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8 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BS 8 뉴스는 1991년 12월 9일 첫 방송을 시작한 SBS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이다. 밤 8시 시간대에 방송되며, 여러 차례 방송 시간 및 타이틀 변경을 거쳤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3년까지 여러 사건 보도로 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 '프리즘' 디자인 도입 및 2020년 2부제 도입 등 개편을 단행했다. 현재 김현우 기자와 김가현 아나운서가 평일 앵커를 맡고 있으며, 정유미 기자가 주말 앵커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BS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맹형규
맹형규는 1946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 SBS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TV
SBS TV는 1991년 12월 9일 개국한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국이며, 드라마, 예능, 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전국적으로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이 시각 뉴스룸
《이 시각 뉴스룸》은 2018년 4월 16일부터 JTBC에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으로, 평일과 주말에 방송되며, 현재는 주말 오전 11시 55분(토요일)과 오전 11시 45분(일요일)에 방송되고, 앵커는 JTBC 소속 기자 또는 아나운서가 격주로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썰전 라이브
《썰전 라이브》는 JTBC에서 2021년 6월 7일부터 2022년 10월 7일까지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은 유동적이었다. - 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아스팔트 사나이
1995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아스팔트 사나이》는 자동차를 소재로 젊은이들의 꿈과 사랑, 야망을 그린 작품으로 이병헌, 정우성, 최진실, 이영애 등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출연하여 자동차 디자이너와 카레이서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 사랑과 배신을 다루었다. - 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SBS 8 뉴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뉴스 |
방송사 | SBS TV |
제작 | SBS 보도본부 |
진행자 | 평일: 김현우, 김가현 주말: 정유미 평일 스포츠 뉴스: 김다영 주말 스포츠 뉴스: 주영민 |
수어 통역사 | 양준식, 이민호 |
언어 | 한국어 |
방송 시작일 | 1991년 12월 9일 |
방송 종료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평일 오후 7시 50분 ~ 오후 9시 토요일 오후 8시 ~ 오후 8시 35분 일요일 오후 8시 ~ 오후 8시 45분 |
방송 분량 | 평일: 1시간 10분 토요일: 35분 일요일: 45분 |
화면 비율 | HD 생방송 |
음향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폐쇄 자막 방송 수어 통역 방송 |
관련 프로그램 | KBS 뉴스 9 MBC 뉴스데스크 |
웹사이트 | SBS 8 뉴스 공식 홈페이지 |
비고 | 한국 수어 통역 방송 (2020년 9월 21일 이후) 지역 자체 뉴스 실시 헤드라인 뉴스(예고)는 평일 오후 6시 45분 경, 토요일 오후 6시 25분 경 이후에 예고를 하면서 여성 앵커(평일 : 아나운서, 토요일 : 기자)를 기준으로 함 2016년 11월 이후 오프닝 멘트(평일에만 진행, 주말에는 2023년 4월 2일까지)부터 각 1명 씩 앵커가 인사를 함 SBS 뉴스 홈페이지에 있는 대본 멘트에 "SBS ○○○입니다." 표기가 없음 SBS 메인 뉴스 스튜디오에서 진행 하단 왼쪽에 있는 로고 8 NEWS로 표시 SBS 스포츠뉴스 시작 전에 SBS 로고 아래에 있는 8 NEWS라는 워터마크, 하단 오른쪽에 있는 잠시 후 계속됩니다가 표시 2017년까지 하단에 뉴스 티커를 설치 |
제작진 | |
개발 | SBS 뉴스본부 |
책임 프로듀서 | SBS 뉴스본부 |
방송 정보 | |
방송 채널 | SBS TV, SBS 러브 FM |
다중 카메라 설정 | 다중 카메라 설정 |
2. 역사
1991년 12월 9일, SBS는 KBS 뉴스 9과 MBC 뉴스데스크가 밤 9시 시간대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의 '정면 대결'을 시도하기 위해 주요 뉴스 방송 시간을 밤 8시로 정하고, 《SBS 8 뉴스》라는 이름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다.[1]
이후, 시청률 저조로 인해 1992년 3월 23일에 밤 10시 SBS 뉴스쇼가 《SBS 8 뉴스》의 주말판으로 통합되었다.[2] 1994년 10월 24일에는 주말판이 《SBS 뉴스 2000》으로 분리되었고, 1996년 10월 14일에는 《SBS 뉴스 Q》로 변경되었다.
1997년 3월 3일, 평일 방송 시간을 밤 9시로 옮기고, 《SBS 9시 뉴스》로 변경했다. 그러나 1997년 6월 30일, 평일 방송 시간을 다시 밤 8시로 환원하고, 주말판인 《뉴스Q》와 통합하여 《SBS 8 뉴스》로 현재의 제목으로 돌아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3년까지 양길승 부통령 스캔들 보도, DMZ 내 에이전트 오렌지 사용, 1993년 해군 비리 등 여러 사건 보도를 통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3]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7년 6월 30일부터 1997년 9월 28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주말은 20:00 - 20:30 (30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7년 10월 27일부터 1998년 3월 1일까지 평일은 20:00 - 20:50 (50분), 주말은 20:00 - 20:35 (35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8년 3월 2일부터 1998년 10월 18일까지 평일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8년 10월 19일부터 1999년 4월 4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9년 4월 5일부터 2000년 5월 14일까지 평일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5월 15일부터 2000년 7월 30일까지 주말은 20:00 - 20:25 (2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7월 31일부터 2000년 10월 8일까지 주말은 20:00 - 20:30 (30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10월 9일부터 2002년 11월 3일까지 주말은 20:00 - 20:35 (3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2년 11월 4일부터 2008년 4월 27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8년 4월 28일부터 2012년 11월 4일까지 주말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2014년 5월 19일, SBS는 '프리즘' 디자인을 도입하고 새로운 시그널 음악을 사용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2020년 9월 21일에는 2부제를 도입하고 수어 통역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2020년 상반기에는 MBC 뉴스데스크가 시청률 위기를 겪으면서 SBS 8 뉴스의 시청률이 증가하기도 했다.[4]
2. 1. 개국 초기 (1991~1997)
1991년 12월 9일, SBS는 KBS 뉴스 9과 MBC 뉴스데스크가 밤 9시 시간대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의 '정면 대결'을 시도하기 위해 주요 뉴스 방송 시간을 밤 8시로 정하고, 《SBS 8 뉴스》라는 이름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다.[1]이후, 시청률 저조로 인해 1992년 3월 23일에 밤 10시 SBS 뉴스쇼가 《SBS 8 뉴스》의 주말판으로 통합되었다.[2] 1994년 10월 24일에는 주말판이 《SBS 뉴스 2000》으로 분리되었고, 1996년 10월 14일에는 《SBS 뉴스 Q》로 변경되었다.
1997년 3월 3일, 평일 방송 시간을 밤 9시로 옮기고, 《SBS 9시 뉴스》로 변경했다. 그러나 1997년 6월 30일, 평일 방송 시간을 다시 밤 8시로 환원하고, 주말판인 《뉴스Q》와 통합하여 《SBS 8 뉴스》로 현재의 제목으로 돌아왔다.
개국 초기부터 2003년까지 양길승 부통령 스캔들 보도, DMZ 내 에이전트 오렌지 사용, 1993년 해군 비리 등 여러 사건 보도를 통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3]
2. 2. 발전기 (1997~2010)
1991년 9월 19일, SBS는 KBS 뉴스 9과 MBC 뉴스데스크가 밤 9시 시간대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의 '정면 대결'을 시도하기 위해 주요 뉴스 방송 시간을 밤 8시로 정했다.[1] 1997년 6월 30일부터 현재의 'SBS 8 뉴스' 타이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양길승 부통령 스캔들 보도, DMZ 내 에이전트 오렌지 사용, 1993년 해군 비리 등 여러 사건 보도를 통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3]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7년 6월 30일부터 1997년 9월 28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주말은 20:00 - 20:30 (30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7년 10월 27일부터 1998년 3월 1일까지 평일은 20:00 - 20:50 (50분), 주말은 20:00 - 20:35 (35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8년 3월 2일부터 1998년 10월 18일까지 평일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8년 10월 19일부터 1999년 4월 4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동안 방송되었다. 1999년 4월 5일부터 2000년 5월 14일까지 평일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5월 15일부터 2000년 7월 30일까지 주말은 20:00 - 20:25 (2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7월 31일부터 2000년 10월 8일까지 주말은 20:00 - 20:30 (30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0년 10월 9일부터 2002년 11월 3일까지 주말은 20:00 - 20:35 (3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2년 11월 4일부터 2008년 4월 27일까지 평일은 20:00 - 20:45 (45분) 동안 방송되었다. 2008년 4월 28일부터 2012년 11월 4일까지 주말은 20:00 - 20:40 (40분) 동안 방송되었다.
2. 3. 변화와 혁신 (2010~현재)
2014년 5월 19일, SBS는 '프리즘' 디자인을 도입하고 새로운 시그널 음악을 사용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2020년 9월 21일에는 2부제를 도입하고 수어 통역을 제공하기 시작했다.2020년 상반기에는 MBC 뉴스데스크가 시청률 위기를 겪으면서 SBS 8 뉴스의 시청률이 증가하기도 했다.[4]
3. 앵커
2017년 5월 22일부터 김현우 기자가 평일 SBS 8 뉴스를 진행하고 있다. 2023년 4월 3일부터는 김가현 아나운서가 김현우 기자와 함께 평일 진행을 맡고 있다.
역대 앵커로는 1대 맹형규 앵커를 시작으로, 최영임, 한수진, 김형민, 송도균, 전용학, 이영춘, 곽상은, 박상규, 김소원, 신동욱, 김성준, 박선영, 정미선, 최혜림 등이 있다.
3. 1. 평일
2017년 5월 22일부터 김현우 기자가 평일 SBS 8 뉴스를 진행하고 있다.[25][26][27] 2023년 4월 3일부터는 김가현 아나운서가 김현우 기자와 함께 평일 진행을 맡고 있다.역대 앵커로는 1대 맹형규 앵커를 시작으로, 최영임, 한수진[6], 김형민[7][9], 송도균[8], 전용학, 이영춘[10], 곽상은[11], 박상규, 김소원[12], 신동욱[13][19], 김성준[14][23], 박선영[15][16], 정미선[17][18], 최혜림[24] 등이 있다.
3. 2. 주말
2023년 4월 8일부터 현재까지 정유미 기자가 진행하고 있다.[47][48][49][50][51][52] 이전에는 김용태 기자와 주시은 아나운서가 2020년 11월 7일부터 2023년 4월 2일까지 진행했다.[45][46]4. 구성
4. 1. 현재 코너
김가현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SBS 8 뉴스 예고를 시작으로, 현장 탐사, 현장 앤 간다, 제보가 왔습니다, 심층 취재 더하다, 긴급 취재 답하다, 박세용 기자가 진행하는 사실은?(팩트체크), SBS 스포츠뉴스, 남유진 기상 캐스터가 진행하는 SBS 날씨, 클로징 코너가 있다. 주말에는 정유미 기자가 SBS 8 뉴스 예고 및 클로징을 진행하고, SBS 스포츠뉴스는 주영민 스포츠부 기자가, SBS 날씨는 토요일 남유진, 일요일 양태빈 기상 캐스터가 진행한다.2020년 9월 21일부터 대부분의 코너(스포츠 뉴스와 날씨 제외)는 'S-Pick'이라는 이름의 2부에 배치되었다.
코너명 | 진행자 | 비고 |
---|---|---|
SBS 8 뉴스 예고 | 김가현 아나운서 | |
현장 탐사 | ||
현장 앤 간다 | ||
제보가 왔습니다 | ||
심층 취재 더하다 | ||
긴급 취재 답하다 | ||
사실은? | 박세용 기자 | |
SBS 스포츠뉴스 | 김다영 아나운서 | |
SBS 날씨 | 남유진 기상 캐스터 | |
클로징 | 김가현 아나운서 |
코너명 | 진행자 | 비고 |
---|---|---|
SBS 8 뉴스 예고 | 정유미 기자 | |
현장 앤 간다 | ||
제보가 왔습니다 | ||
SBS 스포츠뉴스 | 주영민 스포츠부 기자 | |
SBS 날씨 | 토요일 : 남유진 기상 캐스터 일요일 : 양태빈 기상 캐스터 | |
클로징 | 정유미 기자 |
4. 2. 과거 코너
{코너명 | 진행자 | 비고 |
---|---|---|
오늘의 주요 뉴스 | 최혜림 아나운서, 주시은 아나운서 | |
뉴스 in 뉴스 | ||
기동 취재 | ||
긴급 점검 | ||
생생 리포트 | ||
이슈 리포트 깊이 있게 본다 | ||
현장 리포트 거침 없이 간다 | ||
탐사 리포트 끝까지 간다 | ||
열혈 취재 | ||
S Pick | ||
건강 라이프 | ||
더 스페셜리스트 | 이성훈 스포츠부 기자,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김수현 문화부 기자 | [57] |
로그 人 |
- '''주식시장 속으로''' - 경제 및 증권팀 기자들이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주식 시장 거래를 보여주는 8개의 경제 관련 이야기들을 모아 놓은 코너이다.
- '''경제지표''' - 위의 ''주식시장 속으로''와 비슷하지만 평일에만 방송되었다.
- '''오늘의 역사''' - 그날 있었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보여주는 코너이다.
- '''이슈 리포트: 심층 분석/ 현장 리포트: 거침없이 가다/ 제보 받습니다!''' - 2019년 3월 23일에 신설된 이 세 코너는 ''모바일 커버리지''와 ''판다까지''와 비슷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5.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
SBS 8 뉴스는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되며, 각 지역 민영 방송사들은 자체 뉴스를 편성한다. 평일 오후 8시 30분, 토요일 오후 8시 15분, 일요일 오후 8시 25분부터 지역 뉴스가 방송된다.
KBS 지역국, 지역MBC와는 다르게 지역민영방송에서는 자체 클로징으로 뉴스를 마친다.
지역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
방송 채널 | 방송 권역 | 프로그램 | 평일 진행자 | 주말 진행자 |
---|---|---|---|---|
G1방송 TV | 강원특별자치도 | G1 8 뉴스 | 김우진 | 토요일 : 최경식 AI, 송혜림 AI 일요일 : 무작위 |
TJB TV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 TJB 8 뉴스 | 김세범, 김수영 | 무작위 |
CJB TV | 충청북도 | CJB 8 뉴스 | 황수동, 연규옥 | 일요일 : 김종기 AI, 이윤영 AI |
TBC TV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TBC 8 뉴스 | 김도휘, 김예은 | 이향원 |
KNN TV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 KNN 뉴스아이 | 박경익, 임혜림 | 현승훈 AI |
ubc TV | 울산광역시 | ubc 프라임뉴스 | 편정택, 최지은 | 일요일 : 무작위 |
kbc TV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kbc 8 뉴스 | 황인찬 | 무작위 |
JTV TV | 전북특별자치도 | JTV 8 뉴스 | 도승민 | 일요일 : 무작위 |
JIBS TV | 제주특별자치도 | JIBS 8 뉴스 | 이정민 | 토요일 : 김동은 AI, 안수진 AI 일요일 : 무작위 |
JTV TV(DMB에서는 광주 프로그램 편성), ubc TV(DMB에서는 부산 프로그램 편성), CJB TV(DMB에서는 대전 프로그램 편성)는 토요일에는 지역 뉴스를 편성하지 않고 일요일에 지역 뉴스를 편성한다.
6. 비판
2010년 9월 배추 가격을 포함해 야채 가격이 전반적으로 폭등하던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배추가 비싸니 식탁에 배추김치 대신 양배추김치를 올리라고 지시했는데, 양배추 가격도 폭등하면서 누리꾼들은 이를 마리 앙투아네트 발언과 비교하며 비판했다.[60] 《SBS 8 뉴스》는 클로징에서 "대통령이 물가를 잘 모르고 엉뚱한 말을 했다는 것인데 설혹 그렇게 했다고 하더라도 과연 그렇게까지 해석하고 논란으로 볼 일인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61] 그러나 네티즌들은 정당한 비판을 한 국민을 정신 나간 사람들 취급했다며 맹비난했다.[61] 신동욱 앵커는 트위터를 통해 사과했다.[62]
2017년 5월 2일에는 세월호 인양 관련 오보에 대해 복잡한 사실 관계를 명료하게 분리해서 설명하지 못해 발제 의도와는 다른 결과를 낳았다며 세월호 유가족,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시청자들에게 사과했다. 이는 기사의 게이트 키핑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김성준 앵커가 밝혔다.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는 'SBS 8 뉴스' 폐지 발언을 하기도 했으나, 이후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유감을 표명했다.
7. 경쟁 프로그램
8. 타이틀 변천사
1991년 12월 9일 SBS의 첫 주요 뉴스 프로그램으로 'SBS 8 뉴스'라는 타이틀로 방송을 시작했다.[1] KBS 뉴스 9과 MBC 뉴스데스크가 밤 9시 시간대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과의 '정면 대결'을 시도하기 위해 주요 뉴스 방송 시간을 밤 8시로 정했다.[1]
이후 시청률 저조로 인해 1992년 3월 23일 밤 10시 SBS 뉴스쇼가 SBS 8 뉴스의 주말판이 되었다.[2]
1994년 10월 24일부터 주말판은 'SBS 뉴스 2000'으로, 1996년 10월 14일부터는 'SBS 뉴스 Q'라는 타이틀로 변경되었다. 1997년 3월 3일부터 평일판은 'SBS 9시 뉴스'로 타이틀을 변경하여 방송되었으나, 1997년 6월 30일부터 다시 'SBS 8 뉴스'로 타이틀이 환원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초기에는 매일 30분 또는 50분간 방송되었으나, 평일과 주말 방송 시간이 다르게 조정되기도 했다. 2020년 9월 21일 부터 평일 방송시간은 19:50 ~ 21:00, 주말은 20:00 ~ 20:45 이다.
2003년까지 양길승 부통령 스캔들 보도, DMZ 내 에이전트 오렌지 사용, 1993년 해군 비리 등 여러 사건 보도를 통해 여러 상을 수상했다.[3] 2020년 상반기에는 MBC 뉴스데스크가 시청률 위기를 겪으면서 SBS 8 뉴스의 시청률이 증가했다.[4]
기수 | 프로그램 타이틀 | 방송 기간 |
---|---|---|
1기 | SBS 8 뉴스 | 1991년 12월 9일 ~ 1992년 3월 22일 |
2기 | 평일 : SBS 8 뉴스 주말 : SBS 뉴스쇼 | 1992년 3월 23일 ~ 1992년 6월 28일 |
3기 | SBS 8 뉴스 | 1992년 6월 29일 ~ 1994년 10월 23일 |
4기 | 평일 : SBS 8 뉴스 주말 : SBS 뉴스 2000 | 1994년 10월 24일 ~ 1996년 10월 13일 |
5기 | 평일 : SBS 8 뉴스 주말 : SBS 뉴스 Q |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3월 2일 |
6기 | 평일 : SBS 9시 뉴스 주말 : SBS 뉴스 Q | 1997년 3월 3일 ~ 1997년 6월 29일 |
7기 | SBS 8 뉴스 | 1997년 6월 30일 ~ 현재 |
9. 시그널 변천사
《SBS 8 뉴스》의 시그널 음악은 1991년 첫 방송 이후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58] 1994년 10월 24일부터 1997년 3월 2일까지 사용된 3대 시그널은 SBS 주말 종합 뉴스 프로그램 《SBS 뉴스 2000》에서도 사용되었다. 1997년 6월 30일부터 1998년 3월 29일까지는 성우 엄주환의 "한시간 빠른 뉴스, SBS 8시 뉴스"라는 내레이션이 포함된 5대 시그널이 사용되었으며, 이 시그널의 변주곡은 2017년 10월 18일부터 《CJB 8 뉴스》 시그널로 사용 중이다. 1998년 3월 30일부터 2004년 2월 29일까지는 내레이션이 성우 김관철로 바뀐 6대 시그널이 사용되었다.
2014년 5월 19일부터 2014년 12월 24일까지는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의 OST 작곡가 이지수가 작곡한 9대 시그널이 사용되었다.[58] 이 시그널은 2014년 7월 21일부터 《모닝와이드》 시그널로 사용 중이며 《SBS 8 뉴스》와 더불어 SBS TV 뉴스 프로그램[59]의 시그널로 선정되었다. 2014년 12월 25일부터 현재까지는 9대 시그널이 약간 변형된 10대 시그널이 사용되고 있다.
오프닝 시그널은 2020년 9월 21일 부터 변경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데 도심을 본뜬 CG를 표시한 후, 흰색과 남색의 곡선이 나타나 "8" 모양을 만들면서 타이틀 로고로 변하고, 이어서 뉴스 스튜디오를 보여주는 형식이다. 타이틀 로고는 이전까지의 한글 표기가 없어지고, 숫자와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배경 음악은 이전과 같은 음악을 사용한다.
10. 캐치프레이즈
wikitable
기수 | 캐치프레이즈 | 기간 |
---|---|---|
1기 | 한 시간 빠른 뉴스 | 1997년 6월 30일 ~ 2004년 2월 29일 |
2기 | 디지털 시대의 중심 | 2004년 3월 1일 ~ 2004년 10월 10일 |
3기 | 진실의 창 | 2004년 10월 11일 ~ 2012년 12월 31일 |
4기 | 대한민국 뉴스 리더 | 2013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
5기 | 2015 배려 대한민국을 바꿉니다 | 2015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
6기 | 함께 만드는 기쁨 | 2016년 1월 1일 ~ 2016년 12월 18일 |
7기 | SBS 8 뉴스 | 2016년 12월 19일 ~ 2019년 3월 22일 |
8기 | 거침 없이 간다, 깊이 있게 본다, 끝까지 판다 | 2019년 3월 23일 ~ 2020년 9월 20일 |
9기 | 대한민국 뉴스의 기준, 중심을 지키는 저널리즘 | 2020년 9월 21일 ~ 현재 |
참조
[1]
뉴스
12월개국 SBS TV 종합뉴스 밤8시 편성
https://www.mk.co.kr[...]
1991-09-19
[2]
뉴스
SBS-TV 23일부터 프로개편
https://www.mk.co.kr[...]
1992-03-09
[3]
뉴스
SBS, 시청자와 함께 13년
https://n.news.naver[...]
2003-11-14
[4]
뉴스
2020년 메인뉴스 시청자수 JTBC 제친 TV조선
https://www.mediatod[...]
2020-12-29
[5]
문서
二部制導入以前は番組の終盤15-20分間が差替枠とされていた。
[6]
문서
한수진 부국장급 선임기자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7]
문서
김형민 前 보도제작국장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8]
문서
SBS 9시 뉴스 시절 포함.
[9]
문서
김형민 前 보도제작국장은 1년 10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했지만 위암 초기 판정으로 2000년 8월 7일 하차.
[10]
문서
이영춘 前 수원지국장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1]
문서
현재 파리 특파원
[12]
문서
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3]
문서
현재 국민의힘 서울 서초을 국회의원
[14]
문서
박선영 前 아나운서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후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15]
문서
김성준 前 논설위원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3년 8월 5일부터 2013년 8월 9일에는 편상욱 국제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16]
문서
박선영 前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4년 2월 3일부터 2014년 2월 25일, 2014년 4월 11일에는 최혜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17]
문서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은 주말 SBS 8 뉴스 진행한 지 2년 6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18]
문서
김성준 前 논설위원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4년 8월 18일부터 2014년 8월 22일에는 편상욱 국제부장이 대신 진행했다.
[19]
문서
현재 국민의힘 서울 서초을 국회의원
[20]
문서
신동욱 前 국제부장은 9년 3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21]
문서
신동욱 前 국제부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5년 7월 27일부터 2015년 7월 31일에는 편상욱 국제부장이 대신 진행했고 2016년 7월 25일부터 2016년 7월 29일에는 박현석 사회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22]
문서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5년 8월 17일부터 2015년 8월 21일, 2016년 8월 1일부터 2016년 8월 5일에는 이혜승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23]
문서
김성준 前 논설위원은 5년 9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24]
문서
최혜림 아나운서는 주말 SBS 8 뉴스 진행한 지 2년 4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25]
문서
김현우 정치부 기자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26]
문서
김현우 정치부 기자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7년 12월 4일부터 2017년 12월 8일, 2017년 12월 14일부터 2017년 12월 15일, 2021년 6월 11일, 2021년 9월 6일부터 2021년 9월 10일, 2022년 5월 16일부터 2022년 5월 20일,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9월 30일, 2022년 10월 24일부터 2022년 10월 28일, 2023년 4월 17일부터 2023년 4월 21일에는 김용태 정치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고 2018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11월 16일, 2019년 9월 2일부터 2019년 9월 6일, 2019년 12월 16일부터 2019년 12월 20일, 2020년 8월 24일부터 2020년 8월 28일에는 김범주 사회부 차장이 대신 진행했고 2023년 11월 13일부터 2023년 11월 17일, 2024년 9월 23일부터 2024년 9월 27일에는 정유미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27]
문서
최혜림 아나운서의 휴가·출장으로 인해 2017년 8월 21일부터 2017년 8월 25일, 2018년 7월 16일부터 2018년 7월 20일에는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이 대신 진행했고 2019년 7월 29일부터 2019년 8월 2일, 2019년 12월 30일부터 2019년 12월 31일, 2020년 8월 10일부터 2020년 8월 14일에는 김민형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4월 15일, 2021년 5월 28일, 2021년 6월 7일부터 2021년 6월 11일, 2021년 8월 16일부터 2021년 8월 20일, 2022년 3월 21일부터 2022년 3월 22일, 2022년 3월 25일에는 주시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3월 28일부터 2022년 4월 1일, 2022년 8월 29일부터 2022년 9월 2일에는 김다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28]
문서
일요일 진행.
[29]
문서
1993년 1월 1주까지 일요일 진행.
[30]
문서
현재 열린TV 시청자 세상 여성 MC
[31]
문서
일요일 진행.
[32]
문서
현재 SBS 오 뉴스 앵커
[33]
문서
현재 생방송 투데이 MC, 최영아의 아침편지 DJ
[34]
문서
정성근 前 논설위원은 7년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35]
문서
현재 SBS 뉴스브리핑 앵커
[36]
문서
최혜림 아나운서 1년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37]
문서
모닝와이드 3부 여성 MC
[38]
문서
2015년 8월 15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15-08-15
[39]
문서
벌거벗은 한국사 여성 패널
[40]
문서
2017년 1월 1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17-01-01
[41]
문서
워싱턴 특파원
[42]
문서
정미선 아나운서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43]
문서
뉴욕 특파원
[44]
문서
2019년 4월 27일~28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19-04-27
[45]
문서
워싱턴 특파원
[46]
문서
모닝와이드 1, 2부 여성 앵커
[47]
문서
김용태 기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48]
문서
2020년 11월 7일~28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20-11-07
[49]
문서
2022년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김용태 기자 휴가/출장)
2022-07-30
[50]
문서
2021년~2022년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주시은 아나운서 개인 사정 등)
2021-07-24
[51]
문서
2022년 12월 24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22-12-24
[52]
문서
2023년 1월 1일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신년 특집)
2023-01-01
[53]
문서
수도권 지역 방송
[54]
문서
토요일 방송
[55]
문서
2020년 11월 SBS 8 뉴스 진행자 변경
2020-11
[56]
문서
수도권 지역 방송
[57]
문서
격주 진행
[58]
뉴스
인터뷰 배용준 대역에서 시작된 인생의 새길
https://news.naver.c[...]
조선비즈
2015-04-07
[59]
문서
SBS 뉴스 시그널 변경 내역
2017-01-02
[60]
뉴스
'이명박 양배추 김치', 성난 민심에 '혼쭐'
http://www.vop.co.kr[...]
민중의 소리
2010-09-30
[61]
뉴스
李 대통령 양배추김치 두둔 SBS 뉴스 클로징 ‘뭇매’
https://news.naver.c[...]
쿠키뉴스
2010-10-01
[62]
뉴스
MB '양배추 김치' 옹호 신동욱 앵커, 직접 해명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0-10-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컬쳐로드] '좀비딸' 배우 조정석, SBS 8뉴스 출연 인터뷰 풀영상
'여름 흥행 공신' 조정석, 오늘(31일) SBS '8뉴스' 출연
[SBS8뉴스] 2025년 07월 18일 - 클로징
[컬쳐로드] 10년 차 걸그룹 트와이스의 이런 모습 처음이야!
[바로이뉴스] "엄마 나 뉴스 나왔어"…트와이스 미공개 영상 대방출
[바로이뉴스] "저희 노래로 뉴스 끝내주세요"…트와이스 미공개 영상 대방출
[바로이뉴스] "연습생 때로 돌아간 기분"…트와이스 미공개 영상 대방출
'SBS 8뉴스' 앵커, 8년 만에 바뀐다…사공성근 기자-주시은 아나운서 발탁
[단독] 구매해 보니 '중량 초과' 캠핑카…'꼼수 검사' 종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