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도칸 (미토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도칸은 1841년 미토번의 제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에 의해 미토 성 산노마루에 설립된 번교이다. 무술과 문과, 자연과학 등 광범위한 학문을 교육하고 미토 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메이지 유신 시기에는 개혁파와 보수파 간의 다툼의 무대가 되었고, 1872년 폐쇄된 후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현재는 국가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정문, 정청, 지선당 등이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의 중요문화재 - 가시마 신궁
    가시마 신궁은 다케미카즈치노오오카미를 모시는 이바라키현 가시마시의 신궁으로, 고대부터 조정과 후지와라 씨의 숭배를 받았으며 가토리 신궁과 함께 군사적·교통상 요충지로 중시되어 왔고, 에도 시대 도쿠가와 쇼군가의 재건과 더불어 중요 문화재와 사적, 천연기념물, 요석, 미타라이케 등이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
  • 이바라키현의 중요문화재 - 쓰쿠바 산신사
    쓰쿠바 산신사는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 있는 신사로, 쓰쿠바산을 신앙 대상으로 하며, 과거 불교와 융합되었다가 신불분리령으로 재건되었고, 덴구토의 난의 거병 장소였으며, 어좌 교체제 등의 행사가 있다.
  • 이바라키현의 국가지정사적 - 가시마 신궁
    가시마 신궁은 다케미카즈치노오오카미를 모시는 이바라키현 가시마시의 신궁으로, 고대부터 조정과 후지와라 씨의 숭배를 받았으며 가토리 신궁과 함께 군사적·교통상 요충지로 중시되어 왔고, 에도 시대 도쿠가와 쇼군가의 재건과 더불어 중요 문화재와 사적, 천연기념물, 요석, 미타라이케 등이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
  • 이바라키현의 국가지정사적 - 가이라쿠엔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백성들과 함께 즐기기 위해 1842년 개원한 가이라쿠엔은 미토시에 위치하며 겐로쿠엔, 고라쿠엔과 함께 일본 3대 정원으로 꼽히고 매화로 특히 유명하여 미토 매화 축제가 개최되는 에도시대 조성된 정원이다.
  • 번교 - 메이린칸
    메이린칸은 1718년 하기성에 설립된 에도 시대 조슈번의 번교로, 야마구치에도 분립되어 운영되었으며,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배출했고, 현재 하기 메이린칸 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번교 - 닛신칸 (쓰시마 후추번)
    닛신칸은 오우라 노리노스케의 건의로 설립된 쓰시마 후추번의 학교로, 존왕양이파의 거점이 되었으나 가쓰이 소동으로 폐지되었다.
고도칸 (미토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고도칸 (미토)
원어 이름弘道館 (こうどうかん)
로마자 표기Kōdōkan
위치일본 이바라키현 미토시 산노마루 1-6-29
지정국가지정 특별 사적
건축 양식
건축 양식쇼인즈쿠리
역사
개관1841년
설립자도쿠가와 나리아키
기타
웹사이트미토시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1841년 7월에 완공되어 9월 15일에 임시 개관하였고, 1857년 5월 31일에 정식 개관하였다. 메이지 유신 시기 미토번 내 개혁파(덴구당)와 보수파(쇼세이당) 간의 갈등 속에서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1868년 아이즈 전쟁에서 패주한 쇼세이당이 고도칸에 농성하며 전투가 벌어져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 1872년 12월 8일 폐쇄 후 부지는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 1. 설립 배경

1841년 도쿠가와 나리아키미토번의 번교로 미토 성 삼노마루에 설립하였다.[2][3] 이전에는 중신들의 저택 부지였다. 아이자와 세이시사이와 아오야마 츠다나사이가 초대 교수장으로 임명되었고, 도다추 다유가 건축을 담당했다. 학교 경영은 아지마 노부타츠가 맡았다. 후지타 도고가 초안한 건학 정신은 팔괘당의 ‘고도칸기’(弘道館記) 비문에 한문으로 새겨져 있다.

고도칸에서는 무술뿐만 아니라 문과, 일부 자연 과학을 포함한 광범위한 학문을 교육하고 연구했다. 도쿠가와 미쓰쿠니가 편찬을 시작한 《대일본사》의 영향을 받은 미토 학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당시 번교로서는 규모가 컸으며, 미토 번의 교육 정책을 엿볼 수 있다. 학문은 평생 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따라 졸업 개념을 두지 않고, 젊은이와 노인이 함께 공부했다.

입학 연령은 15세였지만, 학업 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모든 연령대가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5][6] 학생의 출석일수는 사회적 신분에 따라 달랐다.[17][18] 커리큘럼은 의학, 수학, 천문학, 유교, 역사, 음악, 무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5][6]

도쿠가와 나리아키존왕양이 사상을 가진 국가 신도의 영향을 받은 인물이었으며, 이는 메이지 유신의 기반이 되었다.[4]

2. 2. 교육 과정

덴포 12년(1841년) 9월 15일에 가개관한 고도칸은 제9대 미토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에 의해 설립되었다. 초대 교수 두취에는 아이자와 세이시사이와 아오야마 셋사이가 임명되었다.

고도칸에서는 무도 외에도 여러 과학과 학문이 교육 및 연구되었다. 학문 교육 및 연구는 당시 널리 행해지던 문과 계열 외에도 일부 자연과학에 대해서도 이루어졌다. 또한, 제2대 미토번주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편찬을 시작한 『대일본사』의 영향을 받은 미토학의 무대가 되었다.

당시 번교로서는 규모가 컸으며, 졸업 개념을 설정하지 않고 젊은이와 노인이 같은 장소에서 함께 배웠다. 번학 출석 강제 일수라는 형식적인 기준이 있었는데, 문관 입학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이 필요했지만, 무관 입학은 무시험이었다. 한편, 가문과 실력이 일치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가문에 따라 출석 일수 제한이 있었으며, 가문이 낮은 사람에게는 출석해야 할 일수가 적게 설정되었다.[17][18]

2. 3. 메이지 유신과 고도칸

메이지 유신 때, 미토번에서는 개혁파(덴구당)와 보수파(쇼세이당)가 격렬하게 다투었으며, 고도칸도 그 무대가 되었다.[17][18] 1868년 4월, 근신 중이던 도쿠가와 요시노부에도 개성 합의에 따라 미토로 옮겨져 고도칸 지선당에 들어갔다. 그러나 당시 미토번은 번주 도쿠가와 요시앗이 병사하여 번주가 부재한 혼란스러운 상태였고, 요시노부가 분쟁에 휘말릴 것을 우려하여 7월에 시즈오카로 옮겨졌다.

같은 해 11월 14일과 15일, 아이즈 전쟁에서 패주한 쇼세이당이 미토로 돌아와 고도칸에 농성했다. 미토 성에 들어간 본국사당과 덴구당 잔당들은 오테몬(大手門)을 사이에 두고 전투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문관, 무관, 의학관 등 많은 건물이 총포격으로 소실되었다(고도칸 전쟁).[19] 1872년 12월 8일, 고도칸은 폐쇄되었고, 부지는 태정관 포고에 따라 공원이 되었다.

고도칸 소장 자료 상당수는 국유화된 후 설립된 관립 미토 고등학교 (구제)로 이관되었으나, 1945년 8월 1일부터 2일 새벽까지 이어진 미토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나머지 장서는 고도칸의 전통을 잇고자 관계자들이 설립한 자강사(自彊舎)로 옮겨졌고, 이후 고도학사, 미토주쿠, 미토학원, 이바라키 중학교, 이바라키 고등학교를 거쳤다. 현재 약 1만 권 정도의 장서가 현존하며, 이바라키 현립 역사관이 위탁 관리하고 있다.

2. 4. 현대

1945년 8월 1일부터 2일 새벽에 걸친 미토 공습으로 국유화된 고도칸의 장서는 소실되었다. 기타 장서는 고도칸의 전통을 잇기 위해 관계자들이 만든 자강사에 인수되었고, 이후에는 고도학사, 미토주쿠, 미토학원, 이바라키 중학교, 이바라키 고등학교로 이어졌다. 현재 약 1만 권 정도의 장서가 현존하며, 이바라키 현립 역사관이 위탁을 받아 관리하고 있다.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뜻에 따라 설립 초기부터 많은 매화나무가 심어졌으며, 그 유래가 종매기(種梅記) 비문에 적혀 있다. 나리아키의 한시 ‘고도칸에 매화를 찬양함’에는 “천 그루의 매화가 있다”고 쓰여 있다. 현재 부지 흔적에는 매화나무 약 60종 800그루가 심어져 있어 매화의 명소가 되고 있다. 또한 고도칸과 마찬가지로 매화 명소인 가이라쿠엔은 고도칸에 필적하는 심신 휴양의 장소로서 대등하게 만들어졌다.[2]

고도칸은 1922년에 국가지정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1952년에는 특별 사적이 되었다. JR 동일본 조반선미토역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있다.[7]

일부 건물은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8]

현재 부지는 모두 도시공원법(쇼와 31년 법률 제79호)에 근거한 도시공원이며, 이바라키현 도시공원 조례(쇼와 32년 이바라키현 조례 제26호)에 따라 '''고도칸 공원'''(弘道館公園)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바라키현의 고도칸 사무소는 이바라키현 미토시 산노마루 1초메 6번 29호에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보존되어 있는 부분인 '''구 고도칸'''(旧弘道館)이며, 국가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중 정청, 지선당, 정문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부지 면적은 약 10m2로, 번교 부지로는 전국 최대 규모였다.[12]

"구 고도칸"의 건물에 대해서는 이바라키현 도시공원 조례에 따라 유료 공원 시설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람료를 받는다. 관람료 관리는 도시공원법에 규정된 공원 시설로서 지사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다. 문화재이기는 하지만, 박물관법에 따른 박물관(등록박물관), 박물관 상당 시설로는 지정되지 않았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중 『고도칸기』를 새긴 고도칸기 비석은 2013년에 복원이 완료되었는데, 그 당시 1953년 복원 시 본체 뒷면에 시공된 콘크리트가 제거되어 이전 모습으로 거의 복원되었다.[13]

2019년에는 북책 어문과 토루, 통로가 복원되어 12월 19일에 견학회가 열렸다.[14]

2015년 4월 24일에는 문화청에서 발표한 일본유산 "근세 일본의 교육 유산 - 배우는 마음, 예절의 근원 -"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미토 시내의 문화재 중 하나이다.[15][16]

3. 주요 건물 및 시설


  • '''중요 문화재 정문'''(正門): 1841년에 지어졌으며, 1868년 전투에서 생긴 총알 자국이 기둥에 남아있다.[9]
  • '''정청'''(正庁): 1841년에 지어진 고도칸의 행정 단지이다. 학습, 훈련 및 기숙사를 위한 4개의 기숙사로 구성된 '''분칸''', 검술 훈련장, 무술 훈련장이 포함되어 있다.[10]
  • '''지선당'''(至善堂): 1841년에 지어졌으며 본관 북동쪽에 위치한 4개의 방으로, 다이묘의 대기실과 그의 자녀들을 위한 학습 장소로 사용되었다.[11]
  • '''공자묘'''(孔子廟): 신유일치의 교리에 기초하여 1857년에 가시마 신사와 함께 건립되었다. 기와 지붕의 입모양 구조로 지붕에는 귀언두, 귀룡자를 설치했다. 1945년에 소실되어 1970년에 재건되었다.[23][24][25]
  • '''팔괘당'''(八卦堂): 『고도칸기』를 새긴 석비를 안치한 건물이다. 동판 지붕의 팔각당으로, 1945년에 소실되어 1953년에 재건되었다.
  • '''학생 경종'''(学生警鐘): 고도칸 내에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되었다. 종루는 공자묘 서쪽에 세워져 있다. 종의 뒷면에는 "배우는 사람들을 위해 맑게 새벽을 알리는 종소리"라는 사이쇼의 친필이 있다. 2009년 3월, 학생 경종의 보호를 위해 이바라키현이 복제품을 제작하여 실물은 고도칸 내에 전시했다.[26][27]
  • '''가시마 신사'''(鹿島神): 히타치국 이치노미야가시마 신궁에서 1857년에 분사되었다. 사당은 1945년의 공습으로 소실되어 1974년 이세 신궁의 식년 천궁 때 후우비노미야의 옛 건물을 양도받아 다음 해에 이전, 건립되었다.
  • '''종매기비'''(種梅記碑): 사이쇼의 자선 자필로, 가이라쿠엔이나 고도칸 등 미토에 많은 매화를 심은 유래를 기록한 것이다.[28] 매화를 감상하는 것 외에, 열매를 매실 장아찌로 만들어 전쟁에 활용하는 등의 목적 등이 기술되어 있다.[29] 높이 약 198cm, 폭 약 98cm, 두께 약 27cm의 반점으로,[30] 팔괘당 남쪽에 세워져 있다. 비석은 손상되어 윗부분이 풍화되어 글자를 읽을 수 없는 상태이다.[31] 탁본은 지선당에서 볼 수 있다.
  • '''고도칸기비'''(弘道館記碑): 사이쇼가 고도칸 건학의 정신을 기록한 『고도칸기』를 새긴 석비이다. 원내의 팔괘당 내에 설치되어 있다. 비는 높이 318cm, 폭 191cm, 두께 55cm의 거대한 한수석제로, 사이쇼 친필의 글을 새기고 있다. 팔괘당은 평소에는 닫혀 있어 비의 현물을 볼 수 없지만, 탁본을 고도칸의 정청 정석의 방에서 볼 수 있다. 비는 1945년의 전쟁으로 팔괘당에 직격한 소이탄 때문에 손상되었고, 그 후, 1953년과 1972년에 수리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크게 무너져[32], 그 수리 작업이 문화청에 의해 이루어져 2013년 10월에 완료되었다. 그 때, 1953년 수리 시 본체 뒷면에 시공된 콘크리트가 제거되어 그 이전의 모습으로 거의 복원되었고, 11월 18일에는 복구 기념식이 열렸다.[13]
  • '''요석가비'''(要石歌碑): 가시마 신사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쿠가와 사이쇼의 노래가 새겨져 있다. 크기는 높이 약 203cm, 폭 약 190cm, 두께 약 34cm이다.[33][34] 노래의 내용은 "앞으로도 밟아나가라 아키츠 섬 야마토 민족의 길이 중요하도다"(원문 "앞으로도 밟아나가라 아키츠 섬 야마토의 길이 중요하도다")와 같이 일본인이 나아갈 길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35] 또한, 석비의 사본은 고도칸 내의 지선당에 걸려 있다.

지선당에 걸린 요석가비의 족자


팔괘당


학생 경종


종매기비


요석가비

4. 문화적 의의

문화재로 지정된 '''구 고도칸'''(旧弘道館)은 국가 특별사적이며, 그중 정청, 지선당, 정문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부지 면적은 약 105000m2로, 번교 부지로는 전국 최대 규모였다.[12]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고도칸기』를 새긴 고도칸기 비석은 2013년에 복원되었다.[13] 2019년에는 북책 어문과 토루, 통로가 복원되어 12월 19일에 견학회가 열렸다.[14]

2015년 4월 24일에는 문화청이 발표한 일본유산 "근세 일본의 교육 유산 - 배우는 마음, 예절의 근원 -"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미토 시내의 문화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15][16]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의향으로 설립 초기부터 많은 매화가 심어졌으며, 그 유래가 『종매기』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현재 부지에는 약 60품종 800그루의 매화가 심어져 매화 명소가 되었다. 개락원은 고도칸과 마주하여 심신 보양의 장소로 만들어졌다.

5. 문학 작품 속 고도칸

모리 오가이의 『이자와 랑켄』에서는 "화정의 말은 자세하지 않았다. 유서에 의하면 '분세이 2년 4월 17일에 5인 부치를 받들어 때때로 홍도관에 출석하여 보살핌을 받았음'이라고 적혀 있다."라고 언급된다. 마사오카 시키의 『먹물 한 방울』에서는 "그때의 상황을 말하자면, 후세츠 씨는 먼저 네다섯 장의 밑그림을 보여주었는데, 미토 홍도관 등의 그림으로 2치 정도의 작은 것이었지만 필력이 강건하여 범상치 않은 곳이 있었다."라고 묘사된다. 마사오카 시키의 『한산낙목』에는 "열공의 관은 바르고 매화"라는 구절이 나온다. 시마자키 도손의 『여명・제1부 상』에서는 "어삼가 중 하나라고 불릴 정도의 친번이면서, 대의명분을 분명히 한 점에서. 『히타치오비』를 쓰고 『회천시사』를 쓴 후지타 도코는 이 미토를 지탱하는 주요 인물 중 한 사람으로서, 소년 시대의 한조의 눈에도 비쳤다."라고, 『여명・제1부 하』에서는 "그러나 요시노부도 미토의 은거의 아들이다. 홍도관의 비석에 존왕의 뜻을 남긴 열공의 피는 이 사람의 안에도 흐르고 있었다."라고 언급되어, 미토번과 고도칸이 문학 작품에서 중요한 배경이나 소재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6. 기타

현재 부지는 모두 도시공원법(쇼와 31년 법률 제79호)에 근거한 도시공원이며, 이바라키현 도시공원 조례(쇼와 32년 이바라키현 조례 제26호)에 따라 '''고도칸 공원(弘道館公園)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바라키현의 고도칸 사무소는 이바라키현 미토시 산노마루 1초메 6번 29호에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보존되어 있는 부분인 '''구 고도칸'''(旧弘道館)이며, 국가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중 정청, 지선당, 정문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부지 면적은 약 105000m2로, 번교 부지로는 전국 최대 규모였다.[12]

"구 고도칸"의 건물에 대해서는 이바라키현 도시공원 조례에 따라 유료 공원 시설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람료를 받는다. 관람료 관리는 도시공원법에 규정된 공원 시설로서 지사 부서에서 담당하고 있다. 문화재이기는 하지만, 박물관법에 따른 박물관(등록박물관), 박물관 상당 시설로는 지정되지 않았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 중 『고도칸기』를 새긴 고도칸기 비석은 2013년에 복원이 완료되었는데, 그 당시 1953년 복원 시 본체 뒷면에 시공된 콘크리트가 제거되어 이전 모습으로 거의 복원되었다.[13]

2019년에는 북책 어문과 토루, 통로가 복원되어 12월 19일에 견학회가 열렸다.[14]

헤이세이 27년 4월 24일문화청에서 발표한 일본유산 "근세 일본의 교육 유산 - 배우는 마음, 예절의 근원 -"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미토 시내의 문화재 중 하나이다.[15][16]

참조

[1] 웹사이트 Database of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etc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1-05-05
[2] 웹사이트 Ibaraki: Travel Information - Kōdōkan (Mito City) http://www.pref.ibar[...] Ibaraki Prefecture 2011-05-05
[3] 웹사이트 Kodokan Hall http://www.city.mito[...] Mito City 2011-05-06
[4] 서적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뉴스 From Mitsukuni to natto http://search.japant[...] 2011-05-05
[6] 웹사이트 Kodokan http://www.koen.pref[...] Ibaraki Prefecture 2011-05-05
[7] 서적 (国指定史跡事典) National Historic Site Encyclopedia 学生社 2012
[8] 웹사이트 Damages to Cultural Properties i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http://www.bunka.go.[...]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1-05-05
[9] 웹사이트 Database of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etc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1-05-05
[10] 웹사이트 Database of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etc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1-05-05
[11] 웹사이트 Database of Nationally-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etc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1-05-05
[12] 문서 旧弘道館 https://www.city.mit[...]
[13] 뉴스 弘道館記碑の修復完了 東日本大震災で崩壊 http://ibarakinews.j[...] 2013-11-19
[14] 뉴스 水戸・弘道館の北柵御門が復元 見学会に120人超参加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2-19
[15] 웹사이트 文化庁報道資料 2015年4月24日「日本遺産(Japan Heritage)」の認定結果及びロゴマークの発表 http://www.bunka.go.[...] 2016-01-22
[16] 웹사이트 文化庁ホームページ/日本遺産/近世日本の教育遺産 ―学ぶ心・礼節の本源― http://www.bunka.go.[...] 2016-01-23
[17] 서적 弘道館資料輯 北沢 彦一
[18] 서적 近世日本の学問・教育と水戸藩 ―世界遺産暫定一覧表記載資産候補「近世の教育資産」に係る平成21年度調査・研究報告書ー 水戸市教育委員会
[19] 문서 弘道館公園 茨城県営都市公園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www.koen.pref[...]
[20] 서적 水戸市史 中巻(五) 瀬谷義彦
[21] 서적 「五浦論叢」分冊・歴史編 3 水戸弘道館小史 茨城大学五浦美術文化研究所
[22] 서적 「五浦論叢」分冊・歴史編 3 水戸弘道館小史 茨城大学五浦美術文化研究所
[23] 서적 弘道館と偕楽園 茨城県観光協会
[24] 서적 梅と歴史に薫る 水戸の心 川又書店
[25] 서적 近世日本の学問・教育と水戸学 水戸市
[26] 서적 水戸の道しるべ 展転社
[27] 간행물 広報みと 水戸市 2009-06-01
[28] 서적 弘道館建学の精神 茨城県教育界出版
[29] 서적 水戸の梅と弘道館 暁印書館
[30] 서적 水戸の道しるべ 展転社
[31] 서적 水戸の梅と弘道館 暁印書館
[32] 논문 弘道館・偕楽園の被災と復旧への歩み https://www.archives[...]
[33] 서적 水戸の道しるべ 展転社
[34] 서적 水戸弘道館大観 常陸書房
[35] 서적 水戸の梅と弘道館 暁印書館
[36] 문서 三の丸1丁目6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