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С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이다. 그리스 문자 시그마의 변형에서 유래되었으며, 라틴 문자 C와 형태가 같다.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주로 무성 치경 마찰음 /s/ 또는 구개음화된 무성 치경 마찰음 /sʲ/를 나타낸다.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우크라이나어, 오세트어 등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에서 알파벳 내 위치와 발음이 다르다. 유니코드에서는 U+0421 (대문자), U+0441 (소문자)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С |
---|
2. 역사
키릴 문자 С는 중세 초 그리스 세계에서 사용된 그리스 문자 시그마의 변형인 ''윤월 시그마''(Ϲ ϲ)에서 유래되었다. С는 동형 문자이고 뿌리가 유사하기 때문에 라틴 문자 C(C c)와 시각적-음성적-의미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라틴 문자 C는 그리스 문자 감마(Γ γ)의 후손이며, 따라서 С는 라틴 C 및 라틴 G와 관련이 있다. 키릴 문자 С는 /s/ 소리를 나타내지만, 많은 언어에서 특히 전설 모음("e", "i" 등) 앞에서 라틴 문자 C에 /s/ 값을 적용한다(예: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 이러한 "경음"과 "연음" C의 구분은 역사적 음운 변화를 반영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С는 라틴 문자 S와도 관련이 있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 С의 이름은 слово|슬로보cu(''slovo'')였으며, 이는 "단어" 또는 "말"을 의미한다.[1]
키릴 숫자에서 С는 200의 값을 가졌다.
이 문자가 라틴 문자 C와 동형인 것은 헬레니즘 시대에 손으로 쓴 그리스어에서 비문체의 대문자 시그마가 간략화되어 C와 같이 쓰였기 때문이다(초승달 모양의 시그마).
- 소련의 러시아어 약칭은 СССР|에스에스에스에르ru(로마자 표기 SSSR|에스에스에스아르영어)인데, 러시아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볼 경우, 라틴 문자의 CCCP|씨씨씨피영어로 오독되는 경우도 많았다. 일본인 중에서도 올림픽 등의 영상에서 소련 선수의 유니폼 등에 쓰여진 문자를 보고 "저 CCCP|씨씨씨피영어는 무슨 뜻인가" 등 의문을 품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3. 형태
오늘날 사용되는 현대 라틴화된 키릴 문자의 글꼴에서 키릴 문자 에스(С)는 라틴 문자 C와 정확히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모양은 같지만 발음이 다른(또는 적어도 가장 일반적인 발음과는 다른) 6개의 문자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형태적 유사성은 표절 탐지기를 우회하는 데 악용되기도 한다.
키릴 문자 С가 라틴 문자 C와 같은 모양을 하게 된 것은 헬레니즘 시대에 손으로 쓴 그리스어의 대문자 시그마(Σ)가 비문 등에서 간략화되어 C와 같은 초승달 모양으로 쓰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양의 유사성 때문에 혼동이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련의 러시아어 약칭인 СССРru(로마자 표기 SSSR)은 러시아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라틴 문자 CCCP영어로 잘못 읽히는 경우가 많았다. 올림픽 등에서 소련 선수 유니폼에 적힌 이 글자를 보고 CCCP영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러시아어에는 'с' 한 글자로 된 전치사가 있으며, 이는 뒤따르는 명사의 격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4. 언어별 용법
다양한 언어의 알파벳에서 사용되는 "С"는 다음과 같은 소리를 나타낸다.
- 무성 치경 마찰음 /s/, 영어 단어 "'''s'''and"에서 s의 발음과 유사함
- 구개음화된 무성 치경 마찰음 /sʲ/
아래 표에 표시된 발음은 각 언어의 주요 발음이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언어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언어 | 알파벳 내 위치 | 발음 |
---|---|---|
벨라루스어 | 19번째 | /s/, /sʲ/ |
불가리아어 | 18번째 | /s/, /sʲ/ |
마케도니아어 | 22번째 | /s/ |
러시아어 | 19번째 | /s/, /sʲ/ |
세르비아어 | 21번째 | /s/ |
우크라이나어 | 22번째 | /s/, /sʲ/ |
오세트어 (이론) | 23번째 | /ʃ~s̠/ |
원칙적으로 /s/를 나타낸다.
4. 1. 러시아어
С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19번째 글자이며, 이름은 '에스'라고 불린다. 발음은 주로 무성 치경 마찰음 /s/ 또는 구개음화된 무성 치경 마찰음 /sʲ/이다.이 문자의 모양이 라틴 문자 C와 비슷한 것은 헬레니즘 시대에 손으로 쓴 그리스어에서 비문체의 대문자 시그마(Σ)가 C와 같이 간략화되었기 때문이다(초승달 모양의 시그마).
과거 소련의 러시아어 약칭은 'СССР|에스에스에스에르ru'(로마자 표기는 'SSSR|영어')이었는데, 키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이를 라틴 문자의 'CCCP|영어'(씨 씨 씨 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올림픽 경기 등에서 소련 선수 유니폼에 적힌 'СССР|에스에스에스에르ru'를 보고 'CCCP|영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러시아어에서는 'с' 한 글자가 전치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전치사는 뒤따르는 명사의 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4. 2. 우크라이나어
С는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22번째 글자이며, 명칭은 '에스'이다.[1] 일반적으로 무성 치경 마찰음 /s/ 소리를 나타내지만, 구개음화되어 /sʲ/로 발음되기도 한다.[1]4. 3. 벨라루스어
벨라루스어 알파벳의 19번째 글자이다. 무성 치경 마찰음 /s/ 또는 구개음화된 무성 치경 마찰음 /sʲ/ 소리를 나타낸다.4. 4. 불가리아어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18번째 글자이다. 주로 무성 치경 마찰음 /s/ 소리를 내며, 이는 영어 단어 "sand"의 's' 발음과 비슷하다. 때로는 구개음화된 무성 치경 마찰음 /sʲ/로도 발음된다. 불가리아어에서는 '스'라고 부른다.4. 5.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22번째 글자이다. 무성 치경 마찰음 소리를 나타낸다.4. 6.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이며, 무성 치경 마찰음 /s/ 소리를 나타낸다.4. 7. 오세트어 (이론)
오세트어 알파벳에서 23번째 글자이며, 발음은 /ʃ~s̠/이다.5. 관련 문자
6. 컴퓨팅 코드
유니코드에서 키릴 문자 С(대문자)는 U+0421, с(소문자)는 U+0441에 해당하며, JIS X 0213에서는 각각 1-7-19, 1-7-67에 해당한다.
다른 문자 인코딩에서의 코드값은 다음과 같다.
인코딩 | 문자 | 16진 코드값 |
---|---|---|
KOI8-R, KOI8-U | С (U+0421) | F3 |
с (U+0441) | D3 | |
코드 페이지 855 | С (U+0421) | E4 |
с (U+0441) | E3 | |
Windows-1251 | С (U+0421) | D1 |
с (U+0441) | F1 | |
ISO-8859-5 | С (U+0421) | C1 |
с (U+0441) | E1 | |
매킨토시 키릴 | С (U+0421) | 91 |
с (U+0441) | F1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