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 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 수어는 한국의 청각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시각적인 언어이다. 1889년에 시작되었지만, 표준화 노력은 200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수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 제정을 통해 한국어와 동등한 지위를 얻었다. 한국 수어는 손의 모양, 위치, 움직임, 방향, 그리고 신체 표현을 활용하며, 음성 언어인 한국어와는 다른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현재 법원, 공공 행사, 방송 등에서 수어 통역이 제공되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 청각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 보장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언어 - 한국어족
    한국어족은 한국어와 제주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고대 한반도 언어들과의 관계는 불분명하며, 다양한 방언과 함께 제주어의 소멸 위기, 그리고 알타이어족 가설 등 기원 논쟁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 수화 - 대만 수화
    대만 수화는 일본 통치 시대 일본 수화에서 비롯되어 중국 수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현재 타이베이와 타이난을 중심으로 두 가지 방언이 존재하고, 영화 '사일런트 포레스트'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가 향상되었다.
  • 수화 - 일본 수화
    일본 수화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문법 구조를 가진 자연 언어로, 비수지 신호와 손, 손가락, 팔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며 한국 수화와 대만 수화에 영향을 주었고 일본어와는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진다.
  • 한국어에 관한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에 관한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 수어
개요
언어 이름한국 수어
다른 이름한국 수화 언어
사용 국가대한민국
사용자 수약 52,000명 ~ 85,000명
공용어 지정 국가대한민국
언어학적 정보
어족일본 수화 어족
언어 코드
ISO 639-3kvk
Glottologkore1273

2. 역사

한국 수어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조선 시대의 기록에서 수어 사용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옥(1760~1815)의 한문 소설인 《신아전》에는 대장장이 신탄재가 농인이여서 손짓과 몸짓을 사용해 고을 아전과 소통했다는 내용이 나온다.[20]

1909년 미국의 의료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R.S Hall)이 평양맹아학교를 통해 농교육을 실시하면서 한국 수어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1913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제생원(현재 서울농학교)에서는 일본 수어를 가르쳤지만, 1935년 평양광명맹아학원에서는 한국 수어를 가르쳤다. 1946년에는 한글 지문자가 창안되었고,[20] 1963년 서울농아학교에서 최초의 한국 수화 교본이 제작되었다.[21] 한국 수어는 일본 수화어족에 속하며, 일본 수어와 일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는데,[1][4] 이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한국 수어가 형성, 발전되었음을 보여준다.

1982년 서울농학교를 중심으로 최초의 한국 수어 사전인 표준수화사전이 편찬되었다. 1991년 대한민국 교육부는 한글식 표준 수화를 발행하여 한국 수어 표준화에 기여했다. 1999년 장애인복지법 개정,[22] 2000년 방송법 개정[23]을 통해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과 방송에서의 수어 통역 제공 근거가 마련되었다. 2005년 국립국어원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수화사전》을 출판하고 2007년 개정판을 발간했다. 2016년 2월 3일 한국수화언어법 제정으로 한국 수어가 국어와 동등한 공용어로 인정받았으며,[24][25] 2021년 한국수어의 날(2월 3일)이 처음으로 기념되었다.[26]

2. 1. 조선시대

한국 수어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옥(1760~1815)의 한문 소설인 《신아전》에 나오는 등장인물인 대장장이 신탄재가 농인이여서 손짓과 몸짓을 사용해 고을의 아전과 소통했다는 내용이 등장한다.[20]

2. 2. 20세기 초중반: 한국 수어의 형성 및 발전

1909년, 미국의 의료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R.S Hall)이 평양맹아학교를 통해 농교육을 실시하면서 한국 수어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농인 아이들은 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며 한국 수어로 소통했다.[21]

1913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제생원(현재 서울농학교)에서는 일본 수어를 가르쳤다. 그러나 1935년 평양광명맹아학원에서는 한국 수어를 가르쳤다. 1946년에는 한글 지문자가 창안되었고,[20] 1963년 서울농아학교에서 최초의 한국 수화 교본이 제작되었다.[21] 그러나 1962년,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가 농학교에서 수화법 대신 구화법 교육 방법을 지향하게 되면서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21]

한국 수어는 일본 수화어족에 속하며, 일본 수어와 일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1][4] 이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한국 수어가 형성, 발전되었음을 보여준다.

2. 3. 20세기 후반 ~ 현재: 표준화 및 법적 지위 확보

1982년, 서울농학교를 중심으로 부산농학교(부산배화학교), 대구영화학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등이 협력하여 최초의 한국 수어 사전인 표준수화사전을 편찬하였다. 1991년 대한민국 교육부는 한글식 표준 수화를 발행하여 한국 수어 표준화에 기여했다. 1999년에는 장애인복지법 개정을 통해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보장 내용이 구체화되었다.[22] 2000년에는 방송법 개정을 통해 ‘방송 소외 계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며, 방송에서의 수어 통역 제공 근거가 마련되었다.[23]

2005년, 국립국어원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수화사전》을 출판하고 2007년에는 개정판을 발간하여 한국 수어 어휘 체계 정립에 힘썼다. 2016년 2월 3일에는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어 한국 수어가 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공용어로 인정받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마련되었다.[24][25] 이 법은 한국 수어 사용자의 권익 보호 및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21년에는 한국수어의 날(2월 3일)이 처음으로 기념되었다.[26]

3. 특징

한국 수어는 음성 언어인 한국어와는 다른 운동 체계 언어이기 때문에 문법적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교착어의 성질을 띠지만, 한국 수어는 고립어적 성질을 가진다.[30]

한국 수어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등의 기호가 있으며,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그러나 불완전명사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고, 인칭대명사를 나타내는 기호에는 지칭 대명사 외에 비칭이나 존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기호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30] 또한, 한국 수어에서는 기호가 본래 형태 그대로 다른 품사로 전성된다는 특징이 있다.[28]

한국 수어에서는 부사격조사 중 "부터"와 "와"만이 독자적인 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에서, 부터, 과, 와, 만, 보다"를 추가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격조사 중 주격조사, 서술격조사, 관형격조사, 목적격조사, 보격조사, 호격조사, 감탄조사와 같은 조사의 기호는 없다.[28][31] 용언에서도 원형을 나타내는 기호는 있지만, 활용형을 나타내는 기호는 없다.[28]

한국 수어는 비수지 신호를 통합하여 어휘, 구문, 담화, 감정적 기능을 표현한다. 비수지 신호에는 눈썹을 올리고 찌푸리기, 얼굴 찡그리기, 고개 흔들기 및 끄덕이기, 몸통 기울이기 및 움직임 등이 포함된다.[14]

한국 수어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의 기호가 존재하여 이를 통한 시상 표현으로 시제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32] 하지만 완료 시제, 진행 시제, 진행 완료 시제 등은 해당하는 기호가 없어 나타내지 못하며,[28] 용언의 선어말 어미 또는 시제와 관련된 관형사형 어미를 통해 내용어 뒤에 시제를 나타내는 수어 어휘를 별도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었다"에서 [먹다]의 과거를 수어로 설명할 때 "먹다+[끝]"으로 표현함으로써 과거에 있었던 사건임을 명시한다.[32]

3. 1. 기호 구성 방식

한국 수어에서 기호의 구성 방식에는 총 7개가 있다.[30][27]

방식설명
지사(指事)의미하는 대상을 가리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방식
모방(模倣)대상의 동작을 흉내 내는 방식
상형(象形)대상의 형체나 그 형체의 변별 자질을 나타낸 방식
형지(形指)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가리키는 동작 방식
형동(形動)대상의 형체 혹은 일부를 만들어 대상이 하는 동작으로 표현하는 방식
회의(會意)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
전주(轉注)기존 기호의 의미가 전이되어 다른 뜻을 가진 단어로 나타내는 방식


3. 2. 수어소

수어소는 음성언어의 음소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한국 수어에서는 다음의 5가지로 구성된다.[28][29]

  • '''수형소(手形)''': 손의 형상
  • '''수위소(手位)''': 손의 작용 위치
  • '''수동소(手動)''': 손의 움직임
  • '''수향소(手向)''': 손의 방향
  • '''체동소(體動)''': 수형, 수위, 수동, 수향소 등 손만으로 의미 전달이 힘들 때 사용하는 손 외의 다른 신체


한국 수어에는 수형소 30개소, 수위소 23개소, 수동소 36개소, 수향소와 체동소 각각 20개소가 있다.[28] 한국 수어(KSL)는 다른 수어와 마찬가지로 어휘, 구문, 담화, 감정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를 통합한다. 여기에는 눈썹을 올리고 찌푸리기, 얼굴을 찡그리기, 고개를 흔들고 끄덕이기, 몸통을 기울이고 움직이는 것 등이 포함된다.[14]

3. 3. 문법

한국 수어는 음성 언어 체계인 한국어와는 다르게 운동 체계 언어라서 문법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한국어는 유형론적으로 교착어의 성질을 띄지만 한국 수화는 고립어적 성질을 가진다.[30]

한국 수어에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명사, 대명사, 수사 등의 기호가 있다. 다만 불완전명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인칭대명사를 나타내는 기호에는 지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기호 외에 비칭이나 존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기호가 보통 없다.[30] 그리고 한국 수화에서는 기호가 본형 그대로 다른 품사로 전성된다는 특징이 있다.[28]

한국 수화에서는 부사격조사 중에서 독자적인 기호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부터"와 "와"뿐이며 추가로 표현할 수 있는 "에서, 부터, 과, 와, 만, 보다"를 제외한 격조사 중 주격조사, 서술격조사, 관형격조사, 목적격조사, 보격조사, 호격조사, 감탄조사와 같은 조사의 기호가 없다.[28][31] 또한 용언에서도 그 원형을 나타내는 기호는 있지만 활용형을 나타낼 수 있는 기호가 없다.[28] 한국 수어(KSL)는 다른 수어와 마찬가지로 어휘, 구문, 담화, 감정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를 통합한다. 여기에는 눈썹을 올리고 찌푸리기, 얼굴을 찡그리기, 고개를 흔들고 끄덕이기, 몸통을 기울이고 움직이는 것 등이 포함된다.[14]

3. 3. 1. 시제

한국 수어에서는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의 기호가 존재하여 이를 통한 시상 표현으로 시제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32] 하지만 완료 시제, 진행 시제, 진행 완료 시제 등은 해당하는 기호가 없어 나타내지 못하며,[28] 용언의 선어말 어미 또는 시제와 관련된 관형사형 어미를 통해 내용어 뒤에 시제를 나타내는 수어 어휘를 별도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었다"에서 [먹다]의 과거를 수어로 설명할 때 "먹다+[끝]"으로 표현함으로써 과거에 있었던 사건임을 명시한다.[32]

4. 한국 사회와 수어

한국 수화한국어와 함께 대한민국 청각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언어이다. 2016년 2월 3일에 제정되어 2016년 8월 4일부터 시행된 한국수화언어법에 따라 한국 수어는 한국어와 동등한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다.[12][13]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청각 장애인 252,779명과 언어 장애인 18,275명이 있었다.[5] 이는 대한민국 인구의 0.36%~0.6%에 해당하는 수치이다.[6]

한국 수어는 직관성, 선호도, 신체적 스트레스라는 세 가지 사용성 기준을 통해 평가된다.[9] 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한국 수어 표준화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지만,[2] 정부 제작 자료는 원어민 참여 부족, 구어 한국어 기반 번역 등으로 인해 원어민 사용 언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0]

4. 1. 통역

한국수화언어법(2016년 2월 3일 채택, 2016년 8월 4일 발효)은 한국어와 동등한 지위로 한국 수어를 대한민국 청각 장애인을 위한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 이 법은 국가 및 지방 정부가 청각 장애인에게 한국 수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2] 법 제정 후, 법원에서 수화 통역 제공이 의무화되었고,[13] 공공 행사 및 사회 서비스 프로그램에서도 사용된다.[13] 대한민국은 청인을 위한 수화 강좌와 청각 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특별 수화 교육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12]

4. 2. 방송

대한민국에서는 2016년 2월 3일에 제정되어 2016년 8월 4일부터 시행된 한국수화언어법에 따라 한국 수화한국어와 동등한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다.[12][13] 이 법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청각 장애인에게 필요한 한국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정에서 수어 통역 제공이 의무화되었고, 공공 행사나 사회 서비스 프로그램에서도 한국 수어가 사용된다.

4. 3. 사용 현황

대한민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 말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청각 장애인 252,779명과 언어 장애인 18,275명이 있었다.[5] 최근 추정치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농인은 18만 명에서 30만 명 사이이다.[6] 이는 대한민국 인구의 0.36%~0.6%에 해당한다.

4. 4. 평가 및 개선 노력

한국 수어 제스처는 직관성, 선호도, 신체적 스트레스라는 세 가지 사용성 기준을 통해 평가된다.[9] 직관성은 제스처와 의미 간의 연결을, 선호도는 제스처에 대한 호감도를, 신체적 스트레스는 제스처 수행 시 신체 부담 정도를 의미한다. 이상적인 제스처는 의미와 명확히 연결되고,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불필요한 신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9]

2013년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한 제스처가 공식 한국 수어 제스처보다 선호도 및 신체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우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제스처의 직관성과 선호도 간 강한 연관성이 확인되었고, 선호도와 신체적 스트레스 간에는 약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 수어에서 직관성이 중요한 평가 요소임을 시사한다.[9]

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한국 수어 표준화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2] 2000년부터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2005년 첫 공식 한국 수어 사전을 출판하고, 2012년까지 공통 구문집을 출판했다. 그러나 정부 제작 자료는 원어민 참여 부족, 구어 한국어 기반 번역 등으로 인해 원어민 사용 언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공 영역의 한국 수어 통역 품질도 낮아, 농인들은 표준 미디어 통역에서 의도된 메시지의 절반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0] 공식 승인된 LGBT 관련 수어는 낙인찍히고 지나치게 성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2019년 한국 농인 LGBT 옹호 단체가 결성되어 대체 수어를 제작, 2021년 배포하여 농인 LGBT 커뮤니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0][11]

5. 한국수화언어법

한국 수화한국어와 동등한 지위로 대한민국 청각 장애인을 위한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이는 2016년 2월 3일에 채택되어 2016년 8월 4일에 발효된 한국수화언어법에 따른 것이다.[12][13]

이 법은 국가 및 지방 정부가 필요로 하는 청각 장애인에게 한국 수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 수화가 제정된 후, 법정에서 수화 통역이 제공되는 것이 의무화되었으며, 공공 행사 및 사회 서비스 프로그램에서도 사용된다.[12][13]

대한민국은 청인을 위한 수화 강좌와 청각 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특별 수화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2][13]

참조

[1]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2010
[2] 간행물 한국수어 정비 사업 http://www.korean.go[...] 2017-02
[3] 웹사이트 서울맹학교 학교역사 https://web.archive.[...] 2017-09-05
[4] 서적 https://books.google[...]
[5] 뉴스 「한국수화언어법」 국회 통과로 27만여 농인 언어권 보장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01-04
[6] 웹사이트 South Korea - AASL http://aasl.aacore.j[...] 2018-12-22
[7] 웹사이트 Two Sign Languages Given Official Language Status https://www.sil.org/[...] 2016-02-23
[8] 웹사이트 Korean Sign Language is an official language in South Korea, finally. https://medium.com/@[...] 2016-01-03
[9] 간행물 Utilizing Sign Language Gestures For Gesture-Based Interaction: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2013
[10] 웹사이트 Korean deaf LGBT activists create new signs to express identities with pride https://www.koreatim[...] 2022-09-24
[11] 웹사이트 "[커버스토리]농인성소수자들, 혐오 지우고 자긍심 담은 새 수어를 짓다" https://www.khan.co.[...] 2021-04-24
[12] 간행물 Sign Language 2003
[13] 문서 The original text of the legislation in Korean can be viewed here. http://www.law.go.kr[...]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https://books.google[...] 2010
[16] 웹사이트 수화언어, 한국어와 대등한 공용어로 인정 http://www.hankookil[...] 2016-01-04
[17] 웹인용 ‘청능주의의 폐해’… 농인 95%가 10살 넘어 수어 배운다 [심층기획-말뿐인 공용어…설 곳 없는 한국수어(手語)] https://www.segye.co[...] 2024-04-27
[18] 문서 본 수치는 "2020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 결과 보고서(최종)"의 추정치를 인용한 값임
[19] 저널 2020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 결과 보고서(최종) https://www.korean.g[...]
[20] 웹인용 "[오늘은] '한국수어의 날'을 아시나요?" https://www.yna.co.k[...] 2024-04-27
[21] 웹인용 수어의 역사 알아보기 – 장애인과 일터 https://kead-webzine[...] 2024-04-27
[22] 웹인용 장애인복지법 https://www.law.go.k[...] 2024-04-27
[23] 웹인용 지상파3사 ‘메인뉴스 수어방송’을 이끈 사람 https://www.mediatod[...] 2024-04-27
[24] 웹인용 수화언어, 한국어와 대등한 공용어로 인정 https://www.hankooki[...] 2024-04-28
[25] 웹인용 「한국수화언어법」 국회 통과로 27만여 농인 언어권 보장 https://mcst.go.kr/k[...] 2024-04-27
[26] 웹인용 '한국 수어', 다양한 문화 포용…제4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 개최 https://newspim.com/[...] 2024-04-27
[27] 웹인용 수화란 무엇인가? https://www.reportwo[...] 2024-04-27
[28] 저널 한국수화연구 https://korean.go.kr[...] 애드피아 2010-02-28
[29] 웹인용 착한수화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xn--9p4b3[...] 2024-04-28
[30] 저널 수화 자동 생성을 위한 한국어 문장 분석과 처리 http://www.biopathwa[...] 2003년
[31] 웹인용 청각장애학생의 의사소통양식 유형에 따른 격조사 사용 비교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KISS https://kiss.kstudy.[...] 2024-04-28
[32] 저널 "'한국수어의 실제'(초급편)" https://www.gg.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