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잘츠부르크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7,150km²이며 인구는 약 53만 명이다. 주도는 잘츠부르크이며, 북동쪽으로는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동쪽으로는 슈타이어마르크주, 남쪽으로는 케른텐주, 티롤주와 접한다. 알프스산맥 북동부에 위치하며, 잘차흐강을 따라 도시가 발달했다. 잘츠부르크주는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켈트족의 할슈타트 문화가 번성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노리쿰 속주에 속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잘츠부르크 대주교가 선교의 중심지였다. 1803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 이후, 잘츠부르크는 여러 차례 국가에 귀속되었으며, 1955년 오스트리아 독립 이후 오스트리아의 연방주로 남았다. 잘츠부르크 주 의회는 36석으로 구성되며, 오스트리아 국민당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으나, 2004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제1당이 되기도 했다. 현재 5개의 구와 119개의 기초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잘츠부르크 공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주 -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 - 티롤주
    티롤 주는 오스트리아 서부 알프스 산맥에 위치한 주로,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과 국경을 접하며 동티롤과 북티롤로 나뉘었고,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티롤 백국 시대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인스브루크를 주도로 8개의 행정구와 279개의 기초자치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마이들링
    마이들링은 오스트리아 빈의 12구역으로, 1892년 빈에 통합되어 주거 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빈 메들링 역 등 주요 건축물과 대중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린츠
    린츠는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 주의 주도로, 다뉴브 강 연안의 상업 및 산업 도시이며, 로마 시대 요새에서 기원하여 중세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고, 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역사를 딛고 현재는 문화 도시이자 미디어 아트 중심지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도시이다.
잘츠부르크주
지도
기본 정보
독일어 주 이름Salzburg
독일어 주 이름 (다른 표기)Land Salzburg
독일어 주 이름 (다른 표기)Salzburger Land
독일어 주 이름 (다른 표기)Stadt Salzburg
로마자 표기법Zalcheubureukeuju
잘츠부르크 주 깃발
주 깃발
잘츠부르크 주 문장
주 문장
주도잘츠부르크
ISO 코드AT-5
웹사이트잘츠부르크 주 공식 웹사이트
지리
면적7,154.23 km² (6위)
육지 면적7054.07 km² (98.6 %)
물 면적100.16 km² (1.4 %)
최고점글로스글로크너 산 (3,797 m)
인구
인구 (2013년 1월 1일)531,898 명 (7위)
인구 밀도74.0 명/km²
정치
주지사빌프리트 하슬라우어(ÖVP)
여당ÖVP, FPÖ
최근 선거2023년 4월 23일
다음 선거2028년
연방 상원 의석수4
행정 구역
시정촌 총수119
시의 수11
읍의 수24

2. 지리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앙에서 약간 서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7150km2로 오스트리아 전체 면적의 약 8.3%를 차지한다. 북동쪽으로는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주, 동쪽으로는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주, 남쪽으로는 오스트리아 케른텐주와 오스트리아 티롤주의 동티롤, 서쪽으로는 티롤주의 북티롤, 북쪽으로는 독일 바이에른주와 접한다. 남서쪽으로는 과거 오스트리아 영토였으나 현재는 이탈리아 볼차노 자치주인 남티롤과 접한다.

주 대부분이 알프스 산맥 북동부에 있으며, 주 내부를 남서쪽에서 북쪽으로 역L자 모양으로 흐르는 잘차흐 강(Salzach)을 따라 도시가 발전해 왔다. 남부에는 오스트리아 케른텐주, 오스트리아 티롤주의 동티롤과 걸쳐 오스트리아 최고봉인 그로스글록너 산(Großglockner)이 있다. 북동부의 잘츠캄머구트(Salzkammergut)는 잘츠캄머구트 지역의 할슈타트와 다흐슈타인의 문화적 경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3. 역사

현재 잘츠부르크 주에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어지는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는 켈트족할슈타트 문화가 번영하였다.

로마 제국기원전 15년에 이 지역을 정복하고 노리쿰 속주를 설치했다. 노리쿰에서는 소금, , , 모피가 수출되었고,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올리브 오일과 포도주 등이 수입되었다. 5세기에는 고트족, 반달족, 알란족, 훈족의 침입을 받았다. “노리쿰의 사도”라고 불리는 성 세베리누스가 활동한 것도 이 무렵이다.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6세기에는 바이에른족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7세기 말, 볼름스 주교였던 성 루퍼트는 바이에른 부족 공작 테오도 2세에게 세례를 베풀고, 영토 기증을 받아 로마 도시 유바움(Juvavum) 터에 잔크트 페터 수도원을 건립했다. 그는 초대 잘츠부르크 주교로 여겨진다.

798년, 로마 교황 레오 3세는 잘츠부르크 주교 아르노를 대주교로 승격시켜 바이에른의 네 주교 위에 두었기 때문에, 잘츠부르크는 유럽에서 선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잘츠부르크 대주교는 동쪽의 슬라브족(카란타니아)에 대한 선교를 수행했고, 아길로르핑가의 역대 바이에른 부족 공작으로부터 기증도 받아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동쪽으로의 확장은 907년 대주교 디트마르 1세가 마자르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중단되었지만, 955년 동프랑크 왕 오토 1세가 레히펠트 전투에서 마자르족을 격파하자 재개되었다.

중세 초기의 서임권 투쟁에서, 대주교 게프하르트(재위: 1060년 - 1088년)나 콘라트 1세(재위: 1106년 - 1147년)는 교황파였기 때문에 추방되어 타지에서 죽음을 맞이해야 했다. 그러나 1200년 즉위한 에버하르트 2세(재위: 1200년 - 1246년)는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를 지지하여, 그의 치하에서 세속 지배권 강화와 영토의 대폭적인 확장에 성공했다. 이 때문에 에버하르트 2세를 “영방 잘츠부르크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1803년, 제국대표자회의 주요 결의에 의해 신성 로마 제국의 성직 제후들은 세속화되었다. 대주교 히에로니무스 폰 콜로레도도 영주권을 잃고, 대신 전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트를 초대 군주로 하여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에서 오스트리아 제국티롤 등을 프랑스 제국 측에 할양한 보상으로 잘츠부르크를 획득했다. 페르디난트는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을 받았고,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의 한 주가 되었다. 1809년 셰인브룬 조약으로 잘츠부르크는 바이에른 왕국에 할양되었지만, 빈 회의를 통해 오스트리아에 복귀했다. 이후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영토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독일인 지역을 기반으로 하지만, 잘츠부르크 주의 영토가 합스부르크 영토가 된 것은 이 시대부터이며, 가장 늦게 획득된 지역이었다.

3.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제1차 세계 대전에 패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파리 강화 회의에 의해 민족자결에 기반하여 해체되었지만, 독일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잘츠부르크 주는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연방주로 남았다. 1920년 막스 라인하르트의 제안으로 잘츠부르크 음악제가 시작되어 잘츠부르크는 관광 산업이 발전해 나갔다.

3. 2. 제1공화국 시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파리 강화 회의에서 민족자결 원칙에 따라 해체되었지만, 독일인이 대다수였던 잘츠부르크 주는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연방주로 남았다. 1920년 막스 라인하르트의 제안으로 잘츠부르크 음악제가 시작되면서 잘츠부르크는 관광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3. 3. 나치 독일 합병 시기

1938년 나치 독일은 오스트리아를 합병했고(안슐루스), 이듬해 잘츠부르크 제국 대관구를 설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잘츠부르크는 미군의 점령하에 있었다.

3. 4. 제2공화국 시기

1938년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와 합병(안슐루스)한 후, 이듬해 잘츠부르크 제국 대관구를 설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잘츠부르크는 미군 점령하에 놓였다. 1955년 오스트리아는 연합국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을 체결하여 독립을 회복했다.

1995년 오스트리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바이에른 주와의 국경에서 입국 수속이 간소화되었고, 독일을 비롯한 여러 나라와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1996년에는 잘츠부르크시 구시가지가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4. 정치

잘츠부르크 주 의회(Landtag)는 36석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5년이다.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은 1945년부터 2004년까지 주지사를 배출하며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2004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소속 가브리엘레 부르크슈탈러(Gabriele Burgstaller)가 잘츠부르크 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로 취임하면서 제1당이 되었다. 2009년 선거에서도 SPÖ가 제1당을 유지했으나, 2013년 선거에서는 ÖVP가 제1당이 되어 빌프리트 하슬라우어(Wilfried Haslauer)가 주지사에 취임했다. 2024년 6월 현재 각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4. 1. 역대 주지사

잘츠부르크 주의회는 36석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5년이다. 1945년부터 2004년까지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이 주지사를 배출했다. 2004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의 가브리엘레 부르크슈탈러(Gabriele Burgstaller)가 최초의 여성 주지사로 취임했다. 2013년부터는 ÖVP의 빌프리트 하슬라우어(Wilfried Haslauer)가 주지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역대 주지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정당이름재임 기간
CS알로이스 빈클러1909년 7월 21일 – 1919년 4월 23일
CS오스카르 마이어1919년 4월 23일 – 1922년 5월 4일
CS/VF프란츠 레아르1922년 5월 4일 – 1938년 3월 12일
NSDAP안톤 빈터슈타이거1938년 3월 13일 – 1938년 5월 22일
NSDAP프리드리히 라이너1938년 5월 22일 – 1941년 11월 29일
NSDAP구스타프 아돌프 셰어1941년 11월 29일 – 1945년 5월 4일
ÖVP아돌프 셰멜1945년 5월 23일 – 1945년 12월 12일
ÖVP알베르트 호흘라이트너1945년 12월 12일 – 1948년 12월 4일
ÖVP요제프 레아르1948년 12월 4일 – 1949년 12월 1일
ÖVP요제프 클라우스1949년 12월 1일 – 1961년 4월 17일
ÖVP한스 레히너1961년 4월 17일 – 1977년 4월 20일
ÖVP빌프리트 하슬라우어1977년 4월 20일 – 1989년 5월 2일
ÖVP한스 카추터러1989년 5월 2일 – 1996년 4월 24일
ÖVP프란츠 샤우스베르거1996년 4월 24일 – 2004년 4월 28일
SPÖ가브리엘레 부르크슈탈러2004년 4월 28일 – 2013년 6월 19일
ÖVP빌프리트 하슬라우어2013년 6월 19일 – 현재


5. 행정 구역

잘츠부르크주는 1개 헌장 도시와 5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 자치체(게마인데)는 총 119개이며, 이 중 11개는 시(Stadt), 24개는 읍(Marktgemeinde; 마을)으로 지정되어 있다.

5. 1. 헌장 도시

잘츠부르크헌장 도시로 지정되어 있으며, 구의 업무도 독자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번호판위치면적
(1km2)
인구
(2020년 1월 1일)
인구 밀도비고
S
잘츠부르크
65.65km2155,0212,361헌장 도시


5. 2. 군

(1km2)인구
(2020년 1월 1일)인구 밀도자치체 수HA할라인군
할라인668.31km260,8249113JO장크트요한임퐁가우군
잔크트 요한 임 폰가우(St. Johann im Pongau)1755.37km281,1944625S잘츠부르크헌장 도시65.65km2155,0212,361SL잘츠부르크움게붕군
잘츠부르크1004km2153,49215337TA탐스베크군
탐스베크(Tamsweg)1019.69km220,2512015ZE첼암제군
첼암제2640.85km287,6283328


6. 교통

잘츠부르크 공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