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2012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2012 예선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이었다. 총 51개 팀이 참가하여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과 조 2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은 본선에 직행했다. 나머지 조 2위 팀들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다퉜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잉글랜드, 러시아, 프랑스, 그리스, 덴마크가 각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스웨덴은 조 2위 팀 중 최고 승점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체코, 포르투갈이 승리하여 본선에 합류했다. 폴란드와 우크라이나는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2012 - UEFA 유로 2012 결승전
UEFA 유로 2012 결승전은 2012년 7월 1일 키예프에서 열려 스페인이 이탈리아를 4-0으로 꺾고 우승하며 메이저 대회 3연패를 달성했고, 안드레스 이니에스타가 경기 MVP로 선정되었다. - UEFA 유로 2012 - UEFA 유로 2012 선수 명단
UEFA 유로 2012 선수 명단은 UEFA 유로 2012에 참가한 16개국의 각 23명 선수 명단을 기록한 문서로, 소속팀, 생년월일, 출전 횟수 등의 정보와 조별 팀 구성,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 UEFA 유로 2012 예선 - UEFA 유로 2012 예선 플레이오프
UEFA 유로 2012 예선 플레이오프는 각 조 2위 팀 중 스웨덴을 제외한 8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마지막 4장의 본선 티켓을 놓고 경쟁한 경기이며, 추첨 결과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아일랜드, 체코가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 UEFA 유로 2012 예선 - UEFA 유로 2012 예선 F조
UEFA 유로 2012 예선 F조는 그리스, 크로아티아, 이스라엘, 라트비아, 조지아, 몰타가 참가하여 그리스가 1위로 본선에 직행하고 크로아티아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2000 예선
UEFA 유로 2000 예선은 1998년 9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9개 조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 중 승점이 가장 높은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1992 예선
UEFA 유로 1992 예선은 33개국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유럽 지역 예선로, 독일 재통일과 유고슬라비아의 출전 금지라는 변수가 있었다.
UEFA 유로 2012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UEFA 유로 2012 예선 |
기간 | 2010년 8월 11일 – 2011년 11월 15일 |
참가 팀 수 | 51 |
경기 수 | 248 |
총 득점 | 665 |
최다 득점자 | 클라스얀 훈텔라르(NED) (12골) |
이전 대회 | 2008 |
다음 대회 | 2016 |
2. 시드 배정
UEFA 유로 2012 예선 조 추첨은 2010년 2월 7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진행되었다. 시드 배정은 2009년 말 UEFA 계수를 기준으로 6개 포트로 나누어 진행되었다.[18][19][20] 지난 대회 우승팀인 스페인은 자동적으로 1번 포트에 배정되었으나, UEFA 계수에서도 1위를 기록하여 큰 의미는 없었다.[18]
각 국가의 UEFA 계수는 다음 방식으로 계산되었다:[19]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40%
- UEFA 유로 2008 예선과 본선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40%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과 본선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20%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을 겪고 있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을 치른 조지아와 러시아는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았다.[21]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도 서로 경기를 거부한 적이 있다.[22]
자세한 시드 배정 결과는 #시드 배정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시드 배정 결과
UEFA영어 계수에 따라 2009년 말에 6개의 포트로 시드 배정이 나뉘었다. 지난 대회 우승팀인 스페인은 순위에 관계없이 포트 1에 자동 배정되었지만, UEFA 계수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하여 큰 의미는 없었다.[18]각 국가의 UEFA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19]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의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40%.
- UEFA 유로 2008 예선과 본선의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40%.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과 본선의 경기당 평균 랭킹 포인트 20%.
51개 참가국은 2010년 2월 7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추첨을 통해 9개 조로 편성되었다.[20]
포트 1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1위 | -- (전 대회 우승팀) | 39,964점 |
2위 | -- | 38,294점 |
3위 | -- | 37,821점 |
4위 | -- | 35,838점 |
5위 | -- | 34,819점 |
6위 | -- | 33,677점 |
7위 | -- | 33,226점 |
8위 | -- | 32,551점 |
9위 | -- | 32,477점 |
포트 2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10위 | -- | 31,268점 |
11위 | -- | 30,871점 |
12위 | -- | 30,695점 |
13위 | -- | 30,395점 |
14위 | -- | 29,811점 |
15위 | -- | 29,447점 |
16위 | -- | 29,222점 |
17위 | -- | 28,228점 |
18위 | -- | 28,145점 |
포트 3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20위 | -- | 28,052점 |
21위 | -- | 27,198점 |
22위 | -- | 26,827점 |
24위 | -- | 26,210점 |
25위 | -- | 25,971점 |
26위 | -- | 25,646점 |
27위 | -- | 24,518점 |
28위 | -- | 24,381점 |
29위 | -- | 24,365점 |
포트 4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30위 | -- | 24,221점 |
31위 | -- | 23,303점 |
32위 | -- | 23,048점 |
33위 | -- | 22,071점 |
34위 | -- | 21,515점 |
35위 | -- | 21,426점 |
36위 | -- | 21,274점 |
37위 | -- | 19,409점 |
38위 | -- | 18,791점 |
포트 5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39위 | -- | 18,751점 |
40위 | -- | 18,319점 |
41위 | -- | 17,792점 |
42위 | -- | 15,819점 |
43위 | -- | 15,734점 |
44위 | -- | 15,404점 |
45위 | -- | 15,164점 |
46위 | -- | 14,730점 |
47위 | -- | 13,581점 |
포트 6 | ||
---|---|---|
순위 | 팀 | UEFA 계수 |
48위 | -- | 13,500점 |
49위 | -- | 11,872점 |
50위 | -- | 11,517점 |
51위 | -- | 10,620점 |
52위 | -- | 9,197점 |
53위 | -- | 7,783점 |
공동 개최국인 우크라이나와 폴란드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며, 순위는 각각 19위(계수 28,133점)와 23위(계수 28,133점)였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으로, 조지아와 러시아는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으로 인해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았다.[21]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추첨 결과 A조에 편성되어 UEFA는 아르메니아를 B조로 이동시켰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도 서로 경기를 거부한 바 있다.[22]
3. 조별 리그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I조 UEFA에 가맹된 51개 국가와 지역이 6개국으로 구성된 A~F 6개 조와 5개국으로 구성된 G~I 3개 조, 총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조별 리그전을 치렀다. 각 조 1위가 예선을 통과하고, 2위 9개국 중 성적이 가장 좋은 국가도 예선을 통과한다. 남은 2위 8개국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리한 4개국이 추가로 예선을 통과한다. 조별 리그 경기는 2010년 9월 3일부터 2011년 10월 11일까지 진행되었다. 새로운 예선 규정에 따라 선수들은 소속 클럽으로 복귀하여 국내 경기에 출전할 수 있도록 주중 경기는 수요일 대신 화요일에 열렸고, 주말 경기는 금요일로 앞당길 수 있었다.
각 조에서 승점이 동점인 팀이 2팀 이상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순위를 결정했다.
# 해당 팀 간의 대결에서의 획득 포인트
# 해당 팀 간의 대결에서의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대결에서의 득점 수
# 해당 팀 간의 대결에서의 원정 골 수
# 1~4를 적용한 후에도 2팀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팀에 1~4를 적용하여 다시 비교한다. 그래도 결정되지 않으면 6번 이하 항목으로 진행한다.
# 해당 팀의 모든 경기에서의 득실차
# 해당 팀의 모든 경기에서의 득점 수
# 해당 팀의 모든 경기에서의 원정 골 수
# 해당 팀의 모든 경기에서의 페어 플레이 랭킹 비교
# 추첨
3. 1. 순위 결정 방식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2개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8]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 획득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나은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득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원정 득점
# 만약 1)에서 4)의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두 팀 이상이 동률을 유지하는 경우, 해당 팀들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1)에서 4)의 기준을 다시 적용한다. 이 절차로도 결정이 나지 않을 경우, 6)에서 10)의 기준을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더 나은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득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더 많은 원정 득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페어 플레이 랭킹
# 추첨
3. 2. A조
O
M
E 독일 X 3-0 3-1 6-2 6-1 4-0 튀르키예 1-3 X 3-2 2-0 1-0 2-1 벨기에 0-1 1-1 X 4-4 4-1 4-1 오스트리아 1-2 0-0 0-2 X 3-0 2-0 아제르바이잔 1-3 1-0 1-1 1-4 X 3-2 카자흐스탄 0-3 0-3 0-2 0-0 2-1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