는 종종 미국의 상업 방송사 CBS가 사용한 'CBS 아이' 로고와 비교된다. 1992년, ORF는 영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네빌 브로디에게 현재의 기업 로고를 디자인하도록 의뢰했고, 이 로고는 곧 'ORF 벽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68년의 'ORF 아이' 로고는 2011년 완전히 폐지될 때까지 (예: ''차이트 임 빌트''의 타이틀 카드 등) 산발적으로 사용되었다.

8. 국제 협력

ORF는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과 프로그램 교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8. 1. 대한민국과의 관계

ORF는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과 프로그램 교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ustria - Media Landscapes https://medialandsca[...] 2024-04-27
[2] 문서 https://austria-foru[...]
[3] 웹사이트 Übersicht https://www.gis.at/g[...] 2018-02-24
[4] PDF https://www.parlamen[...] 2024-08
[5] inline https://web.archive.[...] 2024-08
[6] 웹사이트 Warum die GIS-freien TVS jetzt noch besser werden https://www.heute.at[...] 2021-09-13
[7] 웹사이트 Haushaltsabgabe: Alle Infos über den ORF-Beitrag, der ab 2024 die GIS-Gebühr ersetzt! https://www.tv-media[...] 2023-07-12
[8] 웹사이트 ORF. WIE WIR. http://kundendienst.[...] 2014-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