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의 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는 9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지리적 특성과 인구 밀도에서 차이를 보인다. 도나우강 계곡에 위치한 주는 경작에 유리하며, 빈은 오스트리아 유일의 수도권으로 인구 밀도가 가장 높다. 반면,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주는 농업에 불리하며, 티롤, 케른텐, 부르겐란트 주는 인구 밀도가 낮다. 오스트리아의 주는 제한적인 자치권을 가지며, 주지사와 주 의회를 통해 운영된다. 각 주는 주 의회에서 선출된 주지사가 행정을 담당하며, 빈은 도시이자 주로서 이중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오스트리아의 군
    오스트리아의 군은 각 주에 존재하는 행정 구역 단위로, 고유한 정보(코드, 설립 연도, 차량 번호판 코드 등)를 가지며, 본 문서는 현존 및 폐지된 군의 목록과 상세 정보, 그리고 주별 현황을 표와 목록으로 제공하여 행정 구역 체계 이해를 돕는다.
  • 오스트리아의 주 -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 - 잘츠부르크주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앙 서쪽에 위치하며 알프스 산맥 북동부에 자리 잡은 주로, 다채로운 역사를 거쳐 현재는 1개의 헌장 도시와 5개의 구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주
개요
오스트리아의 연방주 지도
오스트리아의 연방주 지도 (번호는 지리적 표의 ISO 번호에 해당)
명칭오스트리아의 주
현지 명칭 (독일어)Österreichs Länder / Bundesländer
유형연방주
관할 국가오스트리아
통계
주 개수9
인구 범위294,466명 (부르겐란트주) – 1,911,728명 ()
면적 범위414.82km² (빈) – 19,180km²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정치
정부 형태주 의회
하위 행정 구역구 및 헌장 도시

2. 지리

오스트리아의 주 지도


오스트리아의 주는 지리적으로 크게 두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니더외스터라이히주, , 부르겐란트주의 대부분은 도나우강 계곡에 위치하여 비교적 평탄하고 접근성이 좋은 지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예로부터 농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케른텐주, 잘츠부르크주, 슈타이어마르크주, 티롤주,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알프스 산맥에 걸쳐 있어 산악 지형이 특징이다. 이 지역들은 농업이나 중공업, 장거리 무역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알프스 지역에 속하는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작은 면적과 지리적으로 고립된 위치, 그리고 독특한 알레만어 문화 등으로 인해 다른 주들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지리적 차이는 각 주의 인구 분포와 밀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2. 1. 인구 밀도

오스트리아의 각 주별 인구, 면적, 인구 밀도, 도시 및 마을 수는 아래 표와 같다. (2020년 1월 기준)

오스트리아의 연방주 목록
ISO 번호한국어 이름독일어 이름de주도면적(km²)인구(2020년 1월)인구 밀도(명/km²)시 수읍·면 수
AT-1부르겐란트주Burgenlandde아이젠슈타트3966km2294,46674.313158
AT-2케른텐주Kärntende클라겐푸르트9536km2561,39058.917115
AT-3니더외스터라이히주Niederösterreichde장크트푈텐19178km21,684,62387.874499
AT-4오버외스터라이히주Oberösterreichde린츠11982km21,490,392124.429416
AT-5잘츠부르크주Salzburgde잘츠부르크7154km2558,47978.110109
AT-6슈타이어마르크주Steiermarkde그라츠16392km21,246,57676.034509
AT-7티롤주Tirolde인스브루크12648km2757,85259.911268
AT-8포어아를베르크주Vorarlbergde브레겐츠2601km2397,094152.7591
AT-9Wiende(도시 주)414.65km21,911,7284,606.610


  • 표에 있는 시 수는 오스트리아 법률에 의해 로 정의된 자치체의 수이다. 읍·면 수는 시로 정의되지 않은 자치체의 수이다.


오스트리아의 인구 밀도는 지리적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다.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니더외스터라이히주, , 부르겐란트주의 대부분은 도나우강 계곡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고 경작이 쉬운 지형이다. 반면, 케른텐주, 잘츠부르크주, 슈타이어마르크주, 티롤주,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알프스 산맥에 위치하여 농업이나 중공업, 장거리 무역에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이러한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선사 시대부터 인구는 주로 도나우강 유역의 4개 주에 집중되어 왔다.

오스트리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주는 수도이자 유일한 도시 주인 이다. 니더외스터라이히주는 빈의 교외 지역을 포함하지만, 넓은 면적이 농업 지역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인구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티롤주, 지리적으로 외진 케른텐주, 농업 중심의 부르겐란트주는 인구 밀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알프스 지역인 포어아를베르크주는 작은 면적과 고립된 위치, 독특한 알레만어 문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3. 연방제와 주 정부의 권한

오스트리아의 연방주의는 헌법상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주 정부의 입법 권한은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론적인 측면이 강하다. 형법, 민법, 경제법, 국방, 교육, 통신, 의료 등 국가 운영의 핵심적인 사안 대부분은 연방 정부 소관이며, 사법 권한 역시 전적으로 연방에 귀속되어 주 차원의 사법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중앙집권적 구조는 과거 제국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연관된다.

주 정부는 주로 도시 계획, 구역 설정, 자연 보호, 농업, 청소년 보호 등 일부 특정 분야에서 제한적인 입법권을 행사한다. 그러나 주지사(Landeshauptmann|란데스하우프트만de)는 해당 주 내에서 연방 정부의 행정 업무 상당 부분을 위임받아 집행하므로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주는 지역 수준의 계획 수립 및 공공 조달 등에 대한 권한을 통해 연방 정책 결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미국의 주나 독일의 주와 비교할 때 오스트리아 주의 자치권은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국민들은 자신이 속한 주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한적이나마 주가 보유한 독립적인 통치 권한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3. 1. 주 정부의 구성

오스트리아의 각 주는 선출된 입법부인 주 의회(Landtagde)와 주지사(Landeshauptmannde 또는 Landesfraude)가 이끄는 주 정부(Landesregierungde)를 가진다. 선거는 일반적으로 5년마다 실시되지만,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에서는 6년마다 열린다. 주 헌법은 주 정부의 의석 배분 방식을 규정하며, 대부분의 주는 주 의회 의석 수에 기반한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주지사는 주 의회에서 선출되지만, 실제로는 주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나 연립 여당의 지도자가 주지사로 선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은 도시이면서 동시에 연방주의 지위를 가지는 특별한 경우이다. 빈의 시장은 주지사의 역할을 겸임하며, 시의회 역시 주의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빈의 헌법에 따라 시의 업무와 주의 업무는 분리되어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의회와 주의회는 동일한 의원들로 구성되지만, 각각 별도의 회의를 열고 별도의 의장을 둔다. 시의회 회의에서는 시의 문제만을, 주의회 회의에서는 주의 문제만을 다룬다.

오스트리아의 연방주의는 주에 부여된 입법 권한이 상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 성격이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 머무른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스트리아 헌법은 초기에 모든 입법 권한을 주에 부여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권한이 연방 정부로 이관되었다. 현재 주에 남아있는 주요 입법 권한으로는 도시 계획 및 구역 설정, 자연 보호, 수렵, 어업, 농업 관련 규정, 청소년 보호, 공중 보건 및 복지의 일부 문제, 특정 세금 부과권 등이 있다.

반면, 형법, 민법, 회사법, 대부분의 경제법, 국방, 교육 문제의 상당 부분, 학계, 통신, 의료 시스템 등 국가 운영의 핵심적인 사안들은 연방법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오스트리아 헌법은 사법 권한을 전적으로 연방 정부의 소관으로 규정하고 있어, 주 차원의 사법 기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는 과거 오스트리아 제국 시절 권력이 수도 에 집중되었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지사는 해당 주 내에서 연방 정부가 제정한 많은 행정법규의 집행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문에 주지사직은 상당한 정치적 비중을 가진다. 또한, 주는 지역 수준의 구역 설정법, 계획 문제, 공공 조달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이를 통해 주 정부는 지역 정치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실제로, 연방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라 할지라도 주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연시킨 사례가 존재하는데, 젬머링 아래에 건설 중인 젬머링 베이스 터널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결론적으로 오스트리아의 주는 미국의 주나 독일의 주와 비교했을 때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훨씬 적은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국민들은 자신이 속한 주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한적이나마 주가 보유한 독립적인 통치 권한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을 오스트리아인이라고 생각하기에 앞서 티롤 사람이라고 먼저 인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3. 2. 주 정부의 권한

오스트리아의 각 주는 선거로 선출되는 입법부인 주 의회Landtagde와, 주지사(Landeshauptmann|란데스하우프트만de 또는 Landeshauptfrau|란데스하우프트프라우de)가 이끄는 주 정부(Landesregierung|란데스레기룽de)를 둔다. 선거는 기본적으로 5년마다 열리지만, 오버외스터라이히 주에서는 6년마다 실시된다. 주 헌법은 주 정부의 의석 배분 방식을 규정하는데, 대부분의 주에서는 주 의회 의석 수에 따라 비례대표제로 배분한다. 주지사는 주 의회에서 선출되지만, 실제로는 주 의회에서 다수를 차지한 정당이나 연립 여당의 대표가 맡게 된다.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은 도시인 동시에 하나의 주로서 이중적인 지위를 가진다. 빈의 시장은 주지사의 역할을 겸하며, 시의회 역시 주 의회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빈의 자치 헌법에 따라 시의 업무와 주의 업무는 분리되어야 하므로, 시의회와 주 의회는 동일한 의원들로 구성되지만 각각 별도의 회의를 열고 별도의 의장을 둔다. 시의회 회의에서는 시의 업무만을, 주 의회 회의에서는 주의 업무만을 다룬다.

오스트리아의 연방주의는 실제로는 주에 부여된 입법 권한이 매우 적기 때문에 다소 형식적인 측면이 있다. 오스트리아 연방 헌법은 초기에 모든 입법 권한을 주에 부여했으나, 이후 많은 권한이 연방 정부로 넘어가면서 현재 주에는 도시 계획 및 구역 설정, 자연 보호, 수렵, 어업, 농업, 청소년 보호, 공중 보건 및 복지의 일부 문제, 특정 세금 부과권 등 제한적인 권한만이 남아 있다.

반면, 형법, 민법, 회사법, 대부분의 경제 관련 법률, 국방, 교육 문제의 대부분과 학계, 통신, 의료 시스템의 상당 부분 등 중요한 사안들은 연방법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연방 헌법은 사법부를 전적으로 연방의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어, 주 차원의 사법 기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중앙집권적 구조는 과거 제국 시대에 권력이 수도 에 집중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

하지만 주지사(Landeshauptmann|란데스하우프트만de)는 해당 주 내에서 다수의 연방 행정 업무를 위임받아 집행하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불어 주에는 지역 차원의 구역법 제정, 계획 수립, 공공 조달 등의 권한이 있어, 이를 통해 연방 정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실제로 연방 정부가 추진하는 젬머링 베이스 터널 건설 계획을 해당 주가 지연시킨 사례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오스트리아의 주는 미국이나 독일의 주에 비해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훨씬 적은 자치권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국민들은 자신이 속한 주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느끼며, 제한적이나마 주의 독립적인 권한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자신을 오스트리아인이라고 생각하기 전에 티롤 사람이라고 먼저 여기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3. 3. 연방 정부와의 관계

오스트리아의 각 주는 선출된 입법부인 주 의회(''Landtag'')와 주지사(란데스하우프트만)가 이끄는 주 정부(''Landesregierung'')를 가지고 있다. 선거는 5년마다(오버외스터라이히 주는 6년마다) 실시되며, 대부분의 주는 주 의회 의석수에 기반한 비례대표제를 통해 주 정부를 구성한다. 주지사는 주 의회에서 선출되지만, 실제로는 주 의회의 다수당 또는 연립 여당의 지도자가 맡는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연방주의는 주에 부여된 입법 권한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론적인 측면에 가깝다. 오스트리아 헌법은 초기에 모든 입법 권한을 주에 부여했으나, 이후 많은 권한이 연방 정부로 이관되었다. 현재 주에 남은 권한은 계획 및 구역 설정, 자연 보호, 사냥, 낚시, 농업, 청소년 보호, 공중 보건 및 복지의 특정 문제, 특정 세금 부과권 등 소수에 불과하다.

형법, 민법, 회사법, 대부분의 경제법, 국방, 교육 문제 및 학계, 통신, 의료 시스템의 상당 부분 등 다른 모든 중요한 사안은 연방법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오스트리아 헌법은 사법부를 전적으로 연방 정부의 소관으로 규정하고 있어 주 차원의 사법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는 과거 제국 시대부터 권력이 수도 에 집중되었던 역사적 모델을 따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지사(란데스하우프트만)는 해당 주 내에서 많은 연방 행정법의 집행을 담당하며, 이는 주지사를 중요한 정치적 위치로 만든다. 또한, 주는 지역 수준의 구역법, 계획 문제, 공공 조달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이를 통해 주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실제로, 연방 정부가 지지하는 프로젝트라도 주 정부가 이를 지연시킨 사례가 있는데, 젬머링 아래에 건설 중인 젬머링 베이스 터널이 그 예이다.

오스트리아의 수도인 은 도시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주로서 이중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주"이다. 빈 시장은 주지사의 지위를 가지며, 시의회는 주의회 역할도 겸한다. 다만, 빈의 헌법에 따라 시의 업무와 주의 업무는 명확히 분리되어야 하므로, 시의회와 주의회는 동일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지지만 별도의 회의를 열고 각기 다른 의장을 둔다. 시의회로 회의를 할 때는 시의 업무만, 주의회로 회의를 할 때는 주의 업무만 처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오스트리아의 주는 미국의 주나 독일의 주와 비교할 때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훨씬 적은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국민들은 자신이 속한 주에 강한 정체성을 느끼며, 주가 가진 제한적인 자치권이라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을 티롤 사람이라고 먼저 생각하고, 그 다음에 오스트리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4. 역사적 발전

현재 오스트리아의 주들은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령(Kronländer)에서 유래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국가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제국이 해체되면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핵심 지역이 오스트리아 공화국으로 재탄생했다.

오버외스터라이히(Oberösterreich, 오스트리아 상부)와 니더외스터라이히(Niederösterreich, 오스트리아 하부)는 제국의 역사적 중심지였던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두 자치 지역에서 비롯되었다. 잘츠부르크는 이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잘츠부르크 공국(구 잘츠부르크 대주교령)과 그 경계가 거의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케른텐은 케른텐 공국에서, 슈타이어마르크는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에서, 티롤은 티롤 백국에서 유래했다. 다만 이 세 주는 오스트리아가 현재의 모습으로 성립될 때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에 일부 영토를 넘겨주어야 했다. 포어아를베르크는 합스부르크 왕가가 14세기와 15세기에 획득한 영토들로 구성되었으며,[2] 1861년부터는 티롤 백국의 반자치 지역이었다.

1815년 빈 회의 이후 이 지역 대부분은 자치권을 잃었다. 1861년에 주 헌장이 제정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여전히 중앙 정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각 주 정부는 스스로를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일부로 선언했다. 이 시기 주 정부와 중앙 정부 간의 협상을 통해, 전국적으로 선출된 하원인 국민의회와 각 주를 대표하는 상원인 연방 평의회를 갖춘 연방 국가를 형성하기로 합의했다.[2]

도시-주인 은 1921년까지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의 일부였다가 분리되었다.[3] 부르겐란트는 원래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트리아농 조약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제1차 오스트리아 공화국에 할양되어 새롭게 형성된 주이다.[4]

5. 주 목록



오스트리아의 9개 주(Bundesländerde)는 다음과 같다.[5] 아래 표는 2022년 1월 기준 통계 및 주 정부 구성 현황을 나타낸다.[6]

주도인구
(2022년 1월)
면적 (km²)인구 밀도
(명/km²)
도시 수타운 수주지사 (Landeshauptmann)소속 정당연정
부르겐란트 주아이젠슈타트297,5833,9657513158한스 페터 도스코질SPÖSPÖ
케른텐 주클라겐푸르트564,5139,5375917115페터 카이저SPÖSPÖ, ÖVP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장크트푈텐1,698,79619,1808976497요한나 미클-라이트너ÖVPÖVP, FPÖ
잘츠부르크 주잘츠부르크560,7107,1557811108빌프리트 하슬라우어 주니어ÖVPÖVP, FPÖ
슈타이어마르크 주그라츠1,252,92216,3997635251크리스토퍼 드렉슬러ÖVPÖVP, SPÖ
티롤 주인스브루크764,10212,6486011266안톤 마틀레ÖVPÖVP, SPÖ
오버외스터라이히 주린츠1,505,14011,98312632406토마스 젤처ÖVPÖVP, FPÖ
자체1,931,5934154,6541미하엘 루드비히SPÖSPÖ, NEOS
포어아를베르크 주브레겐츠401,6472,602154591마르쿠스 발너ÖVPÖVP, Grüne



위 목록에서 도시는 오스트리아 법에 의해 도시로 정의된 지역 사회이며, 타운은 도시로 정의되지 않은 지역 사회이다. 오스트리아의 많은 도시들은 인구가 약 10,000명이며, 일부는 그보다 더 작다.

6. 정치 현황



오스트리아 9개 주(연방주)의 정권 상황은 알파벳순으로 다음과 같다.[6]

문장주도주총리여당연립 정권
부르겐란트 주아이젠슈타트한스 페터 도스코질
(독일어: Hans Peter Doskozil)
사민사민
케른텐 주클라겐푸르트페터 카이저
(독일어: Peter Kaiser)
사민사민, 국민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장크트푈텐요한나 미클-라이트너
(독일어: Johanna Mikl-Leitner)
국민국민, 사민, 자유
잘츠부르크 주잘츠부르크빌프리트 하슬라우어
(독일어: Wilfried Haslauer Jr.)
국민국민, 녹색, 신자
슈타이어마르크 주그라츠헤르만 슈첸호퍼
(독일어: Hermann Schützenhöfer)
국민국민, 사민
티롤 주인스브루크귄터 플라터
(독일어: Günther Platter)
국민국민, 녹색
오버외스터라이히 주린츠토마스 셸처
(독일어: Thomas Stelzer)
국민국민, 자유, 사민, 녹색
(도시 주)미하엘 루드비히
(독일어: Michael Ludwig)
사민사민, 신자
포어아를베르크 주브레겐츠마르쿠스 발너
(독일어: Markus Wallner)
국민국민, 녹색


참조

[1] 웹사이트 Country Compendium https://web.archive.[...] European Commission 2023-07-00
[2] 논문 Very Small Worlds: The Austrian Länder as Constituent Units of the Austrian Federation https://www.cairn.in[...] 2013-00-00
[3] 웹사이트 City of Vienna, History http://www.wien.gv.a[...] 2010-05-17
[4]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ustria - Burgenland http://www.aeiou.at/[...] 2010-05-18
[5]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 Austria (States) https://web.archive.[...] 2015-09-30
[6]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 Austria (States) http://www.parties-a[...]
[7] 웹사이트 City of Vienna, History http://www.wien.gv.a[...] 2010-05-17
[8]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ustria - Burgenland http://www.aeiou.at/[...] 2010-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