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자유구역은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시설을 제공하는 무관세 지역으로, 수출 가공 자유 지역, 자유항, 자유 지구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델로스 섬에서 시작되어 중세 유럽의 한자 동맹, 근세 이탈리아의 자유 도시를 거쳐 현대적인 자유 무역 지대로 발전했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 유치, 고용 창출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노동 조건 악화 및 조세 회피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전략적으로 수입 비용 절감, 기간 단축, 운영 활동 최적화에 활용되기도 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특구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경제특구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는 아부자 조약에 따라 아프리카 경제 통합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경제 공동체를 기반으로 여러 통합 단계를 거쳐 2028년까지 경제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회원국 중복 가입 및 지역별 진행 상황 차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아프리카 자유 무역 지대와도 관련되어 있다. - 국제경제학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국제경제학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국제 무역 - 보호무역
보호무역은 정부가 국내 산업을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관세, 수입 할당량, 기술 보호, 외국인 투자 제한 등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고 최근 주요 국가에서 강화되는 추세이다. - 국제 무역 - 태평양 동맹
태평양 동맹은 2011년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대통령들이 결성한 지역 경제 협력체로, 아시아를 지향하며 자유 무역 증진을 목표로 라틴 아메리카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경제 블록이다.
경제자유구역 | |
---|---|
개요 | |
유형 | 특별 경제 구역 |
목적 | 투자 유치 고용 창출 수출 증진 경제 성장 촉진 |
특징 | 관세 면제 또는 감면 세금 감면 규제 완화 간소화된 행정 절차 외국인 투자에 대한 우대 |
다른 이름 | 자유 무역 지대 (Free Trade Zone, FTZ) 자유 항 (Free Port) 경제 특구 (Special Economic Zone, SEZ) |
자유 무역 지대 (Free Trade Zone) | |
정의 | 상품이 보세 상태로 가공, 제조, 보관, 전시될 수 있는 특정 지역 |
목적 | 국제 무역 촉진 외국인 투자 유치 고용 창출 |
운영 방식 | 일반적으로 세관 당국의 감독하에 운영 관세 및 기타 세금 면제 혜택 제공 |
예시 | 공항 또는 항만 인근 지역 특정 산업 단지 |
자유 항 (Free Port) | |
정의 | 관세 및 기타 무역 장벽이 없는 항구 또는 공항 |
특징 |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 및 보관 허용 제조, 가공, 조립 활동 가능 |
역사적 배경 | 고대부터 존재 (예: 델로스 섬) 중세 시대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
현대적 예시 | 싱가포르 홍콩 함부르크 |
경제 자유 구역 (Economic Free Zone) | |
정의 |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특별한 경제 규제가 적용되는 지역 |
특징 |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규제 완화 세금 감면 |
목적 | 외국인 투자 유치 수출 증진 고용 창출 기술 이전 |
예시 | 중국의 경제특구 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 |
한국의 경제자유구역 | |
지정 목적 |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 |
주요 내용 | 외국인 투자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규제 완화 투자 환경 개선 |
구역 | 인천경제자유구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황해경제자유구역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 충북경제자유구역 |
2. 정의 및 유형
세계 은행은 경제자유구역을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창고, 보관 및 유통 시설을 제공하는 작고 울타리가 쳐진 무관세 지역"으로 정의한다.[4] 경제자유구역은 원자재 또는 부품 수입과 공장 제품 수출을 포함하는 노동 집약적 제조 중심지로 정의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백오피스 운영, 연구 및 금융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정의가 되었다.
경제자유구역은 국가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미국에서는 "자유 무역 지대"(Foreign Trade Zones Act of 1934)라고 불리며,[5] 다른 국가에서는 "무관세 수출 가공 구역", "수출 자유 구역", "수출 가공 구역", "자유 수출 구역", "자유 구역", "산업 자유 구역", "투자 진흥 구역", "마킬라도라", "경제 특별 구역" 등으로 불린다.[5][6] 일부는 이전에 "자유 항구"라고 불렸다. 자유 구역은 사업 등록에 대한 세금, 관세 및 규제 요건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이민 절차 및 외국인 투자 제한에 대한 특별 면제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자유 구역은 다른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 활동과 고용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7]
2. 1. 유형
경제자유구역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25][27][28]- '''자유항 시''' (free port city영어[26]): 항만 도시 전체가 관세 구역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개인의 거주가 허용된다.[25][27] 그러나 도시 내부와 외부 간의 이해 대립이 심해지고, 탈세나[25] 밀무역 단속이 어려워[24][25][26]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26] 홍콩과 싱가포르가 이와 유사한 형태로 남아 있다.[25][26]
- '''자유항 구''' (free port quarter영어[24]): 자유항 시보다 범위를 좁혀, 개방 지역의 전부 또는 일부만 관세 구역 밖으로 설정한다. 그곳에서 화물의 수출입, 보관, 가공 등이 허용되지만, 구역 내 거주는 허용되지 않는다.[25] 현재 함부르크,[25] 코펜하겐,[26] 로테르담,[26] 그단스크가 대표적인 예이다.[26]
- '''자유 지구''' (free district영어[24]): 자유항 구보다 더 제한을 가하여, 항만 내 자유 지역 (free port zone영어)에서[26] 화물의 반입과 재수출, 창고 보관만 허용된다.[25] 가공은 허용되지 않으며, 주로 항만 설비 이용률 향상과 중계 무역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25][26] 현재 뉴욕,[26] 뉴올리언스,[26] 샌프란시스코가 대표적인 예이다.[26]
수출 가공 자유 지역(EPZ)은 개발도상국 정부가 산업 및 상업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하는 자유 무역 지대의 특정 유형이다.[8] 세계은행에 따르면, 수출 가공 자유 지역은 보통 10~300헥타르 크기의 울타리가 쳐진 구역으로, 수출용 제품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산업 단지이다. 기업에 자유 무역 조건과 자유로운 규제 환경을 제공하며, 일부 경제의 산업재에 대한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여 고용과 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외국인 투자자, 협력자 및 구매자를 유치하는 것이 목표이다.[8] 브라질, 콜롬비아, 인도, 인도네시아 등 많은 개발도상국이 EPZ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9] 1997년에는 93개국이 수출 가공 자유 지역을 설립하여 2,250만 명을 고용했으며, 2003년에는 116개국의 EPZ가 4,300만 명을 고용했다.[9]
2. 2. 동의어
세계 은행은 경제자유구역을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창고, 보관 및 유통 시설을 제공하는 작고 울타리가 쳐진 무관세 지역"으로 정의한다.[4] 경제자유구역은 원자재 또는 부품의 수입과 공장 제품의 수출을 포함하는 노동 집약적 제조 중심지로 정의될 수 있지만, 점점 더 많은 경제자유구역이 소프트웨어, 백오피스 운영, 연구 및 금융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맞추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정의가 되었다.경제자유구역은 미국에서 "자유 무역 지대"(Foreign Trade Zones Act of 1934)라고 불린다.[5] 다른 국가에서는 "무관세 수출 가공 구역", "수출 자유 구역", "수출 가공 구역", "자유 수출 구역", "자유 구역", "산업 자유 구역", "투자 진흥 구역", "마킬라도라", "경제 특별 구역" 등으로 불려 왔으며,[5][6] 일부는 이전에 "자유 항구"라고 불렸다.
3. 역사
세계 최초로 기록된 자유 무역 지대는 기원전 166년 델로스 섬에서 설립되었으며, 기원전 69년 해적에게 점령될 때까지 지속되었다.[14] 로마에는 여러 자유 도시가 있었는데, 이들은 화폐 주조, 자체 법률 제정, 로마 황제에게 공물 면제 등의 권한을 가졌다. 이러한 자유 도시는 서기 1천 년까지 이어졌다. 12세기에는 한자 동맹이 북유럽에서 활동하며 유럽 전역에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는데, 함부르크와 런던의 강철 공장이 대표적이다. 강철 공장은 자체 시설을 갖춘 별도의 공동체였다. 1988년, 캐논 스트리트 역 유지 보수 중 옛 한자 무역소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1959년 아일랜드의 섀넌에 설립된 섀넌 자유 구역은 최초의 "현대적" 자유 무역 지대로 평가받는다.[14] 섀넌 구역은 항공 기술 변화에 발맞춰 아일랜드 정부가 공항 주변 고용과 경제 수입을 유지하기 위해 설립했으며,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도의 칸들라 자유 구역(1960년경), 가오슝 수출 가공 구역(1967년)도 주목할 만하다. 20세기 후반, 전 세계적으로 자유 무역 지대가 급증했다.
자유 무역 지대에 설립된 기업은 사업 설립, 관세 면제, 외화 사용,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받는다. 이는 투자를 유치하고 고용을 창출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역은 다국적 기업이 옷, 신발, 전자 제품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설립하는 데 자주 활용된다.
자유 무역 지대는 자유 무역 지역과 구별된다. 자유 무역 지대는 한 국가 내에 설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시리아/요르단 자유 무역 지대와 같이 국경을 넘는 경우도 있다.[15] 자유 무역 지역은 국가 간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라틴 아메리카 자유 무역 연합(LAFTA)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등 남미 국가들이, 북미 자유 무역 협정은 멕시코, 미국, 캐나다가 참여했다. 자유 무역 지역에서는 회원국 간에만 관세가 낮아진다. 또한, 여러 국가가 관세 규정을 통일하고 회원국 간 관세를 없애는 관세 동맹(유럽 경제 공동체 등)과도 다르다.
최근 일부 국가에서는 자유 무역 지대를 경제 특별 구역이라고도 부른다. 경제 특별 구역(SEZ)은 자유 시장 경제 원칙 시험장으로, 많은 국가에서 국내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러한 용어 변화는 세계 무역 기구(WTO)의 영향으로, WTO는 회원국이 특정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여 수출 가공 구역(EPZ)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인도는 2000년에 모든 EPZ를 SEZ로 전환했다.
1999년 기준, 116개국 3,000여 개의 FTZ에서 4,300만 명이 옷, 신발, 운동화, 소비자 가전 제품, 장난감 등을 생산했다. 경제 구역의 주요 목표는 외화 수입 증대, 수출 지향 산업 개발, 고용 기회 창출이다.
자유항은 고대 카르타고나 로마 제국에서도 나타났지만,[26] 근세의 것은 중세 이탈리아의 자유 도시에 기원을 둔다.[25][28] 16-17세기 이탈리아의 리보르노, 베네치아, 나폴리, 제노바 등이 대표적이며,[26] 이들 도시는 외국인 거주도 허용했다.[26] 이후 함부르크, 브레멘 등 북유럽으로 확산되었지만,[26] 19세기에는 대부분 폐지되었다.[28] 현재는 자유항 구역, 자유 지구, 보세 제도 등으로 운영된다.[24][25][26] 일본에는 자유항이 없다.[28]
4. 비판 및 논란
일부 국내 정부는 공장 설립 초기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고, 환경 보호 및 근로자 대우 관련 규칙을 완화하며, 향후 몇 년간 세금 납부를 면제해주는 경우가 있다. 세금 면제 기간이 종료되면, 기업은 세금보다 적은 비용으로 다른 곳에서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되어, 개최국 정부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되지만, 미국의 모기업은 책임을 지는 경우가 드물다.[22]
정치 평론가 나오미 클라인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공장 폐쇄를 언급하며 경제자유구역의 일시적인 성격을 비판했다. 그녀는 2000년경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남부, 스리랑카 등지에서 12시간 이상 근무, 낮은 임금, 긴 근무 시간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23]
4. 1. 비판
일부 국내 정부는 공장 설립 초기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고, 환경 보호 및 근로자 대우에 관한 규칙을 완화하며, 향후 몇 년 동안 세금 납부를 요구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기도 한다. 세금 면제 기간이 끝나면, 비용을 완전히 부담하지 않고 공장을 설립한 기업은 납부해야 할 세금보다 적은 비용으로 다른 곳에서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는 더 많은 요구를 가지고 개최국 정부와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는 지렛대를 제공하지만, 미국의 모기업은 책임을 지는 경우가 드물다.[22]정치 평론가 나오미 클라인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와 관련된 공장 폐쇄를 언급하며 경제자유구역의 일시적인 성격을 비판했다. 그녀는 2000년경 인도네시아, 필리핀, 중국 남부, 스리랑카에서 12시간 이상 근무하는 등 낮은 임금과 긴 근무 시간을 비판했다.[23]
4. 2. 대한민국 관련 논란
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30]
-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31]
- 인천경제자유구역[32]
- 황해경제자유구역[33]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34]
- 강원경제자유구역[35]
- 충북경제자유구역[36]
- 새만금 (사실상)[37]
5. 국가별 경제자유구역
브라질에서는 17개 주에 25개의 수출가공구역이 승인되었으며, 이 중 19개가 운영되고 있다.[10] 브라질 정부는 1988년 국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최초의 수출가공구역을 출범시켰다.[11] 최초로 운영된 EPZ 지역은 세아라 주의 페셈 항 근처에 있었다.[11] 이 지역의 기업들은 ICMS세 (주 부가가치세)에 대한 세금 면제 및 인센티브 혜택을 받는다. 일부 브라질 주에서는 다른 지역 인센티브를 제공한다.[12] 또한 기업들은 EPZ를 설립한 법률에 의해 지원되는 외환 거래 혜택과 EPZ 내에 사무실을 갖춘 세관 당국의 근접성을 활용할 수 있다.[11]
중국은 경제 특구(EPZ)와 자유 무역 지대(FTZ)를 구별하는 구체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경제 특구의 상품 중 70%는 수출되어야 하지만, 자유 무역 지대에는 그러한 할당량이 없다.[13]
아랍에미리트 (UAE)는 외국인의 UAE 투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을 도입했다. 이 경제자유구역에서 투자자들은 완전한 사업 소유권을 유지하고 세금 면제를 받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UAE 경제자유구역에 사업체를 설립하는 것의 일부 혜택은 다음과 같다.
혜택 종류 | 내용 |
---|---|
법인세 | 없음, 100% 면제[18] (단, 경제자유구역 회사와 본토 회사 간의 사업이 375000AED 미만인 경우.[19]) |
사업체 소유권 | 100% 소유 |
은행 계좌 | 사업체 명의로 개설 가능 |
갱신 수수료 | 합리적인 수준 |
수입 및 수출세 | 100% 면제 |
이윤 및 자본 송환 | 100% 가능 |
투자자 비자 | 발급 |
UAE의 일부 경제자유구역은 아지만 경제자유구역, 라스 알 카이마 경제구역 (RAKEZ), 국제 자유 구역 당국 (IFZA), 샤르자 미디어 시티 경제자유구역 (SHAMS), 함리야 경제자유구역 등이 있다.
쿠웨이트의 경제 자유 구역(FTZ)은 사업 확장을 꾀하고 수출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1999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구역은 슈웨이크 상업 항구의 서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쿠웨이트 내 유일한 경제 자유 구역이었다. 2019년, 각료 회의에서 경제 자유 구역을 폐지하여 쿠웨이트는 특별 경제 구역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20]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은 다음과 같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30]
-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31]
- 인천경제자유구역[32]
- 황해경제자유구역[33]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34]
- 강원경제자유구역[35]
- 충북경제자유구역[36]
- 새만금 (사실상)[37]
5. 2. 그 외 국가
세계 은행은 경제자유구역을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창고, 보관 및 유통 시설을 제공하는 작고 울타리가 쳐진 무관세 지역"으로 정의한다.[4] 경제자유구역은 원자재 또는 부품을 수입하고 공장 제품을 수출하는 노동 집약적 제조 중심지로 정의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백오피스 운영, 연구, 금융 서비스 등 서비스 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경제자유구역이 늘면서 이는 시대에 뒤떨어진 정의가 되었다.경제자유구역은 미국에서 "자유 무역 지대"(Foreign Trade Zones Act of 1934)라고 불리며,[5], 여기서 FTZ는 관세 관련 혜택뿐만 아니라 주 및 지방 재고세 면제 혜택도 제공한다. 다른 국가에서는 "무관세 수출 가공 구역", "수출 자유 구역", "수출 가공 구역", "자유 수출 구역", "자유 구역", "산업 자유 구역", "투자 진흥 구역", "마킬라도라", "경제 특별 구역" 등으로 불려 왔으며,[5][6] 일부는 이전에 "자유 항구"라고 불렸다. 자유 구역은 특정 목적의 제조 시설에서부터 관련 국가의 일반적인 규제 및 경제 규제와 다른 법률 시스템을 가진 지역까지 다양하다.
자유 구역은 사업 등록에 대한 세금, 관세 및 규제 요건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전 세계의 구역은 일반적인 이민 절차 및 외국인 투자 제한에 대한 특별 면제는 물론 다른 특징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자유 구역은 다른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 활동과 고용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7]
'''수출 가공 자유 지역'''(Export-processing zone, '''EPZ''')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 정부가 산업 및 상업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하는 특정 유형의 자유 무역 지대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수출 가공 자유 지역은 일반적으로 10~300헥타르의 울타리가 쳐진 구역으로, 수출용 제품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산업 단지이다. 기업에 자유 무역 조건과 자유로운 규제 환경을 제공한다. 이 지역의 목표는 일부 경제의 산업재에 대한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여 고용과 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외국인 투자자, 협력자 및 구매자를 유치하는 것이다."[8] 대부분의 자유 무역 지대는 개발 도상국에 있으며, 브라질, 콜롬비아, 인도, 인도네시아, 엘살바도르,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멕시코, 도미니카 공화국,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과테말라, 케냐, 스리랑카, 모리셔스, 마다가스카르 모두 EPZ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9] 1997년에는 93개국이 수출 가공 자유 지역을 설립하여 2,250만 명을 고용했으며, 2003년에는 116개국의 EPZ가 4,300만 명을 고용했다.[9]
브라질에서는 17개 주에 25개의 수출가공구역이 승인되었으며, 이 중 19개가 운영되고 있다.[10] 브라질 정부는 1988년 국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최초의 수출가공구역을 출범시켰다.[11] 최초로 운영된 EPZ 지역은 세아라 주의 페셈 항 근처에 있었다.[11] 이 지역의 기업들은 ICMS세 (주 부가가치세)에 대한 세금 면제 및 인센티브 혜택을 받는다. 일부 브라질 주에서는 다른 지역 인센티브를 제공한다.[12] 또한 기업들은 EPZ를 설립한 법률에 의해 지원되는 외환 거래 혜택과 EPZ 내에 사무실을 갖춘 세관 당국의 근접성을 활용할 수 있다.[11]
중국은 경제 특구(EPZ)와 자유 무역 지대(FTZ)를 구별하는 구체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경제 특구의 상품 중 70%는 수출되어야 하지만, 자유 무역 지대에는 그러한 할당량이 없다.[13]
세계 최초로 기록된 자유 무역 지대는 기원전 166년 델로스 섬에서 설립되었다. 이 지대는 약 기원전 69년 해적에게 섬이 점령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로마는 많은 ''자유 도시'' (civitas libera)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 일부는 화폐를 주조하고, 자체 법률을 제정하며, 로마 황제에게 연간 공물을 바치지 않을 수 있었다. 이는 적어도 서기 1천 년까지 이어졌다. 12세기에는 한자 동맹이 북유럽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유럽 전역에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다. 이러한 자유 무역 지대에는 함부르크와 런던의 강철 공장이 포함되었다. 강철 공장은 다른 한자 기지처럼 자체 창고, 저울집, 예배당, 계산소, 주거 구역을 갖춘 별도의 벽으로 둘러싸인 공동체였다. 1988년, 한때 영국에서 가장 큰 중세 무역 단지였던 옛 한자 무역소의 유적이 캐논 스트리트 역의 유지 보수 작업 중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1959년에 설립된 아일랜드 섀넌 (섀넌 자유 구역)[14]은 최초의 "현대적" 자유 무역 지대라고 주장해왔다. 섀넌 구역은 장거리 항공기가 섀넌에서 이전에 필요했던 급유를 건너뛰도록 허용한 항공기 기술의 급격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는 아일랜드 정부가 공항 주변의 고용을 유지하여 공항이 아일랜드 경제에 계속 수입을 창출하도록 하려는 시도였다. 이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다. 주목할 만한 다른 자유 구역으로는 1960년경에 시작된 인도의 칸들라 자유 구역과 1967년에 시작된 가오슝 수출 가공 구역이 있다. 전 세계의 자유 무역 지대는 20세기 후반에 급증했다.
구역에 설립된 기업은 사업 설립 권리, 관세 없이 부품 및 장비 수입 권리, 외화 수입을 보유하고 사용할 권리, 때로는 소득 또는 재산 세금 감면과 같은 여러 규제 및 재정적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관세 통제 방법 및 제출 요건과 관련된 기타 인센티브가 있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구역이 투자를 유치하고 고용을 창출하여 빈곤과 실업을 줄여 해당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역은 다국적 기업이 옷, 신발, 전자 제품과 같은 상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설립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자유 무역 지대는 자유 무역 지역과 구별해야 한다. 자유 무역 지대는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 설립되지만, 시리아/요르단 자유 무역 지대와 같이 자유 구역이 국경을 넘을 수 있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15] 자유 무역 지역은 국가 간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라틴 아메리카 자유 무역 연합 (LAFTA)은 1960년 몬테비데오 조약에 의해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멕시코,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북미 자유 무역 협정은 멕시코, 미국, 캐나다 사이에 설립되었다. 자유 무역 지역에서는 관세가 회원국 간에만 낮아진다. 또한 이들은 이전의 유럽 경제 공동체와 같은 관세 동맹과도 구별되어야 하는데, 여러 국가가 관세 규정을 통일하고 동맹 회원 간의 관세를 없애는 데 동의한다.
자유 무역 지대는 최근 일부 국가에서 경제 특별 구역이라고도 불린다. 경제 특별 구역 (SEZ)은 자유 시장 경제 원칙의 시행을 위한 시험장으로 많은 국가에서 설립되었다. SEZ는 변혁 정책의 수용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국내 및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수단으로 간주된다. 용어의 변화는 세계 무역 기구(WTO)의 형성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WTO는 회원국이 상품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특정 유형의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 수출 가공 구역(EPZ)이라는 용어가 더 이상 새로운 구역에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도는 2000년에 모든 EPZ를 SEZ로 전환했다.
1999년에는 116개 국가에 걸쳐 약 3,000개의 FTZ에서 4,300만 명이 일했으며, 옷, 신발, 운동화, 소비자 가전 제품, 장난감을 생산했다. 경제 구역의 기본 목표는 외화 수입 증대, 수출 지향 산업 개발, 고용 기회 창출이다.
아랍에미리트 (UAE)의 비즈니스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UAE 정부는 외국인의 UAE 투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을 도입했다. 이 경제자유구역에서 투자자들은 완전한 사업 소유권을 유지하고 세금 면제를 받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UAE 경제자유구역에 사업체를 설립하는 것의 일부 혜택은 다음과 같다.
혜택 종류 | 내용 |
---|---|
법인세 | 없음, 100% 면제[18] (단, 경제자유구역 회사와 본토 회사 간의 사업이 연간 375,000 AED 미만인 경우.[19]) |
사업체 소유권 | 100% 소유 |
은행 계좌 | 사업체 명의로 개설 가능 |
갱신 수수료 | 합리적인 수준 |
수입 및 수출세 | 100% 면제 |
이윤 및 자본 송환 | 100% 가능 |
투자자 비자 | 발급 |
UAE의 일부 경제자유구역은 다음과 같다.
- 아지만 경제자유구역
- 라스 알 카이마 경제구역 (RAKEZ)
- 국제 자유 구역 당국 (IFZA)
- 샤르자 미디어 시티 경제자유구역 (SHAMS)
- 함리야 경제자유구역
쿠웨이트의 경제 자유 구역(FTZ)은 사업 확장을 꾀하고 수출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1999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구역은 슈웨이크 상업 항구의 서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쿠웨이트 내 유일한 경제 자유 구역이었다.
2019년, 각료 회의에서 경제 자유 구역을 폐지하여 쿠웨이트는 특별 경제 구역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20]
6. 전략적 이점
애버딘 그룹이 2013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최상위 기업들은 수입 무역 비용 절감, 수입 기간 단축, 기업의 소싱 및 운영 활동 균형 최적화를 위한 수단으로 경제자유구역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21]
참조
[1]
논문
УПРАВЛЕНИЕ ОСОБЫМИ ЭКОНОМИЧЕСКИМИ ЗОНАМИ СУБЪЕКТА
https://elibrary.ru/[...]
В сборнике: XIII Всероссийское совещание по проблемам управления ВСПУ-2019 Труды. Под общей редакцией Д.А. Новикова.
[2]
논문
Destruction of the Resident Enterprise in the Special Economic Zone with Sanctions
https://ieeexplore.i[...]
IEEE
[3]
웹사이트
Free-trade zone
https://www.britanni[...]
2016-08-28
[4]
간행물
Special Economic Zone: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 for Zone Development
http://documents.wor[...]
World Bank
[5]
서적
Tax Free Trade Zones Of The World And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6]
웹사이트
Special Economic Zone (SEZ): Chinese Economics
https://www.britanni[...]
2016-09-16
[7]
서적
Special Economic Zones: Progres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World Bank
[8]
간행물
Export Processing Zones
http://documents.wor[...]
World Bank
[9]
웹사이트
China vs. Mexico in the Global EPZ Industry: Maquiladoras, FDI Quality and Plant Mortality
http://ea.panam.edu/[...]
University of Texas Pan America
2009-11-11
[10]
웹사이트
Zonas de Processamento de Exportação
http://www.mdic.gov.[...]
2020-02-28
[11]
웹사이트
The Free Trade Zones in Brazil
https://tax.thomsonr[...]
2020-02-28
[12]
웹사이트
Export Processing Zones (EPZ)
http://www.mdic.gov.[...]
2020-02-28
[13]
웹사이트
Compare
http://www.jp.yusen-[...]
Yusen Logistics Co., Ltd.
2014-05-09
[14]
웹사이트
Welcome to Shannon Development
http://www.shannonde[...]
2010-11-11
[15]
웹사이트
Syria, Jordan open a free trade zone
http://www.hurriyetd[...]
2017-01-06
[16]
웹사이트
Foreign-Trade Zone Alternative Site Framework (ASF)
http://www.ftzcorp.c[...]
Foreign Trade Zone Corporation
2013-04-01
[17]
웹사이트
81b. Establishment of zones
http://ia.ita.doc.go[...]
2013-04-10
[18]
웹사이트
Corporate tax (CT)
https://u.ae/en/info[...]
[19]
웹사이트
The UAE introduces its first-ever corporate taxes, set to start in 2023
https://www.cnbc.com[...]
2022-01-31
[20]
웹사이트
Kuwait's government cancels adopted Free Trade Zone decision
https://www.zawya.co[...]
[21]
웹사이트
Supply Chain Digest - The best i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news, insight, education, opinion and education
https://www.scdigest[...]
2023-10-31
[22]
서적
The Politics of Globalization: A Reader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3]
서적
No Logo
Flamingo
[24]
서적
貿易用語辞典
白桃書房
[25]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2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7]
서적
基本流通用語辞典
白桃書房
[28]
서적
貿易・為替小辞典
有斐閣
[29]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30]
웹사이트
http://www.bjfez.go.[...]
[31]
웹사이트
http://www.gfez.go.k[...]
[32]
웹사이트
http://www.ifez.go.k[...]
[3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yesfez.go[...]
2016-05-12
[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dgfez.go.[...]
2009-10-19
[35]
웹사이트
http://www.efez.go.k[...]
[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2-15
[3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