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발칸 반도 지역에서 사용된다. 1186년의 《미로슬라브 복음서》와 같은 중세 문학 작품을 시작으로, 구전 서사시가 발전했으며, 19세기 초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언어 개혁을 통해 현대 세르비아어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키릴 문자와 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며, 세르비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로마자 사용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나, 몬테네그로어와는 별개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와도 매우 유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세르비아어 - 샤트로바치키
    샤트로바치키는 세르비아의 언어 기법으로, 단어의 음절 순서를 바꾸거나 모음을 추가/변경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며, 언어유희로서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하위 문화에서 정체성 형성 및 소통에 기여한다.
  • 세르비아 - 보이보디나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공용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발전해왔고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에 편입, 자치권을 부여받아 농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하고 풍부한 역사 유적을 지닌 지역이다.
  •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약 1,817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에서 주로 사용되며, 19세기 중반 표준화 이후 유고슬라비아 해체로 각 국가에서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며 언어 분리 논쟁이 있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대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주로 쓰인다.
세르비아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세르비아어
고유 이름/
사용 지역동남유럽
사용자약 1,200만 명
사용 국가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코소보
크로아티아
민족세르비아인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슈토 방언
신슈토 방언
동헤르체고비나 방언 및 슈마디야-보이보디나 방언
문자 체계세르비아 키릴 문자
가이 라틴 문자
유고슬라비아 점자
공용어 국가
(공동 공용어)
(공동 공용어)
(공동 공용어)
소수 언어 국가




언어 표준화 기관세르비아어 표준화 위원회
ISO 639-1sr
ISO 639-2srp
ISO 639-3srp
글롯코드serb1264
글롯코드 참조세르비아어 표준어
링구아스피어part of 53-AAA-g
언어학적 특징
특징방언 다양성
키릴 문자 및 라틴 문자 병용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변종
슈토 방언 기반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 및 슈마디야-보이보디나 방언
기타
유네스코 위험 언어 분류멸종 위기 아님

2. 역사

세르비아어 문학은 중세 시대에 등장했다. 1186년의 《미로슬라브 복음서》(Miroslavljevo jevanđelje)와 1349년의 《두샨 법전》(Dušanov zakonik)이 대표적인 초기 작품이다. 중세 세속 문학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남아 있는 작품들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관한 책인 《세르비아 알렉산드리아드》와 세르비아어로 번역된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있다. 비록 문학 자체는 아니지만, 14세기와 15세기 세르비아어 문자 자료에는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세르비아 방언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많은 법률, 상업 및 행정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14세기 초, 라구사 공화국(두브로브니크)에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가 주요 언어가 되었다.[42] 그러나 부유한 시민들은 자녀들을 피렌체 학교에 보내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기도 했다.[42] 13세기 초부터 두브로브니크는 내륙 국가들과의 모든 공문서를 세르비아어로 작성했다.[43]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를 정복하면서 400년 동안 세속적인 서면 문학 창작의 기회가 사라졌다. 그러나 이 시기에 세르비아 서사시와 같은 구전 문학이 발전했다. 19세기 요한 볼프강 폰 괴테야코프 그림은 세르비아 서사시를 읽기 위해 세르비아어를 배우기도 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슬라브-세르비아어(Slavonic-Serbian)라는 새로운 언어가 등장했다. 19세기 초,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구어를 문학적 규범으로 옹호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이전에는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와 동일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간주되었다. 몬테네그로어로 보는 견해도 있다.

표기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모두 사용된다(이중 문자 사용). 세르비아에서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라틴 문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양자가 완전히 병용되고 있다. 다만,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동일한 문장 및 글 안에서 혼용하는 일은 없다.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에서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의 자동 변환 기능을 갖추고 있다.

키릴 문자 1글자가 라틴 문자에서는 2글자에 해당하는 경우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상호 변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키릴 문자 1글자에 해당하는 라틴 문자 2글자 조합을 1글자처럼 간주하여 문자 코드를 부여하고 있다.

세르비아어는 발칸 반도에 주로 분포하며, 세르비아인을 중심으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등에서 사용된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에서 공용어로 사용된다.

세르비아어 문헌은 중세에 시작되어, 1186년에 세르비아어 성경 『미로슬라브 복음서』가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세르비아 국립도서관에서 국보로 취급되고 있다.

세르비아어가 처음으로 인쇄된 것은 1494년으로, 이는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발명 후 불과 40년 후의 일이다.

2. 1. 중세 시대

미로슬라브 복음서, 1186년경 필사본


세르비아 문학은 중세 시대에 등장하여, 1186년의 미로슬라브 복음서(Miroslavljevo jevanđelje)와 1349년의 두샨 법전(Dušanov zakonik)과 같은 작품들을 포함한다. 중세 세속 문학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남아 있는 작품들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관한 책인 《세르비아 알렉산드리아드》와 세르비아어로 번역된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있다. 14세기와 15세기 세르비아어 문자 자료에는 교회 슬라브어를 기반으로 세르비아 방언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많은 법률, 상업 및 행정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15세기 중반,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했고, 그 후 400년 동안 세속적인 서면 문학이 창작될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이 시대에 구전 문학 형태로 나타난 세르비아의 가장 위대한 문학 작품 중 일부는 세르비아 서사시이다.

2. 2. 구전 문학의 발전

15세기 중반,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했고, 이후 400년 동안 세속적인 서면 문학이 창작될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구전 문학, 특히 세르비아 서사시가 발전했다. 세르비아 서사시는 주로 19세기에 기록되었고, 1950년대까지 구전 전통으로 전승되었는데, 이는 다른 대부분의 "서사 민요"보다 수세기 또는 수천 년이나 더 오래된 것이다.[43] 요한 볼프강 폰 괴테야코프 그림은 세르비아 서사시를 원어로 읽기 위해 세르비아어를 배웠다.[43]

2. 3. 근대

18세기 말, 서면 문학은 구어와 동떨어지게 되었고, 슬라브-세르비아어라는 새로운 언어가 등장했다. 이 인위적인 방언은 1720년대에 현대 세르비아어로 저술한 가브릴로 스테파노비치 벤클로비치와 같은 시인과 역사가들의 작품보다 널리 쓰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어 작품들은 일반 대중에게는 알려지지 않았고, 밀로라드 파비치와 같은 현대 문학 역사가와 작가들에 의해 비로소 주목받게 되었다. 19세기 초,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는 구어를 문학적 규범으로 옹호했다.

3. 문자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로마자를 모두 사용하여 표기한다. 세르비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인터넷 등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라틴 문자가 더 편리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아직 세르비아 내에서는 키릴 문자가 더 자주 쓰인다.

대부분의 세르비아인들에게 라틴 문자는 세계적인 또는 중립적인 태도를 암시하는 반면, 키릴 문자는 보다 전통적이거나 고전적인 감성에 호소한다.[38] 특히 정부가 설치한 대형 간판에는 두 알파벳이 모두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간판에 영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세르비아어 텍스트에는 일반적으로 키릴 문자만 사용된다.

3. 1. 키릴 문자와 로마자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중 문자) 세르비아에서는 키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인터넷 등에서는 라틴 문자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젊은 세대에서는 라틴 문자가 더 편리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여전히 세르비아 내에서는 키릴 문자가 더 자주 사용된다. 2006년 세르비아 헌법에 따라 키릴 문자가 세르비아 행정부의 공식 문자로 지정되었으나,[35] 실생활에서는 라틴 문자도 널리 사용된다.

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
АAНN
БBЊNj
ВVОO
ГGПP
ДDРR
ЂĐСS
ЕEТT
ЖŽЋĆ
ЗZУU
ИIФF
ЈJХH
КKЦC
ЛLЧČ
ЉLjЏ
МMШŠ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는 상호 교환 가능하며, 언론과 출판사는 일반적으로 한 문자를 선택한다. 법률 분야에서는 키릴 문자가 요구되지만, 특정 문자가 우세한 경우는 드물다.[35]

세르비아 라디오 텔레비전(Radio Television of Serbia)과 같은 공영 방송사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반면, 민영 방송사는 주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2014년 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 인구의 47%가 라틴 문자를, 36%가 키릴 문자를 선호한다.[39] 휴대 전화와 컴퓨터 사용이 늘면서 라틴 문자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40]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에서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의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3. 2. 문자 체계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ћирилица, ćirilica)와 라틴 문자(latinica, латиница)를 모두 사용한다. 세르비아어는 사회의 모든 문맹자가 두 가지 상호 교환 가능한 문자 체계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적 이중 표기의 드문 사례이다. 언론과 출판사는 일반적으로 한 문자를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문자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되지만, 키릴 문자가 요구되는 법률 분야를 제외하고는 특정 문자가 우세한 맥락은 없다.[35]

2006년 헌법에 따라 키릴 문자가 세르비아 행정부의 공식 문자로 지정되었다.[35] 그러나 법률은 표준어의 문자를 규정하지 않으며, 어떤 방식으로든 표준어 자체를 규정하지 않아, 정부 서류 작성 및 공무원과의 공식적인 서면 의사소통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출판, 언론, 무역 및 상업 등) 문자 선택은 개인의 선호도와 자유 의지에 달려있다. 이 경우 키릴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35] 주요 도로 또는 국제 도로의 교통 표지판과 방향 표지판 및 지명은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모두로 표기되어야 한다.[37]

키릴 문자 1글자가 라틴 문자에서는 2글자에 해당하는 경우가 있으며(Љ → Lj, Њ → Nj, Џ → Dž), 유니코드에서는 상호 변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키릴 문자 1글자에 해당하는 라틴 문자 2글자 조합을 1글자처럼 간주하여 문자 코드를 부여하고 있다.

키릴 문자() 알파벳은 ()라 불리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 А Б В Г Д Ђ Е Ж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Т Ћ У Ф Х Ц Ч Џ Ш

라틴 문자() 알파벳은 ()라 불리며, 순서는 다음과 같다: 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T U V Z Ž

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
АAНN
БBЊNj
ВVОO
ГGПP
ДDРR
ЂĐСS
ЕEТT
ЖŽЋĆ
ЗZУU
ИIФF
ЈJХH
КKЦC
ЛLЧČ
ЉLjЏ
МMШŠ


4. 언어 분류 및 분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이전에는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와 동일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간주되었다. 몬테네그로 방언을 세르비아어와 다른 몬테네그로어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언어의 차이는 방언과 미세한 철자법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슬로베니아어와도 가깝다.

주로 발칸 반도에 분포하며, 세르비아인을 중심으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리버랜드 및 다른 나라에서 사용된다. 세계적으로 1천만 명의 화자가 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에서 공용어로 사용된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방언 분포도

4. 1. 언어 분류

세르비아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20][21]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표준화된 방언 중 하나이며,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와 매우 유사하다.[22] 동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불가리아어마케도니아어보다 슬로베니아어와 상호 이해도가 더 높다.[2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이전에는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와 함께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간주되었다. 몬테네그로 방언을 세르비아어와 다른 몬테네그로어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들 언어의 차이는 방언과 미세한 철자법 정도에 불과하다.

4. 2. 사용 지역 및 인구

세르비아어는 주로 발칸반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세르비아 (약 654만 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약 108만 명[24]), 몬테네그로 (약 27만 명), 코소보 (약 7~10만 명[26][27])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크로아티아 (약 5만 명[31])에서는 공인 소수민족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이외에도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미국, 스웨덴, 이탈리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마케도니아, 루마니아 등 세계 각지에 세르비아어 사용자가 분포하고 있다.

세르비아어 사용자 분포
국가사용자 수비고
세르비아6,540,699공용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086,027[24]공용어
몬테네그로269,307공용어
코소보약 70,000~100,000[26][27]공용어
크로아티아52,879[31]공인 소수민족 언어
독일568,240
오스트리아350,000
스위스186,000
미국172,874
스웨덴120,000
이탈리아106,498[25]
캐나다72,690[28]
오스트레일리아55,114[29][30]
슬로베니아38,964
북마케도니아24,773공인 소수민족 언어
루마니아22,518공인 소수민족 언어


5. 몬테네그로어와의 관계

2007년 10월, 새로운 몬테네그로 헌법이 1992년 헌법을 대체하면서 세르비아어는 몬테네그로의 공식 언어 지위를 상실했다. 친세르비아 정당들의 반대 속에서,[32] 몬테네그로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었고, 세르비아어는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크로아티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33]

2023년 몬테네그로 인구 조사에서 응답자의 43.18%가 세르비아어를 모국어로, 34.52%가 몬테네그로어를 모국어로 밝혔으며,[34] 몬테네그로어는 언어학적으로 세르비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

6. 문법



세르비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뿐만 아니라 동사에도 문법적 형태소가 있는, 높은 수준의 굴절어이다.[41]

전 세르비아 대통령 보리스 타디치(Boris Tadić)의 연설 (2006)

6. 1. 명사

세르비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뿐만 아니라 동사에도 문법적 형태소가 있는, 높은 수준의 굴절어이다.[41]

세르비아어 명사는 어미가 "-a"형, "-i"형, "-e"형으로 크게 구분되는 세 가지 어형 변화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어형 변화 유형에는 세 가지 성(남성, 여성, 중성)의 명사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각 명사는 명사의 을 나타내도록 활용될 수 있으며, 세르비아어에는 7가지 격이 있다.

명사는 또한 단수 또는 복수의 수를 나타내도록 활용된다.

6. 2. 대명사

세르비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뿐만 아니라 동사에도 문법적 형태소가 있는, 높은 수준의 굴절어이다.[41] 대명사는 사용될 때 명사와 같은 격과 수의 형태소 변화를 따른다. 세르비아어는 주어 생략 언어이므로, 문장에서 대명사의 의미가 문맥상 쉽게 추론될 수 있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대명사가 생략될 수 있는 경우에도 강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어한국어에 해당하는 표현
Kako si?어떻게 지내세요?
A kako si ti?그리고 당신은 어떻게 지내세요?



6. 3. 형용사

세르비아어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지만, 수식하는 명사와 수, 성, 격이 일치해야 한다.[41]

6. 4. 동사

세르비아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뿐만 아니라 동사에도 문법적 형태소가 있는, 높은 수준의 굴절어이다.[41]

세르비아어 동사는 과거 시제를 네 가지 형태(완료, 아오리스트, 미완료, 과거완료)로 활용하는데, 그중 마지막 두 가지는 사용 빈도가 매우 낮다(미완료는 일부 방언에서 여전히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세르비아어 원어민은 이를 고어로 간주한다). 또한 미래 시제(일부 현대 언어학자들은 조건법의 시제로 간주하는 미래 완료 시제와 구분하여 제1미래 시제라고도 함)와 현재 시제가 있다. 이들은 직설법의 시제이다. 직설법 외에도 명령법이 있다. 조건법에는 제1조건(가능한 조건절과 불가능한 조건절 모두에 일반적으로 사용됨)과 제2조건(구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음—불가능한 조건절에 사용되어야 함)의 두 가지 시제가 더 있다. 세르비아어에는 능동태수동태가 있다.

비한정 동사 형태의 경우, 세르비아어에는 원형이 하나, 형용사적 분사가 두 개(능동과 수동), 부사적 분사가 두 개(현재와 과거) 있다.

7. 어휘

세르비아어 단어의 대부분은 슬라브어 어휘에서 유래하며, 원시 슬라브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역사를 통틀어 문화적 상호 작용으로 다양한 언어에서 많은 외래어가 유입되었다. 특히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터키어, 헝가리어,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체코어, 프랑스어에서 많은 외래어가 차용되었다.

8. 방언

다음은 세르비아어의 주요 방언이다.

세르비아어의 방언
방언명악센트지역
슈마디야-보이보디나 방언에카프어, 신슈토카프어세르비아 중부 및 북부
동헤르체고비나 방언이예카프어, 신슈토카프어세르비아 남서부, 몬테네그로 서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코소보-레사바 방언에카프어, 구슈토카프어세르비아 중동부, 코소보 중부
스메데레보-브르샤츠 방언에카프어, 구슈토카프어세르비아 동중부
프리즈렌-티목 방언전이형 토를락어세르비아 남동부, 코소보 남부
제타-라슈카 방언이예카프어, 구슈토카프어몬테네그로 동부, 세르비아 남서부



이들 방언은 크게 슈토카프어(신슈토카프어, 구슈토카프어)와 토를락어로 나눌 수 있으며, 억양에 따라 에카프어와 이예카프어로 구분된다.

9. 사전

부크 카라지치가 1818년에 처음 출판한 ''세르비아어 사전''(Srpski rječnik)은 현대 문학 세르비아어 사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1] 유고슬라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에서 1880년부터 1976년까지 출판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사전''(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I–XXIII)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유일한 일반 역사 사전이다.[1] 이 사전의 첫 번째 편집자는 듀로 다니치치였으며, 페로 부드마니와 토미슬라브 마레티치가 그 뒤를 이었다.[1] 이 사전의 자료는 주로 슈토카비아어이다.[1] 1791년 독일어-세르비아어 사전, 15세기 아랍어-페르시아어-그리스어-세르비아어 회화 교재와 같은, 표준어 이전의 더 오래된 사전들도 있다.[1]

9. 1. 표준 사전

부크 카라지치가 1818년에 처음 출판한 ''세르비아어 사전''(Српски рјечник)은 현대 문학 세르비아어 사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1] 1791년 독일어-세르비아어 사전이나 15세기 아랍어-페르시아어-그리스어-세르비아어 회화 교재와 같은, 표준어 이전의 더 오래된 사전들도 있다.[1]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문학 및 구어 사전'''()은 세르비아어(그리고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전체)의 가장 큰 사전이며 아직 미완성이다.[1] 1959년에 시작되어 2020년까지 21권이 출판되었으며, 완성될 때까지 약 40권이 예상된다.[1]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문학 사전'''()은 1967년부터 1976년까지 6권으로 출판되었으며, 마티차 스르프스카(키릴 문자로 출판)와 마티차 흐르바츠카(라틴 문자로 출판)의 공동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1] 크로아티아 언어학자들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마티차 흐르바츠카에서 처음 세 권만 출판되었다.[1]
  • '''세르비아어 사전'''()은 2007년 마티차 스르프스카에서 출판된 1권짜리 사전으로, A4 용지 크기의 1500페이지 이상에 85,000개 이상의 항목을 설명하고 있다.[1]

9. 2. 어원 사전

부크 카라지치가 1818년에 처음 출판한 ''세르비아어 사전''(Srpski rječnik)은 현대 문학 세르비아어 사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1] 1880년부터 1976년까지 유고슬라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Yugoslav Academy of Sciences and Arts)에서 출판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사전''(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I–XXIII)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유일한 일반 역사 사전이다.[1] 이 사전의 첫 번째 편집자는 듀로 다니치치였으며, 페로 부드마니와 토미슬라브 마레티치가 그 뒤를 이었다.[1] 이 사전의 자료는 주로 슈토카비아어이다.(특히 앞부분)[1] 1791년 독일어-세르비아어 사전(German–Serbian dictionary (1791)), 15세기 아랍어-페르시아어-그리스어-세르비아어 회화 교재(Arabic-Persian-Greek-Serbian Conversation Textbook)와 같은, 표준어 이전의 더 오래된 사전들도 있다.[1]

세르비아어의 표준이자 유일하게 완성된 어원 사전은 크로아티아 언어학자 페타르 스콕(Petar Skok)이 저술한 "스콕(Skok)" 사전, 즉 ''Etimologijski 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 어원 사전") I-IV.(자그레브(Zagreb) 1971–1974)이다.[1]

또한 새로운 방대한 ''Etimološki rečnik srpskog jezika''(세르비아어 어원 사전)이 있다.[1] 현재까지 I권(A-로 시작하는 단어)과 II권(Ba-Bd) 두 권이 출판되었다.[1]

독일어, 이탈리아어, 크로아티아어, 터키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러시아어, 영어 및 기타 외래어에 대한 전문 어원 사전이 있다(단어의 기원 장 참조).[1]

9. 3. 방언 사전

부크 카라지치가 1818년에 처음 출판한 ''세르비아어 사전''(Srpski rječnik)은 현대 문학 세르비아어 사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유고슬라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Yugoslav Academy of Sciences and Arts)에서 1880년부터 1976년까지 출판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사전''(Rje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I–XXIII)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유일한 일반 역사 사전이다. 이 사전의 첫 번째 편집자는 듀로 다니치치였으며, 그 뒤를 페로 부드마니와 토미슬라브 마레티치가 이었다. 이 사전의 자료는, 특히 앞부분에서는 주로 슈토카비아어이다. 1791년 독일어-세르비아어 사전(German–Serbian dictionary (1791))이나 15세기 아랍어-페르시아어-그리스어-세르비아어 회화 교재(Arabic-Persian-Greek-Serbian Conversation Textbook)와 같은, 표준어 이전의 더 오래된 사전들도 있다.

방언 사전은 다음과 같다:

} 논문집 4

|-

| 세르비아 남부 방언 사전 || 몸칠로 즈라타노비치(Momčilo Zlatanović) || 1998 || 브라녜

|-

| 동헤르체고비나 || 우스코키어 사전 I–II || 밀리아 스타니치(Milija Stanić) || 1990/1991 || 베오그라드

|-

| 모이코바츠 근처 프로슈체녜 방언 사전 || 밀로시 부이치치(Miloš Vujičić) || 1995 || 포드고리차

|-

| 코토르 만 북서부 지역의 로마니즘 || 스르잔 무시치(Srđan Musić) || 1972

|-

| 피바 지역 어휘 || 스베토자르 가고비치(Svetozar Gagović) || 2004 || 베오그라드

|-

| rowspan="4"| 제타-페슈테르 || 바소예비치 지역 어휘 || 라다 스티요비치(Rada Stijović) || 1990

|-

| 자가라치 방언 사전 || 드라고 춥치치-젤코 춥치치(Drago Ćupić-Željko Ćupić) || 1997

|-

| 몬테네그로의 로마니즘-코토르 만 남동부 지역 || 베스나 리포바츠-라둘로비치(Vesna Lipovac-Radulović) || 1981 || 체티녜-티토그라드

|-

| 부드바와 파슈트로비치 지역의 로마니즘 || 베스나 리포바츠-라둘로비치(Vesna Lipovac-Radulović) || 1997 || 노비사드

|-

| 기타 || 보이보디나 세르비아어 방언 사전 || || || 노비사드

|-

| 라딤 방언 사전-디아스포라 || 밀레 토미치(Mile Tomić) || 1989 || 루마니아

|}

참조

[1] 웹사이트 Српски језик говори 12 милиона људи http://www.rts.rs/pa[...] РТС 2009-02-20
[2]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3] 웹사이트 Ec.Europa.eu http://ec.europa.eu/[...]
[4] 웹사이트 B92.net http://www.b92.net/e[...]
[5] 웹사이트 Czech Republic Overview http://www.minorityr[...]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12-10-24
[6] 간행물 Národnostní menšiny v České republice a jejich jazyky http://www.vlada.cz/[...] Government of Czech Republic
[7] 웹사이트 Macedonia Overview http://www.minorityr[...] Minority Rights Group International 2012-10-24
[8] 서적 Linguasphere Linguasphere Observatory 2000
[9]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2010
[10] 논문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www.phil.muni[...] 2010-10-20
[11] 학술지 Pluricentricity in the classroom: the Serbo-Croatian language issue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De Gruyter
[12] Dissertation Die kroatische Standardsprache auf dem Weg zur Ausbausprache https://www.zora.uzh[...] University of Zurich, Faculty of Arts, Institute of Slavonic Studies 2022-06-08
[13]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2024-01-23
[14] 서적 Fonetika i fonologija: Ortoepska i ortografska norma standardnog srpskog jezika http://digitalnabibl[...] FILOZOFSKI FAKULTET NOVI SAD
[15] 뉴스 Serbian, Croatian, Bosnian, Or Montenegrin? Or Just 'Our Language'?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9-02-21
[16] 잡지 What Language Do People Speak in the Balkans, Anyway? https://www.atlasobs[...] 2019-05-06
[17] 서적 Eine Analyse der Metaphern in der kroatischen Linguistikfachzeitschrift Jezik von 1991 bis 1997 Kovač
[18] 학술지 Digraphia in the territories of the Croats and Serbs http://www.deepdyve.[...] 2018-04-27
[19] 서적 The Slavon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3-09-01
[20] 서적 Lexical layers of identity: words, meaning, and culture in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Jezik i nacionalizam http://bib.irb.hr/da[...] Durieux 2015-05-21
[22] 학술지 To what degree are Croatian and Serbian the same language? Evidence from a Translation Study https://linguistics.[...] 2019-10-09
[23] 서적 A Short Reference Grammar of Slovene LINCOM
[24] 웹사이트 Maternji jezik 2013 http://www.statistik[...] 2016
[25]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www.dossierim[...] Demo.istat.it 2014-10-03
[26] 서적 Ethnic Minorities and Politics in Post-Socialist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9-22
[27] 웹사이트 Kosovo's Demographic Destiny Looks Eerily Familiar https://balkaninsigh[...] 2019-11-07
[28] 웹사이트 Ethno-Cultural Portrait of Canada, Table 1 http://www12.statcan[...] 2011-12-17
[29] 서적 The People of Australia - Statistics from the 2011 Census https://www.immi.gov[...]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Border Protection 2017-04-26
[30] 웹사이트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Border Protection https://www.immi.gov[...] 2013-04-21
[31] 웹사이트 5. Population by mother tongue, by towns/municipalities http://web.dzs.hr/En[...] 2013-07-08
[32] 웹사이트 ''Pro-Serbian parties oppose Montenegro constitution'' http://www.setimes.c[...] 2018-04-27
[33] 웹사이트 SNP CG http://www.snp.co.me[...] 2018-04-27
[34]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23 https://monstat.org/[...] Monstat 2024-10-15
[3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s://ustavni.su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Serbia
[36] 웹사이트 Serbian ministry wants only Cyrillic script in official use http://rs.n1info.com[...] 2019-09-13
[37] 웹사이트 Закон о службеној употреби језика и писама, 47/18 https://mduls.gov.rs[...] 2018
[38] 웹사이트 Should you Localize to Serbian Latin or to Serbian Cyrillic? https://ciklopea.com[...] 2016-11-17
[39] 웹사이트 Ivan Klajn: Ćirilica će postati arhaično pismo http://www.b92.net/k[...] 2014-12-16
[40] 뉴스 In The Age Of The Internet, Serbia Aims To Keep Its Cyrillic Alive https://www.rferl.or[...] 2018-08-28
[41] 서적 Colloquial Serbian: The Complete Course for Beginners Routledge
[42] 웹사이트 Through Bosnia and the Herzegovina on Foot During the Insurrection https://archive.org/[...]
[43] 웹사이트 LANGUAGE AND LETTER IN MEDIEVAL BOSNIAN STATE – CHARTERS AND LETTERS http://www.plemenito[...]
[4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Serbian (Cyrillic) https://unicode.org/[...]
[4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Serbian (Latin) https://unicode.org/[...]
[46]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지역사전 이름저자출판 연도비고
코소보-레사바코소보-메토히야 방언 사전 I-II글리샤 엘레조비치(Gliša Elezović)1932/1935
프리즈렌-티목(토를라키아)레스코바츠 방언 사전브라나 미트로비치(Brana Mitrović)1984레스코바츠
피로트 방언 사전니콜라 지브코비치(Nikola Živković)1987피로트
크르노레체 방언 사전 I-II미오드라그 마르코비치(Miodrag Marković)1986/1993
티목 방언 사전 I-III야크샤 디니치(Jakša Dinić)1988–1992
티목 방언 사전야크샤 디니치(Jakša Dinić)2008베오그라드, {{lang|sr|세르비아어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