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님 시대는 589년부터 1038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바빌로니아의 유대교 학원 원장인 게오님이 유대교 율법 해석과 종교적 결정을 내리는 시기를 의미한다. 수라와 펌베디타에 위치한 두 개의 주요 학원이 게오님 시대를 이끌었으며, 게오님은 탈무드 연구를 통해 유대교 율법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이들은 질문과 답변을 담은 응답서를 통해 유대교 율법을 전파했으며, 사아디아 가온과 같은 주요 인물들이 다양한 저작물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게오님 | |
---|---|
개요 | |
유형 | 칭호 |
언어 | 히브리어 |
해당 문화권 | 유대인 |
의미 | 탁월함, 웅장함 |
성별 | 남성 |
역사 | |
시대 | 게오님 시대 (6세기 ~ 11세기) |
지역 | 바빌로니아 |
중심지 | 수라 품베디타 |
역할 | 바빌로니아 탈무드 아카데미의 수장 |
후계 | 리쇼님 |
목록 | |
수라 | 마르 라브 히나이 라브 히나이 바르 후니 라브 힐라이 가파 라브 이스마엘 바르 요세 라브 나흐만 라브 아디 라브 시라 바르 아바 라브 킴나 마르 라브 아미마이 라브 사무엘 바르 마르 라브 도사 마르 라브 호나 라브 하난 라브 팜 라브 라바이 가파 라브 시무나 라브 아마르 라브 파파 라브 샤무엘 바르 이디 라브 나트론 라브 아하이 가파 라브 마르 얀카 라브 하나냐 라브 히나이 라브 아바 마리 라브 코헨 체데크 라브 메샤르샤야 가온 라브 하이 가온 라브 히나이 가온 라브 힐키야 가온 라브 사무엘 가온 라브 이스라엘 가온 라브 주세프 가온 라브 암람 가온 라브 나트론 가온 라브 팔토이 가온 라브 셰리라 가온 라브 하이 가온 |
품베디타 | 라브 주세프 라브 라바 라브 아바 라브 라미 바르 타마르 라브 이세크 라브 카할 라브 히나이 라브 마리코 라브 타흐리파 라브 힐키야 라브 엘라이 라브 아미마 라브 아하이 라브 마르 라브 아미마 라브 사세르 라브 키미 라브 라바이 라브 조마 라브 나흐쇼 라브 하난 라브 아민 라브 바르 타브 샤베 라브 얌토브 라브 마르 라브 하난 라브 히나이 가온 라브 단카 라브 예후다이 가온 라브 키스 라브 모세 가온 라브 이삭 가온 라브 요셉 가온 라브 아바스 가온 라브 이프라임 가온 라브 사리아 가온 라브 암람 가온 라브 나트론 가온 라브 만수르 가온 라브 켐브이 가온 라브 츠마흐 가온 라브 코헨 체데크 가온 라브 네헴야 가온 라브 셰무엘 바르 호프니 |
2. 시대
게오님 시대는 589년(히브리력: 4349년)에 사보라임 시대를 거쳐 시작되어 1038년[1] (히브리력: 4798년)에 끝났다. 셰리라 가온에 따르면 수라의 첫 번째 가온은 689년에 직무를 시작한 마르 랍 마르였다. 수라의 마지막 가온은 1034년에 사망한 사무엘 벤 호프니였고, 펌베디타의 마지막 가온은 부와이 왕조의 열성가들에 의해 고문당해 죽은 헤제키아 가온이었다. 따라서 게오님의 활동은 거의 450년의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게오님은 학원의 원장으로서 아모라임과 사보라임의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아모라임이 미슈나를 해석하여 탈무드를 만들고 사보라임이 이를 최종적으로 편집했지만, 게오님은 이를 해석하는 역할을 했다. 게오님에게 탈무드는 연구와 가르침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들은 탈무드의 가르침에 따라 종교적, 법적 결정을 내렸다.
'가온'이라는 칭호는 수라와 폼베디타 두 바빌로니아 학원의 원장들에게 적용되었지만, 원래의 칭호인 ''로쉬 예시바 게온 야코브''(히브리어, 학원의 원장, 야곱의 영광)를 대체하지는 않았다. 사용된 아람어 용어는 ''레쉬 메티브타''(Resh metivta)였다.[2]
게오님 시대에는 바빌로니아와 인접한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에서 주로 질문을 보내왔고, 이들은 탈무드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이러한 질문과 답변을 모아 응답서 문학이 발전했다. 응답은 판결, 이유, 탈무드 인용 등을 포함했다.
두 개의 주요 게오닉 아카데미가 있었는데, 하나는 수라에, 다른 하나는 펌베디타에 있었다. 수라 아카데미가 원래 지배적이었지만, 게오닉 시대 말기에 그 권위가 쇠퇴했고 펌베디타 가오나테가 우위를 점했다.
3. 유대교 삶에서의 역할
게오닉 시대 동안 바빌로니아 학교는 유대교 학습의 주요 중심지였으며, 이 학교의 수장인 게오님은 유대 율법에서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이 시기의 불규칙한 통신으로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먼 나라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조차 종교와 율법에 대한 질문을 바빌로니아의 이 관료들에게 보냈다.
게오닉 시대의 후기인 10세기 중반부터 11세기 중반까지 탈무드 연구가 다른 지역에서도 이루어지면서 그들의 우위는 약화되었다. 이 지역의 사람들은 점차 자신들의 나라에 있는 학교의 수장들에게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결국 그들은 바빌로니아 게오님에게 질문을 보내는 것을 사실상 중단했다.
4. 가온 칭호
''가온''이라는 칭호는 정확히 학원의 원장 직책을 나타냈다. 이 칭호는 6세기 말경에 대중적으로 사용되었다. 수라와 폼베디타 학원은 사법권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가온은 최고 판사 역할을 했다.[2]
바빌로니아 학원의 조직은 고대 산헤드린을 연상시켰다. 많은 레즈폰사에서, 학교의 구성원들은 "대 산헤드린"에 속해 있었고, 다른 사람들은 "소 산헤드린"에 속해 있었다고 언급되었다. 가온이 의장을 맡아 그를 마주보고 70명의 학원 구성원들이 7줄에 각각 10명씩 앉았고, 각 사람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리에 앉아, 가온과 함께 소위 "대 산헤드린"을 구성했다. 가온 암람(Gaon Amram)은 레스폰사에서 그들을 "대 산헤드린을 대신하는 서품된 학자들"이라고 불렀다.[2] (여기서는 정규 서임("세미차h")이 암시되지 않는다. 이는 바빌로니아에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엄숙한 지명만 이루어졌다.)[2]
가온 츠마흐(Gaon Ẓemaḥ)는 레스폰사에서 "대 산헤드린을 대신하는 첫 번째 줄의 고대 학자들"을 언급한다.[2] 7명의 스승, 또는 "알루핌"(allufim)과 "하베림"(ḥaberim)은, 대학의 다른 구성원들 중 가장 뛰어난 세 명이 7줄 중 첫 번째 줄에 앉았다. 9명의 산헤드린 의원들은 7명의 알루핌 각각에게 종속되었으며, 이들은 아마도 부하들이 1년 동안 제공하는 지도를 감독했을 것이다. 서품되지 않은 학원 구성원들은 7줄의 산헤드린 의원들 뒤에 앉았다.[2]
게오니움은 이 시대 유대교 세계의 유대교적 지도자였다.[2]
또한, 10세기, 11세기의 이스라엘 땅에 있는 학술원장도 이 칭호를 사용했으며, 12세기, 13세기의 이집트, 다마스쿠스, 바그다드에서도 이 칭호가 사용되었다.[2]
성경, 탈무드 등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가진 자, 박사에 대해, 예를 들어 Vilna Gaon|빌나의 가온영어과 같이 존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슈케나짐 사회에서는 학식을 칭찬할 때 "고엔(goe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이것이 현대 히브리어에도 계승되고 있다.[2]
5. 게오님의 업적
9세기 이후에는 더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질문이 오면서 응답서 내용이 다양해졌다. 후기 게오님은 미쉬나와 탈무드 외에 이전 게오님들의 결정도 참고했다. 이들의 응답서는 탈무드 주제에 대한 에세이 같았고, 암람 가온의 시두르나 셰리라 가온의 서한처럼 책의 길이가 되기도 했다.
생존한 응답서 일부는 원본 형태로, 일부는 후기 작품 인용문으로만 존재하며, 카이로 게니자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응답서 컬렉션 예시는 다음과 같다.제목 출판 정보 비고 할라코트 페수코트 민 하-게오님 (게오님의 간략한 판결) 콘스탄티노플 1516 셰엘로트 우-테슈보트 메-하-게오님 (게오님으로부터의 질문과 답변/응답) 콘스탄티노플 1575 샤레 체데크 (정의의 문) 살로니카 1792 닛심 벤 하임 편집, 533개 응답과 색인 포함 테슈보트 하-게오님 라이크 1864 무사피아 편집 테슈보트 하-게오님: 샤레 테슈바 리보르노 1869 이스라엘 모세 하잔의 해설 이예 하-얌 포함, https://hebrewbooks.org/1152 여기 샤레 테슈바 하-샬렘 뉴욕 1946 라이터 편집 테슈보트 게오네 미즈라흐 우-마아라브 베를린 1888 뮐러 편집 오차르 하-게오님: 탈무드 논고 순서에 따른 가온 응답과 주석 보고 (13권) 하이파 1928 루인, B. M. 편집 테슈보트 하-게오님 예루살렘 1927 (두 번째 권 1942) 아사프, 심하 편집
개별 게오님들은 논문과 주석을 저술했다. 유대교 율법 편람으로는 예후다이 가온의 ''할라초트 페수코트'', 아차이 가온의 ''셰일토트'', 시메온 카야라의 ''할라초트 게돌로트''가 있다. 사아디아 가온은 성경 주석과 에무노트 베-데오트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5. 1. 응답서
게오님 시대 초기에 질문은 주로 바빌로니아와 인접한 지역에서 보내졌다. 이 지역의 유대인 공동체는 탈무드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고, 때로는 바빌론의 유대교 아카데미를 방문할 수 있는 종교 지도자들도 있었다. 질문과 답변의 문학인 응답서 문학이 발전했다.
질문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사례로 제한되었으며, 응답은 판결, 간결한 이유, 탈무드에서 인용한 참고 자료, 그리고 종종 가능한 모든 반박을 제공했다.
9세기 전반 이후 후기 게오님 시대에는 질문이 더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보내지기 시작하면서 응답서의 내용이 더욱 산만해졌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탈무드에 덜 익숙했고, 당시 탈무드 학문의 유일한 본거지였던 바빌로니아 아카데미를 방문할 수 없었다.
후기 게오님은 미쉬나와 탈무드뿐만 아니라, 그들의 말씀과 전통이 일반적으로 권위 있는 것으로 여겨졌던 선임자들의 결정과 응답서도 참고했다. 후기 게오님의 이러한 응답서는 종종 탈무드 주제에 대한 에세이였으며, 하나의 편지가 종종 많은 질문에 답했기 때문에 책의 길이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책의 두 가지 중요한 예로는 기도법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스페인 유대인들에게 보낸 암람 가온의 시두르와 튀니지에서 온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미쉬나와 탈무드의 역사를 설명하는 셰리라 가온의 서한이 있다.
생존한 응답서 중 일부는 원래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일부는 후기 작품에서 인용문으로만 존재한다. 많은 수가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되었다.
응답서 컬렉션의 예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정보 | 비고 |
---|---|---|
할라코트 페수코트 민 하-게오님 (게오님의 간략한 판결) | 콘스탄티노플 1516 | |
셰엘로트 우-테슈보트 메-하-게오님 (게오님으로부터의 질문과 답변/응답) | 콘스탄티노플 1575 | |
샤레 체데크 (정의의 문) | 살로니카 1792 | 닛심 벤 하임 편집, 주제별로 정리된 533개의 응답과 편집자의 색인 포함 |
테슈보트 하-게오님 | 라이크 1864 | 무사피아 편집 |
테슈보트 하-게오님: 샤레 테슈바 | 리보르노 1869 | 이스라엘 모세 하잔의 해설 이예 하-얌 포함, https://hebrewbooks.org/1152 여기 |
샤레 테슈바 하-샬렘 | 뉴욕 1946 | 라이터 편집 |
테슈보트 게오네 미즈라흐 우-마아라브 | 베를린 1888 | 뮐러 편집 |
오차르 하-게오님: 탈무드 논고의 순서에 따른 가온 응답과 주석의 보고 (13권) | 하이파 1928 | 루인, B. M. 편집 |
테슈보트 하-게오님 | 예루살렘 1927 (두 번째 권 1942) | 아사프, 심하 편집 |
5. 2. 기타 저작물
개별 게오님들은 종종 논문과 주석을 저술했다. 유대교 율법에 관한 세 권의 편람은 다음과 같다.- 예후다이 가온의 ''할라초트 페수코트''(동명의 응답집과 혼동해서는 안 됨)
- 아차이 가온의 ''셰일토트''
- 시메온 카야라의 ''할라초트 게돌로트''
게오님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저자는 사아디아 가온으로, 성경 주석과 다른 많은 저서를 썼으며, 유대 철학에 관한 저서인 에무노트 베-데오트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6. 야르케이 칼라
1년 중 아다르와 엘룰 두 달은 '야르케이 칼라' 또는 "신부의 달"(탈무드를 지칭)로 지정되었다. 이 기간 동안 외국인 학생들이 공동 연구를 위해 예시바에 모였다.[1]
'야르케이 칼라' 처음 3주 동안은 첫 번째 열에 앉은 학자들이 앞선 달 동안 연구하도록 배정된 탈무드 논문에 대해 보고했다. 4주째에는 다른 학자들과 일부 학생들도 불려졌다. 논의가 이어졌고, 어려운 구절들은 가온에게 제출되었다. 가온은 토론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학문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대학 구성원을 꾸짖기도 했다. '야르케이 칼라'가 끝나면 가온은 다음 모임까지의 달 동안 구성원들이 연구해야 할 탈무드 논문을 지정했다. 자리가 배정되지 않은 학생들은 필요에 따라 연구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으므로 이 과제에서 면제되었다.[1]
7. 주요 게오님 목록
- 아차이 가온 (761년경 사망)
- 암람 가온 (875년 사망)
- 도다이 벤 나흐만 (761–764 룸베디타 탈무드 학원 가온)
- 하이 가온 (939–1038)
- 사아디아 가온 (882 또는 892 – 942)
- 쉐리라 가온 (906–1006)
카이루안의 하난엘 벤 후시엘(랍비누 하난엘) (990–1053)과 니심 가온 (990–1062)은 가온의 직책을 맡지 않았지만 종종 가온들 사이에 포함된다. 다른 사람들은 이들을 리쇼님의 첫 번째 세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마이모니데스 (1135–1204)는 때때로 "가온"이라는 용어를 확장된 의미로 사용하여, 어느 나라에 살았는지에 관계없이 "주요 권위자"를 의미하기도 했다.
7. 1. 아차이 가온
아차이 가온은 761년경 사망하였다.7. 2. 암람 가온
875년에 사망했다.[2]7. 3. 도다이 벤 나흐만
도다이 벤 나흐만은 룸베디타 탈무드 학원의 가온이었다(761–764).[1]7. 4. 하이 가온
האי גאון|하이 가온he은 939년부터 1038년까지 품베디타의 가온이었다.[1]7. 5. 사아디아 가온
882년 또는 892년에 태어나 942년에 사망했다.7. 6. 쉐리라 가온
שרירא גאון|쉐리라 가온he (906–1006)8. 참고: 가온으로 간주되는 다른 인물
카이루안의 하난엘 벤 후시엘(랍비누 하난엘) (990–1053)과 니심 가온 (990–1062)은 가온의 직책을 맡지 않았지만 종종 가온으로 간주된다.
참조
[1]
간행물
Gaon
[2]
서적
Responsa der Geon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