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깍지벌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루깍지벌레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고 사는 곤충이다. 암컷은 다리가 있고 이동이 가능하며, 왁스 층을 분비하여 몸을 보호한다. 수컷은 날개가 있고, 암컷을 임신시키기 위해 단명한다. 귤류, 사탕수수, 포도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며, 개미가 없는 경우 작물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방제 방법으로는 추운 환경에 노출시키거나, 무당벌레, 살충비누, 살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멕시코에서는 붉은 염료 생산에 활용되기도 하며, 고도의 신진대사를 통해 필수 아미노산을 생성한다. 가루깍지벌레과는 다양한 속으로 세분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루깍지벌레과 - 귤가루깍지벌레
귤가루깍지벌레는 깍지벌레과에 속하는 해충으로, 전 세계 식물에 피해를 주며, 잎과 과일의 수액을 빨아먹고 그을음병을 유발하며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하기도 한다.
가루깍지벌레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seudococcidae |
과 | 가루깍지벌레과 |
학명 명명자 | Heymons, 1915 |
2. 분포
가루깍지벌레는 세계의 거의 모든 곳에 서식한다.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따뜻한 지역에서만 서식하고, 시원한 지역에서는 온실과 건물 등으로 침투하였다. 남북극에는 건물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가루깍지벌레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더 작고 날개가 있으며 각다귀처럼 생겼다. 수컷 귤가루깍지벌레는 암컷에게 날아가며 솜털로 뒤덮인 각다귀처럼 보인다. 딱정벌레가 아닌 노린재목 곤충처럼 불완전변태를 하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 그대로의 완전한 변태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컷 가루깍지벌레과는 생애 주기 동안 날개 없는 타원형의 유충에서 말벌과 비슷하게 생긴 날아다니는 성충으로의 극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수컷은 성충이 되면 음식을 먹지 않으며 암컷을 임신시키기 위해서만 살아가기 때문에 단명한다.
3. 형태
3. 1. 암컷
가루깍지벌레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암컷은 유충의 형태를 띠고, 형태가 축소되어 날개가 없지만, 대부분의 암컷 깍지벌레와는 달리 대개 다리가 있어서 이동할 수 있다.[13][2] 암컷 가루깍지벌레는 일반적으로 뿌리나 다른 틈새에서, 드물게는 저장된 과일의 밑에서 식물의 수액을 먹고 산다.[13] 이들은 몸뚱아리를 식물에 붙인 다음, 식물의 수액을 빨 때 몸을 보호하기 위해 옥수수 가루와 비슷한 희고 끈적끈적한 가루 왁스 층을 분비하는데, 그리하여 가루깍지벌레(mealy bug)라는 이름이 붙었다.[13] 아시아에서는 망고가루깍지벌레가 경작 망고의 주요 위협으로 분류된다.[13]
어떤 종의 가루깍지벌레는 50-100개 정도의 알을 성충과 동일한 왁스 보호막을 입혀서 낳는다.[13][2] 다른 종들은 태생한다.[13]
귤류를 먹고 사는 가루깍지벌레들이 제일 무시무시한 해충들이다; 다른 종들은 사탕수수, 포도, 파인애플(Jahn et al. 2003), 커피나무, 카사바, 양치식물, 선인장, 치자나무, 파파야, 멀베리, 해바라기, 난초 등에 손상을 준다. 가루깍지벌레는 포식자와 기생충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개미가 없다면 작물에 심각한 위협이 되지 못한다.[13][2] 가루깍지벌레는 사라세니아(병자초)와 같은 어떤 식충식물도 감염시킨다; 이러한 경우는 다이아지논과 같은 살충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상 이들을 근절하기는 어렵다.[13] 작은 규모의 감염은 심각한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숫자가 많을 경우 이파리가 떨어질 수 있다.[13] 어떤 가루깍지벌레는 최근 몇 년 간 지역침입해충이 되어 농업생태계에 큰 문제를 야기했다. 인도에서는 식물 ''Withania somnifera''이 가루깍정벌레 침입종 ''Phenacoccus solenopsis''의 새로운 숙주가 되었다고 보고되어왔다.[14][4]
3. 2. 수컷
가루깍지벌레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수컷은 더 작고 날개가 있으며 각다귀처럼 생겼다. 수컷 귤가루깍지벌레는 암컷에게 날아가며 솜털로 뒤덮인 각다귀처럼 보인다. 딱정벌레가 다른처럼 불완전변태를 하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 그대로의 완전한 변태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컷 가루깍지벌레과는 생애 주기 동안 날개 없는 타원형의 유충에서 말벌과 비슷하게 생긴 날아다니는 성충으로의 극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수컷은 성충이 되면 음식을 먹지 않으며 암컷을 임신시키기 위해서만 살아가기 때문에 단명한다.
4. 생태
5. 피해
6. 공생 관계
7. 천적
8. 방제
감염된 식물이 추위를 견딜 수 있다면, 겨울에 식물을 창턱에 두어라. 가루깍지벌레는 창문에서 제일 먼 이파리로 몰릴 것이고, 이렇게 되면 옷으로 쉽게 떨어뜨릴 수 있다.[7] 무당벌레의 유충, 성충은 가루깍지벌레를 포식하여 들끓는 해충을 억제할 수 있다.[7] 균류 ''Lecanicillium lecanii''을 사용하여 가루깍지벌레의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7] 살충비누는 가루깍지벌레에 효과적이다.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7] 50% v/v 이소프로필알코올과 1% w/v 도데실 황산 나트륨 (대부분의 가정용 세제에 사용됨) 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가루깍지벌레에 효과적이다. 이소프로필알코올이 겉의 왁스 코팅을 용해시키면 도데실 황산 나트륨은 그 안의 몸뚱아리에 손상을 입힌다.[7] 규조토를 식물의 줄기에 바를 수 있다. 규조토는 개미의 관절에 박혀 감염과 사망을 야기하는 작은 이산화규소 조각을 함유한다. 규조토는 특히 근방의 개미와 공생하는 해충들에게 효과적이다.[7] 다이아지논이 사용될 수 있지만, 대개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7]
살충제, 예를 들어 피레스로이드류 (예: 퍼메트린, 비펜트린, 사이플루트린)가 방제에 사용되어 왔지만,[7] 이러한 방식은 가루깍지벌레의 천적을 죽여 역효과를 낳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정원사들은 포식성 딱정벌레류(예: Cryptolaemus)와 풀잠자리(풀잠자리과) 유충을 가루깍지벌레의 피해를 막는 데 사용하는데, 풀잠자리 유충이 진딧물과 다른 작은 곤충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포식자이기 때문이다.[8]
8. 1. 생물학적 방제
가루깍지벌레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감염된 식물이 추위를 견딜 수 있다면 겨울에 식물을 창턱에 두어 가루깍지벌레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무당벌레의 유충과 성충은 가루깍지벌레를 포식하여 개체 수를 억제할 수 있다. 균류 ''Lecanicillium lecanii''을 사용하여 가루깍지벌레의 개체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살충비누는 가루깍지벌레에 효과적인 방제 수단으로, 온라인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다. 50% v/v 이소프로필알코올과 1% w/v 도데실 황산 나트륨 (대부분의 가정용 세제에 사용됨) 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한 효과적인데,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왁스 코팅을 용해시키고 도데실 황산 나트륨이 몸에 손상을 입힌다.
규조토를 식물 줄기에 바르면, 규조토 속 작은 이산화규소 조각이 개미의 관절에 박혀 감염과 사망을 유발한다. 이는 특히 개미와 공생하는 해충들에게 효과적이다. 다이아지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대개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
피레스로이드류 (예: 퍼메트린, 비펜트린, 사이플루트린) 살충제가 방제에 사용되기도 하지만,[7] 이러한 방식은 가루깍지벌레의 천적을 죽여 역효과를 낳는 경우가 많다.[7]
일부 정원사들은 포식성 딱정벌레류(예: Cryptolaemus)와 풀잠자리 유충을 가루깍지벌레의 피해를 막는 데 사용한다. 풀잠자리 유충은 진딧물과 다른 작은 곤충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포식자이기 때문이다.[8]
8. 2. 화학적 방제
살충비누는 가루깍지벌레에 효과적이며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며 온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7] 50% v/v 이소프로필알코올과 1% w/v 도데실 황산 나트륨 (대부분의 가정용 세제에 사용됨) 을 함유하는 수용액도 가루깍지벌레에 효과적인데, 이소프로필알코올이 겉의 왁스 코팅을 용해시키면 도데실 황산 나트륨은 그 안의 몸뚱아리에 손상을 입힌다.[7] 규조토를 식물의 줄기에 바를 수 있다. 규조토는 개미의 관절에 박혀 감염과 사망을 야기하는 작은 이산화규소 조각을 함유한다.[7] 규조토는 특히 근방의 개미와 공생하는 해충들에게 효과적이다.[7] 다이아지논이 사용될 수 있지만, 대개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7]피레스로이드류 (예: 퍼메트린, 비펜트린, 사이플루트린)같은 살충제가 방제에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방식은 가루깍지벌레의 천적을 죽여 역효과를 낳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7]
8. 3. 기타 방제
감염된 식물이 추위를 견딜 수 있다면, 겨울에 식물을 창턱에 두어 가루깍지벌레를 제거할 수 있다. 무당벌레의 유충, 성충은 가루깍지벌레를 포식하며, 균류 ''Lecanicillium lecanii''을 사용하여 가루깍지벌레의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다. 살충비누나 50% v/v 이소프로필알코올과 1% w/v 도데실 황산 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규조토도 가루깍지벌레 방제에 효과적이다. 다이아지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대개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 피레스로이드류 살충제(예: 퍼메트린, 비펜트린, 사이플루트린)는 가루깍지벌레의 천적을 죽여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7] 일부 정원사들은 포식성 딱정벌레류(예: Cryptolaemus)와 풀잠자리 유충을 이용해 가루깍지벌레의 피해를 막기도 한다.[8]9. 분류
가루깍지벌레과는 다음과 같은 속으로 세분화된다.[10]
- 아카시아깍지벌레속
- 아시니깍지벌레속
- 아크로코르두스속
- 아델로소마속
- 에뮬란토니나속
- 아가스토코쿠스속
- Albertinia
- 알로코쿠스속
- 알로미르메코쿠스속
- 알로트리오니무스속
- 아모노스테리움속
- 아나파라푸토속
- 아니소코쿠스속
- 안눌로코쿠스속
- 안텔로코쿠스속
- Antonina
- 안토니넬라속
- 안토니노이데스속
- 아포다스토코쿠스속
- 아르케오미르메코쿠스속
- 아르테미코쿠스속
- 아사포코쿠스속
- 아스포델로코쿠스속
- 아스텔리아코쿠스속
- 아트리플리시코쿠스속
- 아트로코쿠스속
- 아우스트랄리코쿠스속
- 아우스트랄리푸토속
- 발라초우스키아속
- 발라노코쿠스속
- 베네딕티코키나속
- 베세나일라속
- 비렌드라코쿠스속
- 볼보코쿠스속
- 보니노코쿠스속
- 보레오코쿠스속
- 보르네오코쿠스속
- 부엘리아속
- 브레베니아속
- 브레비코쿠스속
- 칼리코쿠스속
- 칼리트리코쿠스속
- 칼립토코쿠스속
- 칸노코쿠스속
- 카수아리날로마속
- 카타에노코쿠스속
- 카오코쿠스속
- 케토코쿠스속
- 케토트리오니무스속
- 클로에온속
- 클로리즈코쿠스속[11]
- 클로로코쿠스속
- 크리세오코쿠스속
- 신토코쿠스속
- 키르카푸토속
- 클라비코쿠스속
- 코키델라속
- 코키도히스트릭스속
- 코쿠라속
- 콜레오코쿠스속
- 코니코쿠스속
- 코니코소마속
- 코눌리코쿠스속
- 코오롱기아속
- 코르미코쿠스속
- 크레니코쿠스속
- 크리니티코쿠스속
- 크리시코쿠스속
- 크로시도코쿠스속
- 크립토리페르시아속
- 쿠쿠로코쿠스속
- 키페리아속
- 키페리코쿠스속
- 키포노코쿠스속
- Dawa
- 데로코쿠스속
- 델로토코쿠스속
- 디크라노코쿠스속
- 디스코코쿠스속
- 디스티클리코쿠스속
- 디베르시크루스속
- 도리포로코쿠스속
- 드라이모코쿠스속
- 디스미코쿠스속
- 이스티아속
- 에르호르니아속
- 에피코쿠스속
- 에리오코리스속
- 에리오이데스속
- 에리움속
- 유칼립토코쿠스속
- 유미로코쿠스속
- 유미르메코쿠스속
- 에우펠리오코쿠스속
- 유리페르시아속
- 유리코쿠스속
- 엑살로모클루스속
- 엑실리페드로니아속
- 엑산티코쿠스속
- 파리노코쿠스속
- 페리시아속
- 페리시코쿠스속
- 피지코쿠스속
- 퐁스코롬비아속
- 포르미코코쿠스속
- 갈루라코쿠스속
- 게오코쿠스속
- 글리시크니자속
- 고메즈메노리코쿠스속
- 고욱시아속
- 그레노리페르시아속
- 그레위아코쿠스속
- 그레위아코쿠스속
- 하드로코쿠스속
- 햄블톤리지오에쿠스속
- 헬리오코쿠스속
- 헤미스페로코쿠스속
- 헤테로코콥시스속
- 헤테로코쿠스속
- 히페오코쿠스속
- 호페폴디아속
- 호르데올리코쿠스속
- 호모코쿠스속
- 호모코쿠스속
- 히포게오코쿠스속[5]
- 이베로코쿠스속
- 이디오코쿠스속
- 이노피코쿠스속
- 이티오코쿠스속
- 카이코쿠스속
- 켄모레아속
- 케르미쿠스속
- 키리첸켈라속
- 라크노디엘라속
- 라크노디오프시스속
- 라콤비아속
- 라잉이코쿠스속
- 라미니코쿠스속
- 란세아코쿠스속
- 란타나코쿠스속
- 레니아속
- 레오코쿠스속
- 렙토코쿠스속
- 렙토리지오에쿠스속
- 리우코쿠스속
- 로마토코쿠스속
- 론디니아속
- 롱기코쿠스속
- 마코넬리코쿠스속
- 마크로세피코쿠스속
- 마크로세로코쿠스속
- 마쿨리코쿠스속
- 마다칸토코쿠스속
- 마다가시아속
- 마다기아코쿠스속
- 마데우리코쿠스속
- 말라이코쿠스속
- 말레코쿠스속
- 마미코쿠스속
- 마렌델레아속
- 마스카레노코쿠스속
- 마스켈로코쿠스속
- 메디오코쿠스속
- 멜라노코쿠스속
- 메타데놉시스속
- 메타데노푸스속
- 미코니코쿠스속
- 미로코콥시스속
- 미로코쿠스속
- 미스칸티코쿠스속
- 미세리코쿠스속
- 몰리코쿠스속
- 몸바시니아속
- 모이스토니아속
- 무타빌리코쿠스속
- 나이아코쿠스속
- 나이로비아속
- 나탈렌시아속
- 네오차베시아속
- 네오클라비코쿠스속
- 네오리지오에쿠스속
- 네오리페르시아속
- 네오시몬드시아속
- 네오트리오니무스속
- 네소코쿠스속
- 네소페드로니아속
- 네스티코쿠스속
- 니파에코쿠스속
- 옥토코쿠스속
- 오다코쿠스속
- 오이아코쿠스속
- 오라셀라속
- 오르스토미코쿠스속
- 우다블리스속
- 옥시아칸투스속
- 팔라코쿠스속
- 팔미쿨토르속
- 팔루디코쿠스속
- Pandanicola
- 파푸아코쿠스속
- Paracoccus
- 파라디스코쿠스속
- 파라독소코쿠스속
- 파라페리시아속
- 파라모코쿠스속
- 파라모노스테리움속
- 파라미르메코쿠스속
- 파라팔루디코쿠스속
- 파라페드로니아속
- 파라푸토속
- 파라로다니아속
- 파라트리오니무스속
- 페드로코쿠스속
- 페드로니아속
- 페리오코콥시스속
- 페리오코쿠스속
- 펠리자리코쿠스속
- 펜토코쿠스속
- 페리디오코쿠스속
- 페리스트릭스속
- 페나코콥시스속
- 페나코쿠스속
- 필로코쿠스속
- 플라노코코이데스속
- 플라노코쿠스속
- 플레이스토세라리우스속
- 플로토코쿠스속
- 포에킬로코쿠스속
- 폴리스토모포라속
- 포로코쿠스속
- 프로미르메코쿠스속
- 프로리지오에쿠스속
- 프로르소코쿠스속
- 슈도안토니나속
- 슈도코쿠스속
- 슈도리지오에쿠스속
- 슈도로다니아속
- 슈도리페르시아속
- 슈도트리오니무스속
- 피그마에오코쿠스속
- 콰드리갈리코쿠스속
- 라디코쿠스속
- 라스트로코쿠스속
- 레니쿨라속
- 리지오에쿠스속
- 로다니아속
- 리페르시아속
- 릿세미아속
- 사카리코쿠스속
- 살리오코쿠스속
- 사로코쿠스속
- 스캅토코쿠스속
- 세브리나속
- 세로레카니움속
- 세이네리아속
- 시노코쿠스속
- 스파르티나코쿠스속
- 스파에로코쿠스속
- 스필로코쿠스속
- 스타키코쿠스속
- 스템마토메린크스속
- 스티파코쿠스속
- 스트란다나속
- 스트롬보코쿠스속
- 시나칸토코쿠스속
- 시르모코쿠스속
- 타카하시코쿠스속
- 타스마니코쿠스속
- 타이미르메코쿠스속
- 토멘토세라속
- 트라부티나속
- 트리디스쿠스속
- 트리메로코쿠스속
- 트리오니무스속
- 트로키스코코쿠스속
- 투르비노코쿠스속
- 틸로코쿠스속
- 팀파노코쿠스속
- 벤트리스피나속
- 빌로시코쿠스속
- 볼비코쿠스속
- 브리부르기아속
- 제노코쿠스속
- 유드나핀나속
10. 기타
10. 1. 섬유 산업에서의 활용
멕시코 오악사카에서는 가루깍지벌레를 코치니야 알도고노사(cochinilla algodonosa)라고 부르며, 의도적으로 재배하고 사육한다. 말린 가루깍지벌레는 가루로 갈아서 붉은 염료를 생산하는데, 이 염료는 직물, 화가용 물감, 화장품의 착색에 사용된다.10. 2. 신진대사
가루깍지벌레는 식단을 통해 직접 얻을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을 생성하기 위해 두 개의 세균 공생체를 포함하는 고도로 정교한 신진대사를 가지고 있다.[9] 이 공생체들은 서로 안에 위치하며, 가루깍지벌레는 유전적으로 한때 독립적인 유기체였던 것들 사이에서 단백질이 막을 가로질러 수송되는 "모자이크" 대사 경로에 의존한다.[9]11. 참고 문서
- 분홍가루깍지벌레
- 파파야가루깍지벌레
- 오아후가루깍지벌레
- 귤가루깍지벌레
- 모호가루깍지벌레
- 망고가루깍지벌레
참조
[1]
간행물
[2]
논문
Fire Ants Protect Mealybugs against Their Natural Enemies by Utilizing the Leaf Shelters Constructed by the Leaf Roller ''Sylepta derogata''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11-21
[3]
웹사이트
Assessing Grapevine Leafroll and Red Blotch Disease Impacts in Local Vineyards
https://ucanr.edu/bl[...]
Salinas Valley Agriculture
2015-09-08
[4]
논문
First record of Ashwagandha as a new host to the invasive mealybug (''Phenacoccus solenopsis'' Tinsley) in India
[5]
웹사이트
Cactus control in the Klein Karoo
http://www.ru.ac.za/[...]
2014-09-17
[6]
논문
"''Acropyga'' and ''Azteca'' Ants (Hymenoptera: Formicidae) with Scale Insects (Sternorrhyncha: Coccoidea): 20 Million Years of Intimate Symbiosis"
https://zenodo.org/r[...]
[7]
보고서
SP290-S-Mealybugs on Ornamentals
https://trace.tennes[...]
The University of Tennesse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2003
[8]
웹사이트
Cryptolaemus and lacewings for mealybug and scale control
https://www.dpi.nsw.[...]
New South Wales
[9]
논문
Mitochondria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https://knowablemaga[...]
2022-06-08
[10]
BioLib
family: mealybugs - Pseudococcidae Heymons, 1915
https://www.biolib.c[...]
2024-05-14
[11]
GBIF
Chorizococcus McKenzie, 1960
https://www.gbif.org[...]
[12]
간행물
[13]
웹인용
Fire Ants Protect Mealybugs against Their Natural Enemies by Utilizing the Leaf Shelters Constructed by the Leaf Roller ''Sylepta derogata''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11-21
[14]
저널 인용
First record of Ashwagandha as a new host to the invasive mealybug (''Phenacoccus solenopsis'' Tinsley) in India
http://www.bioone.or[...]
[15]
저널 인용
"''Acropyga'' and ''Azteca'' Ants (Hymenoptera: Formicidae) with Scale Insects (Sternorrhyncha: Coccoidea): 20 Million Years of Intimate Symbio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