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면허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인천광역시 소속 노선은 강화군청 경제교통과에서 관리하는 강화군내버스와 인천광역시청에서 관리하는 60-5번, 70번, 71번, 800번, 801번, 3000번 등이 있다. 강화군내버스는 강화군 내 지역 간을 연결하며, 주요 노선은 강화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된다. 경기도 소속 노선은 과거 김포시를 종점으로 하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되던 노선들이며, 88번, 90번, 96번 등이 있다. 2009년 이후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및 형간전환이 이루어졌으며, 강화운수의 시외버스 노선도 시내버스로 전환되어 운임 부담을 줄였다.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2024년 7월 노선이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화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은 인천 강화군에서 강원 원주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로,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나 수도권 서남부의 주요 간선 도로망으로서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며 일부 미개통 구간이 있다.
강화군의 교통 - 국도 제48호선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88km의 일반국도인 국도 제48호선은 강화도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망이다.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위치하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터미널역과 연결되어 있고, 롯데백화점 등과 연계되어 쇼핑과 문화생활을 제공하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통해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을 지원하는 과거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다 롯데그룹에 매각된 버스터미널이다.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송도환승센터 송도환승센터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버스 환승 시설로, 과거 U-복합환승센터로 운영될 당시에는 송도환승센터 또는 송도터미널로 불리며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일부 시내/시외버스 노선만 인천스타트업파크 정류장에서 운행 중이다.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면허 노선은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지만, 면허 종류에 따라 운임 체계가 다르다. 인천 시내버스는 단독 통행 시 기본 요금만 부과되지만, 경기도 노선은 환승 여부와 관계없이 하차 시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환승 시에는 모든 노선에서 하차 태그가 필수이다. 더 자세한 운임 정보는 강화군 군내버스 운행정보 페이지를 참고할 수 있다.
* 인천 시내버스로 분류된 노선들은 단독 통행 시 기본요금만 부과된다. 경기도 노선으로 분류된 노선들은 환승 통행 여부에 관계없이 하차 시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 환승 통행 시에는 노선의 유형에 관계없이 카드를 단말기에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ain/part/traffic/guide.jsp 군내버스 운행정보
1995년강화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된[1] 이후에도 오랫동안 인천으로 가려면 비싼 시외직행버스를 타야만 했다. 초지대교 개통[2] 후 120번 좌석버스가 잠시 운행했지만, 시외버스와 요금 차이가 거의 없고 배차 간격도 매우 길어 불편했다.
이러한 강화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인천광역시는 700번 좌석버스를 신설했다. 그러나 개통 당시 강인여객이 700번에 적용한 구간운임은, 대체 노선이 거의 없는 지역 교통 상황과 맞물려 매우 비싸다는 불만이 많았다.[3] 실제로 60-2번 버스가 강화군에 들어오기 전까지, 강화 남부지역에서 강화읍을 거치지 않고 강화도 밖으로 나가는 방법은 1시간 간격의 신촌행 시외버스나 700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뿐이었다.
700번의 구간운임은 2009년 10월 10일 인천 버스가 수도권 통합운임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어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기본운임이 950원에서 1,700원으로 올라 강화 내에서 이동하는 승객들은 불편을 겪기도 했다. 물론 운임 조정으로 모든 경우에 요금이 오른 것은 아니다. 환승 없이 인천에서 강화까지 이동하는 경우, 이전에는 2,100원을 냈지만 조정 후에는 1,700원으로 오히려 요금이 내려갔다.
2011년 6월 30일, 700번 노선의 한정면허 기간이 만료되면서 2011년 6월 14일부터 기존의 시외좌석버스였던 700번은 경로 변경 없이 간선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운행 대수는 10대에서 9대로 1대 줄었다. 간선 노선으로 전환되면서 기본운임은 900원으로 인하되었다. 같은 날 인천터미널과 양곡을 오가던 70-1번 노선은 폐지되었고, 일부 정류소에만 정차하는 시외좌석급의 800번이 신설되었다.[4]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700번은 화도면을 경유하는 지선 노선인 700-1번에 흡수되었다. 이와 별도로 온수리에서 경인항을 거쳐 검암역을 잇는 700-2번이 신설되었다가 2018년에 폐선되었다. 2022년 12월, 71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어 운행 중이다.
3. 3. 60-2번과 70번 간선버스
60-2번, 70번, 구 70-1번은 원래 경기도 면허였으나 인천 시내 면허로 변경된 노선들이다.
60-2번은 김포운수에서 신설한 경기도 시내일반버스였으나, 2009년 7월 14일 강화 온수리로 노선이 연장[5]된 후 같은 해 10월 말 강화교통에 양도되면서 인천 면허가 되었다.
70번과 70-1번은 선진버스 소속 경기도 시외직행버스였으나, 2009년 10월 16일 시내버스로 전환[6][7]된 후 같은 해 11월 1일 인천 면허로 변경되었다. 70-1번은 2011년 6월 14일 폐선되었다.
2010년 11월 1일 인천 면허로 변경된 후, 한동안 버스정보관리시스템에서 정상적인 운행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8][9]
60-2번, 70번, 70-1번은 2010년 2월경 신동아교통으로 운행업체가 변경되었다가 다시 강화교통으로 변경되었다. 이 노선들은 인천형 준공영제를 적용받는다.[11]
2014년 4월 16일, 60-2번의 김포공항 연장 노선인 60-5번이 시외좌석버스로 신설되었고,[12] 2015년 1월 2일 화도터미널에서 강화터미널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3. 4. 3000번 직행좌석버스
강화도와 서울신촌을 잇는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2010년까지 시외직행버스로 운행하던 노선이다(강화운수 시외버스의 형간전환 문단 참조). 면허권이 경기도에 있던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기점을 경기도에 두고 있지 않아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령에 어긋나게 되어, 2024년 7월 1일부터 강화군에서 출발하는 인천 면허 3000번과 김포시에서 출발하는 경기도 면허 3000-1번으로 노선이 분리되었다.[13] 당초 3000번 노선은 김포시 구간을 김포한강로로 우회하여 당산역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김포시의 반발로 노선 면허권만 이전되어 기존 노선대로 운행하게 되었다.[14] 이에 인천시는 3000번 노선의 운행 시간 단축을 위해 강화군의 의견을 수렴, 경기도 및 김포시와 협의를 거쳤으며, 3000번 노선은 8월 5일부터 김포시 지역 내 정류소 수가 줄어든 새 노선대로 운행하게 되었다.[15]
4. 강화군내버스
군내버스는 강화터미널 등 주요 지점과 강화군 각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아 다른 노선들에 비해 운행 횟수가 적은 편이다. 온수리에서 출발하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강화터미널에서 출발한다. 2016년 7월 30일에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노선과 시간표는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ain/part/traffic/guide.jsp 강화군청 누리집의 버스 안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산마을버스, 연지마을버스, 교동동북부마을버스, 교동서부마을버스, 삼산마을버스 5개의 운행사가 강화읍, 교동도, 석모도 지역의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 버스들은 인천시 지선 도색 또는 고유의 도색으로 운행되며, 2010년 5월부터 통합운임제에 참여하였다.[16][17]
4. 2. 1. 노선 목록
대산마을버스, 연지마을버스, 교동동북부마을버스, 교동서부마을버스, 삼산마을버스 5개의 운행사가 강화읍, 교동도, 석모도 지역의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인천시 지선 도색 또는 고유의 도색으로 운행되며, 2010년 4월까지는 단말기가 없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2010년 5월부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운임제에 참가하였다.[16][17]
현재 강화군에 들어오는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 대부분은 과거 김포대학이 종점이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되던 노선들이다.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 등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여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강화 지역에 한해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이 해제되면서,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또는 형간 전환이 가능해졌다.[5]
현재 강화군에 진입하는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들 중 대부분은 과거에 김포대학이 종점이었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하던 노선들이다.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를 비롯한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는 등의 노력으로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D1603&PROM_NO=00202&PROM_DT=20091231&HanChk=Y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8조에 의해 시내버스 노선들에 적용되는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을 강화 지역에 한해 해제함으로써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또는 형간 전환이 가능해졌으며,[5] 실제로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이들 노선들에 대한 산발적인 조정이 이루어졌다.
2009년에 강화군에 들어오는 경기도 시내일반 노선들 중 96번을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들이 현재와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은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를 비롯한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여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D1603&PROM_NO=00202&PROM_DT=20091231&HanChk=Y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8조에 의해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되는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을 강화 지역에 한해 해제함으로써 가능해졌다.[5]
형간전환 이전 시외직행버스의 강화도 내 운임은 성인 기준 1,100원, 온수리~김포고 구간은 2,000원, 온수리~신촌 구간은 4,100원이었다. 다른 직행버스와 달리 대부분 구간에서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았다.
5. 3. 1. 최근의 변화
영등포와 강화터미널을 오가던 1번은 2010년 7월 1일 88번과 통합되었으며, 80번과 330번은 각각 2010년 7월 18일과 7월 31일 운행을 중지하였다.[23] 이 중 80번은 2011년 7월 22일 운행을 재개하였으나,[23] 2013년 10월에 다시 운행을 중단하였다.
화도~신촌을 운행하는 3100번은 2014년 7월 16일에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6년 10월 5일에 노선 번호를 2000번으로 변경하여 운행을 재개하였다. 그러다 2020년 9월 14일부로 운행이 중단되고 폐선되었다.
강화버스터미널~신촌을 운행하던 3000번은 2024년 7월 노선이 3000번과, 강화군에 진입하지 않는 3000-1번으로 분리되었다(3000번 직행좌석버스 문단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