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시바는 유대교 랍비들을 위한 고등 교육 기관으로, 탈무드 연구를 중심으로 유대교 율법(할라카)을 해석하고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게오닉 시대에 예루살렘, 수라, 품베디타에 세 곳의 예시바가 있었으며, 이후 유럽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현대에는 이스라엘과 미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예시바가 설립되었다. 예시바는 탈무드 연구 외에도 윤리, 신비주의, 철학, 토라와 성경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교육하며, 교육 대상과 목적에 따라 예시바 케타나, 예시바 고등학교, 베트 미드라쉬, 콜렐 등 여러 종류로 나뉜다.
예시바는 유대교의 전통적인 탈무드 고등 교육 기관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기원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탈무드 아카데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특히 수라와 품베디타의 아카데미는 게오닉 시대 동안 유대교 학문과 율법 해석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 시기 예시바는 단순한 교육 기관을 넘어 공동체의 영적, 사법적 중심 기능까지 수행했다.
2. 역사
중세에 들어 몽골의 침략 등으로 바빌로니아의 주요 예시바들이 해체된 후, 유대교 교육의 중심은 개별 회당으로 분산되었고, 이후 유럽과 북아프리카 등지로 예시바가 확산되었다. 세파르드계와 아슈케나지계 유대인 사회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예시바 전통을 발전시켰다.
근현대에 이르러, 특히 18세기 이후 동유럽 리투아니아 지역에서 하임 볼로진이 설립한 볼로진 예시바를 필두로 현대적인 예시바 시스템이 발전했다. 이 시기에는 하시디즘과 무사르 운동 같은 새로운 사상적 흐름이 예시바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로 인해 유럽의 많은 예시바가 파괴되었으나, 이후 생존자들에 의해 이스라엘, 미국 등지에 재건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대에는 정통파 유대교뿐만 아니라 보수 유대교, 개혁 유대교 등 다양한 분파에서도 각자의 신학과 필요에 맞는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2. 1. 기원과 발전
예시바는 ''메티브타''(מתיבתא|메티브타arc), ''메시브타'', ''베트 미드라시'', 탈무드 아카데미, 랍비 아카데미, 랍비 학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예시바'라는 단어 자체는 본래 수업에서 배우는 활동, 즉 학습 "세션"을 의미했다.[5]
이 용어가 학습 활동뿐 아니라 교육 기관 자체를 가리키게 된 것은 바빌로니아의 탈무드 아카데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수라와 품베디타에 있던 아카데미들은 '슈테 하-예시보트'(두 대학)로 알려지면서 기관의 의미가 강해졌다.
미슈나의 메길라 편에서는 공동체 기도를 위한 미니얀 정족수 10명(בטלנים|바틀라님he)을 부양할 수 있는 곳만이 도시로 불릴 수 있다고 규정한다. 또한, 모든 베트딘(유대교 법정)에는 법정 규모의 최대 세 배에 달하는 제자들이 참석했다(미슈나 산헤드린 편 참조). 탈무드에 따르면,[6] 성인들은 일반적으로 매년 두 달, 즉 수콧(초막절)과 페삭(유월절) 순례절 전 달인 엘룰월과 아달월을 학문에 할애했다. 이 기간은 '야르헤이 칼라'(아람어로 ‘칼라의 달’이라는 뜻)라고 불렸다.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생업에 종사했다.
게오닉 시대(Geonic period, 3세기~13세기)는 당시 세 곳의 주요 예시바 수장에게 부여된 칭호인 가온(Gaon)에서 유래했다. 가온들은 각 예시바의 교장이자, 소속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였으며 고등 판사의 역할을 수행했다. 예시바의 모든 공식 업무는 가온의 이름으로 이루어졌고, 예시바로 오가는 모든 서신은 가온에게 직접 전달되었다.
게오닉 시대에는 세 개의 주요 예시바가 있었으며, 각 예시바는 위치한 도시의 이름을 땄다.
예시바 | 초기 위치 | 이전 위치 | 주요 영향권 |
---|---|---|---|
예루살렘 예시바 | 예루살렘 | 카이로 | 지중해 연안 유대인 공동체 |
수라 예시바 | 수라 | 바그다드 | 아라비아 반도, 이라크, 이란 등 동방 유대인 공동체 |
품베디타 예시바 | 품베디타 | 바그다드 | 아라비아 반도, 이라크, 이란 등 동방 유대인 공동체 |
예루살렘 예시바는 나중에 카이로로 이전했고, 수라와 품베디타 예시바는 바그다드로 이전했지만 원래 이름을 유지했다. 각 유대인 공동체는 이 세 예시바 중 하나와 관계를 맺었다. 일반적으로 지중해 주변의 유대인들은 예루살렘 예시바를, 아라비아 반도와 오늘날의 이라크, 이란 지역 유대인들은 바그다드의 두 예시바 중 하나를 따랐다. 그러나 이는 강제적인 것은 아니었고, 각 공동체는 자유롭게 예시바를 선택할 수 있었다.
예시바는 당시 랍비들을 위한 최고 교육 기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할라카(유대 율법)를 해석하는 주요 기관으로서 큰 권위를 가졌다. 공동체는 예시바의 가온을 모든 유대법 문제에 대한 최고 판사로 여겼다. 각 예시바는 의례나 법률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판결을 내리기도 했지만, 다른 예시바들은 이러한 차이를 인정했으며 세 곳 모두 동등하게 정통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예시바는 지역 공동체와 협력하여 행정 당국의 역할도 수행했는데, 지역 회중의 지도자를 임명하는 권한을 가졌다. 이 지도자들은 해당 회중과 소속 예시바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며, 교리, 의례, 법률 문제에 대한 최종 판결을 얻기 위해 예시바에 질문을 보내기도 했다. 각 회중은 서로 다른 예시바의 판결 간 충돌을 피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예시바만을 따르도록 권장되었다.
예시바의 재정은 주로 고정된 연간 자발적 기부금을 통해 충당되었다. 이 기부금은 예시바가 임명한 지역 지도자들이 수집하고 관리했다. 특히 명절 기간에는 개인적인 선물이나 기부(금전 또는 물품)도 흔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바 중심 체제는 점차 약화되었다. 예루살렘 예시바는 1127년 카이로로 추방당한 후 결국 완전히 해체되었다. 수라와 품베디타 예시바 역시 13세기 몽골의 침략 이후 해체되었다. 이후 유대교 종교 연구 교육의 책임은 개별 회당(synagogue)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예루살렘, 수라, 품베디타의 세 위대한 예시바를 대체할 만한 중앙 집중적인 교육 기관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7]
2. 2. 중세와 근대
미슈나 메길라(Megillah)에는 공동체 기도를 위한 미니얀(minyan) 정족수를 채우는 데 필요한 10명의 사람(batlanim)을 부양할 수 있는 곳만 도시로 불릴 수 있다는 율법이 담겨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베트딘(beth din, 유대교 재판소)에는 법정 규모의 최대 세 배에 달하는 제자들이 참석했다(미슈나 산헤드린 참조). 탈무드에 따르면,[6] 성인들은 일반적으로 매년 두 달(엘룰과 아달)을 학문에 할애했는데, 이는 수콧과 페삭 순례절에 앞서는 달로, Yarḥei Kalla|야르헤이 칼라arc(아람어로 ‘칼라(Kallah)의 달’이라는 뜻)라고 불렸다. 나머지 기간에는 생업에 종사했다.게오닉 시대(Geonic period)는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존재했던 세 곳의 주요 예시바의 장에게 주어진 칭호인 가온(Gaon)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가오님(Geonim)은 각 예시바의 교장이자, 그들과 연관된 더 넓은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이자 고등 판사로 활동했다. 예시바는 가온의 이름으로 모든 공식 업무를 수행했고, 예시바로부터 또는 예시바로 보내지는 모든 서신은 가온에게 직접 보내졌다.
게오닉 시대 내내 세 곳의 주요 예시바가 있었는데, 각각 그 예시바가 위치한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예루살렘, 수라, 품베디타였다. 예루살렘의 예시바는 나중에 카이로로 이전되었고, 수라와 품베디타의 예시바는 바그다드로 이전되었지만, 원래 이름을 유지했다. 각 유대 공동체는 세 예시바 중 하나와 자신을 연결시켰다. 지중해 주변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예루살렘의 예시바를 따랐고, 아라비아 반도와 오늘날 이라크 및 이란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바그다드에 있는 두 예시바 중 하나를 따랐다.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었으며, 각 공동체는 어떤 예시바와도 연관될 수 있었다.
예시바는 이 시대 랍비들을 위한 최고의 교육 기관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예시바는 할라카(Halakha, 유대법)를 해석하는 주요 기관으로서 큰 권력을 행사했다. 공동체는 예시바의 가온을 모든 유대법 문제에 대한 최고 판사로 여겼다. 각 예시바는 의례 및 법률 문제에 대해 다르게 판결했지만, 다른 예시바들은 이러한 차이를 인정했으며, 세 곳 모두 동등하게 정통으로 여겨졌다. 예시바는 또한 지역 공동체와 함께 행정 당국으로서 기능하여 지역 회당의 수장으로 봉사할 구성원을 임명했다. 이 회중 수장들은 회중과 자신이 연결된 더 큰 예시바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이 지도자들은 또한 교리, 의례 또는 법률 문제에 대한 최종 판결을 얻기 위해 예시바에 질문을 제출했다. 각 회중은 서로 다른 예시바에서 발표한 서로 다른 판결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오직 하나의 예시바만을 따르도록 기대되었다.
예시바는 고정된 자발적인 연간 기부금을 포함한 여러 수단을 통해 재정적으로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기부금은 예시바에서 임명한 지역 지도자들이 수집하고 관리했다. 특히 명절 기간에는 개인으로부터의 사적인 선물과 기부금도 흔했는데, 돈이나 물품으로 이루어졌다.
예루살렘의 예시바는 1127년에 마침내 카이로로 추방당했고, 결국 완전히 해체되었다. 마찬가지로, 수라와 품베디타의 예시바는 13세기 몽골의 침략 이후 해체되었다. 그 후 유대교 종교 연구 교육은 개별 회당의 책임이 되었다. 예루살렘, 수라, 품베디타의 세 개의 위대한 예시바를 대체할 조직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7]
게오닉 시대 이후 유대인들은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더 많은 예시바 학당을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974년에 חושיאל בן אלחנן|쿠시엘 벤 엘하난he(Chushiel Ben Elchanan)이 튀니지에 설립한 ישיבת קאירואן|카이루안 예시바he(Kairuan yeshiva)가 포함된다.[8]
전통적으로 모든 마을의 랍비는 마을의 베이트 미드라쉬(beth midrash, 학습당)에서 여러 명의 전일제 또는 파트타임 학생들을 가르칠 권리가 있었는데, 이 학습당은 보통 시나고그(회당) 옆에 있었다. 학생들의 생활비는 지역 사회의 세금으로 충당되었다. 수년 후, 세미하(semikha, 랍비 안수)를 받은 학생들은 다른 곳의 공석인 랍비직을 맡거나 노동력에 합류했다.

예시바라는 기관은 어떤 면에서 바빌로니아의 탈무드 학당의 연장선이지만, 이러한 대규모 교육기관은 근대 이전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세파르드계 유대인 세계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았다. 교육은 일반적으로 회당이나 유명한 랍비의 주변에서 더 비공식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중세 스페인과 1492년 추방 직후에는 당시 이슬람의 마드라사와 유사하게 유대교 연구와 논리학, 천문학과 같은 과학을 결합한 학교가 있었다. 19세기 예루살렘에서는 대학이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의미의 교육기관이라기보다는 10명의 성인 학자를 지원하기 위한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형태였다. 세기 말에는 고아들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어 일부 랍비 연구를 제공했다.[10] 유럽식 초기 교육기관으로는 1870년대 이라크에 설립된 미드라쉬 베트 질카와 1914년 예루살렘에 설립된 포라트 요세프 예시바가 있다. 또한 1737년 예루살렘에 설립된 고급 카발라 연구를 위한 베이트 엘 예시바도 주목할 만하다. 후기 세파르드계 예시바는 일반적으로 포라트 요세프 또는 아슈케나지 기관의 모델을 따른다.
세파르드계 세계는 전통적으로 유럽 아슈케나지계 세계보다 카발라(신비주의 유대교) 연구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강조의 차이는 17세기의 사바타이 체비 운동으로 인해 발생했는데, 이는 유럽에서 랍비 탈무드 연구를 선호하게 만들고 카발라의 광범위한 연구를 억압하는 결과를 낳았다. 동유럽 리투아니아의 생활에서 카발라는 지식인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고, 하시디즘의 신비주의 부흥은 하시디즘 사상을 통해 카발라 신학을 설명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전통적으로 경건한 공동체에서 카발라와 더 넓은 관련성을 유지한 세파르드계 유대인 세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랍과 이슬람 국가에서의 유대인 탈출 이후 이스라엘에 세파르드계 예시바가 설립되면서 일부 세파르드계 예시바는 더 접근하기 쉬운 카발라 텍스트 연구를 교육 과정에 통합했다. 그러나 성숙하고 엘리트 학생들에게만 고급 카발라 연구를 제한하려는 유럽의 규정은 이러한 예시바에서 텍스트 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
2. 3. 현대의 예시바
게오니크 시대 이후 유대인들은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더 많은 예시바 학당을 설립했는데, 974년 쿠시엘 벤 엘하난(חושיאל בן אלחנן|쿠시엘 벤 엘하난he)이 튀니지에 세운 카이루안 예시바(ישיבת קאירואן|예시바트 카이루안he)도 그중 하나이다.[8]전통적으로 모든 마을의 랍비는 마을의 베이트 미드라쉬(beth midrash|베트 미드라쉬he, 학습당)에서 여러 명의 전일제 또는 파트타임 학생들을 가르칠 권리가 있었다. 이 학습당은 보통 시나고그(회당) 옆에 위치했으며, 학생들의 생활비는 지역 사회의 세금으로 충당되었다. 수년 후, 세미하(semikha|세미카he, 랍비 안수)를 받은 학생들은 다른 곳의 공석인 랍비직을 맡거나 사회에 진출했다.


스승의 지원을 받아 볼로진은 관심 있는 학생들을 모아 오늘날 벨라루스의 발로진 마을에 예시바를 설립했다. 볼로진 예시바는 1892년 러시아 정부가 특정 세속 연구 도입을 요구하면서 60년 만에 문을 닫았다.[9] 이후 여러 마을과 도시에 예시바가 문을 열었는데, 슬라보드카, 파네베지스, 미르, 브리스크, 그리고 텔츠가 대표적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의 많은 저명한 현대 예시바는 이러한 초기 유럽 기관들의 후신이며, 종종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19세기에 이스라엘 살란테르는 비하시디즘 리투아니아 유대인들 사이에서 무사르 운동을 시작했다. 이는 예시바 학생들과 공동체가 유대 윤리 작품 연구에 정기적으로 시간을 할애하도록 장려하기 위함이었다. 하스칼라(유대 계몽주의)와 시온주의 같은 새로운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변화에 직면하여, 무사르 지도자들은 탈무드 연구를 보완할 개인적인 성찰과 윤리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초기에는 반대도 있었지만, 리투아니아 예시바 세계는 결국 무사르 연구와 무사르 이야기(mussar shmuess|무사르 슈무에스he) 시간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켰다.[38] 각 예시바에는 학생들의 개인적 발전을 돕는 '마시기아흐 루하니'(mashgiach ruchani|마슈기아흐 루하니he, 영적 지도자)가 있었다. 이 운동은 어느 정도 하시디즘 유대교의 신비주의 연구에 대한 반응이자 대안으로 등장했다. 하시디즘은 18세기에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되어 헝가리, 폴란드, 러시아로 퍼져나갔다. 19세기의 격변 속에서 무사르 교사들은 하시디즘의 영성에 주목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윤리적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탈무드와 무사르 연구 방법론은 리투아니아 예시바 내에서 다양하게 발전했다. 예를 들어, 넓게 공부하는 베키웃(beki'ut|베키우트he)과 깊게 파고드는 이윤(iyyun|이윤he) 중 어느 쪽에 중점을 둘 것인가 하는 논쟁이 있었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행했던 심층 분석적 논증 방식인 필풀(pilpul|필풀he)은 항상 환영받지는 못했다. 하임 솔로베이치크가 개발한 브리스크 방법이라는 새로운 분석적 접근 방식은 널리 퍼졌다. 미르, 호페츠 하임, 텔츠 등에서도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무사르 분야에서는 슬라보드카와 노바르도크 같은 학파들이 발전했지만, 오늘날에는 초기만큼 강렬한 영적 자기 계발에 대한 헌신이 줄어들면서 그 차이가 다소 희미해졌다.



리투아니아 유대인 사회에서 예시바 제도가 성공하자, 하시드 세계도 동유럽에 자신들의 예시바를 설립했다. 이 예시바들은 랍비 유대교의 핵심인 탈무드 문헌 연구를 유지하면서 하시드 철학(하시디즘) 연구를 추가했다. 대표적인 예로 1897년 러시아에서 숄롬 도브베어 슈네어손이 설립한 차바드 루바비치 예시바 시스템인 톰케이 테밈(Tomchei Temimim)과, 1930년 폴란드에서 마이어 샤피로가 설립한 카흐메이 루블린 예시바(Chachmei Lublin Yeshiva)가 있다. 마이어 샤피로는 하시드와 리투아니아 유대인 사회 모두에서 탈무드 연구의 일일 주기인 다프 요미(Daf Yomi)를 시작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많은 하시드 예시바에서 하시드 경전 연구는 리투아니아 예시바의 무사르 교육과정과 유사하게 부차적인 활동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하시즘을 신과의 정서적 유대(devekut|데베쿠트he)와 신비주의적 열정을 고취하는 수단으로 본다. 하시드가 자신의 레베(Rebbe)를 찾아가는 순례는 영적 열정을 일깨우는 중요한 요소이다. 종종 이러한 예시바들은 안식일(Shabbat)에 하시드 경전의 감동적인 가르침을 공부하는 데 시간을 할애한다.
반면, 하바드와 브레슬로프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신들의 하시드 경전을 매일 연구의 중심에 둔다. 숄롬 도브베어 슈네어손은 차바드 예시바 시스템을 설립하면서 학생들이 매일 차바드 하시드 경전을 '필풀' 방식으로 배우기를 원했다. 이는 창립자 리아디의 슈네르 찰먼이 시작한, 바알 셈 토브의 토라를 지적으로 체계화하고 명료하게 밝히는 차바드 특유의 접근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차바드 사상은 일반적인 하시즘의 정서적 열정보다 지적으로 절제된 황홀경을 강조한다. 브레슬로프 운동에서는 브레슬로프의 나흐만의 창의적이고 급진적인 작품들을 매일 연구함으로써 다른 유대교 연구와 실천에 필요한 영감을 얻는다.
예시바라는 기관은 바빌로니아의 탈무드 학당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이런 대규모 교육기관은 근대 이전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세파르드계 유대인 세계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았다. 교육은 주로 회당이나 유명 랍비 주변에서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 중세 스페인과 1492년 추방 직후에는 이슬람의 마드라사처럼 유대교 연구와 과학(논리학, 천문학 등)을 결합한 학교들이 있었다. 19세기 예루살렘에서 예시바는 현대적 교육기관이라기보다는 10명의 성인 학자를 지원하는 기부금 형태에 가까웠다. 세기 말에는 고아들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어 일부 랍비 연구를 제공했다.[10] 유럽식 초기 교육기관으로는 1870년대 이라크에 설립된 미드라쉬 베트 질카와 1914년 예루살렘에 설립된 포라트 요세프 예시바가 있다. 1737년 예루살렘에 세워진 고급 카발라 연구 기관인 베이트 엘 예시바도 주목할 만하다. 후기 세파르드계 예시바는 대체로 포라트 요세프나 아슈케나지 기관의 모델을 따른다.
세파르드계 세계는 전통적으로 유럽 아슈케나지계 세계보다 카발라(신비주의 유대교) 연구를 더 중시했다. 이러한 차이는 17세기 사바타이 체비 사건 이후 유럽에서 카발라 연구가 억압되고 랍비 탈무드 연구가 강조된 것과 관련이 있다. 동유럽 리투아니아에서는 카발라가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고, 하시디즘은 카발라 신학을 하시드 사상을 통해 설명했다. 그러나 세파르드계 유대인 세계는 이러한 영향을 받지 않아 카발라와의 관련성을 유지했다. 아랍 국가에서 유대인들이 이주한 후 이스라엘에 세파르드계 예시바가 설립되면서, 일부 예시바는 접근하기 쉬운 카발라 텍스트 연구를 교육 과정에 포함시켰다. 다만, 고급 카발라 연구는 여전히 성숙하고 뛰어난 학생들에게만 제한하는 유럽의 규정이 텍스트 선택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854년, 체하리아스 프랑켈이 이끄는 브레슬라우 유대 신학 세미나리가 설립되었다. 이는 "긍정적-역사적 유대교"와 관련된 최초의 교육 기관으로, 보수 유대교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이후 보수 유대교는 뉴욕시의 미국 유대 신학 세미나리(JTS)와 같이 전통적인 예시바 방식을 따르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이들 중 다수는 공식적으로 "예시바"라고 부르지 않지만(예루살렘의 개혁 예시바는 예외),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개방되어 동일한 교육 과정을 따른다. 학생들은 콜렐처럼 파트타임 또는 풀타임으로 공부할 수 있으며, 학문 자체를 위해(lishmah|리슈마he) 공부하거나 랍비 안수를 받기 위해 공부할 수 있다.
보수 유대교와 연관된 비종파 예시바와 콜렐로는 뉴욕의 예시바트 하다르가 있으며, 지도자 중에는 랍비회의 회원인 엘리 카운퍼와 샤이 헬드가 포함된다. 캘리포니아 유대교 종교 아카데미의 랍비 학교는 보수파 랍비 멜 고틀리브가 이끌고 있다. 뉴욕 유대교 종교 아카데미와 매사추세츠주 뉴턴 센터의 히브리 칼리지 랍비 학교 교수진에도 많은 보수파 랍비들이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몇몇 비전통적이고 비종파적(또는 "초종파적", "탈종파적")인 신학교들이 설립되었다.[11][12][13] 이들은 더 짧은 기간에 수정된 교육 과정으로 세미하를 수여하며, 주로 리더십과 목회 역할에 중점을 둔다. 여기에는 JSLI, RSI, PRS, 아테레트 츠비 등이 있다. 볼코비스크 메시프타는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지역 사회 전문가를 대상으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개혁 유대교와 제휴한 히브리 유니온 칼리지(HUC)는 1875년 아이작 마이어 와이스의 지도 아래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서 설립되었다. HUC는 이후 뉴욕, 로스앤젤레스, 예루살렘에 캠퍼스를 열었으며, 주로 랍비와 성직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마찬가지로, 1968년 펜실베이니아에 설립된 재건주의 유대교의 재건주의 랍비 대학도 미래의 성직자를 양성한다. 일부 개혁 유대교 및 재건주의 유대교 교사들은 위에서 언급한 비종파 신학교에서도 가르친다. 유럽에서는 개혁 유대교가 영국 런던의 레오 벡 칼리지와 독일 포츠담의 아브라함 가이거 콜레크에서 랍비를 양성한다. 이들 기관 중 어느 곳도 자신을 "예시바"라고 칭하지 않는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는 동유럽과 중유럽의 예시바들을 파괴했다. 그러나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많은 학자들과 랍비 학생들은 이스라엘과 여러 서구 국가들에 예시바를 다시 세웠다.[16] 니트라 예시바는 점령된 유럽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예시바였다. 미르 예시바의 많은 학생들과 교수들은 시베리아로 탈출하여 결국 상하이에서 운영을 계속했다.
20세기 중반부터[16] 가장 많은 수의 예시바와 가장 중요한 예시바들은 이스라엘과 미국에 집중되었다. 영국의 게이츠헤드 예시바(노바르도크의 후신 중 하나)와 프랑스의 엑스레뱅 예시바가 대표적인 유럽의 예시이다. 많은 다른 서구 국가들에서도 예시바가 발견되었다. 하바드(Chabad) 운동은 특히 이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여[16] 프랑스, 북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에도 예시바를 설립했다. 이 기관 네트워크는 ''톰케이 테밈''(Tomchei Temimim)으로 알려져 있다.
3. 교육 과정 및 특징
예시바에서의 학습은 커리큘럼 외에도 여러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학년은 "즈마님"(זְמַנִּים|즈마님heb, zmanim)이라는 학기들로 나뉘며, 하루의 학습 시간은 "세데르"(סדר|세데르heb, seder)로 구성된다. 학습은 주로 "시우르"(שיעור|시우르heb, shiur)라는 강의 형태나, 특정 자료 목록을 제공하는 "마레이 메코모트"(מראה מקומות|마레이 메코모트heb, mareh mekomot, "출처 목록")를 통해 이루어진다.[28][29] 특히 시우르 준비를 포함한 일반적인 학습은 "하브루타"(חַבְרוּתָא|하브루타heb, chavruta)라고 불리는 짝 학습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는 "베이트 미드라시"(בֵּית מִדְרָשׁ|베이트 미드라시heb, beit midrash, 이디시어로는 "잘"(zal) 즉 "홀")이라는 공동 학습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예시바는 최고 지도자인 로쉬 예시바(Rosh yeshiva)가 이끌며, 다른 고위 랍비들은 "람"(Ram, 로쉬 메시브타 또는 레이시 메티브타)으로 불린다. 학생들의 영적 성장을 돕는 역할은 "마쉬기아흐 루하니"(Mashgiach ruchani)가 담당하며, 하시드 예시바에서는 이를 "마쉬피아"(Mashpia)라고 부른다. 콜렐(Kollel, 기혼자 대상 학습 기관)은 "로쉬 콜렐"(Rosh kollel)이 이끌며, 예시바의 일부로 운영되기도 한다. "쇼엘 우메이시브"(שואל ומשיב|쇼엘 우메이시브heb, Sho'el u'Meishiv, 문자 그대로 "질문하고 답하는 사람", 종종 "메이시브" 또는 "노세 베노타인"으로 축약)는 학생들이 당일 탈무드 학습 중 어려운 점을 상담할 수 있는 랍비이다. 탈무드 시우르를 담당하는 랍비는 "마기드 시우르"(Maggid shiur)로 알려져 있다. 학생들은 "탈미딤"(Talmidim, 단수형 탈미드 Talmid)이라고 불린다. 때때로 "라브 무브하크"(Rav Muvhak)는 자신의 주요 스승을, "탈미드 무브하크"(Talmid Muvhak)는 주요 제자나 뛰어난 제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예시바에서 학년은 세 학기, 즉 ''즈마님''(단수형 ''즈만'')으로 나뉜다.
- '''엘룰 즈만'''(엘룰월 초 ~ 욤 키푸르 말): 약 6주간의 가장 짧지만 집중적인 학기. 로쉬 하샤나와 욤 키푸르라는 주요 명절 직전에 진행된다.
- '''겨울 즈만'''(수콧 후 ~ 유월절 약 2주 전): 약 5개월(윤년에는 6개월) 동안 이어지는 가장 긴 학기이다.
- '''여름 즈만'''(유월절 후 ~ 로쉬 호데쉬 아브 또는 티샤 베아브까지): 약 3개월간 지속된다.
예시바 학생들은 수업(시우르)을 준비하고 복습하기 위해 "하브루타"(짝)와 함께 "세데르"(학습 시간) 동안 공부한다.[1] 이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강의하는 전통적인 교실 학습과 달리, 학생 스스로 자료를 분석하고 설명하며 파트너의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고 서로 질문하며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가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게 된다.[30] 하브루타는 학생의 학습 집중력과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며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능력, 그리고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돕는다.[31]
하브루타 학습은 매우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학습 파트너들은 탈무드 본문과 주석을 큰 소리로 읽고 분석하며, 서로 질문하고 토론하고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주장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때로는 열띤 토론 중에 손짓을 하거나 책상을 치고 서로에게 큰 소리로 이야기하기도 한다.[32] 예시바의 규모에 따라 수십 또는 수백 쌍의 하브루타가 동시에 토론하는 소리로 가득 찰 수 있다.[33] 학생들은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고 자신의 토론에 집중하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1]
수업 언어는 예시바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다. 전 세계의 많은 리투아니아계 및 하시드파 예시바에서는 이디시어를 사용한다. 솔로몬 샬먼 아우어바흐가 40년 이상 이끌었던 콜 토라 예시바(1939년 예루살렘 설립)는 이디시어가 아닌 히브리어로 수업을 진행한 최초의 주류 하레디 예시바였다. 세파르드계, 현대 정통파, 시오니스트, 바알 테슈바(유대교로 돌아온 사람) 예시바에서는 현대 히브리어나 현지 언어를 사용한다. 많은 미국 비(非)하시드파 예시바에서는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가장 능숙한 언어로 서로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며, 하시드파 학생들은 주로 이디시어, 이스라엘 리투아니아계 학생들은 히브리어, 미국 리투아니아계 학생들은 영어를 사용한다.
일부 예시바는 학생들이 대학에 다니는 것을 허용하며, 예시바 수업에 대한 학점을 대학 학위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협력하기도 한다.[36] 예를 들어, 뉴욕의 예시바 대학교는 예시바 수업에 대해 1년치 학점을 제공한다.[37] 랜더 남성 대학, 네르 이스로엘 예시바, 히브리 신학 대학 등도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일부 미국 예시바는 고등 랍비 및 탈무드 학교 협회(Association of Advanced Rabbinical and Talmudic Schools)의 인가를 받아 학위를 수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탈무드 법학사(4년), 랍비 연구 석사/탈무드 법 석사(6년), 그리고 (네르 이스로엘의 경우) 탈무드 법 박사(10년) 학위가 있다. 이러한 학위는 법학전문대학원과 같은 대학원 프로그램 진학 자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비정통파 기관에서는 일반적으로 석사 학위 취득을 요구하며, 학점제 기반에 논문 제출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은 일반적인 리투아니아 예시바의 베이트 미드라시 학생의 일일 일정 예시이다. (예시바마다 다를 수 있음)
시간 | 활동 |
---|---|
오전 7:00 | 선택 수업 (첫 번째 세데르) |
오전 7:30 | 샤하리트 (아침 기도) |
오전 8:30 | 할라카 (유대법) 연구 수업 |
오전 9:00 | 아침 식사 |
오전 9:30 | 아침 탈무드 연구 (첫 번째 세데르) |
오후 12:30 | 시우르 (강의) - 상급 학생들은 생략하기도 함 |
오후 1:30 | 점심 식사 |
오후 2:45 | 민하 (오후 기도) |
오후 3:00 | 무사르 세데르 (유대 윤리) |
오후 3:30 | 탈무드 연구 (두 번째 세데르) |
오후 7:00 | 저녁 식사 |
오후 8:00 | 밤 세데르 (강의 복습 또는 선택 학습) |
오후 9:25 | 무사르 세데르 (유대 윤리) |
오후 9:45 | 마아리브 (저녁 기도) |
오후 10:00 | 선택 야간 세데르 |
이 일정은 보통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유지된다. 목요일 밤에는 "미쉬마르"(Mishmar)라는 특별히 긴 야간 세데르가 있어 오전 1시를 넘기거나, 일부 예시바에서는 다음 날 해 뜰 때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금요일에는 오전에 한두 개의 세데르가 있고 오후에는 비교적 자유로운 학습 일정을 가진다. 토요일(샤밧)에는 일부 세데르가 포함되지만 보통 시우르는 없는 특별한 일정이 적용된다.
3. 1. 탈무드 연구


정통파 예시바에서의 토라 연구는 주로 리투아니아 예시바에서 확립된 방식을 따르며, 탈무드를 중심으로 한 랍비 문헌 연구를 포함한다. 할라카(유대법) 연구와 함께 무사르(Musar) 및 하시드 철학(Hasidic philosophy)도 자주 연구된다.[38] 일부 기관에서는 고전적인 유대 철학이나 카발라를 공식적으로 연구하거나, 아브라함 이삭 쿡과 같은 개별 사상가의 저작을 연구하기도 한다.
비정통 유대교 기관은 전통적인 방법과 비판적인 방법을 종합하여 유대교 경전과 전통이 사회 변화와 현대 학문과 조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탈무드, 타나크, 미드라쉬, 할라카, 철학 등 고전적인 유대교 과목에 중점을 두지만, 정통파 예시바와는 달리 과목의 비중이 더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따라서 탈무드와 할라카는 덜 강조된다), 성서 비평과 같은 현대 학문에 개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 교육 과정은 또한 "설교, 상담 및 목회 활동과 같은 현대 랍비의 다른 기능"을 강조한다.[39] 앞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기관에서는 종종 탈무드와 유대법을 "덜 강조하고 사회학, 문화 연구 및 현대 유대 철학을 강조"한다.[40]
보수파 유대교 예시바는 중간 위치를 차지하며,[40] 다른 비정통 프로그램보다 할라카와 탈무드를 훨씬 더 강조하는 교육을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주로 정통파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지만, 이는 전통적인 탈무드 연구 내용 전반에 대한 개요로도 볼 수 있다.
전형적인 정통파 예시바에서는 탈무드 연구와 분석, 즉 게마라(Gemara)에 주된 중점을 둔다. 게마라는 기초가 되는 미슈나(Mishnah)에 제시된 사례들을 분석하는 "변증법적 주고받기"(שקלא וטריא|샤클라 베 타르야arc)이다.[44]
일반적으로 한 학기(즈만, zman) 동안 두 개의 평행적인 탈무드 과정을 이수한다.
- 이윤 (עיון|이윤heb): 심층 연구 과정으로, 특정 법률 중심의 트랙테이트(마세흐타, מסכתאheb)를 분석 기술과 고전 주석에 대한 면밀한 참조를 통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29]
- 베키우트 (בקיאות|베키우트heb): 전문성 함양 과정으로, 탈무드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쌓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부 하시드계 예시바에서는 암기 요소를 포함하는 기르사(גירסא|기르사heb, 본문)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탈무드 연구의 예시바 시스템에서, 학부 예시바는 주로 민법과 금전법(네지킨, נזיקיןheb)과 계약 및 결혼법(나심, נשיםheb)을 다루는 트랙테이트에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탈무드 분석의 적절한 기법을 익히고, 동시에[41] 탈무드 원칙의 할라카적 적용을 배운다. 이러한 내용을 숙달하면 학생은 탈무드의 다른 영역으로 넘어간다.[38] 베라코트(ברכותheb), 수카(סוכהheb), 페사힘(פסחיםheb), 샤밧(שבתheb) 트랙테이트도 자주 포함된다.[42][43] 때로는 다가오는 유대교 명절과 관련된 트랙테이트가 해당 절기 전후에 학습되기도 한다(예: 하누카를 위한 샤밧 21a–23b, 푸림을 위한 메길라(מגילהheb) 트랙테이트 등).
처음에는 탈무드 본문을 명확히 하기 위해 라시의 주석과, 라시의 저술과 관련된 토사포트를 공부한다. 토사포트는 병행 분석과 지속적인 비판을 제공한다.[44] 탈무드, 라시, 토사포트의 통합 연구는 추가 분석의 기초이자 전제 조건으로 간주된다.[45] (이 조합은 종종 약어 게페트(גפ״תheb – Gemara, perush Rashi, Tosafot)로 불린다.)[43] 마하르샬, 마하람, 마하르샤의 상위 주석은 이 세 가지를 모두 다루며, 기초 탈무드 논쟁에서 더 나아가 높은 수준의 분석을 구성한다.[46]
더 고급 수준에서는 추가적인 메파르심(מפרשיםheb, 주석가)을 연구한다.[46]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리쇼님(Rishonim)과 후대의 아하로님(Acharonim)이 있다. 프랑스와 스페인 출신의 두 가지 주요 리쇼님 학파는 탈무드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과 이해를 가지고 있다. 아하로님은 이러한 의견들을 정리하고 명확히 하며, 더 높은 수준의 분석을 제공한다. 메이리, 람반, 라시바, 릿바, 란, 림 등이 있으며, 베잘렐 아슈케나지의 시타 메쿠베제트 편찬물도 널리 참조된다.
이 수준에서 학생들은 탈무드 논의를 성문화된 법(할라카) – 특히 마이모니데스의 미쉬네 토라, 야곱 벤 아셰르의 아르바 아 투림, 요세프 카로의 슐찬 아루크 – 에 연결한다. 아셰르 벤 예히엘(로쉬), 이삭 알파시(리프), 모르데카이 벤 힐렐(모르데카이)의 할라카 중심 주석을 연구한다. 여기서 나타나는 견해 차이는 추가 분석의 근거가 되며, 특히 실제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45] 힐렐과 샤마이 학파의 기저 탈무드 의견과 다른 주석들을 다시 검토하게 된다.[47]
쉬우르(수업)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학생은 더 많은 주석[46]을 수기야(סוגיאheb, 탈무드 분석 단위) 분석에 통합해야 한다. 동시에 특정 키두쉬(חידושheb, 새로운 통찰)와 실제 할라카에 대한 함의를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심층 연구(이윤)는 일반적으로 예시바의 데레흐 하-리무드(דרך הלימודheb, 학습 방법)에 따라 다음 형태 중 하나를 취한다:
- 브리스커 방법: 상위 수준에서 많은 리투아니아 영향을 받은 예시바에서 사용되는 고도로 분석적인 방법이다. 종종 롬두스(לומדות|롬두스yid)라고 불리며, 각 주석가의 접근 방식의 기본 원리를 식별하여 특정 수기야의 맥락을 넘어 추상화하고 범주적 구조 내에서 각각을 배치한다.
- 전통적 접근 방식: 일반적으로 더 전통적인 접근 방식이다.[45] 학생들은 다양한 리쇼님에 비추어 각 수기야를 연구한다. 법적 및 개념적 차이점을 순차적으로 명시하고 이해하며, 가능한 경우 조정하여 "각각의 특정 사항이 다른 사항의 명확화에 기여하도록" 한다.[48] 이를 통해 연구는 트랙테이트에서 발생하는 개념과 원리를 구축하고 심화시킨다. 중요한 요구 사항은 기저 수기야의 페샷(פשט|페샷heb, 단순한 의미)을 유지하는 것이다.[49]
- 알리바 데힐카사 (אליבא דהלכתא|알리바 데힐카사heb, 세파르드식 발음: אליבא דהלכתא|알리바 데힐카타heb; 문자 그대로 "법에 따라"):[50] 학습은 수기야에서 발전하는 할라카 규칙에 더 중점을 두고, 리쇼님과 아하로님의 의견이 실제 적용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설명한다. 두 가지 하위 접근 방식이 있다.[2] 첫 번째는 종종 세파르드계 예시바에서 취하는 접근 방식으로, 수기야를 할라카의 근원으로 분석하고 각 리쇼님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 이해하며, 적용이 제한적인 주제에도 적용된다(전형적인 예는 עיר הנידחת|이르 니다하트heb와 בן סורר ומורה|벤 소레르 우모레heb이다). 두 번째는 종종[51] 세미카(랍비 안수) 학생들이 수기야를 공부할 때 적용되며 – 각 주석의 실제 할라카에 대한 의미, 즉 나프카 미나(נפקא מינה|나프카 미나heb)에 중점을 두고, 그에 따른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논의를 다소 제한한다.
- 람밤 중심 접근: 일부 예시바 – 예를 들어 예시바 비르카트 모세 – 는 특히 람밤을 강조하며, 미쉬네 토라와 그 수많은 주석에 비추어 수기야를 분석한다. (브리스커 예시바는 항상 람밤을 참조한다. 미쉬네 토라는 할라카 전체를 다루므로 다른 리쇼님의 처리에 일관된 참조를 제공한다. 하임 솔로베이치크의 "키두세이 라베이누 하임" 참조.)
로쉬 예시바는 가장 높은 수준의 쉬우르를 담당하며, 학생들은 여기서 예시바의 이윤 접근 방식, 즉 데레흐 하-리무드를 통합한다. 많은 예시바에서는 학생들이 콜렐이나 세미카 연구로 진행하기 전에 (그리고 로쉬 예시바의 허가를 받아) 적어도 2년 동안 이 쉬우르에서 배우도록 요구한다. 로쉬 예시바는 또한 주간 쉬우르 클랄리(שיעור כללי|쉬우르 클랄리heb, 종합 강의)를 제공하여 일주일 동안의 학습을 요약하고 선택된 주제나 개념을 더 자세히 다시 검토한다. 이 강의는 모든 수준의 학생들이 참석하며, 종종 자체적인 참고 자료 목록(מראה מקומות|마레 메코모트heb)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소년들은 초등학교 고학년 때 탈무드 공부를 시작하며, 처음에는 미슈나를 공부한다. 미슈나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탈무드의 기초적인 "사례"가 제시되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 그들은 후마쉬(모세오경) 학습을 완료했으며, 미슈나의 사례들은 후마쉬에 나오는 미츠바(계율)를 확장한다.) 중학교 초반에는 분석 부분인 게마라가 소개된다. 고등학교 때는 일부 학생들이 토사포트를 접하게 된다. 일부 시스템에서는 미슈나를 10세에, 게마라를 15세에 시작하는 것을 지침으로 삼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질버만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3. 2. 할라카(유대법) 연구
정통파 예시바의 토라 연구는 주로 리투아니아 예시바에서 확립된 방식을 따라, 탈무드를 중심으로 하는 랍비 문헌 연구를 포함한다. 할라카(유대법) 연구와 함께 무사르 및 하시드 철학도 자주 연구된다.[38] 일부 기관에서는 고전적인 유대 철학이나 카발라를 공식적으로 연구하거나, 아브라함 이삭 쿡과 같은 개별 사상가의 저작을 연구하기도 한다.비정통 유대교 기관은 전통적인 방법과 비판적인 방법을 종합하여 유대교 경전과 전통이 사회 변화와 현대 학문과 조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탈무드, 타나흐, 미드라쉬, 할라카, 철학 등 고전적인 유대교 과목에 중점을 두지만, 정통파 예시바와는 달리 과목의 비중이 더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따라서 탈무드와 할라카는 덜 강조된다), 성서 비평과 같은 현대 학문에 대한 개방성을 포함하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교육 과정은 또한 "설교, 상담 및 목회 활동과 같은 현대 랍비의 다른 기능"을 강조한다.[39] 이러한 기관에서는 종종 탈무드와 유대법을 "덜 강조하고 사회학, 문화 연구 및 현대 유대 철학을 강조"한다.[40]
보수파 예시바는 중간 위치를 차지하며,[40] 다른 비정통 프로그램보다 할라카와 탈무드를 훨씬 더 강조하는 교육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실제 할라카 적용(Halakha LeMaaseh) 연구에는 특정 기간이 할애되며, 추론보다는 실제 적용을 강조한다. 아슈케나짐 예시바에서는 1884년에서 1907년 사이에 처음 출판된 슐한 아루크에 대한 주석인 미쉬나 베루라(Mishnah Berurah)를 가장 일반적으로 연구한다.
세파르딤 예시바에서는 슐한 아루크 자체와 베이트 요세프 주석을 더 일반적으로 연구한다. 야르쿠트 요세프와 카프 하카임(Yaakov Chaim Sofer 저)도 자주 연구하며, 벤 이쉬 하이(Yosef Hayyim 저)는 표준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차바드 예시바에서는 슐한 아루크 하라브 연구에 중점을 둔다.[53] 초급 학생들은 적용 가능한 할라카의 모든 영역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수준의 토라 지식을 통합하기 위해 키츠르 슐한 아루크를 공부하도록 권장된다. 이는 차바드 외 공동체에서도 일반적인 관행이다. 더욱 고급 학생들은 매일 람밤(마이모니데스)의 저작을 학습하는 시간을 통해 미쉬네 토라를 복습한다(이는 종종 정규 학습 시간인 세데르 외에 이루어진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성전과 관련된 할라카 규정(halachot) 등이 포함된다.
세미하(랍비 안수) 프로그램[52], 특히 정통파 프로그램[28]과 종종 콜렐 학생들은 시간의 대부분을 할라카 연구에 할애한다. 연구의 중점은 공동체 랍비들에게 일반적으로 제기되는 할라카적 질문(shaylas) 영역에 대한 심층적이고 출처 기반의 탐구다.[53][57][54][55] 시험 과목에는 카슈르트(이스르 브헤테르(Issur v'Heter)라고도 함), 안식일(Shabbat), 니다(Niddah), 때로는 아벨루트(유대교 애도) 및/또는 유대교 결혼이 포함된다.[53] 이 연구는 일반적으로 2~4년 동안 지속되며, 아르바아 투림과 베이트 요세프의 할라카 분석을 바탕으로 슐한 아루크의 최종 판결과 주요 주석(특히 샤흐(Shakh, Shabbatai HaKohen)와 타즈(Taz, David HaLevi Segal))을 깊이 있게 다루고, 중요한 레스폰사(셰엘로트 우테슈보트)를 검토한다. 이 분석은 관련된 탈무드 논의(수기야, sugya)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2] 이는 정해진 일정에 따라 학습되고[41][42] 언급된 법적 주석들을 강조한다. 따라서 정통파 세미하 프로그램 학생들은 탈무드에 대한 철저한 배경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56] 일반적으로 예시바에서 최소 4년 이상을 보낸 경험이 있다.[57][42][43] 콜렐 학생들도 마찬가지이다.
오전 학습 시간(세데르) 동안 세미하 학생들은 다른 예시바 학생들과 동일한 탈무드 장(마세케트, masechet)을 연구하며,[55] 종종 독립적으로 학습하지만 많은 경우 로쉬 예시바의 강의(시우르)에 참여한다. (따라서 랍비가 되려는 학생은 마지막 4년 이상 동안 로쉬 예시바의 직접적인 지도를 받게 되는 셈이다.)[55]
3. 3. 윤리, 신비주의 및 철학
19세기에 이스라엘 살란테르는 비(非)하시디즘 리투아니아 유대인들 사이에서 무사르 운동을 시작했다. 이는 하스칼라(유대 계몽주의)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적, 종교적 변화와 시온주의처럼 전통 유대교에 반하는 정치 이념들에 대한 우려 속에서, 예시바 학생들과 공동체가 유대 윤리 작품 연구에 시간을 할애하도록 장려하기 위함이었다. 무사르 지도자들은 탈무드 연구 외에 개인적인 윤리 텍스트(무사르 문학) 연구를 보강할 필요성을 느꼈다.[38] 초기에는 반대가 있었지만, 리투아니아 예시바 세계는 결국 이 새로운 요소를 교육 과정에 받아들여 무사르 연구와 무사르 이야기('무사르 슈무에스') 시간을 마련했다. ''마시기아흐 루하니''(영적 지도자)는 각 학생의 개인적인 발전을 도왔다. 이 운동은 한편으로 하시디즘 유대교의 신비주의 연구에 대한 반응이자 대안으로 등장하기도 했다.하레디 예시바(브리스커 예시바 제외)는 일반적으로 '''무사르'''(윤리 및 인격 함양) 연구에 시간을 할애한다.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텍스트는 모세 하임 루자토의 '''메실랏 예샤림'''("의인의 길")이다.

그 외 주요 무사르 문헌으로는 다음 작품들이 있다.
- '''오르코트 짜디킴'''("의인의 길")
- 바히야 이븐 파쿠다의 '''호봇 할레바봇'''("마음의 의무")
- 예히엘 아나브의 '''마알로트 하미도트'''("덕목의 이점")
- 아론 코틀러의 무사르 강의 '''미쉬낫 라비 아론'''
- 엘리야후 엘리에제르 데슬러의 저서 '''미흐타브 메 엘리야후'''
- 모세 코르도베로의 '''토메르 데보라'''
- 하임 라이브 슈물레비츠의 '''시호스 무사르'''
- 엘리에제르 파포의 '''펠레 요에츠'''
- 츠비 히르쉬 카이다노버의 '''카브 하야샤르'''
이러한 무사르 연구는 학생들이 유대교의 영적 목표를 내면화하고 적절한 인격적 특성('''미도스''')을 개발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둔다. 응용 유대 윤리의 주제, 예를 들어 언어 사용 규칙 등은 종종 별도로 연구된다.
하시드 예시바에서는 신비주의적이고 영적인 하시드 철학 작품('''하시디즘''')을 연구한다. 이 작품들은 초기의 '''카발라''' 신학을 바탕으로 하지만, 내적 심리 인식과 개인적 유추를 통해 설명하여 유대교 신비주의를 더 접근하기 쉽게 만든다. 이를 통해 감정적인 '''드베이쿠스'''(신에 대한 헌신)를 고취하고 일상 유대 생활에 깊은 영성을 불어넣는다. 이는 '''무사르'''와 비슷한 목적을 가지지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예를 들어, 차바드 예시바는 '''타냐''', '''리쿠테이 토라''', 그리고 차바드 레베들의 방대한 저술을 연구한다.
세파르드계 세계는 전통적으로 유럽 아슈케나지계보다 카발라(유대 신비주의) 연구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차이는 17세기 사바타이 체비 사건 이후 유럽에서 카발라 연구가 억압되고 랍비 탈무드 연구가 강조된 데서 비롯되었다. 동유럽 리투아니아에서는 카발라가 지식인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고, 하시디즘은 그들의 사상을 통해 카발라 신학을 설명했다. 반면 세파르드계 유대인 세계는 이러한 요인의 영향을 덜 받아 카발라와의 관련성을 유지했다. 아랍 국가 유대인 공동체의 이민 이후 이스라엘에 세파르드계 예시바가 설립되면서, 일부 세파르드계 예시바는 접근하기 쉬운 카발라 텍스트 연구를 교육 과정에 포함시켰다. 주요 연구 대상으로는 표준 텍스트뿐만 아니라 요세프 하임, 예후다 파티야, 야코브 하임 소페르 등의 저술이 있다. 카발라 자료는 '''카프 하카임'''이나 '''벤 이시 하이'''와 같은 할라카(유대법) 저술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연구된다.
헤스데르, 종교 시오니스트 및 현대 정통 유대교 예시바에서는 '''마흐샤바'''(유대 철학을 일반화/적용한 "유대 사상"; 또는 '''하시카파''', "세계관")를 공식적으로 가르친다.[58] 수업('''쉬우림''')에서는 주요 신앙 원리를 주요 철학 작품을 통해 체계적으로 다룬다.[59] 이러한 작품들('''쿠자리''', '''모레 네부힘''', '''세페르 하이카림''', '''에무노트 베데오트''', '''데레흐 하솄''', '''네페쉬 하카임''', '''카드 하케마흐''' 등)은 '''탈무드-아가다'''/'''미드라쉬'''와 '''타나흐'''에 기초한다.
헤스데르 예시바는 특히 아브라함 이삭 쿡("라브 쿡")의 저술 연구에 시간을 할애하며, 그의 사상은 신비주의, 창조적 해석, 철학을 독특하게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현대 정통 유대교는 요셉 B. 솔로베이치크("라브 솔로베이치크")의 저술을 중요하게 연구한다. 하시드 철학, 무사르, 그리고 '''마하랄'''의 사상도 종종 가르친다. 일부 하레디 및 하시드 예시바, 특히 '''바알 테슈바'''(회개자, 유대교로 돌아온 사람) 중심 기관이나 세미카(랍비 안수) 프로그램에서도 '''하시카파'''를 공식적으로 연구하기도 한다.
비정통 유대교 기관들은 전통적인 방법과 비판적인 방법을 종합하여 유대교 경전과 전통이 사회 변화 및 현대 학문과 만날 수 있도록 한다. 교육 과정은 탈무드, 타나흐, 미드라쉬, 할라카, 철학 등 고전적인 유대교 과목에 중점을 두지만, 정통파 예시바와는 달리 과목 비중이 더 고르게 분포되어 탈무드와 할라카에 대한 강조는 덜하다. 또한 현대 학문에 대한 개방성을 포함하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교육 과정은 "설교, 상담 및 목회 활동과 같은 현대 랍비의 다른 기능"도 강조한다.[39] 이러한 기관들은 종종 탈무드와 유대법을 "덜 강조하고 사회학, 문화 연구 및 현대 유대 철학을 강조"한다.[40] 보수파 예시바는 중간적인 입장을 취하며, 다른 비정통 프로그램보다 할라카와 탈무드를 훨씬 더 강조하는 교육을 제공한다.[40]
3. 4. 토라와 성경 연구

모든 초등학년에서는 쿠마시(토라)와 라시의 주석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친다.[38] 하레디 및 하시드 예시바에서는 종종 이디시어 번역본을 사용한다. 나머지 ''타나흐''(히브리어 성경; ''토라'', ''네비임'', ''케투빔''의 약어)는 일반적으로 고등학교까지 가르치지만, 그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예시바에서는 그 이후로 ''쿠마시'', 특히 ''나흐''(''네비임''과 ''케투빔'')를 직접적으로 덜 연구한다. 예시바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슈나임 미크라 베에카드 타르굼'' 관행을 따른다. 이는 다가오는 ''파라샤''(주간 토라 구절)를 원어인 히브리어로 두 번, 온켈로스 타르굼(아람어 번역)으로 한 번 독립적으로 검토하며, 라시의 주석과 함께 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또한 종종 람반의 주석을 연구하는데, 이는 토사포트와 비교했을 때 라시 주석에 대한 보충적 역할을 한다. 덜 자주 ''미크라오트 게돌로트'' 판본의 다른 주석들을 검토하기도 한다.
학생들은 마찬가지로 ''나흐''를 독립적으로 연구할 수 있으며, 종종 ''메츠두도스'' 주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타나흐''는 ''본질적으로'' 가르치지 않으며, 예외적으로 다섯 메길로트와 테힐림(시편)이 있다. ''로시 예시바''는 매주 ''파라샤''에 대한 ''쉬우르''(수업)를 통해 특정 질문이나 주제를 탐구하고 관련 윤리적 또는 ''하시카픽''(철학적/세계관적) 가르침을 제공한다. 이 수업은 종종 대중에게 공개된다.
헤스데르, 종교 시오니즘 및 현대 정통파 유대교 예시바에서는 탈무드 연구와 함께 ''쿠마시''와 ''나흐''의 연구가 계속된다. 이 기관들은 ''네비임''과 ''케투빔''의 많은 책, 때로는 모든 책에 대해 공식 ''쉬우르''를 제공한다. 이것들은 종종 탈무드 연구와 유사하게 수준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텍스트와 그 전체 구조를 다양한 주석과 ''미드라심''의 관점에서 분석한다.[60] 이러한 수업은 일반적으로 ''마흐샤바''(유대 철학) ''쉬우르''를 보완한다. (이 접근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예시바트 하르 에치온의 교육 및 종교 철학 참조.)
특히 연구되는 최근 주석으로는 ''"네치브"''과 ''"말빔"''이 있으며, 모르데카이 브뢰어 등이 저술한 ''다앗 미크라''와 같은 참고 자료도 활용된다. 람반, 아바르바넬, "랍베이누 베하예", 및 "라브 히르시"의 주석은 많은 철학적 내용을 제공한다.
''세페르 하치누크''는 주석 자체는 아니지만, 613계명에 대한 체계적인 법적 및 철학적 논의를 제공하며, 마찬가지로 참고된다. 마흐샤바와 마찬가지로 타나흐의 집중적인 연구는 많은 ''미드라쇼트''(여성을 위한 토라 연구 기관)의 특징이기도 하다.
4. 예시바의 종류
# 예시바 케타나(Yeshiva Ketana) (소년 예시바) 또는 탈무드 토라(Talmud Torah): 이스라엘의 많은 하레디(하시디즘 및 비하시디즘) 예시바 케타나와 일부 디아스포라(주로 하시디즘) 예시바에서는 세속 교육 과정이 없거나 최소한으로만 제공되며, 모든 학생이 전일제로 유대교 토라 연구에 집중한다.
# 예시바 고등학교: 메시브타(Mesivta)(메티브타), 메키나(Mechina), 예시바 케타나(Yeshiva Ketana) 또는 이스라엘에서는 예시바 티코닛(Yeshiva Tichonit)이라고도 불린다.[34] 집중적인 유대교 종교 교육과 세속적인 고등학교 교육을 결합한 형태이다. 이러한 이중 교육 과정은 1916년 예시바 대학교(현재 마샤 스턴 탈무드 아카데미)의 전신인 맨해튼 탈무드 아카데미에서 시작되었다. אלמה (ישיבה תיכונית)|알루마heb는 1936년 예루살렘에, ישיבת היישוב החדש|하-이슈브heb는 1937년 텔아비브에 설립되었다.
# 메키나(Mechina): 이스라엘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군대 입대 전 1년 동안 공부하는 과정이다. 텔셰 예시바나 볼티모어의 네르 이스로엘에서는 메시브타/예시바 케타나를 메키나라고 부르기도 한다.
# 베트 미드라쉬(Beth midrash):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위한 과정으로, 학생의 진로나 소속에 따라 1년부터 여러 해 동안 공부한다.
# 예시바트 헤스데르(Yeshivat Hesder): 이스라엘 방위군과의 협정을 통해 학생들이 같은 부대에 함께 입대하고 가능한 한 같은 부대에서 복무하도록 하는 예시바이다. 약 5년의 과정 중 2년차에 약 16개월 동안 군 복무를 하며, 나머지 시간은 예시바에서 의무적으로 공부한다.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헤스데르 예시바 개념은 랍비 예후다 아미탈에 의해 시작되었다. 최초의 헤스데르 예시바는 1954년에 설립된 예시바트 케렘 비야브네이며, 가장 큰 곳은 800명 이상의 학생이 있는 스데로트의 헤스데르 예시바이다.
# 콜렐(Kollel): 기혼 남성을 위한 예시바이다. 콜렐의 개념은 토라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미슈나의 메길라 편에서는 공동체 학습을 위한 최소 정족수인 10명의 남성(batlanim)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마을을 "도시"로 부를 수 있다고 언급한다. 현대적인 콜렐은 주로 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혁신이며, 종종 예시바와 같은 장소에 위치한다.
# 바알 테슈바(Baal Teshuva) 예시바: 새롭게 정통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시바이다.
여성을 위한 고등학교 이후 교육 기관은 일반적으로 이스라엘에서 세미나리(seminary) 또는 미드라샤(midrasha)(복수형 ''미드라쇼트(midrashot)'')[35]라고 불리며, 예시바라고는 하지 않는다(프로스펙트 파크 예시바(Prospect Park Yeshiva)와 같은 예외는 있다). 하레디 유대교의 바이스 야코브 시스템은 1918년 사라 셰니러의 주도로 시작되었다. 이 기관들은 소녀들에게 토라 교육을 제공하며, 탈무드보다는 실용적인 할라카(유대법)와 타나흐(Tanakh) 연구에 중점을 둔 교육 과정을 따른다. 종교 시오니스트와 현대 정통 미드라쇼트의 교육 과정에는 탈무드 연구(종종 미슈나, 때로는 게마라)가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유대 철학 텍스트를 하브루타(chavruta) 방식으로 연구하고, 주석과 함께 타나흐를 공부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5. 참고 문헌
- Helmreich, William B. ''예시바의 세계: 정통 유대교의 친밀한 초상''. Free Press, 1982, 412쪽. ISBN 0-88125-641-2.
참조
[1]
서적
Judaism
https://books.google[...]
Heinemann Educational
[2]
서적
נתיבות שלום
https://books.google[...]
Feldheim Publishers
[3]
서적
The Day Schools and Torah Umesorah: The Seeding of Traditional Judaism in America
https://books.google[...]
Yeshiva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Sarah Schenirer a"h, the Mother of the Bais Yaakov Movement, On Her Yahrtzeit, Today, 26 Adar
https://matzav.com/s[...]
2013-03-08
[5]
문서
Session derives from Latin "sedere" ("to sit")
[6]
웹사이트
Berakhot 6b and Taanit 10b
https://www.sefaria.[...]
[7]
서적
A Mediterranean Society: An Abridgement in One Volume
https://www.ucpr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문서
מרדכי וורמברנד ובצלאל ס. רות, '''עם ישראל – תולדות 4000 שנה – מימי האבות ועד חוזה השלו'''
[9]
학술지
Haskalah, Secular Studies and the Close of the Yeshiva in Volozhin in 1892
1990
[10]
웹사이트
Can Sephardic Judaism be Reconstructed?
https://www.jcpa.org[...]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11]
웹사이트
A Different Path to Ordination
https://www.tabletma[...]
2021
[12]
웹사이트
Online-Ordained Rabbis Grab Pulpits
https://forward.com/[...]
2012
[13]
웹사이트
Want More Diversity In Rabbinical Schools? Then Move Them Online
https://ejewishphila[...]
2019
[14]
웹사이트
Lakewood yeshiva looks to use old golf course for new campus
https://www.nj.com/n[...]
New Jersey On-Line LLC
2019-04-16
[15]
웹사이트
10 ways Lakewood is unlike anywhere else in N.J.
https://www.nj.com/o[...]
NJ Advance Media
2017-08-03
[16]
웹사이트
Yeshiva
https://www.jewishvi[...]
[17]
웹사이트
Brachot 18b
https://www.sefaria.[...]
[18]
웹사이트
2019 Statistical Report on Ultra-Orthodox Society in Israel
https://en.idi.org.i[...]
Israel Democracy Institute
2019
[19]
웹사이트
Beth Medrash Govoha
https://www.chea.org[...]
[20]
웹사이트
About
https://www.mikdashm[...]
[21]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ww.mikdashm[...]
[22]
웹사이트
Mission Statement
http://www.yu.edu/Mi[...]
Yeshiva University
[23]
웹사이트
Musmachim
https://mizrachi.org[...]
[24]
웹사이트
Ariel Institute
https://fischelfound[...]
[25]
웹사이트
kollellim
https://www.yu.edu/r[...]
[26]
웹사이트
Yadin-Yadin for the Diaspora
http://www.eretzhemd[...]
[27]
웹사이트
https://www.manhigut[...]
[28]
웹사이트
Example marei mekomot - Halacha
https://www.thejerus[...]
[29]
웹사이트
Example marei mekomot - Gemara
http://dafyomireview[...]
[30]
웹사이트
Bringing the People Together
http://www.rebjeff.c[...]
Reb Jeff
2011-02-24
[31]
서적
Breakthrough to Learning Gemora: A Concise, Analytical Guide
Kest-Lebovits
[32]
서적
The Blackwell Reader in Judaism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ers
[33]
서적
Ein Yaakov: The Ethical and Inspirational Teachings of the Talmud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34]
웹사이트
ישיבה תיכונית
:he: ישיבה תיכונית
[35]
웹사이트
Midrashot
https://www.science.[...]
[36]
웹사이트
Guide To Degree Completion Programs for Yeshiva Students
https://web.archive.[...]
YeshivaDegree.com
2018-10-06
[37]
웹사이트
S. Daniel Abraham Israel Program
https://www.yu.edu/i[...]
[38]
뉴스
What Yeshiva Kids Are Actually Studying All Day
https://forward.com/[...]
2020-01-22
[39]
웹사이트
Ordination (Semicha)
https://www.myjewish[...]
[40]
웹사이트
Ordination and Semicha
https://jsli.net/app[...]
[41]
문서
Catalog
https://rabbinicalco[...]
Rabbinical College Bobover
[42]
웹사이트
Programs
https://talmudicu.ed[...]
[43]
문서
Catalog
https://cyttl.edu/wp[...]
Central Yeshiva Tomchei Tmimim Lubavitz
[44]
웹사이트
Chapter XXVIII
https://www.chabad.o[...]
[45]
웹사이트
Kuntres Eitz HaChayim
https://www.chabad.o[...]
[46]
서적
The Essential Talmud
Basic Books
[47]
웹사이트
Reshut HaRabim II
https://etzion.org.i[...]
[48]
웹사이트
Kuntres Eitz HaChayim ch 29
https://www.chabad.o[...]
[49]
웹사이트
Kovetz Igros Chazon Ish II 16
https://marbitz.com/[...]
[50]
위키
אסוקי שמעתתא אליבא דהלכתא
[5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abbi Yosef Barber
https://collive.com/[...]
[52]
웹사이트
Kuntres Eitz HaChayim ch 30
https://www.chabad.o[...]
[53]
문서
CATALOG
http://rca.edu/media[...]
Rabbinical College of America
[54]
웹사이트
smicha.co.il
http://www.smicha.co[...]
[55]
문서
Rabbi Isaac Elchanan Theological Seminary - Semikhah Requirements
https://www.yu.edu/s[...]
[56]
웹사이트
Hattarat hora'ah
https://www.jewishen[...]
[57]
문서
Semicha Standards
http://www.rabbis.or[...]
Rabbinical Council of America Executive Committee
2015
[58]
웹사이트
Topics in Hashkafa
https://www.etzion.o[...]
[59]
문서
Example marei mekomot - Hashkafa
https://rabbimanning[...]
[60]
문서
Example marei mekomot - Tanach
https://cdn.yutora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