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는 말라위, 모잠비크, 짐바브웨,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지에 분포하는 반투어군 언어를 지리적 기준으로 분류한 체계이다. 이 분류는 1948년 거스리가 처음 제시했으며, 1971년과 2009년에 마호에 의해 업데이트되었다. 분류는 A부터 S까지의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다시 세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분류는 언어 간의 관계를 반드시 암시하지는 않으며, 크리올, 피진, 혼성어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
개요
이름반투어군 (좁은 의미의 반투어군)
다른 이름좁은 반투어어군
지역아프리카, 대략 적도 이남
어족니제르-콩고 어족
하위 어족대서양-콩고 어족
하위 어족볼타-콩고 어족
하위 어족베누에-콩고 어족
하위 어족반토이드 어족
하위 어족남부 반토이드 어족
하위 어족구스리 지역 A-S (지리적 구분)
식별 코드
글롯토로그narr1281 (좁은 의미의 반투어어군)
지도
반투어 지역
16개 구스리 반투어 지역의 대략적인 위치 (J 지역 추가 포함)

2. 분류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는 1948년 말콤 거스리(Malcolm Guthrie)가 처음 제시한 이후, 1971년 거스리 자신과 2009년 J.F. 마호(J.F. Maho)에 의해 업데이트된 분류 체계이다. 이 분류는 반투어군 언어를 지리적 위치에 따라 A, B, C, D, E, F, G, H, J, K, L, M, N, P, R, S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 내에서 다시 세부 그룹으로 분류한다.
분류 개요거스리의 분류는 크게 북서 반투어군과 중부 반투어군으로 나눌 수 있다.


  • 북서 반투어군: A, B, C 지역을 포함한다.
  • 중부 반투어군: D, E, F, G, H, J, K, L, M, N, P, R, S 지역을 포함한다.


하지만, 어떤 거스리 구역이 어느 쪽에 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는 거의 없으며, 이러한 이분법은 현재 학계에서 의문시되고 있다.

거스리 구역 내에서 인정되는 계통 발생론적 그룹은 굵은 글씨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A 지역에는 마넹구바어군, 사와반투어군, 바사어군, 바피아어군, 음밤어군, 베티어, 마카아-넴어군 등이 있다.

S 지역(남부 반투어군)과 같이 전용 기사가 있는 그룹은 여기서 간략하게 요약되며, 초기 목록은 다른 기사를 위한 요약 및 색인 역할을 한다.
참고:

  • ''Ethnologue''는 분류를 역사적으로 더 정확하게 만들기 위해 거스리의 분류에 여러 변경 사항을 적용했지만, 이러한 변경 사항은 일관성이 없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Ethnologue''를 따르지 않는다.
  • 마호(2009)의 업데이트는 코드의 원래 값과 호환되도록 설계되었다.
  • 반투어는 오랫동안 음조 패턴을 기반으로 북서 반투어(숲 반투어)와 중앙 반투어(사바나 반투어) 분기로 나뉘어 왔지만, 본 문서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을 따르지 않는다.

2. 1. 북서 반투어군


  • A 지역
  • B 지역
  • ** 미에네어
  • ** 시라어 : 룸부어, 바라마어, 부누어, 붐부어, 브위시어, 상구어, 시라어
  • ** 얀지어 : 딩어, 보마어, 얀시어, 음푸오노어, 음피누어, 티에네어
  • ** 은제비어 : 두마어, 완지어, 은제비어, 창기어
  • ** 음베레어 : 양고어, 옴밤바어, 은두무어, 음베레어, 응굴어, 카닝기어
  • ** 초고어 : 부비어, 심바어, 초고어, 칸데어, 핀지어
  • ** 켈레어 : 마홍궤어, 사케어, 세키어, 시구어, 웜부어, 은다사어, 음방궤어, 응곰어, 켈레어, 코타어
  • ** 테케어 : 야카어, 응궁궬어, 이발리테케어, 차이테케어, 치체게어, 테케랄리어, 테케에부어, 테케은지쿠어, 테케쿠쿠야어, 테케테게어, 테케푸무어, 티에테케어
  • ** 미분류 : 몰렝그어

  • C 지역
  • ** 몽고어 : 랄리아어, 몽고응쿤두어, 옴보어, 응간도어
  • ** 방기은톰바어

로발라어
루셍고어 : 루셍고어, 링갈라어, 바방고어, 방갈라어, 볼로키어, 부자어, 은돌로어
마발레어
모이어
밤웨어
방기어
보자바어
보코어
볼론도어
볼리아어
봄보마어
봄볼리어
사카타어
셍겔레어
야몽게리어
은톰바어
응기리어 : 리빈자어, 리킬라어, 발로이어, 은도보어
잔도어

  • ** 부숑어 : 뎅게세어, 렐레어, 부슝어, 송고메노어, 웡고어
  • ** 음보시어 : 리콸라어, 리쿠바어, 아콰어, 음보시어, 음보코어, 코요어
  • ** 응간도어 : 야카어, 응간도어
  • ** 응곰베어 : 리겐자어, 브와어, 브웰라어, 응겔리마어, 응곰베어, 캉고어, 템보어, 파기베테어
  • ** 응군디어 : 디볼레어, 보미타바어, 봉길리어, 음바티어, 응군디어, 판데어
  • ** 켈레어 : 롬보어, 소어, 음베사어, 포케어, 켈레어, 포마어
  • ** 테텔라어 : 옐라어, 은쿠투어, 켈라어, 쿠수어, 테텔라어

2. 2. 중부 반투어군

D 지역

  • 니앙가어
  • 레가칼랑가어: 레가므웽가어, 레가샤분다어, 리카어, 발리어, 베케어, 송구라어, 짐바어, 카누어, 콰미어, 함바어, 홀로홀로어
  • 벰베어: 벰베어, 부유어
  • 비라후쿠어: 니알리어, 바누마어, 베라어, 벨레어, 보도어, 부두어, 빌라어, 암바어, 은다카어, 음보어, 카이쿠어, 캉고어, 코모어, 호마어
  • 에니아어: 렝골아어, 미투쿠어, 에니아어, 음볼레어

E 지역

  • 니카어
  • 말라코테어
  • 미지켄다어: 기리아마어, 두루마어, 디고어, 세게유어, 초니어
  • 타이타어: 사갈라어, 타이타어
  • 포코모어: 상부 포코모어, 하부 포코모어
  • 차가어: 궤노어, 로보어, 르와어, 분조어, 마차메어, 모치어, 카헤어
  • 쿠리아어: 구시어, 수바어, 시자키어, 와레어, 응구리미어, 이코마어, 이키주어, 자나키어, 카브와어, 쿠리아어, 테미어
  • 키쿠유캄바어
  • 기쿠유어
  • 다이소어
  • 메루어: 메루어, 므윔비무탐비어, 추카어, 타라카어
  • 엠부어
  • 캄바어

F 지역

  • 닐람바랑기어: 니아투루어, 닐람바어, 랑기어, 음부궤어
  • 수쿠마니암웨지어: 니암웨지어, 붕구어, 수쿠마어, 숨브와어, 코농고어, 킴부어
  • 통궤어: 맘브웨룽구어, 벤데어, 룽과어, 통궤어, 피파어, 핌브웨어

G 지역

  • 고고어: 고고어, 카굴루어
  • 베네킹가어: 마고마어, 만다어, 베나어, 상구어, 완지어, 키시어, 킹가어, 팡과어, 헤헤어
  • 샴발라어: 본데이어, 샴발라어, 아수어, 타베타어
  • 스와힐리어: 마퀘어, 므와니어, 스와힐리어, 은즈와니어, 응가지자어, 코모로어
  • 지굴라자라모어: 도에어, 루구루어, 무슝굴루어, 비둔다어, 사갈라어, 응굴루어, 자라모어, 지굴라어, 카미어, 쿠투어, 퀘레어
  • 포고로어: 은담바어, 포골로어

H 지역

  • 야카어: 론조어, 손데어, 수쿠어, 야카어, 음방갈라어, 응공고어, 펠렌데어
  • 음분두어: 볼로어, 사마어, 은송고어, 음분두어
  • 콩고어: 둔도어, 벰베어, 라리어, 빌리어, 순디어, 욤베어, 캄바어, 쿠니어, 쿵고어, 콩고어
  • 훙가나어

J 지역

  • 니오로간다어: 간다어, 궁구어, 궤레어, 니앙코레어, 니오로어, 룰리어, 소가어, 싱가어, 케니어, 치가어, 투로어, 헤마어
  • 르완다룬디어: 룬디어, 르완다어, 빈자어, 슈비어, 하어, 항가자어
  • 마사바루이아어
  • 니올레어
  • 루이아어: 니알라어, 니오레어, 로굴리어, 루이아어, 부쿠수어, 이다코이수카티리키어
  • 마사바어
  • 시하부어: 닌두어, 시어, 조바어, 카브와리어, 템보어, 풀리루어, 하부어, 훈데어
  • 콘조어: 난데어, 콘조어
  • 하야지타어: 니암보어, 수비어, 지타어, 진자어, 카라어, 케레웨어, 콰야어, 탈링가브위시어, 하야어

K 지역

  • 디리쿠어
  • 살람파수은뎀보어: 룬다어, 룬드어, 살람파수어
  • 수비아어: 수비야어, 토텔라어, 프웨어
  • 음발라어
  • 쾅과어: 루야나어, 마시어, 시마어, 음보웨어, 음부쿠슈어, 쾅갈리어
  • 초퀘루차지어: 니엠바어, 니엥고어, 루발레어, 루임비어, 루차지어, 음분다어, 음브웰라어, 응캉갈라어, 초퀘어
  • 훌루어: 삼바어, 퀘세어, 펜데어, 홀루어

L 지역

  • 루바어: 루바카사이어, 루바카탕가어, 르왈루어, 상가어, 카니오크어, 헴바어
  • 브윌레어
  • 송기에어: 루나어, 방구방구어, 빈지어, 송게어, 케테어
  • 응코야어
  • 카온데어

M 지역

  • 니아키우사어
  • 니카사프와어: 니아므왕가어, 니하어, 람비아어, 말릴라어, 사프와어, 완다어, 은달리어
  • 레니에통가어
  • 레니에어
  • 통가어: 돔베어, 살라어, 솔리어, 일라어, 통가어
  • 벰바어: 벰바어, 아우시어, 타브와어
  • 비사람바어
  • 람바어
  • 비사어: 랄라비사어, 세바어

N 지역

  • 치체와어 (니안자어)
  • 만다어: 마텡고어, 음포토어, 응고니어, 통가어
  • 셍가세나어
  • 세나어: 니웅궤어, 바르웨어, 세나어, 쿤다어, 핌비어
  • 셍가어 (은셍가어)
  • 툼부카어

P 지역

  • 마쿠아어: 나템보어, 롤로어, 롬웨어, 마인도어, 마니아와어, 마렌제어, 마쿠와마레보네어, 마쿠와메토어, 마쿠와모니가어, 마쿠와사카어, 마쿠와시리마어, 마쿠와어, 추와부어, 코콜라어, 코티어, 타콰네어
  • 마툼비어: 닌디어, 루피지어, 마툼비어, 은덴데울레어, 은뎅겔레코어, 음붕가어, 응긴도어
  • 야오어: 마칭가어, 마콘데어, 므웨라어, 야오어, 은돈네함바어

R 지역

  • 남 음분두어: 니아네카어, 움분두어, 은돔베어, 응쿰비어
  • 예예어 (예이어)
  • 은동가어: 은동가어, 음발란후어, 응간디에라어, 콰니아마어, 크왐비어
  • 헤레로어: 젬바어, 헤레로어

S 지역
미분류 (중부 반투어군): 그바티리어, 니앙갈리어, 마예카어, 보구루어, 송고어, 응그비어, 응그빈다어, 이산주어, 카리어

2. 3. 남부 반투어군

Malcolm Guthrie영어의 분류에서 S20–60은 P30과 함께 남부 반투어군으로 묶인다. 여기에는 다음의 어군들이 속한다.

3. 추가 목록 (1948/2009)

Guthrie영어의 1948년 분류 및 Maho영어(2009)의 업데이트된 목록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추가되었다.

구역언어
A10론도, 바루에, 발롱, 봉켄, 보, 바포, 응콩고, 오로코어에 대한 다수의 추가
A20봄보코, 바악페, 수, 두알라, 올리, 퐁고, 물림바, 부비아, 콜레, 두알라에 대한 추가
A30노스 보베, 사우스웨스트 보베, 사우스이스트 보베, 바노, 바포코, 야사, 콤베, 벵가
A40롬비, 방콘, 음베네, 노스 코고, 사우스 코고, 바넨, 니욘, 만디, 알링가, 보넥, 얌베타
A50파, 칼롱, 크파, 응야바, 히주크
A60응고로, 얌바사, 망기사, 바젱가, 바티, 바카, 구누, 음불레
A70에톤, 에원도, 므벨레, 박자, 양아페크, 베벨레, 그비그빌, 불루, 팡, 사우스-웨스트 팡
A80므붐보, , 마카, 넴, 코나벰, 베크윌, 메지메, 음포포, 피에모, 봄왈리, 지에레, 우크웨조, 쉬웨, 뱁, 베콜, 바주에, 콘지메
A90콰쿰, 폴, 포모, 카코
B10Mpongwe, Rongo, Galwa, Dyumba, Nkomi
B20Sekiyani, 서부 켈레, Ngom, Bubi, Mbangwe, Wumbvu, Kota, Ndasa, Sighu, Sama, Ndambomo, Metombola, Molengue, Shake, Mahongwe
B30Tsogo, Kande, Viya, Himbaka, Bongwe, Pinzi, Vove
B40Sira, Sangu, Punu, Lumbu, Bwisi, Varama, Vungu, Ngubi, Bwali
B50Duma, Nzebi, Tsaangi, Wanzi, Mwele, Vili
B60Mbete, Mbaama, Nduumo, Kaning'i, Yangho
B70테게-칼리, Njiningi, 응궁궤레, Mpumpu, Tsaayi, Laali, Yaa, Kwe, Ndzindziu, Boma, 발리 (Teke), Musieno, Ngee, Kukwa, Fumu, Wuumu, Tsitsege
B80Tiene, Boma, Mfinu, Mpuon, Mpuun, Mbiem, 동부 얀스, Yeei, Ntsuo, Mpur, Di, Mbuun, Mpe, Nunu, 응굴 (Ngwi), Lwel, Mpiin, 서부 응고고, Nzadi
C10응고디, 판데, 보공고, 음바티, 보모타바, 봉길리, 로발라, 디볼레, 응간도, 코타, 야카(Aka), 음벵가 (?=아카), 에니엘레, 본동고, 음본조, 봄볼리, 보자바
C20음보코, 아크와, 응가레, 코요, 음보시, 콰라, 쿠바, 브웨니
C30로이, 응기리, 누누, 보방기, 셍겔레, 사카타, 음톰바, 볼리아, 포토, 음페사, 음부자, 망갈라, 볼로키, 강가나, 은돌로, 부자, 도코, 볼론도, 마발레, 은도오보, 리토카, 발로보, 엥가, 빈자, 잠바, 음파마, 템보, 쿤다, 부타, 바발레
C40응곰베, 브웰라, 바티, 보아, 앙바, 파지베테, 캉고, 봄보마, 밤웨, 잔도, 리겐자, 리쿨라, 방고
C50음베사, 소, 포케, 롬보, 켈레, 포마, 리킬레, 링가
C60북동부 몽고, 북서부 몽고, 랄리아, 응간도, 바포토
C70테텔라, 쿠수, 응쿠투, 옐라, 켈라, 옴보, 랑가
C80뎅게세, 송고메노, 부숭, 렐레, 웡고
D10음볼레어, 렝골라어, 메토코어, 에냐어, 주라어
D20발리어, 암바어, 코모어, 송골라어, 레가어, 짐바어, 방구방구어, 서부 홀로홀로어, 동부 홀로홀로어, 리코어, 캉고어, 레가-말린가어, 툼브웨어, 룸브웨어
D30페리어, 비라어, 냘리어, 카리어, 구루어, 응빈다어, †호마어, 냥가-리, 그바티-리, 마예카, 보도어 (CAR), 빌라어, 카이쿠어, 이부투어, 브바누마어, 부두어, 난다카어, 음보어, 비케어, 응비어
D40콘조어, 난디, 냥가어
D50훈데어, 하부어, 냐붕구, 벰베어, 부이, 카브와리어, 닌두, 야카어, 템보어
D60루안다, 룬디, 풀리루어, 수비, 항가자, 하, 빈자어, 비라어
E10니오로어, 토로어, 냥코레어, 치가어, 간다어, 소가어, 그웨어어, 냐라어, 군구어, 탈린가-브위시어, 룰리어, 헤마어
E20냠보어, 지바어, 진드자어, 케레베어, 지타어, 라시어, 콰야어, 카라어, 루리어
E30기수, 키수, 부쿠수, 항가, 초초, 뇨레어, 사미아어, 뉴리어, 사요어, 마라치어, 송가어
E40로골리어, 구시이어, 코리아어, 자나키어, 나타어, 손조어, 응구루이미어, 이키주어, 수바어/수바-심비티어, 샤시어, 카브와어, †싱가어, †웨어어, 이다크소어, 이수크사어, 티리키어, 심비티어, 하차어, 수르와어, 스웨타어
E50기쿠유어, 엠부어, 메루어, 사라카어, 캄바어, 다이소어, 므위미-무탐비어, 추카어
E60로어, 하이, 운조, 롬보, 루사어, 카헤어, 그웨노어
E70포코모어, 지리아마, 카우마, 코니, 두루마, 라바이, 디고어, 다비다, 사갈라, 엘와나어, 세게주어, 데게레어, 타이타어
F10통웨, 벤데
F20수쿠마, 냠웨지, 숨바, 킴부, 붕구
F30닐람바, 레미, 랑기, 음부그웨
G10고고어, 카구루어
G20투베타어, 아수어, 샴발라어, 본데이어, 므부구어
G30지가어, 응궤레어, 자라모어, 응굴루어, 루구루어, 카미어, 쿠투어, 비둔다어, 사가라어, 도어, 무슝굴루어
G40티쿠어, 아무, 미타, 므리마, 웅구자, 펨바, 툼바투, 하디무, 응가자, 뉘아니, 마크웨어, 므와니어, 시디어(인도), 소코트라 스와힐리어, 므위니어
G50포골로어, 난다바어
G60상고어, 헤헤어, 베나어, 팡과어, 킨가어, 완지어, 키시어, 마고마어
H10벰베어, 빌리, 쿠니, 응딩기, 음보카, 남콩고, 중앙콩고, 욤베, 피오테, 브웬데, 라디, 동콩고, 남동콩고, 한갈라, 캄바어-둔두, 수운디
H20킴분두, 음밤바, 사마, 볼로, 송고
H30야카, 수쿠, 훙구, 음방갈라, 신지, 손데
H40음발라, 훙가나
K10초크웨, 루임비, 응안겔라, 루카지, 루에나, 분다, 니엔고, 음부엘라, 응강갈라
K20로지
K30루야나, 음보웨, 쾅갈리, 마시, 시마아, 산조, 쾅과, 음부메, 리유와, 만요, 음부쿠슈, †음보게두, 물롱가, 므웬이, 코마, 이미란구, 콴디
K40토텔라, 수비야, 프웨, 나미비아 토텔라
L10펜데, 삼바 & 홀루, 퀘세, 손데
L20케테, 빈지
L30루바-카사이어, 룰루아, 카뇨카, 루바-카탕가, 헴바, 상가, 케브웨, 젤라
L40카오데
L50살람파수, 룬다, 룬드, 룬투
L60음브웨라, 은코야, 콜웨, 루샹기, 샤샤
M10핌브웨, 룽구와, 피파, 룽구, 맘브웨, 쿨웨
M20완다, 므왕가, 니하, 말릴라, 사프와, 이와, 탐보, 람비아, 수크와
M30냐큐사, 은달리, 펜자
M40타아브와, 벰바, 부일레, 아우시
M50비이사, 랄라, 스와카, 람바, 세바, 암보, 루아노, 리마, 템바
M60렌제, 솔리, 일라, 통가, 루캉가 트와, 살라, 룬드웨, 카푸에 트와
N10만다어, 응고니어, 마텡고어, 음포토어, 통가어, 은덴데울레, 닌디어, 말라위의 응고니어
N20툼부카, 음밤바 만의 음웨라어
N30냐냐어, 체와어, 망안자어
N40센가, 쿤다, 늉궤, 세나, , 포조, 세나-말라위
P10은데게레코, 루이히, 마툼비, 응긴도, 음붕가
P20야오, 므웨라, 마콘데, 은돈데, 마비하
P30마쿠아, 롬웨, 응굴루, 쿠아보, 코티, 사카티, 말라위 롬웨, 모니가
R10움분두, 돔베, 냐네카, 쿰비, 쿠발레, †퀴시, 음발리
R20콰냐마, 돈가, 콰므비, 응안디에라, 카피마, 에발레, 음반자, 음발란후, 돈고웨나, 콴크와, 돔본돌라, 에싱가, 콰루우디, 콜론카드히-운다
R30헤레로, 북서 헤레로, 보츠와나 헤레로
R40예이
S10코레코레, 제주루, 마니카, 테베, 카랑가, 인다우, 칼랑가
S20벤다
S30츠와나, 카틀라, 응와투, 칼라하디, 페디, 로베두, 소토, 팔라보라, 쿠츠웨, 파이, 풀라나
S40코사, 줄루, 스와티, (북부) 은데벨레, †올드 므펭구, 바카, 흘루비, 푸티, 늘랑구이니, †랄라어, 남부 은데벨레, 수마옐라 은데벨레
S50츠와, 과밤바, 총가, 롱가, 흘렝게
S60코피, 통가, 렝게


참조

[1] 서적 Comparative Bantu: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linguistics and prehistory of the Bantu languages Gregg Press 1967–1971
[2]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the Bantu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948
[3] 서적 Comparative Bantu: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linguistics and prehistory of the Bantu languages Gregg Press 1967–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