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하르트 하웁트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하르트 하웁트만은 1862년 실레지아에서 태어난 독일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이다. 그는 자연주의 문학을 대표하며, 19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하웁트만은 초기 작품에서 자연주의적 경향을 보이며, 희곡 《해뜨기 전》(1889)과 《직조공》(1892)으로 명성을 얻었다. 이후 낭만주의, 상징주의 등 다양한 양식을 시도했으며, 소설 《철도원 티엘》(1888), 《아틀란티스》(1912) 등을 발표했다. 그는 나치 정권 하에서도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나, 말년에는 생전의 명성이 퇴색되었다.
하웁트만은 실레지아 지방의 작은 도시인 오버잘쯔브룬에서 호텔 경영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오늘날 그곳은 폴란드의 슈쯔크짜오노-쯔드로즈로 알려져 있다.
독일의 자연주의 연극의 중심 인물인 하웁트만은 초기에는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사회 문제를 묘사했다. 하지만, 이후 낭만주의 · 상징주의 등의 수법을 사용하게 되었고, 다시 자연주의적 작품으로 돌아갔지만, 그 무렵에는 사회 문제보다 개인의 내면에 주목한 작품이 눈에 띄게 된다.
2. 생애
고향 마을 학교를 나온 후 브레슬라우 지역에 있는 레알슐레에 진학했고, 이후 삼촌의 농장에서 농사일을 배웠지만, 농촌 생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브레슬라우로 돌아와 조각가가 되기 위해 독일과 이탈리아의 미술 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나 오토 브람의 '자유무대'에 자극을 받아 극작을 시작했다. 예나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1883년부터 1884년까지는 거의 대부분을 이탈리아에서 보냈다. 1885년 5월에 결혼하여 베를린에 정착했다. 그는 문학에 전념하여 현대 연극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1891년 실레지아 지방의 슈츠레이베르하우로 이사했다. 하웁트만의 첫 희곡 《해뜨기 전》(''Vor Sonnenaufgang'') (1889)은 '자유무대'에서 초연되어 현대 독일 문학에서 자연주의 운동의 막을 연 작품이다. 입센의 영향을 받은 《화해》(''Das Friedensfest'', 1890)는 《유령》과, 《쓸쓸한 사람들》(''Einsame Menschen'', 1891)은 《로스메르스홀름》과 비슷한 줄거리를 지니고 있다.
하웁트만의 최고 걸작이자 가장 성공한 작품은 《직조공들》(''Die Weber'', ''The Weavers'', 1892)이다. 실레지아 지방에서 실제로 일어난 직조공들이 1844년에 일으킨 폭동을 생생하게 묘사한 힘이 넘치는 자연주의극으로서 최초에는 정치적 이유로 상연이 금지되었다.[2]
결혼 생활은 어려웠고 1904년 그는 아내와 이혼했다. 같은 해에 그는 이미 자신과의 사이에서 한 아들을 낳았던 여배우 마가렛 마슈찰크(Margarete Marschalk)와 결혼했다.
자연주의 작가로 유명해졌지만, 낭만적인 면모를 보인 《한넬레의 승천》(''Hanneles Himmelfahrt'', 1893)과 《침종(沈鍾)》 (1896)을 발표하기도 했다. 《침종》은 《직조공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성공작이나, 가장 일찍이 그 평가를 잃은 작품이기도 했다. 하웁트만은 자연주의 작품과 반자연주의 작품을 병행하면서 만년에는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과 불안정한 자신의 내면 생활을 반영한 작품을 냈다.
1912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이 수상은 "기본적으로 희곡 분야에 대한 그의 풍부하고 다양하며 독보적인 창작"에 따른 것이었다.[4][5]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평화주의자였으며, 이 기간 동안 ''Der Bogen des Odysseus'' (1914), ''Der weisse Heiland'' (1912–17), ''Winterballade'' (1917) 같은, 여러 우울하고 역사적이고 알레고리적인 희곡들을 썼다. 전쟁 이후 그의 창작 능력은 분명히 약화되었다. 초기 성공을 거둔 것과 유사한 충분한 길이의 희곡 작품인 ''Dorothea Angermann'' (1926)와 ''Vor Sonnenuntergang'' (1932)을 썼고, 거기에는 사실주의적인 취향이 나타나 있다. 그는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 집권 이후에도 독일에 남았고, 제2차 세계 대전 때 드레스덴 지역에 감행된 폭격에도 살아남았다. 그의 마지막 작품은 《아트리덴 사부극》''Atriden-Tetralogie'' (1942–46)이었다.
아그네텐도르프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83세의 나이로 1946년에 타계했다. 러시아 군정이 하웁트만의 작품에 경의를 표한다고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폴란드 정부는 하웁트만의 친척들이 그를 아그네텐도르프에 묻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그의 시신은 그가 죽은 지 한 달도 더 지난 후에야 독일로 옮겨졌다. 그는 그의 별장 근처에 묻혔다.[18][19]
2. 1. 유년 시절과 청소년기
하웁트만은 1862년 실레지아 지방의 작은 도시인 오버잘츠브룬(오늘날 폴란드의 슈차브노즈드루이)에서 호텔 경영자의 아들로 태어났다.[2]
1868년부터 마을 학교에 다녔고, 1874년에는 브로츠와프의 레알슐레(독일의 중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입학 시험을 간신히 통과했다. 하웁트만은 도시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형 카를 하웁트만과 함께 낡은 학생 기숙사에서 살다가 목사의 집에 하숙했다.
그는 프로이센의 영향을 받은 학교에서 교사들의 엄격함과 귀족 반 친구들에 대한 더 나은 대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싫증과 잦은 질병으로 수업에 빠져 1학년을 다시 다녀야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극장에 갈 수 있었기 때문에 브로츠와프를 좋아하게 되었다.
1878년 봄, 하웁트만은 레알슐레를 떠나 삼촌의 농장이 있는 로니히(오늘날 우다닌 코뮌의 워브니키 시비에드스키에)에서 농업을 배우기 시작했다.[2] 그러나 1년 반 만에 훈련을 중단해야 했다. 그는 육체적으로 농사일을 할 준비가 되지 않았고, 이후 20개월 동안 그를 괴롭힌 생명을 위협하는 폐 질환에 걸렸다.
2. 2. 학업과 조각가로서의 삶
하웁트만은 프로이센 육군 장교 입대 시험에 불합격한 후, 1880년 브레슬라우의 왕립 예술 직업 학교 조각과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그는 평생 친구가 된 요제프 블로크를 만났다. 그는 "불량한 행동과 부지런함 부족"으로 일시 퇴학당했지만, 조각가이자 교수인 로베르트 헤르텔의 추천으로 즉시 복귀했다. 하웁트만은 1882년에 학교를 떠났다.
그는 형의 결혼식을 위해 단편 극 《사랑의 봄(Liebesfrühling)》을 썼고, 이 작품은 결혼 전날 밤에 공연되었다. 또한 결혼식에서 그는 신부의 여동생인 마리 티에네만과 만났다. 그들은 비밀리에 약혼했고, 마리는 그를 재정적으로 지원하여 예나 대학교에서 철학과 문학사를 한 학기 동안 공부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그는 곧 학업을 중단했다.
예나를 떠난 후, 마리는 그와 그의 형 카를이 지중해 여행을 갈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했다. 그곳에서 그는 조각가로 로마에 정착하기로 결심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로마의 독일 망명자 커뮤니티에 합류하려는 시도 또한 실패로 돌아갔고, 독일 전사를 조각한 그의 큰 점토 조각상은 무너졌다. 하웁트만은 실망하여 독일로 돌아와 드레스덴 왕립 아카데미에서 잠시 공부한 후 베를린 대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학업보다 연극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았다. 1891년, 그는 슐라이버하우 (슐레지엔)로 이사했다.
2. 3. 결혼과 작가로서의 시작
하웁트만은 1885년 5월 5일 라데보일에서 마리 티에네만과 결혼했다.[2] 그해 7월, 그들은 칼과 그의 아내, 마리의 여동생 마르타와 함께 뤼겐으로 신혼여행을 떠났다. 그들은 하웁트만이 가장 좋아하는 휴양지가 된 히덴제 섬을 방문했다. 게르하르트의 폐는 도시의 공기를 싫어했기 때문에 부부는 결혼 후 처음 4년을 에르크너에서 보냈고, 그곳에서 그들의 세 아들이 태어났다. 1889년 그들은 베를린의 샬로텐부르크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그는 카를 블라이브트루와 빌헬름 뵐셰 등을 포함한 자연주의 문학 클럽 "Durch"에 가입했다.
이 시기에 그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1887년 소설 ''철도원 티엘''이 이듬해 출판되었다. 그의 첫 번째 희곡인 ''해뜨기 전''은 1889년 오토 브람의 연출로 처음 무대에 올려졌다. 이 작품은 현대 독일 문학의 자연주의 운동을 시작했다.[2] 이어서 ''화해''(1890), ''고독한 사람들''(1891), 그리고 독일 외 지역에서 그가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1844년 슐레지엔 직공들의 봉기를 묘사한 강력한 드라마 ''직조공''(1892)이 나왔다.[2] 그의 작품에는 ''크람프톤 동료''(1891)와 ''비버 모피''(1893)를 포함한 코미디도 있었다.
1893년, 그는 배우 마르가레테 마르샬크를 정부로 맞이했다. 약간의 거리를 두기 위해 마리는 아들들과 함께 미국으로 이사했다. 하웁트만은 그의 희곡 ''한넬레의 승천''의 첫 프랑스 공연을 준비한 다음, 초연에도 참석하지 않고 마리를 따라갔다. 그러나 균열은 좁혀지지 않았다. 몇 년간의 별거 후, 1904년 7월 결혼은 끝났다. 그러나 마리는 하웁트만이 드레스덴에 지은 저택에서 계속 살았다.
2. 4. 명성과 제1차 세계 대전
1901년부터 하웁트만은 마르가레테 마르샬크와 함께 아그네텐도르프(현재 폴란드 야그니에트쿠프)에서 살았고, 1904년 9월에 그녀와 재혼했다.[3] 1910년, 그의 첫 장편 소설인 《그리스도 안의 바보, 에마누엘 퀸트》가 출판되었고, 1912년 소설 《아틀란티스》는 동명의 덴마크 무성 영화의 기반이 되었다.[3]
세기 전환기에 하웁트만은 공식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 그는 세 번이나 오스트리아 프란츠-그릴파르처-프라이스를 수상했고, 1905년 옥스퍼드 우스터 칼리지와 190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4] 1912년에는 "주로 극예술 분야에서의 그의 풍부하고 다양하며 뛰어난 작품 활동에 대한 인정"을 받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4][5]
그러나 카이저 빌헬름 2세는 "사회 민주주의" 시인을 좋아하지 않아 1896년 쉴러 상(《한넬레의 승천》) 수여를 거부했고, 1913년에는 그의 희곡 《기념 마스크》(''Festspiel in deutschen Reimen'')의 브레슬라우 공연이 취소되기도 했다.[3]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하웁트만은 평화주의자였으나, 93인의 선언에 서명하여 독일의 군사적 행동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1915년, 빌헬름 2세는 그에게 적수 훈장 4등급을 수여했다.[3]
2. 5.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시대
1918년, 하웁트만은 여러 독일 지식인들과 함께 베를리너 타게블라트(''Berliner Tageblatt'') 신문에 게재된 선언문에 서명하여 바이마르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6] 공화국 초기에는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총리직 제안과 함께 사양했다.
이후 몇 년 동안, 하웁트만은 학문적 또는 예술적 업적을 기리는 상인 독일 제국 독수리 방패(Adlerschild des Deutschen Reiches)를 수상했다. 이 시기 하웁트만의 작품 수요는 감소했고, 생계를 위해 영화 및 연재물 제작에 힘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독일 문학의 대표자로 여겨졌다. 1932년, 괴테 서거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 강연 투어를 진행했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7] 또한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시에서 괴테 상을 수상했다.
70세 생일에는 여러 명예 시민권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 전시회와 공연이 다수 열렸다. 막스 라인하르트는 하웁트만의 새 연극 ''황혼 전에'' 초연에서 주연을 맡았다. 1926년부터 1943년까지 하웁트만은 가족과 함께 히덴제에서 여름을 보냈다.[8]
1933년 나치가 독일에서 집권한 후, 하웁트만은 프로이센 예술 아카데미 산하 독일 문학 아카데미에 충성 서약을 했다.[9] 같은 해 여름, 나치당 가입을 신청했지만,[9] 지역 당 사무소에 의해 거부되었다.[10][11]
하웁트만은 자신을 정치와 무관한 시인으로 여겼고, 나치 이데올로기를 작품에 반영하지 않았다.[13] 그러나 1905년 베를린에서 우생학 단체인 독일 인종 위생 협회 창립 멤버였으며, 그의 희곡 ''해뜨기 전''은 유전성 알코올 중독을 다루는 등 우생학적 사상을 담고 있었다.
나치는 하웁트만이 독일 국민들에게 여전히 존경받는 인물이었기에, 그가 나라를 떠나지 못하도록 막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괴벨스 선전부의 검열관들은 하웁트만의 작품을 감시했고, 일부 작품은 금지되기도 했다. 1942년 하웁트만의 80세 생일을 맞아 나치 정권은 축하 행사와 기념 공연을 열었고, 하웁트만은 17권짜리 작품집 초판을 받았다.[14]
2. 6. 죽음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하웁트만이 살던 슐레지엔은 폴란드 영토가 되었지만, 보호 서한 덕분에 잠시 머무를 수 있었다.[18][19] 그러나 1946년 6월 6일, 아그니에슈쿠프(현재의 야그니온트쿠프)에서 기관지염으로 사망했다.[18][19] 그의 마지막 말은 "아직 내 집에 있는 건가?"였다고 전해진다.[18][19] 그는 유언에서 히덴제 섬에 묻히기를 희망했고, 그의 유해는 그곳에 안장되었다.
3. 작품 세계
하웁트만의 최초의 희곡은 입센의 영향을 받은 『해 뜨기 전』(''Vor Sonnenaufgang'',1889년)으로, 노동자가 안고 있는 문제를 자연주의적 수법으로 그리고 있다. 1893년에 발표된 『직조공』(''Die Weber'',1892년)은 하층 계급의 생활을 묘사했으며, 하우프트만의 대표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풍자 희극 『비버 모피』(''Den Biberpelz'',1893년), 낭만주의적인 작품 『한넬레의 승천』(1893년), 상징주의적인 작품 『가라앉은 종』(1896년)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역사극이나 동화극 등을 써서 자연주의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양식을 시도했으며, 틸 오일렌슈피겔을 소재로 한 작품을 쓰기도 했다.
3. 1. 자연주의
하웁트만은 초기 작품에서 자연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의 출세작이자 독일 자연주의 연극의 시작을 알린 《해뜨기 전》(1889년)은 유전과 환경이 개인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자연주의 원칙을 따르고 있다. 이 연극에서 벼락부자가 된 주인공 크라우제의 둘째 딸 헬레네는 자신이 사랑하던 사회학자 로트에게 버림받고 자살하는데, 로트가 그녀를 버린 이유는 그녀의 집안이 알코올 중독자 집안이기 때문이었다.[30] 부르주아 관객들은 알코올 중독과 성(性)에 대한 솔직한 묘사에 충격을 받았다.
1893년에 베를린에서 초연된 《직조공들》(1892년)은 독일 자연주의 연극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이 작품은 1844년 독일 슐레지엔 지방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직조공들의 반란을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직조공들》은 특별한 개인이 아닌 직조공들이라는 노동자 집단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는 "사회 드라마"이다.[31] 하웁트만은 《직조공》을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그의 자연주의 시대는 정점에 달했다.
하웁트만은 오토 브람의 지원을 받아 독일 무대에 자연주의 드라마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브람의 지도 아래 극장들은 하웁트만의 희곡 17편을 초연했다.[21] 이러한 희곡들과 독일 전역에서 열린 수많은 공연들은 자연주의에 처음으로 광범위한 노출과 사회적 영향을 가져다주었다.[22]
3. 2. 다양한 양식의 시도
하우프트만은 자연주의에만 머무르지 않고 낭만주의, 상징주의 등 다양한 양식을 시도했다. 낭만주의적인 작품으로는 『한넬레의 승천』(1893년)이, 상징주의적인 작품으로는 『가라앉은 종』(1896년) 등이 평가받는다. 그 외에도 역사극이나 동화극 등을 써서 폭넓은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틸 오일렌슈피겔을 소재로 한 작품을 쓰기도 했다.
3. 3. 후기 작품
하웁트만은 다시 자연주의적 작품으로 돌아갔지만, 그 무렵에는 사회 문제보다 개인의 내면에 주목한 작품이 눈에 띄게 된다.
3. 4. 한국과의 관계
하웁트만의 작품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특히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직조공들"(''Die Weber'', 1892년)은 노동자 계급의 어려운 현실을 묘사하여 한국 사회에서도 큰 공감을 얻었다. 1920년대에는 미쓰비시 상사 직원이었던 하타 토요키치가 베를린에서 근무하던 중 하웁트만에게 팬레터를 보냈고, 이를 계기로 하웁트만의 슐레지엔 산장에 초대받아 신도와 일본 문화에 대해 질문을 받는 등 개인적인 교류를 나누었다고 한다.[4]
4. 주요 작품 목록
하웁트만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이 연대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제목 | 비고 |
---|---|---|
1885 | 프로메테우스의 운명 | |
1888 | 철도원 티엘 | |
1889 | 해돋이 전 | 희곡 |
1890 | 평화 축제 | 희곡 |
1891 | 고독한 사람들 | 희곡 |
1892 | 동료 크램프턴 | 희곡 |
1893 | 직조공 | 희곡 |
1893 | 모피 코트 | 희곡 |
1893 | 하넬레의 승천 | 희곡 |
1896 | 플로리안 가이어 | 희곡 |
1897 | 가라앉은 종 | 희곡 |
1898 | 마부 헨셸 | 희곡 |
1900 | 슐루크와 야우 | 희곡 |
1900 | 미하엘 크라머 | 희곡 |
1901 | 화재 | 희곡 |
1902 | 불쌍한 하인리히 | 희곡 |
1903 | 로제 베른트 | 희곡 |
1904 | 직조공 | 희곡 |
1905 | 엘가 | 희곡 |
1906 | 그리고 피파는 춤춘다! | 희곡 |
1909 | 그리젤다 | 희곡 |
1910 | 그리스도의 광대 에마누엘 퀸트 | 소설 |
1910 | 페터 브라우어 | 희곡 |
1911 | 쥐 | 희곡 |
1912 | 아틀란티스 | 소설 |
1912 | 가브리엘 실링의 도주 | 희곡 |
1913 | 독일 운율의 축전극 | 희곡 |
1914 | 오디세우스의 활 | 희곡 |
1917 | 하얀 구세주 | 희곡 |
1917 | 겨울 발라드 | 희곡 |
1921 | 안나 | |
1922 | 독일 박물관 개관 기념 축전 | |
1925 | 벨란트 | 희곡 |
1925 | 위대한 어머니의 섬, 또는 숙녀들의 섬의 기적 | |
1928 | 틸 오일렌슈피겔 | 소설 |
1928 | 완다 | |
1929 | 도로테아 앙거만 | |
1930 | 쇠스랑이 | |
1932 | 해질녘 | |
1937 | 나의 청춘의 모험 | |
1939 | 대성당의 딸 | 희곡 |
1939 | 이삭 줍기 | |
1941 | 델포이의 이피게네이아 | 희곡 |
1941 | 동화 | |
1942 | 마그누스 가르베 | 희곡 |
1944 |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 | 희곡 |
1946 | 새로운 시 | |
1947 | 미뇽 | (사후) |
1948 | 아가멤논의 죽음/엘렉트라 | (사후), 희곡 |
4. 1. 희곡
- Vor Sonnenaufgang|해 뜨기 전de (1889)[30]
- Das Friedensfest|화해de (1890)
- Lonely People|고독한 사람들영어 (1891)[28]
- 직조공 (Die Weber|직조공de, 1892)
- Kollege Crampton|동료 크램프턴de (1892)
- 모피 코트 (Der Biberpelz|비버 모피de, 1893)
- 하넬레의 승천 (Hanneles Himmelfahrt|하넬레스 힘멜파르트de, 1893)
- Florian Geyer|플로리안 가이어de (1896)
- Elga|엘가de (1896)
- Helios|헬리오스de (1896) 단편
- 가라앉은 종 (Die versunkene Glocke|디 페어중케네 글 로케de, 1896)
- Das Hirtenlied|전원de (1898) 단편
- 마부 헨셸 (Fuhrmann Henschel|푸어만 헨셸de, 1898)
- Schluck und Jau|슐루크와 야우de (1900)
- Michael Kramer|미하엘 크라머de (1900)
- 화재 (Der rote Hahn|붉은 수탉de, 1901)
- Der arme Heinrich|가련한 하인리히de (1902)
- 로제 베른트 (Rose Bernd|로제 베른트de, 1903)
- Und Pippa tanzt!|그리고 피파는 춤춘다!de (1906)
- Die Jungfern von Bischofsberg|비쇼프스베르크의 소녀들de (1907)
- Kaiser Karls Geisel|샤를마뉴의 인질de (1908)
- Der weiße Heiland|백색 구세주de 또는 Montezuma|몬테수마de (1908)
- Griselda|그리젤다de (1909)
- 쥐 (Die Ratten|쥐de, 1911)
- Gabriel Schillings Flucht|가브리엘 실링의 도피de (1912)
- Peter Brauer|페터 브라우어de (1912)
- Festspiel in deutschen Reimen|기념 마스크de (1913)
- Der Bogen des Odysseus|오디세우스의 활de (1914)
- Magnus Garbe|마그누스 가르베de (1914, 개정판: 1942)
- Indipohdi|인디포디de (1920)
- Veland|벨란트de (1925)
- Herbert Engelmann|헤르베르트 엥겔만de (1921–26)
- Spuk|유령de (두 편의 희곡: Die schwarze Maske|검은 가면de와 Hexenritt|마녀 사냥de, 1928)
- Die goldene Harfe|황금 하프de (1933)
- Hamlet im Wittenberg|비텐베르크의 햄릿de (1935)
- Die Finsternisse|어둠de (1937)
- Ulrich von Lichtenstein|울리히 폰 리히텐슈타인de (1936–37)
- Die Tochter der Kathedrale|대성당의 딸de (1935–38)
- '아르트레이드 4부작':
#Iphigenie in Aulis|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de (1944)
#Agamemnons Tod|아가멤논의 죽음de (1948; 1942년 집필)
#Elektra|엘렉트라de (1948; 1944년 집필)
#Iphigenie in Delphi|델포이의 이피게네이아de (1941)
4. 2. 소설
5.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및 훈장 |
---|---|
1896년 | 그릴파르처상 |
1899년 | 그릴파르처상 |
1905년 | 그릴파르처상 |
1909년 | 옥스퍼드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1911년 | 바이에른·막시밀리안 과학 예술 훈장 |
1912년 | 노벨 문학상 |
1921년 | 프라하 독일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1922년 | 독일국 독수리 기장 |
1924년 | 푸르 르 메리트 훈장 평화장 |
1932년 | 컬럼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괴테상 |
참조
[1]
웹사이트
Gerhart Hauptmann – Fact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5-12-29
[2]
문서
Hauptmann, Gerhart
EB1911
[3]
간행물
The Titanic Myth
http://www.teponia.d[...]
Post & Tele Museum of Denmark
2001
[4]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17-12-23
[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12
http://www.nobelpriz[...]
2017-12-23
[6]
문서
Die Fingerfertigen
http://www.textlog.d[...]
textlog.de
[7]
논문
Hauptmann's Trip to America
1938
[8]
웹사이트
Das Gerhart Hauptmann Haus in Kloster auf Hiddensee
http://www.gerhart-h[...]
Museumsverbund Gerhart Hauptmann
[9]
서적
Das Kulturlexikon zum Dritten Reich. Wer war was vor und nach 1945
S. Fischer, Frankfurt am Main
2007
[10]
서적
Die vollendete Ohnmacht? : Schriftsteller, Verleger und Buchhändler im NS-Staat ; ausgewählte Aufsätze
Klartext, Essen
2008
[11]
서적
Gerhart Hauptmann : eine Biografie
Verlag Atelier im Bauernhaus, Fischerhude
2007
[12]
서적
Geschichte eines Buches: Adolf Hitlers "Mein Kampf": 1922–1945
Oldenbourg, München
2006
[13]
문서
Einleitung
Berlin
1987
[14]
뉴스
Dichtung / Hauptmann-Nachlass: Ungeheures durchgemacht
1962-04-25
[15]
서적
Führertreu und gottbegnadet. Künstlereliten im Dritten Reich
Österreichischer Bundesverlag, Wien
1991
[16]
웹사이트
Weidners Sanatorium
http://www.dresdner-[...]
Dresdner-Stadtteile.de
[17]
문서
[18]
문서
Gerhart Hauptmann and Silesia: a report on the German dramatist's last days in his occupied homeland
University of North Dakota etc.
1962
[19]
서적
Als die Deutschen weg waren. Was nach der Vertreibung geschah: Ostpreußen, Schlesien, Sudetenland
Rowohlt, Reinbek
2007
[20]
서적
Literaturwissen Gerhart Hauptmann
Stuttgart
1998
[21]
문서
Gerhart Hauptmann
Berlin
1996
[22]
문서
Gerhart Hauptmann
Stuttgart
1993
[23]
문서
Gerhart Hauptmann
Darmstadt
1976
[24]
문서
Am Rande der Welt: Eine Insel
Berlin
2010
[25]
웹사이트
W. Vocke: Daten der deutschen Literatur Gerhart Hauptmann
https://web.archive.[...]
2018-02-08
[26]
서적
Thomas Mann: A Biography
Scribner
1995
[2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60
[28]
문서
[29]
문서
行動する異端: 秦豊吉と丸木砂土
ティ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98
[30]
서적
《시인과 사상가의 나라 독일이야기 1》
기획출판 거름
[31]
서적
《시인과 사상가의 나라 독일이야기 1》
기획출판 거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