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글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 장구로, 이누이트와 유픽족이 광각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최초로 사용했다. 20세기 초에는 자동차 운전자와 조종사들이 먼지, 바람, 충돌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고글을 착용했고, 이후 스키, 수영, 산업 현장, 의료,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용도에 맞게 사용된다. 최근에는 패션 아이템, 서바이벌 게임 장비 등으로도 활용되며, VR/AR 헤드셋도 고글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영 장비 - 수영모
수영모는 수영 중 머리카락 보호와 수영장 위생 유지를 위해 착용하는 모자로,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 수영장에서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안전 확보 및 식별을 위해 활용된다. - 수영 장비 - 스노클
스노클은 수영이나 스노클링 시 물속에서 얼굴을 담근 채 호흡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로, 튜브 형태의 분리형과 마스크 일체형이 있으며, 밸브 유무에 따라 종류가 나뉘고 여러 수중 활동에 사용되므로 사용 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안과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안과 - 백내장
백내장은 노화, 외상, 방사선, 특정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 저하, 흐릿한 시야, 눈부심, 왜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현재 유일한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다.
| 고글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종류 | 보호 안경 |
| 용도 | 눈 보호 눈의 안전 확보 |
| 특징 | 눈 주위 밀착 안경 전체를 감싸는 형태 |
| 형태 및 디자인 | |
| 렌즈 | 단일 렌즈 복수 렌즈 |
| 재질 | 플라스틱 고무 금속 |
| 렌즈 처리 | 김서림 방지 긁힘 방지 자외선 차단 반사 방지 |
| 사용 분야 | |
| 스포츠 | 수영 스키 스노보드 사이클 모터사이클 |
| 작업 환경 | 용접 화학 실험 건설 현장 의료 |
| 기타 | 군사 오토바이 파일럿 |
| 관련 용어 | |
| 다른 보호 장비 | 보안경 보안면 |
| 역사 | |
| 초기 형태 | 에스키모의 뼈 또는 나무 고글 인도의 유리 및 금속 고글 |
| 발전 과정 | 19세기 후반, 산업용 및 스포츠용으로 대중화 20세기, 플라스틱 소재 및 다양한 디자인 개발 |
2. 역사
이누이트와 유픽족은 광각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스노 고글스를 만들었다. 이누이트족은 눈병을 예방하기 위해 카리부의 뿔이나 표류목 등으로 차광기(눈용 고글)를 만들었는데, 긴 틈을 만들어 적은 양의 빛을 들여오고 자외선을 줄이는 방식이었다. 차광기는 착용자의 얼굴에 맞도록 굽어 있었고, 코에 맞춰 뒤쪽에 큰 홈이 파여 있었으며, 카리부의 힘줄로 만든 끈으로 머리에 고정했다.[13]
1875년, 매슈 웹은 영국 해협을 처음으로 횡단하려는 시도에서 밀착되지 않는 형태의 고글(그는 이를 "따개비(barnacles)"라고 불렀다)을 사용하려 했다. 이는 짠물이 튀는 것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2]
2. 1. 초기 역사
이누이트와 유픽족은 광각막염 예방을 위해 스노 고글스를 만들었다. 이들은 순록의 뿔, 나무, 조개껍질 등으로 눈 보호대를 만들어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곡선 형태로 제작하고, 코를 위한 큰 홈을 뒤쪽에 파서 만들었다. 또한 얇고 긴 슬릿을 통해 소량의 빛만 통과시켜 자외선을 줄였다. 이 눈 보호대는 순록의 힘줄로 만든 끈으로 머리에 고정했다.[13]20세기 초, 자동차 운전자들은 먼지나 바람으로 인한 눈의 자극을 방지하기 위해 고글을 착용했다.[1] 1903년 비행기 발명 후 10년 동안, 고글은 항공기 속도 증가에 따른 강한 바람과 고고도에서의 벌레 충돌(bugstrikes)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품이 되었다. 최초로 고글을 착용한 조종사는 1903년 새뮤얼 랭글리의 에어로드롬 비행에 실패한 찰스 먼리로 추정된다.[14]
1875년, 매슈 웹은 영국 해협을 처음으로 횡단하려는 시도에서 밀착되지 않는 형태의 고글(그는 이를 "따개비(barnacles)"라고 불렀다)을 사용하려 했다. 이는 짠물이 튀는 것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2]
2. 2. 20세기 이후
20세기 초, 자동차 운전자들은 먼지나 바람으로 인한 눈의 자극을 방지하기 위해 고글을 착용했다.[1] 1903년 비행기 발명 후 10년 동안, 고글은 항공기 속도 증가에 따른 강한 바람과 고고도에서의 곤충 충돌(bugstrikes)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품이 되었다. 최초로 고글을 착용한 조종사는 아마도 1903년 새뮤얼 랭글리의 에어로드롬을 비행하려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찰스 맨리였을 것이다.[14]3. 용도별 고글
고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추운 날씨: 대부분의 현대식 방한 고글은 김서림 방지 처리가 된 렌즈를 사용하거나, 내부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를 두 겹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중 렌즈는 안쪽 렌즈는 따뜻하게, 바깥쪽 렌즈는 차갑게 유지하여 김서림을 방지한다. 제대로 제작되고 유지 관리된 이중 렌즈는 수증기가 렌즈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성이 있어야 한다.
- 전동 공구: 금속, 나무, 플라스틱, 콘크리트 조각 등이 눈에 부딪히거나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깨지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글 내부에 땀이 차서 표면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풍구가 있다.
- 용접 고글: 토치를 사용하거나 근처에서 사용할 때 눈부심과 튀는 불꽃, 뜨거운 금속 파편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아크 용접에는 적합한 필터가 아니다.
- 용접 고글: 용접 또는 절단 중 눈 보호를 위한 모든 고글을 포함한다. 이는 파편, 용접 열, 그리고 적절한 필터를 사용할 경우 용접으로 인한 광학 방사선(그렇지 않으면 아크 눈병을 유발할 수 있음)으로부터 보호한다.
- 실험실 및 연구: 내충격성과 측면 보호대를 결합하여 화학 물질이 눈에 튀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저 보호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는 EN 207(유럽) 및 ANSI Z 136(미국)에서 다룬다. 적응 고글이 이에 해당한다.
- 천문학 및 기상학: 밤에 밖으로 나가기 전에 암순응 고글을 사용하여 눈이 어둠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 가상 현실: 가끔 "고글"이라고 불리는 가상 현실 헤드셋은 컴퓨터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시각 인터페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실제 환경의 3차원 표현으로 정보를 표시한다.
- 술에 취함: 특히 알코올과 같은 향정신성 약물의 시각 변화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설계된 고글이다. 치명적인 시야 고글이 그 예이다. 치명적인 시야 고글 사용이 나중에 음주 운전에 참여할 가능성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는 없다.[10][11]
- 서바이벌 게임: ASGK 규격에 준거하는 것은 운동 에너지 1.2J까지의 BB탄의 직격에 견딜 수 있다.
- 기타: 이누이트족이 눈실명을 예방하기 위해 순록의 뿔, 나무 등으로 만든 눈 보호 고글[1], 1875년 매슈 웹이 영국 해협 횡단 시 짠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 고글[2],
3. 1. 스포츠용
스포츠용 고글은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서 눈을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영: 바닷물이나 수영장의 염소 처리된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물속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수영용 고글은 방수 기능이 있어야 하며, 수압 때문에 얼굴에 꽉 눌리는 형태이다. 스웨덴 고글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공공 수영장에서는 파손 시 유리 조각의 위험 때문에 마스크 착용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유리 재질이 아닌 고글이 등장하고, 소독제 및 감염 예방 효과가 있어 경영 경기 규칙에서도 사용이 허용되었다.
- 경영 경기: 야외에서는 짙은 색, 연습 집중을 위해 시야가 좁은 것, 다른 선수 확인을 위해 시야가 넓은 것,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아이컵이 작은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 아티스틱 수영, 다이빙, 수구: 연습 중 자세 확인 및 선수 간 동조성 확인을 위해 사용된다.
- 오픈워터 수영: 바닷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된다.
- 모터사이클: 곤충, 먼지, 흙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헬멧에 윈드실드가 장착된 경우가 많아 고글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윈드실드가 없는 헬멧의 경우 여전히 사용된다. 헬멧 위에 착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스트랩이 길게 제작된다.
- 오프로드 주행용: 앞 차량이 튀기는 진흙이나 물로부터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티어오프 필름'''(tear-off film) 방식이나 '''롤오프 필름'''(roll-off film) 방식이 사용된다. 코와 뺨을 덮는 마스크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제품도 있다.
- 스키·스노보드: 바람, 찬 공기, 얼음 조각, 나뭇가지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선글라스처럼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중 렌즈 구조를 통해 김서림을 방지한다. 로버트 얼 "밥" 스미스(Robert Earl "Bob" Smith)가 이중 렌즈 안티포그 스키 고글을 발명하여 특허를 받았다.[3][4][5]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비율은 가시광선 투과율(VLT) 또는 S 값으로 나타낸다.[6] 스키용과 스노보드용은 기능적 차이는 없고 외관 디자인만 다르다. 경기용 고글은 헬멧에 장착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프레임 외형이 헬멧의 개구부와 잘 맞도록 되어 있다.
- 라켓볼: 밀폐된 공간에서 스윙하는 라켓과 단단한 고무 공의 충격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 농구: 카림 압둘자바르, 제임스 워시 등 여러 NBA 선수들이 경기 중 고글을 착용했다. 농구공을 잡으려고 할 때 다른 선수가 눈을 긁거나 치는 것을 방지한다. 폴리카보네이트 렌즈가 장착되어 내충격성을 보장한다.
- 게일식 핸드볼 및 스쿼시: 공에 의한 눈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글을 착용한다. 이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공은 안와보다 작아서 안구에 직접 부딪힐 수 있다.[7][8][9]
3. 2. 산업용
작업용 고글은 금속이나 목재 등의 재료를 가공할 때 튀는 절삭편(절삭분)이나 에어ダ스터로 날린 먼지, 잡초 관리기로 인해 튀는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못박이기(공기압으로 못을 박는 도구) 등을 사용하는 작업 중 실수로 인한 눈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유해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이나 농약 살포, 도장 작업 등에서는 약품, 농약, 페인트 등의 비말이나 안개가 눈의 점막에 닿지 않도록 사용된다.일본에서는 '''보호 안경'''이라고도 불리며, 산업안전보건법에 사용해야 하는 작업이 규정되어 있다. 비슷한 목적으로 고글 형태가 아닌, 안경처럼 다리로 귀에 거는 것, 렌즈 부분만 클립으로
용접 작업에서는 열이나 전기로 인해 발생하는 강한 빛이 직접 눈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빛을 크게 차단하는 렌즈를 장착한 고글을 사용한다. 특히 아크 용접 시 발생하는 강력한 자외선이나 레이저 용접에 사용하는 레이저 광선은 망막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높으므로, 가스 용접용보다 높은 차광 성능을 가진 고글을 사용한다. 차광 성능이 높은 것은 시야도 가리기 때문에, 경첩으로 렌즈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작업 시에만 눈앞을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외부 빛의 세기에 따라 자동으로 렌즈의 차광 능력이 바뀌는 제품도 있으며, 아크 광을 감지하면 수천분의 1초의 속도로 전환된다. 스파터(불꽃 모양의 재료 조각)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용접면에서는, 시야 부분이 차광 렌즈로 되어 있다.
제철소에서는 용융된 금속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원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줄이기 위한 고글이 사용된다.


3. 3. 의료용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고글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수술 등 혈액이 튀는 시술을 할 때 시술자나 조수, 간호사 등이 착용하는 고글이다. 이는 환자의 혈액이 안구에 튀어 혈액을 매개로 한 감염병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확대경이 부착된 것도 있다. "페이스 실드"라고도 불린다.
또 다른 하나는 X선을 사용하는 시술에 사용하는 방호 고글이다. 납이 함유된 아크릴로 만들어져 있으며, 혈관조영술, CT 촬영 시술, 투시하 정복, 핵의학 검사 등에서 시술자나 보조자의 수정체의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이것은 "방호 안경"이라고도 불린다.
3. 4. 군사용
1900년대 초 항공기의 조종사들은 조종석이 밀폐되지 않은 기체에서 바람으로 눈을 뜨기 어렵고, 벌레나 이물질이 충돌하기 쉬워 고글을 필수 장비로 사용했다.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렌즈가 큰 것이 특징이며, 유리에 색을 입혀 선글라스 기능을 부여한 것도 있었다. 정비사나 통신병 등도 고글을 사용했다. 일본에서는 '''항공안경'''(航空眼鏡)이라고도 불렸다.[1]풍방으로 덮인 설계가 일반화된 이후에는 선글라스를 대체하여, 헬멧을 착용하는 전투기 등에서는 일체형 바이저를 사용하게 되었다. 고글은 조종석이 밀폐되지 않은 구식 항공기나 곡예 비행용 소형기에서 사용된다.
육해군 항공부대에서는 종래 전차안경(전차병용 방진 안경)이나 민간품, 수입품이 혼용되었지만, 1937년에 고토(예비역 육군 대좌)가 고안한 본 제품이 채택되었다. 몇 안 되는 육해군 공통 장비이며, 그 형태 때문에 「독수리의 눈 형태」라고도 불렸다
thumb
낙하산 강하 부대 등에서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고글이 사용되어 왔지만, 보병 장비의 현대화에 따라 군용 고글도 보급되고 있다. 외관은 스키용 고글과 비슷하지만, 전투 중에 튀는 진흙이나 모래는 물론, 폭풍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충격이나 파편의 충돌 등에 대해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조건이 된다. 사막 등 햇볕이 강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을 전제로 한 군대에서는 선글라스 기능을 하는 컬러 렌즈를 장착한 고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강도(산탄의 빗발치는 정도라면 상처가 날 뿐)와 함께, 군대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이미지 측면에서, 일반 판매용 모델이 유사총기점에 진열되거나, 서바이벌 게임을 다루는 잡지에 게재되고 있다.
3. 5. 기타
고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추운 날씨: 김서림 방지를 위해 이중 렌즈를 사용하거나 김서림 방지 처리가 된 렌즈를 사용한다. 이중 렌즈는 안쪽 렌즈는 따뜻하게, 바깥쪽 렌즈는 차갑게 유지하여 김서림을 방지한다.[3][4][5]
- 수영: 바닷물이나 수영장의 염소 처리된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물속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수압 때문에 깊은 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7][8][9] 스웨덴 고글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전동 공구: 금속, 나무 조각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깨지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통풍구가 있어 땀으로 인한 김서림을 방지한다.
- 용접: 눈부심, 불꽃, 뜨거운 금속 파편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아크 용접에는 적합한 필터가 필요하다.
- 오토바이 운전 및 기타 야외 활동: 곤충, 먼지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 실험실 및 연구: 화학 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레이저 보호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암순응 고글이 그 예시이다.
- 라켓볼: 라켓과 공의 충격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 겨울 스포츠: 눈부심과 얼음 조각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이중 렌즈 안티포그 스키 고글은 Robert Earl "Bob" Smith가 발명했다. 가시광선 투과율(VLT)은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비율을 나타낸다.[6]
- 천문학 및 기상학: 암순응 고글을 사용하여 눈이 어둠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 농구: 카림 압둘자바르, 제임스 워시 등 여러 NBA 선수들이 착용했으며, 다른 선수의 손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 게일식 핸드볼 및 스쿼시: 공에 의한 눈 부상을 방지한다.
- 항공: 개방형 조종석 항공기에서 바람으로부터 눈을 보호한다. AN-6530 고글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가상 현실: 컴퓨터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랩어라운드 시각 인터페이스이다.
- 알코올 중독 체험: 향정신성 약물의 시각 변화 효과를 시뮬레이션한다. 치명적인 시야(고글)이 그 예시이다.
최근 오토바이 헬멧에는 윈드실드가 장착된 경우가 많지만, 윈드실드가 없는 헬멧에는 고글이 사용된다. 오프로드 주행용 고글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1900년대 초 항공기 조종사가 사용했으며, 조종석이 밀폐되지 않은 기체에서는 필수적인 장비였다.
경영 경기에서는 야외, 시야, 물의 저항 등 다양한 환경과 목적에 맞는 고글을 사용한다.
스키·스노보드용 고글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추운 환경에서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통풍구나 이중 렌즈를 사용한다.
thumb
군용 고글은 전투 중 튀는 파편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며, 사막 등 햇볕이 강한 지역에서는 선글라스 기능을 하는 컬러 렌즈를 사용하기도 한다.
4. 패션
고글은 특정 하위 문화, 특히 사이버고스(cybergoth) 하위 문화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자주 착용된다. 보통 눈 위나 이마에 착용하여 '폴스(falls)': 길고, 종종 밝은 색상의 합성 가발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스팀펑크 장르 또는 하위 문화 팬들도, 특히 실사 역할극을 할 때 스팀펑크 스타일의 고글을 자주 착용한다.
고글은 또한 애니메이션과 만화 캐릭터들이 패션 아이템으로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디지몬'' 애니메이션에서 팀 리더 캐릭터들의 특징적인 아이템이다. 고글을 착용하는 다른 주목할 만한 캐릭터로는 나루토의 우즈마키 나루토와 코노하마루, ''데스노트''의 맷(Matt), 그리고 ''원피스''의 우솝(Usopp)이 있다.
5. 서바이벌 게임용
서바이벌 게임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ASGK 규격에 준거하는 것은 운동 에너지 1.2J까지의 BB탄 직격에 견딜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등 투명하고 강도가 높은 수지로 만든 클리어 실드나, 그것에 색을 입힌 것, 눈이 고운 금속망을 친 망사(메시) 실드 등이 있다. 간소한 구조로 저렴한 것부터, 뺨과 입가를 보호하는 페이스 가드가 연결된 것, 김서림 방지용 소형 전동 환풍기를 갖춘 고급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수지 제품은 투명한 소재가 눈앞을 빈틈없이 덮기 때문에 모래나 물, 부서진 BB탄 파편 등 미세한 것도 방어할 수 있으며, 시각에 미치는 영향도 적다. 하지만 단단한 것과 접촉하면 흠집이 생기기 쉽고, 내부에 습기가 차면 김이 서리며, 극단적인 저온에서 사용하거나 열화되면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금속망 제품은 습기로 김이 서리는 일이 없고, 흠집이나 기온 변화 등에도 강하지만, 미세한 비산물이 망사를 통과할 위험성이 있으며, 눈앞에 금속망이 있기 때문에 시야가 다소 어두워진다.
고글과 페이스 가드를 일체화하여 보호판이 두정부나 후두부까지 덮는 헬멧 형태의 것도 있다. 이것들은 미국의 페인트볼 게임용 방구를 응용한 것으로, 액체가 들어있는 볼을 서로 쏘는 경기이기 때문에 메시 타입은 없다.
참조
[1]
서적
Motors and Motor-driving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2]
서적
The Channel Feats of Captain Webb and Captain Boyton
Dean & Son
[3]
웹사이트
Ski goggle pioneer Bob Smith dies
https://www.foxsport[...]
2012-04-27
[4]
특허
Goggle with a renewable protective surface
[5]
특허
Goggle with a renewable protective surface
[6]
웹사이트
Sport Conrad
https://www.sport-co[...]
[7]
웹사이트
Best Squash Goggles
https://theracketlif[...]
2022-12-28
[8]
웹사이트
Sports injuries: 'I never saw it coming' - Optician
https://www.optician[...]
[9]
웹사이트
Epidemiology of Injury in Gaelic Handball – Irish Medical Journal
https://imj.ie/epide[...]
[10]
학술지
Substance use: Are specialized goggles effective at preventing impaired driving
2020
[11]
학술지
Examining the effects of fatal vision goggles on changing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drinking and driving
2005
[12]
서적
Professional Care of the Racehorse, Revised Edition: A Guide to Grooming, Feeding, and Handling the Equine Athlete
Blood Horse Publications
[13]
웹사이트
Inuit Snow Goggles
https://web.archive.[...]
바쿠버 해양 박물관
[14]
서적
Motors and Motor-driving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15]
서적
Motors and Motor-driving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