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노에 모토자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노에 모토자네는 1143년에 태어나 1166년에 사망한 일본 헤이안 시대 후기의 귀족이다. 그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의 아들이자,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사위로, 1158년 16세의 나이로 섭정 및 관백에 임명되었다. 이후 좌대신을 거쳐 1165년에는 섭정이 되었으나, 24세의 젊은 나이에 이질로 사망했다. 그는 타이라노 모리코와의 정략 결혼을 통해 헤이시 정권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6년 사망 - 이드리시
    알 이드리시는 중세 무슬림 세계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시칠리아 루지에로 2세의 궁정에서 《루지에로의 책》으로 알려진 세계 지도와 지리서를 제작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니조 천황 - 헤이지의 난
    헤이지의 난은 1160년 일본에서 발생한 내란으로, 후지와라 노 미치노리의 독단적인 정치와 미나모토 씨의 불만, 니조 친정파와 고시라카와 상황의 대립을 배경으로 후지와라 노 노부요리와 미나모토 노 요시토모의 반란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이라 노 키요모리의 반격으로 헤이케가 권력을 장악하며 겐페이 전쟁과 가마쿠라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 니조 천황 - 후지와라노 마사루코
    후지와라노 마사루코는 헤이안 시대 고노에 천황의 황후였으나 사별 후 니조 천황의 황후가 되어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천황의 비가 된 여성으로,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일본의 마지막 태황태후이다.
  • 1143년 출생 - 발리앙 디블랭
    발리앙 디블랭은 12세기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으로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아모리 1세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나블루스 영지를 받았으며, 보두앵 4세와 5세의 섭정을 지지하고 예루살렘 방어에 힘쓰다 1193년에 사망했다.
  • 1143년 출생 - 니조 천황
    니조 천황은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헤이지의 난을 겪으며 상황과의 정치적 대립 속에서 친정을 시도했으나 요절한 일본의 제78대 천황이다.
고노에 모토자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노에 모토자네
고노에 모토자네
이름고노에 모토자네
한자 표기近衛 基実
출생1143년
사망1166년 8월 23일
국적일본
직업구교
활동 기간알 수 없음
알려진 업적알 수 없음
별칭로쿠조도노(六条殿)
우메즈도노(梅津殿)
주덴(中殿)
관위
최종 관위정2위, 섭정, 관백, 좌대신
사후 증위정1위, 태정대신
가계
씨족후지와라 북가미도류고노에 가문
아버지후지와라노 다다미치
어머니미나모토노 구니자네의 딸 미나모토노 노부코
형제자매에신
가쿠추
기요코(스토쿠 천황 중궁)
고노에 모토자네
마쓰도노 모토후사
무네코(니조 천황 중궁)
구조 가네자네
손추
도엔
신엔
후지와라노 가네후사
지엔
사이추
양자데이시(후지와라노 고레미치의 딸)
배우자정실: 다이라노 모리코(다이라노 기요모리의 4녀)
후지와라노 다다타카의 딸
후지와라노 아키스케의 딸
미나모토노 모리쓰네의 딸
자녀모토미치
아와타구치 다다요시
미치코(다카쿠라 천황 비)
가쿠손
유카쿠
도칸
주요 직위
후지와라 씨장자1158년 ~ 1166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의 뒤를 이음, 마쓰도노 모토후사에게 인계)
고노에 가문 당주초대, 1162년 ~ 1166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로부터 계승, 고노에 모토미치에게 인계)
섭정 (인신섭정)1165년 ~ 1166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의 뒤를 이음, 마쓰도노 모토후사에게 인계)
관백1158년 ~ 1165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의 뒤를 이음)
기타 정보
모셨던 천황고시라카와 천황
니조 천황
로쿠조 천황

2. 생애와 경력

고노에 모토자네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의 아들로 태어나, 후지와라노 타다타카의 딸과 결혼했다가 이혼하고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 모리코와 재혼했다.[1] 16세에 니조 천황관백(천황을 보좌하는 최고 관직)이 되어 후지와라 씨의 수장이 되었으나, 로쿠조 천황의 섭정(어린 천황을 대신해 정치를 맡는 직책)이 된 지 1년 만인 24세에 훙거일본어했다.[1] 사인은 이질이었다.[11]

모토자네는 헤이지의 난 주모자의 친족과 결혼했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과 재혼하여 헤이케의 지원을 받으려 했다.[10]

그의 후손들은 고노에 씨를 이루어 5섭가(섭정관백을 맡을 수 있는 다섯 가문) 중 하나가 되었다.[1]

2. 1. 초기 생애

고노에 모토자네는 코지 2년(1143년)에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의 아들로 태어났다. 오랫동안 후계자가 될 아들을 얻지 못했던 타다미치는 20세 이상 차이 나는 남동생 요리나가유시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겉으로는 환영받지 못하는 출생이었다.[2]

그러나 이듬해 모친인 미나모토노 신시의 친가에서 고요인으로 옮겨졌고, 큐안 원년(1145년) 정월 재병 의식에서 타다미치의 사실상 후계자로 공개되었다. 고요인은 타다미치·요리나가의 누나 후지와라노 야스코 (여원호: 고요인, 토바 상황 황후)의 거처였고, 야스코가 요리나가를 비호했던 사실 관계를 고려하면, 오히려 야스코·요리나가 측이 타다미치에게 요리나가의 친자 카네나가를 양자로 삼도록 요구하고, 대신 폐적될 기실은 야스코의 양자로 하여 그 소령을 계승시키려 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도 있다. (『다이기』는 큐안 원년 재병에 타다미치는 참석하지 않았다고 기록한다)[2][3] 그 후, 타다미치와 카네나가의 혼인은 큐안 4년(1148년)에 해소되고, 기실이 타다미치의 후계자로 정해졌다.[4]

큐안 6년(1150년), 8세가 된 기실의 원복과 서위가 결정되었지만, 9월에 아버지 타다미치는 후계자 문제를 둘러싸고 타다미치의 아버지인 후지와라노 타다자네로부터 의절당하여 후지와라 씨 장자 지위도 빼앗겨 실각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그 때문에 여러 구니 수령의 협력을 얻지 못하고 12월 25일에 실시된 원복 의식에서는 향연을 열 수 없었고, 원복 당일에 행해져야 할 정5위하 사콘에쇼쇼로의 서임도 30일까지 연기되었다.[2] 기실은 불과 10세에 종3위에 서임되었지만, 요리나가의 아이들에 비하면 승진은 대폭 늦어졌고, 섭관가 계승에 필수적인 경력으로 여겨지는 코노에츄조 임관은 종3위가 된 이후였으며(섭관가 적자는 통상 5위에서 임관), 코노에 다이쇼에는 끝내 임명되지 못했다.[5]

그러나 코노에 천황이 붕어한 후 타다미치의 후원으로 고시라카와 천황이 즉위하자, 아버지와 천황의 후원으로 곤츄나곤·곤다이나곤을 거쳐, 호겐 2년(1157년)에는 쇼니이 우다이신에 서임되었다. 이 사이 호겐의 난에서는 아버지와 함께 천황을 측근에서 보좌했고, 토산조덴 행행 때 켄지를 받들었다.[6]

2. 2. 관직 진출과 승진

고노에 모토자네는 1150년, 8세에 원복(어른이 되는 의식)을 치르고 종5위하에 임명되었다.[2] 이후 좌근위소장(천황을 가까이서 모시는 무관직), 좌근위중장 등의 관직을 거치며 순조롭게 승진했다.[5]

1157년에는 우다이진에 임명되었다.[6] 1158년, 니조 천황관백(천황을 보좌하는 최고 관직)에 취임하고 후지와라 씨의 우두머리인 후지와라 씨 장자가 되었다.[7] 1160년에는 사다이진으로 승진했다. 1165년에는 로쿠조 천황의 섭정(어린 천황을 대신해 정치를 맡는 직책)이 되었다.[11]

다음은 고노에 모토자네의 관직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날짜관직 및 기타 사항
큐안 6년(1149년) 12월 25일원복하여 종5위하에 서임. 좌근위소장에 임관. 승전·금색을 허락받음.
큐안 7년(1150년) 1월 6일종4위하로 승진, 좌근위소장 유지.
닌페이 원년(1151년) 2월 2일정4위하로 승진, 좌근위소장·오미노카미 유지.
닌페이 2년(1152년) 3월 8일종3위로 승진, 좌근위소장 유지.
닌페이 2년(1152년) 9월 9일좌근위중장으로 전임.
닌페이 3년(1153년) 1월 7일정3위로 승진, 좌근위중장 유지.
닌페이 3년(1153년) 1월 21일하리마곤노카미 겸임.
닌페이 4년(1154년) 1월 27일곤노츄나곤으로 전임, 사에몬노카미 겸임.
큐주 원년(1155년) 9월 13일곤노다이나곤으로 전임, 좌에몬노카미 유지.
큐주 원년(1155년) 9월 17일종2위로 승진, 곤노다이나곤·좌에몬노카미 유지.
큐주 원년(1155년) 10월 28일다치바나 씨 장자 선하(후지와라 씨가 선하를 받는 예).
호겐 2년(1157년) 1월 24일정2위로 승진, 곤노다이나곤·좌에몬노카미 유지.
호겐 2년(1157년) 8월 19일우대신으로 전임.
호겐 2년(1157년) 12월 17일모리히토 친왕의 토구후 겸임.
호겐 3년(1158년) 8월 11일관백 선하, 후지와라 씨 장자 선하, 우대신 유지. 열좌는 종1위 태정대신·후지와라 무네스케, 정2위 좌대신·후지와라 코레미치에 이은 좌석 순서 (일좌는 되지 않음).
헤이지 2년(1160년) 8월 11일좌대신으로 전임, 관백·후지와라 씨 장자 유지. 열좌는 정2위 수태정대신·후지와라 코레미치의 다음 좌석.
쵸칸 2년(1164년) 윤10월 7일좌대신 사임.
쵸칸 3년(1165년) 2월 3일후지와라 코레미치의 사망으로 일좌가 됨.
쵸칸 3년(1165년) 6월 25일관백을 그만두고, 섭정 선하.
에이만 2년(1166년) 7월 26일사망. 향년 24세.
에이만 2년(1166년) 8월 12일정1위태정대신 추증.


2. 3. 정략 결혼과 헤이시 정권과의 관계

고노에 모토자네는 후지와라노 타다타카의 딸과 결혼했다가 이혼한 후,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넷째 딸인 모리코와 재혼했다.[1] 첫 부인의 형제는 헤이지의 난의 주모자 후지와라노 노부요리였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어려운 입장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쵸칸 2년(1164년),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 모리코와 결혼하여 헤이케 일문을 배경으로 얻으려 했다.[10]

2. 4. 사망

1166년, 24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훙거일본어)했다. 사인은 이질로 알려져 있다.[11] 사후 쇼이치이(정1위) 다이죠다이진(태정대신)이 추증되었다.

3.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후지와라노 타다미치
어머니미나모토노 쿠니자네의 딸
정실타이라노 모리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
후지와라노 타다타카의 딸
장남고노에 모토미치 (1160년 ~ 1233년)
후지와라노 아키스케의 딸
차남아와타구치 타다요시 (1164년 ~ 1225년)
고노에 미치코 (1163년 출생) - 다카쿠라 천황과 결혼
미나모토노 모리츠네의 딸
아들覚尊
생모 불명의 자녀祐覚
생모 불명의 자녀道鑑


4. 평가 및 영향

고노에 모토자네는 섭관 정치의 중요한 시기에 활동한 인물로, 헤이시 정권과의 관계를 통해 가문의 기반을 다졌다. 그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딸 모리코와 결혼하여 헤이케 일문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는 이후 고노에 가문이 5섭가(五摂家) 중 하나로 번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모토자네는 젊은 나이에 관백(칸파쿠)과 섭정(셋쇼)을 역임했지만, 24세의 이른 나이에 사망했다.[1] 그의 이른 죽음은 섭관 정치의 권력 구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마츠도노 모토후사, 쿠죠 카네자네 등의 형제들 간 권력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특히 모토자네는 모토후사를 경계하여 그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다고 한다.[9]

모토자네 사후, 그의 아들 모토미치는 모리코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계승하였고,[12] 고노에 가문은 5섭가 중 하나로 지속되었다.[1]

5. 관련 작품

; 텔레비전 드라마


  • 풀이 타오르다(1979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쓰루오카 오사무)
  • 타이라노 키요모리(2012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무라스키 세미노스케)

5. 1. 텔레비전 드라마


  • 풀이 타오르다(1979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쓰루오카 오사무)
  • 타이라노 키요모리(2012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무라스키 세미노스케)

  • --


(최종 검토)

1. 필수 준수 사항:

  • 위키 텍스트 형식 준수: 허용된 문법(내부 링크) 사용.
  • 평어체: 평어체 사용.
  • 본문만 출력: 본문만 출력됨.
  • 한국어: 한국어 사용.
  • 정치적 성향: 해당 사항 없음.


2. 세부 지침:

  • 자료 분석 및 정보 추출: `source` 내용만 사용.
  • 중복 내용 정리: 중복 없음.
  • 맞춤법: 맞춤법 오류 없음.


3. 허용된 문법 오류:

  • 템플릿 처리: 해당 사항 없음.
  • 표(Table): 해당 사항 없음.
  • 이미지 갤러리: 해당 사항 없음.


4. 기타: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번역 오류, 과도한 한자 사용, 잘못된 영어식 표현 없음.

최종 결과물은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합니다.

참조

[1] 서적 姓氏家系大辞典 第2巻 角川書店 1934
[2] 문서 樋口、2018年、P168-170
[3] 서적 摂関家九条流の形成と女院 吉川弘文館 2018
[4] 문서 樋口、2018年、P170
[5] 문서 樋口、2018年、P170-171
[6] 문서 樋口、2018年、P171-174
[7] 문서 樋口、2018年、P176-178
[8] 문서 樋口、2018年、P178-179
[9] 서적 家領の相続に見る九条家 校倉書房 2006
[10] 문서 樋口、2018年、P179-180
[11] 문서 樋口、2018年、P180
[12] 문서 樋口、2018年、P180-1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