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S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VS형은 자연어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어순으로, 목적어-동사-주어의 순서를 따른다. 주로 남아메리카의 일부 언어, 예를 들어 히슈카리야나어, 아수리니어, 우라리나어 등에서 사용되며, 마쿠시어나 아파라이어처럼 SOV형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조사가 발달하여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루마니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 헝가리어, 핀란드어 등에서는 목적어 강조를 위해 OVS 어순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공어에서는 클링온어에서 언어의 이질성을 강조하기 위해, 인터링구아와 에스페란토에서도 사용된다. 일부 언어에서는 절대격-동사-대격(AVE) 어순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도 하며, 한국어 역시 SOV 어순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강조를 위해 OVS 어순을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VS형 | |
|---|---|
| 개요 | |
| 유형 | 언어 유형 |
| 분포 | 극히 드묾 |
| 어순 | 목적어-동사-주어 |
| 특징 | |
| 통계적 희귀성 | 세상에서 가장 드문 어순 중 하나 |
| 기본 어순과의 관계 | 다른 어순에 비해 비표준적이며 파생된 것으로 간주됨 |
| 예시 언어 | 히아나카, 아피알라어, 바레인어, 카이아나어, 신가주리어, 우라리나어, 와라오어, 자바어 (문어체, 고전) |
| 이론적 함의 | |
| 문법 이론 | 어순에 대한 연구에 기여 |
| 인지 과학 | 인간 언어 처리 방식에 대한 통찰력 제공 |
| 언어별 명칭 | |
| 한국어 | 목적어-동사-주어 어순 |
| 영어 | Object-verb-subject word order |
| 일본어 | OVS型 |
2. 자연 언어에서의 OVS 어순
자연 언어에서 OVS 어순은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주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분지 등 일부 언어에서 사용된다. 히슈카리야나어[10][11], 아수리니어/Asuriní language영어[10][11], 우라리나어/Urarina language영어[10][11] 등이 그 예시이다. 마쿠시어/Macushi_language영어[12], 아파라이어/Apalaí_language영어[12]와 같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과 함께 OVS 문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루마니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 헝가리어, 핀란드어와 어느 정도의 독일어처럼 조사가 있어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이 허용되는 언어에서는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 어순을 사용하기도 한다(주된 어순은 아님). 스웨덴어 등, 일반적으로 폭넓은 조사가 없는 언어에서도 조사를 가진 대명사가 포함될 경우 이 어순이 허용된다.
2. 1. OVS 어순을 사용하는 주요 언어
OVS는 언어를 그들의 지배적인 순서에 따라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의 종류이다. 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이 주로 사용되는 언어는 대부분 남아메리카의 언어들이다.[10][11] 히슈카리야나어는 카리브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10][11] 아수리니어/Asuriní language영어는 투피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10][11] 우라리나어/Urarina language영어는 페루의 고립어이다.[10][11] 그 외 일부 아마존 지역 언어들도 OVS 어순을 사용한다.OVS 문형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의 문형이 함께 사용되는 언어의 예로는 마쿠시어/Macushi_language영어[12], 아파라이어/Apalaí_language영어 등이 있다.[12]
또한 이 어순은, 조사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이 허용되는 언어에서 목적어를 강조할 때에도 사용된다(주된 어순은 아니다). 루마니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 헝가리어, 핀란드어, 그리고 어느 정도 독일어가 그 예이다.
2. 2. 다른 어순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카리브어족에 속하는 히슈카리야나어, , 는 목적어-동사-주어(OVS) 어순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이 함께 사용되는 언어들이다.[12] 남아메리카의 언어들에서 주로 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이 나타나며, [10][11], [10][11] 등이 그 예이다.조사가 발달하여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이 가능한 루마니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 헝가리어, 핀란드어와 어느 정도의 독일어에서는 목적어를 강조할 때 OVS 어순이 사용되기도 한다. 스웨덴어처럼 폭넓은 조사가 없는 언어에서도 조사를 가진 대명사가 포함될 경우 OVS 어순이 허용된다.
2. 3. 강조를 위한 OVS 어순 사용
격 변화가 있는 로마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 헝가리어, 핀란드어, 러시아어와 어느 정도 독일어와 네덜란드어처럼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목적어가 강조될 때 OVS(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이 사용될 수 있다.[10][11][12]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 같은 언어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격 변화가 없지만, 격이 표시된 대명사가 포함되거나 문맥상 역할이 명확할 때 이러한 구조를 허용한다. 이러한 언어에서 OVS 어순은 목적어가 이미 담화의 주제로 표시되었고 새로운 정보가 목적어에 대해 추가될 때 상당히 자주 사용된다. 또한 목적어의 성질이나 정체성에 대한 논의나 질문이 있고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일 경우에도 빈번하게 사용된다.다음은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 어순을 사용하는 노르웨이어의 예시이다: Det tror jeg ikke}} (직역: "그것 믿는다 나는 아니다" (직역: "톰 보았다 나는 어제" (직역: "생선 좋아한다 고양이가"{{sndno고양이가 생선을 좋아한다).
일부 언어에서는 어순의 보조 규칙이 OVS의 강조적 사용에 대한 충분한 모호성 해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어의 서술문은 일반적으로 SVnO(주어-동사-목적어-부정어/양태 부사) 어순을 사용한다. 하지만 모호성이 없다면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n 어순을 사용할 수 있다.
러시아어의 유연한 어순 또한 일반적으로 주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 문장을 허용한다: Я закончил заданиеru (직역: "나는 완료했다 임무") 대 Задание закончил я}} (직역: "임무 완료했다 나"{{sndru임무를 완료한 것은 나였다).
터키어에서 OVS 어순은 동사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ardağı kırdı Johntr (직역: "잔을 깨뜨렸다 존": 존이 잔을 깨뜨렸다)은 일반적인 SOV(주어-목적어-동사) 문장 John bardağı kırdıtr (직역: "존 잔을 깨뜨렸다")보다 "잔에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더 나은 답변이다.
3. 인공어에서의 OVS 어순
인공어에서도 OVS 어순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9] 인터링구아에서도 나타나지만, 인터링구아 문법에서는 수동태를 허용한다는 언급이 없다. ''파노라마 인 인터링구아(Panorama in Interlingua)''의 편집장인 토마스 브레인스트럽/Thomas Breinstrup영어은 때때로 파노라마에 기고하는 글에서 이 어순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어순은 ''스타트렉'' 시리즈의 허구 세계관에서 외계인 클링온 종족이 사용하는 구성 언어인 클링온어에서 언어를 의도적으로 이질적이고 반직관적으로 들리게 하기 위해 선택되었다.[9]
에스페란토에서 다른 다섯가지 어순과 마찬가지로 허용된다.
3. 1. 인터링구아
3. 2. 클링온어
스타트렉 시리즈의 허구 세계관에서 외계인 클링온 종족이 사용하는 구성 언어인 클링온어는 언어를 의도적으로 이질적이고 반직관적으로 들리게 하기 위해 목적어-동사-주어(OVS) 어순을 채택했다.[9] 클링온어는 가장 드문 어순을 가지게 되었지만, 이는 인공어의 목적에 부합한다.4. 이론적 분석
데스먼드 C. 더비셔와 제프리 K. 풀럼은 위치타어와 같이 일부 SOV 언어는 특정 문장에서 주어 명사구의 우측 이동을 허용하여 OVS를 표지된 어순으로 만든다는 점을 지적한다.[3] 더비셔와 풀럼은 기본적으로 OVS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가 이전 SOV 단계에서 진화했을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OVS가 표지되지 않은 어순으로 재분석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3]
5. 절대격-동사-대격 (AVE) 어순
마쿠시어(Macushi language), 아레쿠나어(Pemon language), 파리어(Päri language), 망가라이어(Mangarrayi language), 셀크남어(Selk’nam language)를 포함한 최소 5개의 언어에서 타동절은 OVS 어순을, 자동절은 SV 어순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들 언어는 모두 대격-절대격 조응을 가지므로, 전통적인 의미에서 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이 아니며, '''절대격-동사-대격'''(AVE)으로 더 정확하게 기술될 수 있다. 이들 언어 중 마쿠시어, 아레쿠나어, 파리어 최소 세 개 언어는 접두사로 동사에 절대격어 일치를, 접미사로 대격어 일치를 표시하는데, 이는 더 깊은 통사적 수준에서 AVE와 유사한 구조를 나타낸다.
6. 한국어와의 관계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SOV 어순을 따르지만,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여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OVS 어순 ('목적어-동사-주어') 또한 문맥에 따라 가능하며, 특히 강조나 특정한 문학적 표현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책을 읽었다, 철수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로마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바스크어, 에스페란토어, 헝가리어, 핀란드어, 러시아어와 어느 정도 독일어와 네덜란드어처럼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언어에서는 목적어가 강조될 때 OVS(목적어-동사-주어) 어순이 사용될 수 있다.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 같은 언어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격 변화가 없지만, 격이 표시된 대명사가 포함되거나 문맥상 역할이 명확할 때 이러한 구조를 허용한다.
노르웨이어의 예시를 보면,
- Det tror jeg ikke}} (직역: "그것 믿는다 나는 아니다"{{sndno나는 그것을 믿지 않는다)
- Tom så jeg i går}} (직역: "톰 보았다 나는 어제"{{sndno나는 어제 톰을 보았다)
- Fisk liker katten}} (직역: "생선 좋아한다 고양이가"고양이가 생선을 좋아한다)
와 같이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 어순을 사용한다.
덴마크어의 서술문은 일반적으로 SVnO(주어-동사-목적어-부정어/양태 부사) 어순을 사용하지만, 모호성이 없다면 목적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n 어순을 사용할 수 있다.
러시아어의 유연한 어순 또한 일반적으로 주어를 강조하기 위해 OVS 문장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Я закончил заданиеru (직역: "나는 완료했다 임무") 대신 Задание закончил яru (직역: "임무 완료했다 나"{{sndno임무를 완료한 것은 나였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터키어에서 OVS 어순은 동사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ardağı kırdı Johntr (직역: "잔을 깨뜨렸다 존": 존이 잔을 깨뜨렸다)은 일반적인 SOV(주어-목적어-동사) 문장 John bardağı kırdıtr (직역: "존 잔을 깨뜨렸다")보다 "잔에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더 나은 답변이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특징을 활용, 언어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Introducing English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Basic Word Order: Functional Principles
https://www.worldcat[...]
Croom Helm
[3]
학술지
Object initial languages
https://commons.und.[...]
2021-12-28
[4]
학술지
Ergativity in Päri, a Nilotic OVS Language
1988-08
[5]
서적
Mangarayi
Lingua Descriptive Studies
[6]
서적
A Heritage Reference Grammar of Selk'nam
Radboud University
[7]
학술지
On the 6-way Word Order Typology
http://www.acsu.buff[...]
1997
[8]
논문
Hixkaryana: The Derivation of Object Verb Subject Word Order
https://static1.squa[...]
University of California
2022-01-24
[9]
서적
From Elvish to Klingon : Exploring Invented Languages.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 OSO
2011
[10]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11]
웹사이트
WALS Online - Feature 81A: Order of Subject, Object and Verb
http://wals.info/fea[...]
2015-08-20
[12]
웹사이트
WALS Online - Feature 81B: Languages with two Dominant Orders of Subject, Object and Verb
http://wals.info/fea[...]
2015-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