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Ѕ는 초기 키릴 문자의 하나로, '젤로'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dz/ 또는 /z/ 소리를 나타냈다.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세르비아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마케도니아어에서만 사용되며, /dz/ 발음을 나타내는 문자로 쓰인다. 마케도니아어 알파벳의 10번째 문자이며, 유니코드에는 U+0405 (Ѕ)와 U+0455 (ѕ)로 등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Ѕ | |
---|---|
문자 정보 | |
이름 | 제트 (Dze) |
설명 | 키릴 문자 |
음가 | , |
로마자 표기 | ds |
숫자 값 | 6 |
유니코드 | 'Ѕ', 'ѕ' |
기원 | |
유래 | 그리스 문자 스티그마(Ϛ ϛ) 또는 디감마(Ϝ ϝ) |
관련 문자 | |
키릴 문자 | З з |
유사 문자 | S s, Ⴝ |
2. 역사
Ѕ는 초기 키릴 문자 중 하나로, 원래 '젤로'(dzělo,
키릴 문자 Ѕ는 그리스 문자 스티그마(Ϛ)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Ϛ는 옛 글자 Ϝ(디감마)의 중세 형태와 유사하며 '여섯'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 키릴 문자 Ѕ와 로마자 S의 유사성은 우연일 가능성이 크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Ѕ는 약한 또는 발음으로 소리 났으며, 17세기 중반 교회 슬라브어 표기 시 혼동을 피하기 위해 Ѕ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러시아어에서는 1708년 표트르 1세의 철자법 개정 초안에서 Ѕ가 /z/ 발음에 배정되고 З가 폐기될 뻔했으나, 1710년 제2판에서 З가 부활하고 Ѕ가 폐기되었다. 두 글자는 혼용되다가 1735년 이후 Ѕ는 사라졌다. 루마니아어에서는 발음을 표기하다가 1860년경 로마자 기반 표기로 바뀌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세르비아어에서도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다가 1868년 부크 카라지치의 문자법 개정으로 제외되었으며, 현재는 'ДЗ'라는 이중음자로 표기한다.
2. 1. 기원
초기 키릴 문자 중 하나였던 문자로, 원래는 '젤로'(dzělo, )란 이름으로 '여섯'이란 의미를 지녔다. 젤로란 이름 자체는 글라골 문자에 있던 '젤로'를 따온 것인데, 글라골 문자에서는 'Ⰷ'로 표기하였고 여기선 '여덟'이란 의미를 가졌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도 '젤로'(ѕѣло, dzeló)라 불렀으며 교회 슬라브어 역시 '젤로'(ѕѣлѡ, zeló)라 불렀다.[2]글라골 문자에서 'Ⰷ'가 어디서 기원했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키릴 문자 Ѕ는 그리스 문자인 'Ϛ' (스티그마)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Ϛ'는 옛 글자 Ϝ(디감마)의 중세 시대 형태로서 유사한 모양을 지녔고 '여섯'이란 뜻을 담고 있다는 점도 똑같다. 반면 키릴 문자 Ѕ와 로마자 S가 닮은 것은 우연일 가능성이 크다.[2]
2. 2. 발전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Ѕ'는 약한 발음이나 발음으로 소리내었다. 이미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부터 'Ѕ'와 'З' 글자가 별다른 구분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이며, 17세기 중반에 들어서 교회 슬라브어를 필기할 때 혼동을 피하기 위해 'Ѕ' 자만이 공식적으로 쓰이게 되었다.[5]러시아어에서는 1708년 러시아 제국의 표트르 1세 황제가 제정한 러시아어 국가 철자법 초안에서 /z/ 발음에 글자 'Ѕ'를 배정해 두고 글자 'З'는 폐기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1710년에 제정된 제2판에서는 З를 되살리고 반대로 Ѕ를 폐기하는 양상을 취했다. 이후 두 글자는 계속해서 혼용되다가 1735년을 끝으로 'Ѕ'는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어에서도 발음을 표기할 때 사용되다가 1860년경에 로마자를 기반으로 표기 체계를 바꾸게 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19세기 중반에는 세르비아어 국가 철자법에서도 /dz/ 발음을 표기할 때 쓰던 글자였다. 1868년에 부크 카라지치가 정립한 세르비아 키릴 문자법에서는 빠지게 되었고, 오늘날 세르비아어에서는 해당 발음을 쓸 일이 적긴 하나 굳이 필요하다면 'ДЗ'의 이중음자로 표기한다.
3. 현대적 사용
현재 이 글자를 사용하는 유일한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다. 마케도니아어에서 로 소리나는 글자이며 '지드'(ѕид ѕid|지드mk, ), '즈베즈다'(ѕвезда ѕvezda|즈베즈다mk, ) 등의 단어가 있다.[3]
마이크로소프트의 세르비아어 키릴 자판에도 이 문자가 들어가 있지만, 정작 세르비아어에서는 해당 문자를 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우분투용 세르비아어 자판에서는 Ѕ를 Ж 글쇠로 대체해 놓았다.[3]
3. 1. 마케도니아어
1944년 12월 4일 '마케도니아 문자 문어 정립 언어위원회'에서 마케도니아 표준 철자법을 제정하면서 10-1의 찬성으로 도입이 결정되었다.[3] 마케도니아어에서 발음을 나타내며, '지드'(ѕid|지드mk, 벽), '즈베즈다'(ѕvezda|즈베즈다mk, 별) 등의 단어에 사용된다.[3] 해당 소리는 마케도니아어의 모든 방언에서 사용된다. 마케도니아어의 10번째 문자이다.3. 2. 기타 언어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자판에 Ѕ가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다.[3] 벨라루스어 등 일부 슬라브어에서는 /dz/ 발음을 ДЗ 이중음자로 표기한다. 특히 벨라루스어에서는 「ДЗ」가 종종 하나의 문자처럼 취급된다.마이크로소프트의 세르비아어 키릴 자판에도 Ѕ가 들어가 있지만, 정작 세르비아어에서는 해당 문자를 쓰지 않아 우분투용 세르비아어 자판에서는 Ѕ를 Ж 글쇠로 대체해 놓았다.[3]
19세기 중반까지는 세르비아어에서도 Ѕ 문자가 사용되었다.[3]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세르비아 키릴 문자(1868)에는 Ѕ가 포함되지 않았고, 대신 이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비원어적인 간단한 이중자 дз를 선호했다.[3]
러시아어에서는 зѣло(젤로)라고 불렸으며, 음가는 /z/ 또는 /zʲ/였다. 표트르 1세 치하의 러시아 민자체 초기 버전(1708년)에서 Ѕ는 /z/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지정되었고, 문자 З는 제거되었다. 그러나 민자체 두 번째 버전(1710년)에서 З가 복원되었고, Ѕ는 폐지되었다. 두 버전의 알파벳은 1735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해는 러시아어에서 Ѕ가 최종적으로 폐지된 해로 여겨진다.[3] 러시아어에서는 Ѕ로 표기했던 소리가 З와 같은 /z/로 변화했기 때문에, 1708년에 З에 통합되었다. 다만, З를 Ѕ에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 최종적으로 З에 통합되기까지 약간의 우여곡절이 있었다.[3]
우크라이나어에서 /d͡z/ 소리는 언어의 음운론의 일부로 통합되었지만, 주로 고유 우크라이나어 단어보다는 외래어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중자 дз는 음소 /d͡z/와 별도로 발생하는 자음군 /d.z/를 모두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는 우크라이나어 음운 규칙에 의해 /d͡z.z/로 동화된다.[3]
벨라루스어는 일반적으로 дз를 특징으로 하지만, 이는 대개 폴란드어와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친 *d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Ѕ는 이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적이 없다.[3]
현대 불가리아어는 교회 슬라브어 문자로 명시적으로 작성된 경우를 제외하고 Ѕ를 사용한 적이 없다. 대부분의 방언에서 이 문자가 나타나지만, 표준화 당시의 권위 방언인 터르노보 방언이나 교회 슬라브어 (독립적으로 작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터르노보 방언을 포함한 몇몇 동부 방언은 파찰화로 인해 표준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dz/ 및 /dʒ/ 음소를 독립적으로 발전시켰다. 표준 불가리아어 제정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마린 드리노프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발견되는 Ѕ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문자를 거의 잊혀진 것으로 간주하여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
바나트 불가리아어 방언은 바울파 방언을 기반으로 하여 Ѕ를 유지한다. 그러나 라틴 문자로 작성되기 때문에, 이 소리는 대신 dz로 표기된다.[3]
루마니아어에서는 19세기 중반에 문자 자체가 로마자로 바뀌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몰도바어의 키릴 문자 표기에서도 사용되지 않는다.[3]
4. 컴퓨팅 코드
코드 이름 | 대문자 Ѕ | 소문자 ѕ |
---|---|---|
유니코드 | U+0405 | U+0455 |
코드 페이지 855 | 89 | 88 |
윈도우 1251 | BD | BE |
ISO-8859-5 | A5 | F5 |
매킨토시 키릴 | C1 | CF |
5. 관련 문자
- 그리스 문자 디감마 (Ϝ ϝ)
- 그리스 문자 스티그마 (Ϛ ϛ)
- 키릴 문자 제 (З з)
- 라틴 문자 S (S s)
- 라틴 문자 뒤집힌 S (Ƨ ƨ)
- 라틴 문자 X, 알바니아어 알파벳 문자 (X x)
- 키릴 문자 드즈웨 (Ꚃ ꚃ)
- 라틴 문자 Ḑ, 리보니아어 알파벳 문자 (Ḑ ḑ)
- 라틴 문자 D̦, 폐지된 루마니아어 문자 (D̦ d̦)
- Dz 이중 자음 (Dz)
- 라틴 문자 Z 위에 점 (Ż ż)
참조
[1]
간행물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https://books.google[...]
BRILL
[2]
간행물
Грамматика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аго Языка (Grammar of the Church Slavonic Language)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Printing shop of St. Job of Pochaev, Holy Trinity Monastery
[3]
논문
За новобългарското азбуке
http://digilib.nalis[...]
1870
[4]
간행물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https://books.google[...]
BRILL
[5]
간행물
Грамматика Церковно-Славянскаго Языка (Grammar of the Church Slavonic Language)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Printing shop of St. Job of Pochaev, Holy Trinity Monaste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