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이라쿠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라쿠엔은 일본 3대 정원 중 하나로,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에 의해 1842년 조성되었다. 번사들의 수련과 영민들의 휴식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매화, 벚꽃, 단풍 등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주요 시설로는 여러 차례 소실과 복원을 거친 고분테이가 있으며, 100종 3천 그루의 매화가 심어져 매년 미토 매화 축제가 열린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되었고, 2015년에는 일본유산으로 인정되었다. 가이라쿠엔역, 버스, 고속 버스, 이바라키 공항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의 국가지정사적 - 가시마 신궁
    가시마 신궁은 다케미카즈치노오오카미를 모시는 이바라키현 가시마시의 신궁으로, 고대부터 조정과 후지와라 씨의 숭배를 받았으며 가토리 신궁과 함께 군사적·교통상 요충지로 중시되어 왔고, 에도 시대 도쿠가와 쇼군가의 재건과 더불어 중요 문화재와 사적, 천연기념물, 요석, 미타라이케 등이 경내에 자리하고 있다.
  • 이바라키현의 국가지정사적 - 고도칸 (미토번)
    미토 번이 1841년에 설립한 번교인 고도칸은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지원으로 문무 겸비 인재 양성을 목표로 미토가쿠, 유교 경전, 역사, 무예 등을 교육했으나, 메이지 유신 시기 혼란과 파괴를 겪고 현재는 공원, 사적, 일본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한국사 연구 자료로서도 가치를 지닌다.
가이라쿠엔 - [공원]에 관한 문서
개요
가이라쿠엔, 이바라키 24
가이라쿠엔의 매화림
기본 정보
이름가이라쿠엔
원어 이름偕楽園 (일본어)
영어 이름Kairakuen Garden
종류도시 공원 (광역 공원)
위치미토시, 이바라키현, 일본
면적13ha (확장 구역 포함 시 300ha)
개원1842년 7월 1일
운영 주체이바라키현
방문객 수219,574명
개방 시간연중 개방 (단, 가이라쿠엔 본원 및 역사관 구역은 2/20~9/30 오전 6시~오후 7시, 10/1~2/19 오전 7시~오후 6시. 유료 시설인 고분테이는 2/20~9/30 오전 9시~오후 5시, 10/1~2/19 오전 9시~오후 4시 30분)
좌표36°22′23″N 140°27′22″E
지정국가 지정 사적
국가 지정 명승지
공식 웹사이트미토시 공식 웹사이트
설계 및 건축
설계자도쿠가와 나리아키 (고분테이 배치 및 건축 의장 등)
기타 정보
특징매화나무

2. 역사

1842년 음력 7월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에 의해 조성되었다. 나리아키는 센바 호에 인접한 시치멘 산을 깎아 궁도장으로 만들어 번사들의 무문수행의 장으로 삼는 동시에 모든 백성('''偕''': 모두)과 즐길 수 있는 공간('''楽''': 즐기다)으로 삼고 싶어 이름을 가이라쿠엔이라고 명명하였다. 그 정신을 계승하여 만들어진 당초부터 매월 3과 8이 붙은 날에는 백성에게도 개방했다. 일본 3대 정원에서도 유일하게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단, 고분테이(호문정)을 이용하는 경우는 유료이다.)

가이라쿠엔 자체 넓이는 약 13ha이고, 공원 내에는 100종 3천 그루의 매화가 심어져 있다. 매년 2월 하순부터 3월 하순에 걸쳐 미토 매화 축제가 열리고, 매화 대사를 볼 수 있다.[56] 5월에는 철쭉 축제, 9월에는 싸리 축제가 벌어진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이 공원은 일본 정부의 소유가 되었고, 1873년에는 도키와 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874년 공원 부지 내에 도키와 신사가 세워졌으며, 1922년에는 일본의 사적 및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1]

1945년 태평양 전쟁 중 미토 공습으로 고분테이가 소실되었으나, 1958년 복원되었다. 그러나 1969년 낙뢰로 다시 소실되었다가 1972년 재복원되었다. 두 번째 낙뢰로 인한 화재는 피뢰침 설치 요구를 묵살한 직후였기 때문에 문화재 보호 방법에 문제를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8년 도시 공원이 되면서 가이라쿠엔 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57년 가이라쿠엔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공원의 총 면적은 300ha이다. JR 동일본 조반선 가이라쿠엔역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이 역은 매화 시즌에만 운영된다.

2. 1. 조성 이전

1829년(분세이 12년) 도쿠가와 나리아키미토번의 제9대 번주가 되었다.[22] 1833년(덴포 4년) 나리아키는 번 내부를 순회한 후, 시치멘 산이라 불리는 곳에 정원을 만들기로 결정했다.[22]

2. 2. 조성

1842년 음력 7월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에 의해 조성되었다. 나리아키는 센바 호에 인접한 시치멘 산을 깎아 궁도장으로 만들어 번사들이 무문수행의 장으로 삼는 동시에 모든 백성('''偕''': 모두)과 즐길 수 있는 공간('''楽''': 즐기다)으로 삼고 싶어 이름을 가이라쿠엔이라고 명명하였다. 그 정신을 계승하여 만들어진 당초부터 매월 3과 8이 붙은 날에는 백성에게도 개방했었다. 일본 3대 정원에서도 유일하게 아무나 무료로 입장할 수 있었다. (단, 고분테이(호문정)을 이용하는 경우는 유료였다.)[11][12]

도쿠가와 나리아키1833년(덴포 4년) 번내를 순찰한 후, 미토의 센바 호에 인접한 시치멘 산을 개간하여 회유식 정원으로 만들 구상을 했다. 조원은 나가오 가게토라(후의 우에스기 겐신)를 배출한 나가오 가문의 본초학자인 나가오 가게노리가 실시했다. 나리아키는 자신이 설립한 번교 "고도관"에서 문무를 배우는 번사여가 휴양의 장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백성과 '''함'''께 '''즐'''기는 장으로 만들고 싶었다. 이 거대한 다이묘 정원은 나리아키가 직접 "가이라쿠엔"이라고 명명했는데, "가이라쿠"는 중국 고전인 『맹자』의 "옛 사람은 백성과 '''함'''께 '''즐'''기니, 그러므로 능히 즐기는 것이다."라는 구절에서 인용한 것이다. 나리아키의 휘호 『가이라쿠엔기』에서는 "이는 내가 무리와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미토학으로 귀결되는 나리아키의 애민 정신에 따라 이 정원은 에도 시대 초부터 매월 "3"과 "8"이 들어가는 날에는 백성에게도 개방되었다.

가이라쿠엔 조성 관련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833년 (덴포 4년) 4월~5월도쿠가와 나리아키, 번 내 순찰 후 도키와 정 (미토시)의 시치멘산에 회유식 정원 조성 결정.
1839년 (덴포 10년) 5월『가이라쿠엔기』(偕楽園記, 창설 취지 및 경과) 완성.
1841년 (덴포 12년) 4월건설 착수.
1842년 (덴포 13년) 7월 1일가이라쿠엔 개원.[22]


2. 3. 메이지 유신 이후

1873년(메이지 6년) 태정관 포고에 의해 공원지로 지정되어 "도키와 공원"으로 명명되었다.[22] 1874년(메이지 7년)에는 공원 부지 내에 도키와 신사가 창건되었다.[1] 1890년(메이지 23년)에는 쇼켄 황태후의 행차를 기념하여 어성문을 만들고 원로를 정비하였으며, 기념 식수(어행의 소나무)가 심어졌다.

1892년(메이지 25년) 미토시의 관리로 이관되었다가, 1920년(다이쇼 9년) 다시 현의 관리로 변경되었다. 1902년(메이지 35년)에는 다이쇼 천황이 황태자 시절 고분테이 매의 방에 숙박하였고, 1912년(다이쇼 원년)에는 쇼와 천황이 황태자 시절 가쿠슈인 학생 신분으로 방문하여 고분테이 앞에 소나무를 심었다.

1922년(다이쇼 11년)에는 도키와 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의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되었다.[23] 1932년(쇼와 7년)에는 가이라쿠엔으로 명칭이 복귀되었다.

2. 4. 태평양 전쟁과 전후

1945년 태평양 전쟁 중 미토 공습으로 고분테이(好文亭)가 소실되었다.[56] 1948년 도시 공원이 되면서 가이라쿠엔 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57년 가이라쿠엔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958년에는 소실되었던 고분테이가 복원되었으나, 1969년 낙뢰로 다시 소실되었다. 1972년 고분테이는 다시 복원되었다. 1999년에는 주변 녹지를 포함하여 300ha 규모의 공원 구상을 발표하였다.

2. 5. 최근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3월 12일, 전날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원내 붕괴 위험, 액상화 현상, 지반 침하, 고분테이(好文亭) 토벽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임시 폐원했다. 이후 매화 축제와 야매제 후야제가 중지되었다.[56] 4월 29일에는 매화원과 토옥천(吐玉泉) 등에 한해 부분 개원했으며(피해를 입은 고분테이 등은 출입 금지), 8월 29일에는 전망 광장 개원 구역이 확장되었다. 12월 1일에는 본원 확장부가 완료되었고, 고분테이는 매화 축제까지 개관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 1월 1일, 남쪽 절벽 부분의 개원을 시작했다. 2월 7일에는 고분테이가 복구되어 지진 발생 약 11개월 만에 완전 복구되었다.
  • 2015년 (헤이세이 27년) 4월 24일, 문화청이 일본유산 "근세 일본의 교육 유산 - 배우는 마음, 예절의 본원 -"의 스토리를 구성하는 미토 시내의 문화재 중 하나로 인정했다.
  • 2019년 (레이와 원년)
  • *: 6월 3일, 가이라쿠엔과 그 주변의 매력 향상 계획을 호시노 리조트에 위탁했다.[25] 11월 1일, 이바라키현민 이외의 입장객은 유료화되었다.[15]

3. 주요 시설 및 특징

1842년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조성한 가이라쿠엔은 센바 호에 인접한 시치멘 산을 깎아 만든 곳으로, 번사들의 무예 수련장이자 백성들과 함께 즐기는 공간을 목표로 하였다.[11] 이러한 정신을 계승하여 개원 초기부터 매월 3일과 8일에는 백성들에게도 개방되었으며, 일본 3대 정원 중 유일하게 무료 입장이 가능했다(단, 고분테이는 유료).[12] 2019년 11월 1일부터는 이바라키현민임을 증명하는 신분증이 없는 방문객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15]

가이라쿠엔은 약 13만 제곱미터(확장부 포함 300ha[3])의 넓이에 100종 3,000그루의 매화가 심어져 있어 매화 명소로 유명하다.[9] 매년 2월 하순부터 3월 하순까지 미토의 매화 축제가 열려 매화 대사를 볼 수 있고, 5월에는 철쭉 축제, 9월에는 싸리 축제가 열리는 등 사계절 내내 꽃을 즐길 수 있다.[56]

고분테이는 매화의 다른 이름인 '고분모쿠'에서 유래되었으며, 1945년 태평양 전쟁 중 소실되었다가 1958년 복원되었으나, 1969년 낙뢰로 다시 소실된 후 1972년 재복원되었다.[30] 두 번째 화재는 피뢰침 설치 요구를 묵살한 직후 발생하여 문화재 보호 방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가이라쿠엔은 일본 정부 소유가 되었고, 부지 내에 도키와 신사가 세워졌다.[1] 1873년에는 도키와 공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8년에 다시 가이라쿠엔으로 변경되었으며, 1922년에는 일본의 사적 및 국가 명승으로 지정되었다.[1]

가이라쿠엔은 매화 외에도 봄에는 벚꽃(사쿠라), 가을에는 단풍(코요)으로도 유명하며, 58ha 면적에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원내에는 별장 고분테이가 있으며, 번교 고도관과 함께 매화 명소이다.[10]

가이라쿠엔은 미토번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1833년 번내 순찰 후 구상하여 조성한 회유식 정원이다. 조원 담당자는 나가오 가게노리로, 그는 번교 고도관에서 번사들의 여가와 백성들이 함께 즐기는 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가이라쿠'라는 이름은 맹자의 구절에서 인용된 것으로, 나리아키의 애민 정신을 담고 있다.[11]

매년 6월에는 가이라쿠엔 공원 센터에서 매실을 저렴하게 판매하며, 미토시에서는 매년 미토 매화 대사를 선출한다.

가이라쿠엔 본원은 약 13ha였으나, 1999년 이바라키현은 인접한 센바 공원, 사쿠라가와 녹지 등과 함께 300ha 규모의 광역 공원으로 운영할 계획을 발표했다.[3] 현재는 이바라키현립 도시 공원 "[https://www.pref.ibaraki.jp/seikatsukankyo/shizen/shizen/koen/11.html 미토현립자연공원]"으로 관리·운영되고 있다.[21]

가이라쿠엔은 음양오행 사상에 따라 설계되어, 서쪽에는 삼나무와 대나무 숲(음), 동쪽에는 매화 숲(양)이 조성되어 있다.

3. 1. 본원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직접 설계한 고분테이는 1840년(덴포 11년)에 착공되어 여러 차례 개축되었다. 목조 2층 3층 건물로, 가이라쿠엔 내에서 휴게소, 경로회, 연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29] 넓은 누마루 공간, 나무 도르래를 이용한 승강기(일본 현존 최고), 미닫이문 등 독창적인 설계가 돋보인다.[29] 1945년 미토 공습으로 소실되었으나, 1958년 복원되었다.[31] 1969년 낙뢰로 다시 소실되었지만, 1972년 재복원되었다.[30]

'''가이라쿠엔기비(偕楽園記碑)'''는 1839년에 세워진 석비로,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직접 지은 한문이 새겨져 있다.[32]

'''토옥천(吐玉泉)'''은 히타치오타시 마유미산의 한수석(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용수 시설이다.[42] 현재 시설은 4대째이다.

'''맹종죽림(孟宗竹林)'''은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도쿠가와 나리아키1843년에 심은 대나무 숲이다.[48]

'''미토의 육명목(水戸の六名木)'''은 1930년에 선정된 가이라쿠엔 내 우수 품종 매화 6종이다.

품종명특징개화기
렛코바이(烈公梅)옅은 홍색, 꽃잎은 난형, 도쿠가와 나리아키 기념2월 하순~3월 상순
야나가와시다레(柳川枝垂)옅은 붉은색, 꽃은 약간 작음3월 상순
토라노오(虎の尾)백색 팔중, 봉오리는 옅은 홍색, 개화하면 백색2월 하순
시로나니와(白難波)백색 팔중, 꽃은 중형3월 상순
츠키카게(月影)백색 일중, 꽃은 대형2월 중순
코난쇼무(江南所無)진홍색 팔중, 꽃은 대형3월 중순


3. 2. 확장부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다양한 벚꽃을 심어 조성한 벚꽃산은 조반선을 사이에 두고 고분테이나 매림 등이 있는 본원 반대편에 있다.[49] 면적은 25,871m2(25871m2)이며, 산벚나무 고목이 많다. 이는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가이라쿠엔 조성 당시 이 언덕에 다양한 벚꽃을 심고 벚꽃산이라 명명했기 때문이다. 나리아키는 당초 이 땅에 가이라쿠엔을 조성하려 했으나, 좁아서 현재 위치에 본원을 조성했다고 한다. 벚꽃산 중앙부에는 이바라키현 호국 신사가 있으며, 막부 말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의 이바라키현 출신 전몰자가 합사되어 있다.[50]

센바 호는 가이라쿠엔에서 조망할 수 있는 호수이다. 1999년, 이바라키현은 인접한 센바 공원 및 사쿠라가와 녹지 등과 함께 가이라쿠엔을 광역 공원으로 운영할 구상을 발표했으며, 총 면적은 300ha가 되었다.[3] 현재는 이바라키현립 도시 공원 "[https://www.pref.ibaraki.jp/seikatsukankyo/shizen/shizen/koen/11.html 미토현립자연공원]"으로 관리·운영되고 있다.[21]

3. 3. 기타

도키와 신사는 메이지 유신 이후 가이라쿠엔 부지 내에 세워진 신사이다.[1]

가이라쿠엔은 음양 사상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서쪽은 음을 상징하는 삼나무와 대나무 숲으로, 동쪽은 양을 상징하는 매화 숲으로 조성되어 있다.

4. 사계절 축제

가이라쿠엔에서는 2월 하순부터 3월 하순까지 미토 매화 축제가 열려 매화 대사[56]를 볼 수 있다. 5월에는 미토 철쭉 축제, 9월에는 미토 싸리 축제가 열린다. 이처럼 가이라쿠엔에서는 사계절마다 그 계절의 꽃을 구경할 수 있다.

4. 1. 봄

1842년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조성한 가이라쿠엔에는 100종 3,000그루의 매화가 심어져 있으며, 매년 2월 하순부터 3월 하순까지 미토 매화 축제가 열린다.[56] 이 축제 기간에는 밤 매화 축제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며, 미토 매화 대사를 볼 수 있다. 2016년에는 120회를 맞이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매년 6월 둘째 주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가이라쿠엔 공원 센터에서 매실을 반포한다.[16][17][18]

4월에는 원내에서 미토 벚꽃 축제가 개최된다. 가이라쿠엔은 벚꽃 명소로도 유명하여, 봄에는 벚꽃(''사쿠라'')을 감상할 수 있다.

4. 2. 가을

5월에는 미토 철쭉 축제, 9월에는 미토 싸리 축제가 열린다.[56] 가이라쿠엔에서는 사계절마다 그 계절의 꽃을 구경할 수 있다.

5. 교통

JR 동일본 조반선, 스이군선, 가시마 임해철도 오아라이카시마 선 미토 역에서 하차 후 노선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매화 축제 기간 중 주말·공휴일에는 조반선의 임시 승강장인 가이라쿠엔역을 이용할 수 있다.

5. 1. 철도

JR 동일본 조반선, 스이군선, 가시마 임해철도 오아라이카시마 선 미토 역에서 하차 후 노선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매화 축제 기간 중 주말·공휴일에는 조반선의 임시 승강장인 가이라쿠엔역을 이용할 수 있다.[28] 가이라쿠엔역은 하행 홈만 설치되어 미토 방면 열차만 정차하며, 도쿄·고야마 방면 열차는 모두 통과한다. 가이라쿠엔역 도착 열차는 대략 9시부터 16시 35분경까지 운행되며, 이 시간대 외에 미토 방면으로 가거나 상행 방면 열차를 타려면 미토 역까지 열차나 노선 버스로 이동해야 한다. 미토 매화 축제호 등의 기획 열차가 운행되는 날도 있다.

5. 2. 버스

이바라키 교통과 간토 철도 등 노선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이바라키 교통: 가이라쿠엔행 버스를 운행하며 "가이라쿠엔·도키와 신사 앞"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도키와 신사 동쪽에 이바라키 교통 전용 버스 정류장이 있다. 매화 축제 기간 중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임시 증편 버스도 운행한다.[28]
  • 간토 철도:
  • 가이라쿠엔행 버스를 운행하며 "가이라쿠엔"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가이라쿠엔역 근처에 간토 철도 전용 버스 정류장이 있다. 매화 축제 기간 중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임시 증편 버스도 운행한다.[28]
  • 일부 노선은 현청 버스 터미널, 이바라키 공항, 오가와역, 호코타역, 이시오카역행 등으로 "도키와 신사 입구·칸자키지 앞" 또는 "가이라쿠엔 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도쿄역 야에스 남쪽 출구 4번 승강장에서 미토호 (간토 철도, 이바라키 교통, JR 버스 간토)를 이용하여 "다이쿠마치"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아카쓰카역 루트와 이바라키 대학 루트가 있다.[28]

오사카역, 교토역에서는 야간 고속 버스 요캇페호 (간토 철도, 긴테쓰 버스)를 이용하여 미토역 남쪽 출구행 "다이쿠마치"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28]

나고야역에서는 야간 고속 버스 나고야 - 쓰쿠바·미토·가쓰타·히타치선 (이바라키 교통)을 이용하여 히타치역 중앙 출구행 "다이쿠마치"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28]

이바라키 공항에서는 간토 철도의 미토역행 노선 버스를 타고 "가이라쿠엔 입구" 또는 "도키와 신사 입구·칸자키지 앞"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도보 5분 거리에 있다.[28]

6. 사건/사고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 중순까지 구리 재질의 다리 명판 10개와 "가이라쿠 다리"의 난간 기둥 3점이 도난당했다. 같은 해 1월 26일부터 27일 사이에는 안내 표시판을 비롯해 원내 총 13곳의 시설이 파손되었다. 피해가 확인된 곳은 고분테이 등이 있는 "본원" 남쪽의 "확장부"였다. 피해 시설은 주차장과 센바 호수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알루미늄 재질 안내 표시판 4개, "마루야마 다리"와 "하나오이 다리"에 설치된 조명 내장형 "난간 기둥" 장식 6개, 원내 주의사항 등을 적은 나무 게시판 3개 등이었다. 이바라키현 경찰본부 미토 경찰서는 이 사건을 절도 사건으로 조사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常盤公園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0-08-20
[2] 웹사이트 Kairakuen Garden https://www.city.mit[...] 2020-01-27
[3] 웹사이트 偕楽園 https://www.ibarakig[...] 2020-10-00
[4] 웹사이트 観光いばらき https://www.ibarakig[...] 2020-01-27
[5] 간행물 茨城県総務部、2003年(平成16年)度分資料 http://www.pref.ibar[...] 2014-03-00
[6] 서적 地名の英語表記及び外国人にわかりやすい地図記号について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6-01-06
[7] 웹사이트 文化庁報道資料 2015年4月24日「日本遺産(Japan Heritage)」の認定結果及びロゴマークの発表 http://www.bunka.go.[...] 2016-01-22
[8] 웹사이트 文化庁ホームページ/日本遺産/近世日本の教育遺産 ―学ぶ心・礼節の本源― http://www.bunka.go.[...] 2016-01-23
[9] 웹사이트 梅の芳香と歴史の景勝地 偕楽園 https://www.ibarakig[...] 観光いばらき 2020-04-08
[10] 문서 偕楽園と川を挟んで相対する水戸市白雲岡の地に徳川斉昭は最初に園を造ろうとしたが、狭かったため梅園の代わりに数百本の桜樹を植え、休息所としてもうひとつ一遊亭を建てた。この故事は水戸市の地名「桜山」の由来となり、2014年時点で一遊亭跡が残っている。
[11] 웹사이트 偕楽園記 https://web.archive.[...] 2014-03-00
[12] 웹사이트 偕楽園 https://web.archive.[...] 2014-03-00
[13] 뉴스 水戸・偕楽園、県外観光客のみ有料化へ 16日から実証実験スタート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9-02-12
[14] 뉴스 「偕楽園、11月から有料化 県議会で条例可決 1.3億円の増収見込む」 https://www.sankei.c[...] 2019-07-03
[15] 뉴스 偕楽園 県外客有料化始まる「園の整備進むならいい」「県内外線引き モヤモヤ」 https://www.tokyo-np[...] 2020-01-27
[16] 웹사이트 http://www.koen.pref[...] 2016-06-09
[17] 웹사이트 http://www.koen.pref[...] 2016-06-09
[18] 웹사이트 http://www.koen.pref[...] 2016-06-09
[19] 웹사이트 http://www.koen.pref[...] 2016-06-09
[20] 뉴스 偕楽園で初夏恒例「梅の実落とし」…コロナで一般販売は中止 https://www.yomiuri.[...] 2020-06-11
[21] 웹사이트 茨城県県営都市公園一覧 http://www.koen.pref[...]
[22] 웹사이트 歴史とあらまし http://www.koen.pref[...] 茨城県土木部都市局公園街路課 2010-01-31
[23] 웹사이트 史跡名勝天然記念物常磐公園 https://kunishitei.b[...]
[24] 간행물 都市公園の区域の変更(昭和63年3月24日 茨城県公告) http://soumu.pref.ib[...] 茨城県 1988-03-24
[25] 웹사이트 「平成31年度偕楽園・歴史館エリア観光魅力向上計画策定業務」に関するプロポーザル審査結果及び契約締結について http://www.pref.ibar[...] 2019-07-03
[26] 웹사이트 本園 http://www.koen.pref[...] 茨城県土木部都市局公園街路課 2010-01-31
[27] 웹사이트 偕楽園の歩き方 https://www.city.mit[...] 水戸市公園緑地課千波湖管理室 2014-03-27
[28] 뉴스 偕楽園 梅まつりで臨時駅開設 http://www3.nhk.or.j[...] 日本放送協会 2013-02-24
[29] 뉴스 【くらし物語】エレベーター 日本の技の今昔/速さだけじゃない 宇宙へも参ります 2018-03-17
[30] 뉴스 水戸・好文亭のふすま絵 文化財修復、市民が参加 http://ibarakinews.j[...] 2017-10-10
[31] 서적 史跡名勝常磐公園内好文亭及び庭園復元工事報告書 茨城県
[32] 논문 藝文風土記 身近な名園を楽しむ 水戸・偕楽園の魅力を探る 財団法人常陽藝文センター 1990-12
[33] 서적 近世日本の学問・教育と水戸藩3 ―世界遺産暫定一覧表記載資産候補「近世の教育資産」に係る平成23年度調査・研究報告書― 水戸市教育委員会 2012-01-00
[34] 서적 榎戸庄衛石版画集(解説) 茨城新聞社
[35] 서적 史跡めぐり 水戸八景碑 錦正社
[36] 서적 水戸高等学校史 水戸高等学校同窓会
[37] 서적 時乾坤に移ろひて水戸高等学校・写真集 水戸高等学校同窓会
[38] 서적 時乾坤に移ろひて水戸高等学校・写真集 水戸高等学校同窓会
[39] 서적 笠原水道 第6次・10次・11次発掘調査報告書 水戸市教育委員会
[40] 서적 博学紀行 茨城県 福武書店
[41] 서적 水府異聞 新いばらきタイムス社
[42] 서적 弘道館と偕楽園 茨城県観光協会
[43] 서적 史蹟と名所 偕楽園公園
[44] 서적 偕楽園歳時記 暁印書館
[45] 서적 偕楽園歳時記 株式会社暁印書館
[46] 서적 茨城の巨樹 筑波書林
[47] 서적 偕楽園の現況調査報告書
[48] 서적 水戸の心 川又書店刊
[49] 학술지 偕楽園の領域 -徳川斉昭の「庭園構想」- 茨城県立歴史館 2014-03
[50] 서적 弘道館と偕楽園 茨城県観光協会
[51] 웹사이트 偕楽園公園ガイド http://www.city.mito[...] 水戸市みとの魅力発信課 2015-11-15
[52] 서적 弘道館と偕楽園 茨城県観光協会
[53] 웹사이트 乗馬レッスンや無料コンサートが楽しめるロサンゼルスの公園 http://www.ab-road.n[...] 2008-05-02
[54] 웹사이트 Events http://www.schabarum[...] 2014-02-24
[55] 웹사이트 水戸・偕楽園で13カ所の設備壊される 梅まつり前に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9-02-07
[56] 문서 이바리키 현을 대표하는 관광대사로 매년 공모해 10명을 선출한다. [[2001년]] 매화 아가씨에서 매화 대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