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T-LGLL)은 드문 형태의 만성 림프증식성 질환으로, 전체 백혈병 사례의 2~3%를 차지한다. 이 질환은 형질전환된 CD8+ T 세포 또는 CD8- T 세포의 클론 재배열로 인해 발생하며, 비장 비대, 빈혈, 호중구 감소증, 류마티스 관절염과 유사한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말초 혈액, 골수 검사, 유세포 분석, T 세포 수용체 유전자 클론 재배열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며,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스포린,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5년 생존율은 89%로 보고되며, 1985년 토머스 P. 로프란 주니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프구성 백혈병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림프구의 과도한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암으로, 혈액 검사 및 유세포 분석으로 진단하며, 증상과 병기에 따라 화학 요법, 표적 치료 등을 시행하고, 예후는 유전자 변이 등에 따라 달라진다.
  • 림프구성 백혈병 - 털세포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은 악성 B세포 축적으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생성을 방해하는 혈액암으로, BRAF V600E 체세포 돌연변이가 모든 환자에게서 확인되었으며 퓨린 유사체로 치료한다.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
일반 정보
분야혈액학, 종양학
증상 및 합병증
증상(정보 없음)
합병증(정보 없음)
발병 및 기간
발병 시기(정보 없음)
지속 기간(정보 없음)
유형 및 원인
유형(정보 없음)
원인(정보 없음)
위험 요소 및 진단
위험 요소(정보 없음)
진단(정보 없음)
감별 진단 및 예방
감별 진단(정보 없음)
예방(정보 없음)
치료 및 예후
치료(정보 없음)
약물(정보 없음)
예후(정보 없음)
빈도 및 사망
빈도(정보 없음)
사망자 수(정보 없음)

2. 원인

T-LGLL 백혈병은 특정 T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 변형된 세포는 β 사슬 T 세포 수용체 유전자의 클론 재배열을 보이는 CD8 양성(+) T 세포이다. 드물게는 γ 사슬 T 세포 수용체 유전자의 클론 재배열을 보이는 CD8 음성(-) T 세포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1]

3. 진단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T-LGLL)의 진단은 환자의 임상 증상, 혈액 검사, 골수 검사, 면역표현형 분석, 유전학적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내려진다.

진단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다.


  • 임상 양상: 많은 경우 특별한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지만, 비장 비대, 빈혈이나 호중구 감소증으로 인한 반복적인 감염, 류마티스 관절염과 유사한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1][5][6][7][8][9][10]
  • 검사실 소견: 혈액 검사에서 특징적인 거대 과립 림프구의 증가(림프구 증가증)가 관찰되며, 빈혈, 호중구 감소증, 과감마글로불린혈증 등이 동반될 수 있다.[11][5][6][7][8][9][12][13][14]
  • 말초 혈액 및 골수 검사: 말초 혈액 도말 검사에서 세포질 내 아주르 과립을 가진 큰 림프구를 확인하고, 골수 생검을 통해 림프구의 침윤 정도와 패턴을 평가한다.[15]
  • 면역표현형 분석: 유세포 분석을 통해 종양 세포의 면역표현형을 분석한다. 대부분의 경우 CD3+, CD8+ 표면 항원을 발현하는 성숙한 T 세포의 클론성 증식을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중요하다.[7][8][16]
  • 유전학적 검사: T 세포 수용체 (TCR) 유전자의 클론성 재배열을 확인하는 것은 진단에 필수적인 요소이다.[13][17]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예: STAT3)는 치료 반응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18]

3. 1. 임상 양상

이 질환은 임상 경과가 느리고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1]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신체 소견은 중간 정도의 비장 비대이다.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는 B 증상이 나타나며, 거의 절반의 환자에게서는 빈혈이나 호중구 감소증으로 인해 감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5][6][7][8][9]

류마티스 관절염은 T-LGLL 환자에게서 흔히 관찰되며, 이는 펠티 증후군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10] T-LGLL과 적혈구 형성 부전의 연관성으로 인해 빈혈의 징후와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11]

3. 2. 검사실 소견

이 질환의 필수적인 림프구 증가증은 일반적으로 2-20x109/L 범위로 나타난다.[11] 빈혈 및/또는 호중구 감소증 역시 흔하게 관찰되며, 이는 재발성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5][6][7][8][9] 적혈구 형성 부전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빈혈의 징후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1]

또한, 과감마글로불린혈증, 자가항체, 순환 면역 복합체를 포함한 면역글로불린 이상이 흔하게 발견된다.[9][12][13][14]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연관성도 보고되는데, 이는 펠티 증후군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일 수 있으며, 자가항체 등의 검사실 소견과 관련될 수 있다.[10]

3. 3. 말초 혈액

이 질환에서 관찰되는 종양성 림프구는 크기가 크고, 세포 용해에 관여하는 퍼포린과 그랜자임 B와 같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아주르 과립을 가지고 있다.[15] 진단에는 유세포 분석이 흔히 사용된다.[16]

3. 4. 골수

골수 침윤은 이 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나지만, 그 정도는 다양하다. 골수 생검은 진단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림프구 침윤은 대개 간질성이지만, 드물게 결절성 패턴이 나타나기도 한다.

3. 5. 면역표현형

이 질환의 종양 세포는 성숙된 T 세포 면역표현형을 나타내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표지자의 다른 순열과 비교하여 CD4-/CD8+ T 세포 아집단 면역표현형을 보인다.[7][8] CD11b, CD56, CD57의 가변적인 발현이 관찰된다.[9] 퍼포린, TIA-1, 그랜자임 B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대개 양성이다.[1]

유형면역표현형
흔한 유형 (사례의 80%)CD3+, TCRαβ+, CD4-, CD8+
희귀 변이CD3+, TCRαβ+, CD4+, CD8-
CD3+, TCRαβ+, CD4+, CD8+
CD3+, TCRγδ+, CD4CD8 가변적


3. 6. 유전학적 소견

T 세포 수용체 (TCR) 유전자의 클론 재배열은 이 질병의 진단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TCR의 β 사슬 유전자는 TCR의 γ 사슬보다 더 자주 재배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3][17]

현재 증거에 따르면, STAT3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가 메토트렉세이트 치료에 더 잘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18]

4. 치료

면역억제 치료가 1차 치료법이다. 메토트렉세이트를 주간 단위로 투여하거나(매일 프레드니손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음), 일부 환자에게는 사이클로스포린 또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사용하여 부분적 또는 완전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5]

알렘투주맙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T세포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9]

실험 데이터에 따르면, 비타민 D의 활성 형태인 칼시트리올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T세포 LGL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0]

5. 예후

프랑스의 한 연구에서는 T-LGL 백혈병 환자 2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년 생존율이 89%로 나타났다.[21]

6. 역학

T-세포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T-LGLL)은 드문 형태의 백혈병으로, 만성 림프증식성 질환의 전체 사례 중 2~3%를 차지한다.

7. 역사

거대 과립 림프구성 백혈병(LGLL)은 1985년 토머스 P. 로프란 주니어(Thomas P. Loughran Jr.)가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 센터(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에서 근무하던 중 발견했다.[22] 연구 목적으로 LGLL 환자의 표본이 버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는 해당 목적을 위한 유일한 표본 은행이다.[23]

참조

[1] 서적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https://books.google[...] IARC Press
[2] 논문 Clinical improvement by farnesyltransferase inhibition in NK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associated with imbalanced NK receptor signaling 2008-12
[3] 논문 A population-based study of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2016-08
[4] 논문 T-Cell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 Case Report 2018
[5] 논문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LGLL) 2017-06-20
[6] 논문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1998-01
[7] 논문 Heterogeneity of large granular lymphocyte proliferations: delineation of two major subtypes http://www.bloodjour[...] 1986-11
[8] 논문 Clinical course and prognosis of the lymphoproliferative disease of granular lymphocytes. A multicenter study 1990-01
[9] 논문 Clinical features of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2003-07
[10] 논문 Clonal proliferation of large granular lymphocytes in rheumatoid arthritis 1988-01
[11] 논문 Association of pure red cell aplasia with T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aemia 1998-09
[12] 논문 Laboratory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of 33 patients with granular lymphocyte-proliferative disorders 1993-06
[13] 논문 Rearrangement and expression of T-cell receptor genes in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http://www.bloodjour[...] 1988-03
[14] 논문 Leukemia of large granular lymphocytes: association with clonal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autoimmune neutropenia, thrombocytopenia, and hemolytic anemia 1985-02
[15] 논문 The lymphoproliferative disease of granular lymphocytes: updated criteria for diagnosis http://www.bloodjour[...] 1997-01
[16] 논문 How I treat LGL leukemia 2011-03-10
[17] 논문 Clonal expansion of lymphocytes bearing the gamma delta T-cell receptor in a patient with large granular lymphocyte disorder http://www.bloodjour[...] 1989-07
[18] 논문 STAT3 mutation and its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correlation in T-cell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2018-03
[19] 논문 Efficacy of alemtuzumab treatment for refractory T-cell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2004-03
[20] 논문 Vitamin D decreases STAT phosphoryl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output in T-LGL leukemia 2016-10-07
[21] 논문 Analysis of a French cohort of patients with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A report on 229 cases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cancer.uvahe[...] 2016-12-12
[23] 웹사이트 LGL Leukemia Program | UVA Health System https://cancer.uvahe[...]
[24] 서적 Pathology and genetics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https://books.google[...] IARC Press
[25] 논문 Clinical improvement by farnesyltransferase inhibition in NK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associated with imbalanced NK receptor signaling 2008-12
[26] 논문 A population-based study of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2016-08
[27] 논문 Analysis of a French cohort of patients with large granular lymphocyte leukemia: A report on 229 cases
[28] 논문 T-Cell Large Granular Lymphocytic Leukemia – Case Report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