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와모토 다이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와모토 다이조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1914년 아이치현 세토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와세다 WMW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1940년 천황배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 후 소련에 억류되었다가 귀국하여 오사카 SC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1934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 스웨덴을 상대로 골을 기록하며 '베를린의 기적'을 이끌었다. 1954년까지 국가대표로 9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으며, 40세 106일의 나이로 일본 대표팀 최고령 출전 기록을 세웠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1958년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 대표팀을 이끌었으며, 2005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 억류자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시베리아 억류자 - 사토 슌지
    사토 슌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국과 만주에서 생물무기 개발 및 사용에 관여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로, 전쟁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그의 행위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문제를 야기했다.
  • 195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미무라 가쿠이치
    미무라 가쿠이치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국가대표팀 선수와 올림픽 대표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도호 티타늄 축구부 감독으로서 팀을 승격시키고 일본 축구 협회에서 기술 및 지도 위원으로 활동했다.
  • 195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레프 야신
    레프 야신은 F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22년간 활약하며 소련 리그 우승 5회 등을 달성하고 1963년 발롱도르를 수상한 소련의 전설적인 축구 골키퍼로, 소련 국가대표팀으로서 올림픽 금메달,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등을 경험했으며, 혁신적인 '스위퍼 키퍼' 스타일로 "검은 거미"라는 별명을 얻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다케우치 데이조
    다케우치 데이조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약하며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 우승과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일본 첫 승리를 이끌었고, 사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다케우치 데이조상'이 제정되었다.
  • 193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김용식 (축구인)
    김용식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대한민국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하며 일본 국가대표로 베를린 올림픽에 참가했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 겸 감독으로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1954년 FIFA 월드컵에서는 감독으로서 대한민국의 첫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고, 은퇴 후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가와모토 다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가와모토 다이조
원어 이름川本 泰三
로마자 표기Kawamoto Taizō
별칭슈트의 명인
출생일1914년 1월 17일
출생지아이치현 세토시
사망일1985년 9월 20일
사망지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
172cm
포지션공격수
선수 경력
유소년 클럽오사카부립 이치오카 중학교 (1926-1930)
와세다 대학 (1931-1937)
클럽와세다 WMW
오사카 축구 클럽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일본
국가대표팀 연도1934-1954
국가대표팀 출장9
국가대표팀 득점4
감독 경력
감독 연도1958
감독팀일본

2. 선수 시절

가와모토 다이조는 1914년 세토에서 태어나 오사카에서 학창 시절을 보내며 축구를 시작했다. 와세다 대학 재학 중 두각을 나타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며, 졸업 후 클럽팀에서도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소련억류되었다가 1949년 귀국하여 선수로 복귀했다. 전후에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1954년 아시안 게임 등에 참가했고, 만 40세가 넘은 나이에도 경기에 출전하는 기록을 남겼다.[7]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는 선수 겸 코치 보조로 참가했다.

2. 1. 클럽 경력

오사카부립 이치오카 중학교 재학 시절 축구를 시작했으며, 1930년 제12회 전국 중등 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다. 1931년 중학교 졸업 후 와세다 고등학원을 거쳐 와세다 대학에 입학했다. 대학 예과 시절부터 아식 축구부 소속으로 활동하며 1933년부터 팀의 간토 대학 리그 4연패에 기여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동맹 통신사에 입사했다. 이후 모교 선수 및 졸업생들로 구성된 와세다 WMW 클럽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고, 1940년 천황배 준우승을 이끌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종전 후 소련억류되어 4년간 포로 생활을 했다. 1949년 12월, 35세의 나이로 일본으로 귀국하여 현역으로 복귀, 오사카 SC에 입단했다. 오사카 SC 소속으로 1951년 천황배, 1952년 천황배, 1953년 천황배에서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자신이 창설한 오사카 축구 클럽을 이끌고 천황배 결승에 세 차례 진출했으나 모두 준우승에 머물렀다.

2. 2. 국가대표팀 경력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34년 일본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같은 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5월 13일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4] 이어 필리핀과의 2차전에서도 0-3으로 뒤지던 중 만회골을 넣어 팀의 4-3 역전승에 기여했다.

1936년에는 베를린 하계 올림픽에 일본 대표팀 선수로 참가했다.[5] 대회 1라운드에서 스웨덴을 상대로 0-2로 뒤지던 후반전에 만회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3-2 역전승과 8강 진출에 기여했다.[1] 당시 일본에서는 이 승리를 '베를린의 기적'(ベルリンの奇跡)이라고 불렀다. 2016년, 이 당시의 일본 대표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역으로 복귀하여, 대한민국과의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했으나, 1·2차전 합계 3-7로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후 1954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인도와의 조별리그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지만, 팀은 2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 대회 인도전 출전으로 가와모토는 40세 106일의 나이로 당시 일본 대표팀 최고령 출전 기록을 세웠다.[7]

1954년 아시안 게임 이후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A매치 통산 9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2] 이후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선수 겸 코치 보조로 참가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않았다.

3.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2년이 지난 1956년, 일본 A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부임하여 다케노코시 시게마루 감독을 보좌하며 같은 해 멜버른에서 열린 195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그러나 이 대회 1라운드에서 개최국 호주에 0-2로 패배하며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1958년에는 다카하시 히데토키의 후임으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어 도쿄에서 열린 1958년 아시안 게임에서 팀을 이끌었다. 하지만 C조 조별리그에서 필리핀홍콩에게 연이어 패배하며 2회 연속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대회가 끝난 후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1985년 9월 20일, 위암 투병 끝에 오사카에서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 20년이 지난 2005년에는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4. 사망

(내용 없음)

5. 통계

가와모토 다이조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9번의 국제 A매치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2]

5. 1. 국가대표팀 기록

와세다 대학에 재학 중이던 1934년 일본 A대표팀에 처음으로 선발되었다. 같은 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5월 13일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후반 7분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어 5월 15일 필리핀과의 경기에서는 0-3으로 뒤지던 전반 30분에 만회골을 넣어 팀의 4-3 역전승에 기여했다.

1936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일본 대표팀으로 참가했다. 8월 4일 열린 스웨덴과의 1라운드 경기에서 0-2로 뒤지던 후반 4분에 만회골을 터뜨려 팀의 3-2 역전승과 8강 진출을 이끌었다.[1] 이 승리는 일본의 올림픽 축구 첫 승리이자 강팀을 상대로 거둔 역사적인 승리로 평가받으며, 일본 내에서는 "베를린의 기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2016년, 이 당시의 일본 대표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와모토는 대한민국과의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했으나, 1·2차전 합계 3-7로 패배했다. 약 2개월 후 열린 1954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인도와의 C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득점을 기록했지만, 팀은 2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또한,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선수 겸 코치 보조로 일본 대표팀에 참가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않았다. 1954년 아시안 게임을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으며, A매치 통산 9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2] 1954년 5월 3일, 그는 40세 106일의 나이로 경기에 출전하여 당시 일본 대표팀 최고령 출전 기록을 세웠다.[2]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연도출장
193432
193500
193621
193700
193800
193900
194011
194100
194200
194300
194400
194500
194600
194700
194800
194900
195000
195100
195200
195300
195430
합계94



'''주요 참가 대회'''



'''국제 A매치 득점 기록'''

#년월일개최지대전 상대득점스코어결과경기 개요
11934년 5월 13일필리핀 마닐라네덜란드령 동인도11-7패배극동 선수권 대회
21934년 5월 15일필리핀14-3승리
31936년 8월 4일독일 베를린스웨덴13-2승리1936년 베를린 올림픽
41940년 6월 16일일본 도쿄필리핀11-0승리기원 2600년 봉축 동아 경기 대회


5. 2. 국가대표팀 득점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34년 일본 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같은 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5월 13일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첫 경기에서 후반 7분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1-7로 패배했다.[1] 5월 15일 필리핀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0-3으로 뒤지던 전반 30분에 만회골을 넣어 팀의 4-3 역전승에 기여했다.

1936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193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8월 4일, 스웨덴과의 1라운드 경기에서 0-2로 뒤지던 후반 4분에 만회골을 기록하며 3-2 역전승과 8강 진출에 기여했다.[1] 이 승리는 일본의 올림픽 축구 첫 승리이자 강팀을 상대로 거둔 승리로, 당시 일본에서는 이를 '베를린의 기적'(ベルリンの奇跡)이라고 불렀다. 2016년, 이 경기에 출전했던 대표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했으나,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1, 2차전 합계 3-7로 완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같은 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1954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인도와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 득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2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가와모토는 1954년 아시안 게임을 끝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A매치 통산 기록은 9경기 4골이다.[2] 그는 1954년 5월 3일, 만 40세 106일의 나이로 경기에 출전하여 당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최고령 출전 기록을 세웠다.

#년월일개최지대전 상대득점스코어결과경기 개요
11934년 5월 13일필리핀 마닐라네덜란드령 동인도11-7패배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
21934년 5월 15일필리핀 마닐라필리핀14-3승리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
31936년 8월 4일독일 베를린스웨덴13-2승리1936년 하계 올림픽
41940년 6월 16일일본 니시노미야필리핀11-0승리건국 2600년 기념 행사


6. 수상


  •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 2005년 헌액[3]

참조

[1] 웹사이트 Taizo Kawamoto https://www.olympedi[...] 2021-09-23
[2]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3] 웹인용 KAWAMOTO Taizo https://www.jfa.jp/e[...] 2024-04-19
[4] 웹사이트 第10回極東選手権大会 http://samuraiblue.j[...] 2016-09-09
[5] 뉴스 オリムピックへ十六選手決定す 朝日新聞 1936-04-23
[6] 웹사이트 代表TIMELINE http://samuraiblue.j[...]
[7] 서적 日本代表公式記録集The Yearbook of JFA 2011 日本サッカー協会編
[8] 웹사이트 釜本邦茂 (7) 弱者を強者への決意でJSL最下位ヤンマーへ。67年開幕戦デビューで2得点 http://library.footb[...]
[9] 뉴스 川本泰三氏死去 朝日新聞 1985-09-22
[10] 웹인용 先人の功績たたえる/サッカー殿堂を新設 http://www.toonippo.[...] 2005-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