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위개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위개미는 Attini 족에 속하는 잎을 갉아먹는 개미의 총칭으로, Atta, Acromyrmex, Amoimyrmex의 세 속으로 분류된다. 잎꾼개미는 개미-균류 상호주의를 통해 균류를 재배하며, 균류는 개미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고 개미는 균류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한다. 가위개미는 사회 계급을 가지고 있으며, 폐기물 처리, 기생 관계, 생물학적 특징을 보인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 해충으로 작물을 잎이 지게 하지만, 열대 우림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솜포포 데 마요와 같은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생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공생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 - 열마디개미속
열마디개미속은 작고 느린 도둑개미류와 크고 사나운 불개미류로 나뉘며 200종이 넘는 종을 포함하는 개미 속으로, 특히 붉은불개미는 침입 해충으로 간주되고 쏘였을 때 통증과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 - 짱구개미
짱구개미는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땅 속에 집을 짓고 풀씨를 주식으로 하는 개미의 일종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가위개미 | |
---|---|
개요 | |
이름 | 하키리아리 |
영어 이름 | leaf-cutter ant, leafcutter ant, leaf-cutting ant |
특징 | 잎을 씹어 먹는 47종의 개미 |
크기 | 둥지 크기: 30 최대 확장 크기: 80 둥지 면적: 30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벌목(膜翅目) |
아목 | 벌아목(細腰亞目) |
상과 | 개미상과 |
과 | 개미과 |
아과 | 후타후시아리아과 |
족 | 하키리아리족 |
하위 분류 | |
속 | 하키리아리속(Atta) 히메하키리아리속(Acromyrmex) 그 외 하키리아리족에 속하는 속들 |
종 | 47종 |
생태 | |
식생 | 열대 우림 |
서식지 |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우림 |
행동 | 잎을 잘라 둥지로 운반하여 버섯을 재배 |
역할 | 생태계에서 중요한 분해자 역할 수행 |
이미지 | |
![]() | |
![]() |
2. 분류
Attini 족에 속하는 잎을 갉아먹는 개미의 최소 55종[1][2][3]을 통칭하며 ''Atta''(잎꾼개미속), ''Acromyrmex''(가위개미속), 그리고 ''Amoimyrmex''의 세 속으로 나뉜다.[4]
''Atta'' 개미는 세 쌍의 가시와 흉부 윗면에 매끄러운 외골격을 가지고 있는 반면, ''Acromyrmex'' 개미는 네 쌍의 가시와 거친 외골격을 가지고 있다.[8] 외골격 자체는 개미가 생성한 롬보이드 결정으로 구성된 얇은 광물 코팅층으로 덮여 있다.[9] ''Amoimyrmex''와 ''Acromyrmex''는 ''Amoimyrmex''가 첫 번째 위마디에 결절이 없다는 점에서 다르며, 최근의 계통 발생학적 증거에 따르면 ''Amoimyrmex''는 다른 두 개의 잎꾼개미 속보다 먼저 분기되었다고 한다.[4]
가위개미는 하위 분류로 잎꾼개미속과 작은잎꾼개미속의 2속 32종이 알려져 있다.
잎꾼개미는 현지의 국가, 지역, 언어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같은 언어권에서 이름이 공통되는 경우도 있다. 반면, 영어권에서는 친숙하지 않아서, 대부분의 속에는 영어 이름이 없다. 다만, 미국 내를 주요 서식지로 하는 텍사스잎꾼개미()만은 예외로, 다양한 영어 이름(최소 6개)으로 불린다. 한국은 영어권보다 더 친숙하지 않아서, 이를 반영하듯 일본어 이름 외에는 거의 확인할 수 없다.
2. 1. 잎꾼개미속 (Atta)
잎꾼개미속(''Atta'')은 잎꾼개미의 한 속으로, 해부학적으로 작은잎꾼개미속(''Acromyrmex'')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잎꾼개미속 개미는 흉부 윗면에 세 쌍의 가시와 매끄러운 외골격을 가지고 있는 반면, 작은잎꾼개미속 개미는 네 쌍의 가시와 거친 외골격을 가지고 있다.[8]잎꾼개미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알려져 있다.
- 텍사스잎꾼개미 (''Atta texana''): 미국 텍사스 주 동부, 루이지애나 주 서부, 멕시코 북동부에 서식하며, Town ant, Parasol ant, Fungus ant, Texas leafcutter ant, Cut ant, Night ant 등 다양한 영어 이름으로 불린다.
- 케파로테스잎꾼개미 (''Atta cephalotes''): 일본어 명칭은 케파로테스 잎꾼개미(세파로테스 잎꾼개미)이다.[31]
- 아타 콜롬비카 (''Atta colombica''): 과테말라, 콜롬비아, 코스타리카에 서식한다.
- ''Atta insularis'': 쿠바에 서식한다.
- ''Atta laevigata'': 콜롬비아 남부에서 파라과이에 걸쳐 서식한다.
- ''Atta mexicana'': 멕시코에 서식하며, 미국 애리조나 주로 이입되었다.
- ''Atta sexdens'': 미국 남부와 아르헨티나 북부에 서식한다.
2. 2. 가위개미속 (Acromyrmex)
가위개미속(''Acromyrmex'')은 잎꾼개미의 한 속으로, 구스타프 마이어가 1865년에 명명하였다.[4] 가위개미속과 잎꾼개미속(''Atta'')은 해부학적으로 유사하지만, 가위개미속은 가슴 윗부분에 네 쌍의 가시와 거친 외골격을 가진 반면, 잎꾼개미속은 세 쌍의 가시와 매끄러운 외골격을 가졌다는 점에서 구별된다.[8] 가위개미속은 멕시코 남부에서 파나마, 베네수엘라에 걸쳐 서식하는 ''Acromyrmex octospinosus'' 등 32종이 알려져 있다.[4]3. 생태
가위개미의 사회는 개미-균류 상호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종마다 사육하는 균의 종이 다르나 모두 마귀버섯과에 속한다. 개미들은 이 균들을 활발히 사육하는데, 매일 신선한 식물성 먹이를 주고, 해충 등이 다가오는 것을 막아준다. 이런 상리공생은 어떤 박테리아에 의해서 더욱 발전하게 되는데, 이 박테리아는 개미의 몸에 항균제를 만들어준다. 잎꾼개미는 균류가 서로 다른 식물 재료에 반응하는 것에 맞춰 적응할 만큼 민감하며, 겉으로 보기에 균류로부터 화학적 신호를 감지한다. 특정 종류의 잎이 균류에 독성이 있으면, 군체는 더 이상 그 잎을 수집하지 않는다. 균류 기반의 농업을 사용하는 다른 두 종류의 곤충은 암브로시아 딱정벌레와 흰개미뿐이다. 성충이 경작하는 균류는 개미 유충을 먹이는 데 사용되며, 성충 개미는 잎 즙을 먹는다. 균류는 살아남기 위해 개미가 필요하고, 유충은 살아남기 위해 균류가 필요하므로, 상호주의는 필수적이다.[38]
고등 아티니 개미가 사용하는 균류는 더 이상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 개미들은 1,500만 년 전에 균류 파트너를 완전히 길들였으며, 이 과정은 완료하는 데 3,000만 년이 걸렸다.[13] 이들의 균류는 개미에게 특별히 먹이를 주기 위해, 스타필라라고 불리는 묶음으로 자라는 영양가 있고 부풀어 오른 균사 팁(공길리디아)을 생산한다.[14] ''Leucoagaricus gongylophorus''는 고등 아티니 개미 종이 가장 흔하게 재배하는 균류로 기록되어 있다.[15][16]
잎꾼개미는 균류 정원을 관리하고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매우 특정한 역할을 한다. 폐기물 관리는 각 군체의 수명 연장을 위한 핵심 역할이다. 괴사성 기생 곰팡이 ''Escovopsis''는 개미의 식량원을 위협하므로 개미에게 지속적인 위험 요소이다. 폐기물 운반자 및 폐기물 처리장 일꾼은 더 나이가 많고 덜 중요한 잎꾼개미로, 더 건강하고 젊은 개미가 균류 정원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한다. ''Atta colombica'' 종은 Attine 족 중에서 드물게 외부 폐기물 더미를 가지고 있다. 폐기물 운반자는 사용된 기질과 버려진 곰팡이로 구성된 폐기물을 폐기물 더미로 가져간다. 폐기물 처리장에 버려지면 더미 일꾼은 폐기물을 정리하고 분해를 돕기 위해 끊임없이 뒤섞는다. ''A. colombica''는 폐기물 더미 주변에 죽은 개미를 배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17][18]
주로 잎으로 구성된 균류 정원에 식량을 공급하는 것 외에도, 방선균 (속 ''Pseudonocardia'')의 항생 물질 분비로 인해 ''Escovopsis''로부터 보호된다. 이 상호 공생 미생물은 개미의 측흉샘에 서식한다.[19] 방선균은 오늘날 세계 항생제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잎꾼개미는 화학적 의사 소통과 stridulation (기질 전달 진동)을 사용하여 서로 의사 소통한다.[20]
잎꾼개미는 교란된 서식지를 선호하는데, 이는 개척자 종의 더 높은 농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개척자 식물은 2차 대사산물 수준이 낮고 영양소 농도가 높기 때문에 음지 내성을 가진 종보다 더 매력적인 식량원이 된다. 숲 천이는 나중에 발생한다.[21]
가위개미는 다른 개미에게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생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며, 일개미들은 줄을 지어 다양한 나무에 올라가 그곳에 있는 잎을 잘라내어 잇따라 둥지로 운반한다. 그 모습은 잎이 저절로 걷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광경이 된다. 그리고 잘라낸 잎을 둥지로 옮기지만, 이 잎을 먹이로 삼는 것이 아니라, 지하 둥지의 광대한 공간에 잎을 운반하여 그 잎에 특수한 균류를 심는다. 이 균류는 "개미버섯[28]"라고 불리는 송이버섯과 균류이며, 식물의 잎을 영양원으로 하여 균류는 증식하고 자라지만, 이를 위해 개미들은 잎을 운반하고, 이 균류를 먹이로 삼는다. 지하의 이 균류를 재배하는 공간은 생육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며, 개미들은 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잎을 계속 운반한다. 그리고 개미버섯도 잎꾼개미가 없으면 생존과 증식이 불가능한 상리공생 관계에 있다.
또한, 영양분이 다한 이른바 쓰레기가 된 잎은 그곳에서 운반되어 특정 장소에 버려지고, 거기서 쓰레기 산처럼 쌓여간다. 또한 수명이 다하거나, 신체 결손 등으로 살아갈 수 없게 된 잎꾼개미도 이곳으로 옮겨져 거기서 일생을 마친다.
대·중·소 다양한 크기의 개미가 있는 것은, 딱딱한 큰 잎을 잘라내어 운반하거나, 둥지의 확장, 잎을 운반하는 운반로 확보를 위한 토목 공사를 수행하는 대형 일개미, 대형 개미가 잘라낸 잎이 너무 클 경우 분단하여 운반하기 쉬운 크기로 운반하거나, 대형 개미가 할 수 없는 작업을 해내는 중형 일개미, 더 세밀한 작업에서 활약하는 소형 일개미라는 분업 체제로 되어 있다. 대형 병정개미는 둥지를 경비하거나, 외부 적을 막는 역할을 하며, 중형 병정개미는 잎을 운반하는 일개미를 경호하고, 소형 병정개미는 일개미와 병행하여 끊임없이 주위를 경계한다. 경비 개미라고 불리는 작은 개미는 둥지로 운반되는 잎 위에 타고 있는데, 이것은 잎꾼개미에게 알을 낳아, 유충과 함께 전염병을 보내는 기생 파리를 경계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경비 개미는 이 파리가 접근하면 크게 턱을 벌려 쫓아낸다. 둥지 안에서도 중·소 다양한 일개미들이 일하고 있으며, 여왕과 유충, 번데기를 돌보는 헬퍼 개미, 개미버섯을 재배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농경 개미, 둥지에서 나온 쓰레기를 처리하는 개미 등이 움직이고 있다.
딱딱한 잎을 잘라내는 작업에서는 한쪽 턱을 갈고리 모양으로 하여 몸을 지탱하고, 다른 한쪽 턱을 칼날과 같은 모양으로 잎에 대고 흠집을 내어 지렛대 원리를 응용하고 있다. 수명은 여왕개미가 10~20년으로 곤충류로서는 장수하는 데 비해, 다른 개미는 반년 정도밖에 살 수 없다고 한다.
여왕의 죽음 후, 둥지는 쇠퇴하고, 살아남은 개미들의 활동도 둔해져, 이윽고 멸망한다[29]。
3. 1. 군체의 생활 주기
가위개미의 수개미와 암개미들은 '레보아다'(''revoada'') 또는 ''vuelo nupcial''(스페인어)라고 불리는 혼인 비행을 통해 짝짓기를 한다.[10][36] 암개미는 군체 형성에 필요한 3억 개의 정자를 얻기 위해 여러 마리의 수개미와 짝짓기를 한다.[10][36]땅에 도착한 암개미는 날개를 떼고 적당한 땅을 찾아 군체를 형성하는데, 성공률은 2.5%로 매우 낮다.[11][37] 여왕개미는 균사체 조각을 구강 내 하구강낭에 보관하여, 이를 잎에 뿌려 식용 균류를 발생시킨다.[11][37] 군체는 일반적으로 단일 여왕에 의해 설립되지만, ''아타 텍사나''(Atta texana)의 경우 다두 여왕제가 확인되기도 한다.[12]

3. 2. 사회 계급
성숙한 가위개미 무리에서는 개미들이 여러 계급으로 나뉘는데, 보통 크기로 나누며, 각 계급마다 맡은 일이 다르다.[28] 에크로머멕스속과 에타속은 각각 높은 수준의 분업화를 보이는데, 대략 4계급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계급의 이름은 정원사 개미, 소형일개미, 중형일개미, 대형일개미이다. 대형일개미를 병정개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에크로머멕스속의 일개미들이 에타속의 일개미들보다 크기의 차이가 작다.
가장 작은 정원사개미는 어린 유충을 돌보거나 버섯 농장에서 일한다. 머리의 직경은 1mm이 되지 않는다.[28]
소형일개미는 정원사 개미보다는 약간 크며 경비병 역할을 한다. 잎을 가지러 가거나 오는 개미들을 보호하며 다른 생물이 공격할 경우 제일 먼저 방어를 한다. 머리의 직경은 1.8~2.2mm이다.
중형일개미는 잎을 자르고 무리로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대형일개미는 가장 큰 일개미이며 무리를 외부침입자로부터 지키는 것이 주 임무이나, 다른 작업에도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일개미의 몸 길이는 16mm이며 머리 직경은 7mm이다.
3. 3. 개미-균 상리공생
가위개미의 사회는 개미-균류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한다.[38] 가위개미는 마귀버섯과에 속하는 균류를 재배하며,[38] 이 균류는 개미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고 개미는 균류에게 먹이를 제공하며 해충과 곰팡이로부터 보호한다.[38] 이러한 상호주의 관계는 개미 몸에서 자라며 화학 물질을 분비하는 세균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38]가위개미는 균류가 새로운 식물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감지하여, 해로운 식물은 수집하지 않는다.[38] 성충이 경작하는 균류는 개미 유충을 먹이는 데 사용되며, 성충 개미는 잎 즙을 먹는다.[38] 균류는 개미가 있어야 생존할 수 있으며, 유충은 균류가 있어야 생존할 수 있어 이들의 관계는 필수적이다.[38]
고등 아티니 개미가 사용하는 균류는 더 이상 포자를 생성하지 않으며, 1,500만 년 전에 균류 파트너를 완전히 길들였다.[13] 이들의 균류는 개미에게 특별히 먹이를 주기 위해 스타필라라고 불리는 묶음으로 자라는 영양가 있고 부풀어 오른 균사 팁(공길리디아)을 생산한다.[14] ''Leucoagaricus gongylophorus''는 고등 아티니 개미 종이 가장 흔하게 재배하는 균류이다.[15][16]
가위개미는 잎을 잘라 둥지로 운반하여 개미버섯이라 불리는 송이버섯과 균류를 재배한다. 이 균류는 잎을 영양원으로 증식하며, 개미는 이 균류를 먹이로 삼는다. 지하의 균류 재배 공간은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며, 개미들은 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잎을 계속 운반한다. 개미버섯은 잎꾼개미가 없으면 생존과 증식이 불가능한 상리공생 관계에 있다.
영양분이 다한 잎은 쓰레기처럼 특정 장소에 버려지며, 수명이 다하거나 신체 결손 등으로 살아갈 수 없게 된 잎꾼개미도 이곳으로 옮겨져 일생을 마친다.
대·중·소 다양한 크기의 개미는 각기 다른 분업 체제로, 잎을 자르고 운반, 둥지 확장, 토목 공사, 경비, 둥지 내 작업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왕개미는 10~20년으로 장수하는 반면, 다른 개미는 반년 정도밖에 살 수 없다. 여왕의 죽음 후 둥지는 쇠퇴하고 멸망한다.[29]
배양한 균류는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화학 물질을 발생시키며, 바하마 가위개미는 마그네슘을 대량으로 함유한 탄산 칼슘 갑옷을 형성하여 신체 부위 손실을 줄인다.[30]
3. 4. 폐물 처리
가위개미는 균류 농장에서 나오는 폐물 처리에 대해 매우 명확한 역할을 분담하는데, 이는 폐물 처리가 무리의 생존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39][40] 에스코봅시스(''Escovopsis'')는 가위개미들의 균류 농장을 위협하는 곰팡이로, 가위개미 무리에 지속적인 위험 요소이다.[17] 폐물 운반과 처리에는 주로 나이가 들고 죽어도 덜 아까운 개미들이 배치되며, 더 건강하고 어린 개미들은 균류 농장에서 종사한다.[39][40][17][18] 폐물 운반 개미들은 폐물(균 찌꺼기 등)을 폐물더미에 가져다 놓으며, 폐물 처리 개미들이 이를 정리하여 폐물 운반 개미들이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한다. 에타 콜롬비카(''Atta colombica'')의 개미들은 죽은 일개미들도 폐물더미 주변에 쌓아놓는다.[39][40][17][18]이런 폐물 처리와 동시에 엑티노박테리아(''Actinobacteria'')는 에스코봅시스의 증식을 막아준다.[41] 엑티노박테리아는 개미의 뒷가슴옆판의 분비샘에 서식하며,[41][19] 현재 세계의 여러 항생제를 만드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41]
3. 5. 기생 관계
가위개미는 잎을 수집하는 동안 검정날개파리와 같은 기생파리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22] 이 기생파리는 일개미 머리의 틈새에 알을 낳는다.[22] 정원사개미나 소형개미(미니마(minim) 개미)가 일개미 위에 앉아 기생파리의 공격을 막아주기도 한다.[42][22]또한, *에스코봅시스(Escovopsis)*라는 독성이 강한 곰팡이가 자라 개미 군체를 파괴할 수 있다.[23] 초기 군체에서는 6.6% 정도에서 발견되지만,[42] 1~2년 된 군체에서는 약 60%에서 *에스코봅시스*가 발견된다.[43][24] 가위개미는 *에스코봅시스* 및 기타 미생물 감염을 인식하고 제어하기 위해 일개미가 그루밍을 통해 곰팡이 포자 수를 줄이거나, 감염된 곰팡이 정원 조각을 제거하여 폐기물 처리장에 버리는 행동을 한다.[25][26]
4. 생물학적 특징
가위개미는 북아메리카 동남부에서 중남미의 열대 우림 지대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체색은 적갈색이며, 몸길이는 3~20mm로 개미마다 크기가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여왕개미, 대형 병정개미, 대형 일개미, 중형 병정개미, 중형 일개미, 소형 병정개미, 소형 일개미, 그리고 번식으로 태어나는 수개미 등 다양한 변이로 나뉘는 가위개미의 생태적 특징에서 비롯된다.
바하마 가위개미는 배양한 균류를 통해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화학 물질을 발생시켜 감염을 막는다. 또한, 일반적인 껍질 위에 마그네슘을 대량으로 함유한 탄산 칼슘 갑옷을 형성하여 다른 개미보다 신체 부위 손실이 덜 발생한다.[30]
5. 인간과의 관계
일부 서식지에서 잎꾼개미는 농업에 심각한 해충이 될 수 있으며, 작물을 잎이 지게 하고 둥지를 만드는 활동으로 도로와 농지를 손상시킨다.[10] 예를 들어, 일부 ''Atta'' 종은 24시간 이내에 감귤 나무 전체를 잎이 지게 할 수 있다. 작물에 대한 잎꾼개미 ''아크로미르멕스 로비코르니스''의 공격을 억제하는 유망한 접근법이 시연되었다. 둥지에서 나온 쓰레기를 수집하여 묘목 위나 작물 주변에 놓으면 30일 동안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27]
잎을 잘라내는 행위는 열대 우림의 신진대사를 높이고, 둥지에서 나온 대량의 폐기물도 분해되어 열대 우림의 영양가 높은 토양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서식 지역에서는 커피 농장에도 나타나 그곳의 잎을 잘라내고, 숫자로 압도하여 나무를 앙상하게 만들어버리기도 하므로, 심각한 농업 해충이기도 하다. 대책으로는 나무에 오르지 못하게 하는 약품을 사용하거나, 방호 주머니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버섯을 재배하여 이용하는 생태를 가진 잎꾼개미는 "농업을 하는 개미"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절지동물에서 이러한 생태를 갖는 것은 잎꾼개미 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잎을 능숙하게 잘라 옮기는 모습도 시각적으로 흥미로워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솜포포 데 마요/솜포포 데 마요es는 "솜포포" 즉 잎꾼개미속의 개미를 볶은 요리로, 과테말라, 온두라스, 에콰도르에서 먹고 있다. 이는 잉카 제국 시대부터 기록된 전통 요리이며, 식민지 시대의 연대기에도 기록되어 있다.
콜롬비아의 산탄데르 주에 사는 과네족/과네족영어은 잎꾼개미 중 가장 큰 아타 라에비가타/아타 라에비가타영어를 매년 우기 약 9주 동안 진행되는 혼인 비행 시기에 수확한다. 아타 라에비가타로 만들어진 Hormiga culona는 결혼식의 잔치 음식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최음제 효과가 있다고 믿어진다[32]。
5. 1. 긍정적 측면
잎을 잘라내는 행위는 열대 우림의 신진대사를 높이고, 둥지에서 나온 대량의 폐기물도 분해되어 열대 우림의 영양가 높은 토양을 만들어낸다.[10]5. 2. 부정적 측면
일부 서식지에서 가위개미는 농업에 심각한 해충이 될 수 있으며, 작물을 잎이 지게 하고 둥지를 만드는 활동으로 도로와 농지를 손상시킨다.[10] 예를 들어, 일부 ''Atta'' 종은 24시간 이내에 감귤 나무 전체를 잎이 지게 할 수 있다. 가위개미는 커피 농장에도 나타나 잎을 잘라내 나무를 앙상하게 만들어버리기도 하므로, 심각한 농업 해충이기도 하다.5. 3. 식용
일부 지역에서는 잎꾼개미속의 개미를 볶은 요리인 솜포포 데 마요/솜포포 데 마요es를 먹으며, 이는 과테말라, 온두라스, 에콰도르에서 섭취한다. 이 요리는 잉카 제국 시대부터 기록된 전통 요리이다.[32] 콜롬비아 산탄데르 주에서는 아타 라에비가타/아타 라에비가타영어로 만든 Hormiga culona를 혼인 비행 시기에 수확하여 먹는다.6.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추가 정보 (한국 독자 대상)
6. 1. 정치/사회적 관점
6. 2. 경제적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Acromyrmex
https://antwiki.org/[...]
antwiki.org
2024-10-15
[2]
웹사이트
Atta
https://antwiki.org/[...]
antwiki.org
2024-10-15
[3]
웹사이트
Amoimyrmex
https://antwiki.org/[...]
antwiki.org
2024-10-15
[4]
논문
Amoimyrmex Cristiano, Cardoso & Sandoval, gen. nov. (Hymenoptera: Formicidae): a new genus of leaf-cutting ants revealed by multilocus molecular phylogenetic and morphological analyses
https://onlinelibrar[...]
2024-10-15
[5]
서적
[6]
웹사이트
Leafcutter Ant
http://cincinnatizoo[...]
[7]
논문
Major evolutionary transitions in ant agriculture
[8]
웹사이트
Diagnoses of the North American: Ant Genera (Hymenoptera: Formicidae)
http://www.cs.unc.ed[...]
2005-03
[9]
간행물
Biomineral armor in leaf-cutter ants
[10]
간행물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11]
간행물
Gardening Ants, The Attines
https://archive.org/[...]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2]
서적
Fire Ants and Leaf-cutting Ants : Biology and Management
Routledge
[13]
웹사이트
Crop Domestication Is a Balancing Act
https://www.si.edu/n[...]
2024-09-29
[14]
뉴스
For leaf-cutter ants, farm life isn't so simple
https://www.nytimes.[...]
1999-08-03
[15]
논문
Resisting Antimicrobial Resistance: Lessons from Fungus Farming Ants
https://linkinghub.e[...]
2019-09-26
[16]
간행물
Insect- and Other Arthropod-Associated Fungi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2-07-08
[17]
간행물
Waste management in the leaf-cutting ant Atta colombica
[18]
간행물
Waste Management in Leaf-cutting Ants
[19]
간행물
Symbiont recognition of mutualistic bacteria by Acromyrmex leaf-cutting ants
[20]
논문
Directional vibration sensing in the leafcutter ant Atta sexdens
https://journals.bio[...]
2017-12-15
[21]
논문
Why are leaf-cutting ants more common in early secondary forests than in old-growth tropical forests? An evaluation of the palatable forage hypothesis
Nordic Society Oikos
[22]
간행물
Leafcutter Ants
https://www.lpzoo.or[...]
[23]
간행물
The agricultural pathology of ant fungus gardens
[24]
간행물
Pathogenicity of Escovopsis weberi: The parasite of the attine ant-microbe symbiosis directly consumes the ant-cultivated fungus
http://www.mycologia[...]
[25]
간행물
How do leaf-cutting ants recognize antagonistic microbes in their fungal crops?
[26]
간행물
Weeding and grooming of pathogens in agriculture by ants
[27]
간행물
Refuse dumps of the leaf-cutting ants as a deterrent for ant herbivory: does refuse age matter?
[28]
문서
アリに寄生する寄生菌であるアリタケ (寄生菌類)とは全く別なので注意。
[29]
웹사이트
"「女王アリが死亡」展示が終了 来園者が見た「強さ」と「変化」"
https://withnews.jp/[...]
withnews
2022-04-16
[30]
Youtube
ハキリアリは鉱物の「よろい」に覆われていた、昆虫で初
https://natgeo.nikke[...]
[31]
뉴스
第43回 ハキリアリは農業を営む(パート1)
https://natgeo.nikke[...]
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22-10-13
[32]
서적
They Eat That? A Cultural Encyclopedia of Weird and Exotic Food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33]
서적
Ecology of Insects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34]
서적
[35]
웹인용
Diagnoses of the North American: Ant Genera (Hymenoptera: Formicidae).
http://www.cs.unc.ed[...]
2010-07-21
[36]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37]
서적
Gardening Ants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38]
웹인용
What are leafcutter ants?
https://web.archive.[...]
blueboard.com
2012-01-30
[39]
저널
Waste management in the leaf-cutting ant ''Atta colombica''
[40]
저널
Waste Management in Leaf-cutting Ants
[41]
저널
Symbiont recognition of mutualistic bacteria by Acromyrmex leaf-cutting ants
[42]
저널
The agricultural pathology of ant fungus gardens
http://www.pnas.org/[...]
[43]
저널
Pathogenicity of Escovopsis weberi: The parasite of the attine ant-microbe symbiosis directly consumes the ant-cultivated fungus
http://www.mycolog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