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유판은 성긴결합조직으로, 압축과 탄성이 뛰어나 늘어날 필요가 있는 기관에서 발견된다. 콜라겐, 혈관, 림프관, 림프조직, 면역계 세포 등이 풍부하며, 상피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의 주요 장소 역할을 한다. 고유판은 림프관을 통한 상피 암의 전이와 암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간의 염증은 암 발생의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유판 | |
|---|---|
| 개요 | |
| 라틴어 명칭 | lamina propria mucosae |
| 구성 요소 | 점막 |
| 상세 정보 | |
| 설명 | 얇은 결합 조직 층 |
| 관련 정보 | |
| 관련 항목 | 점막근판 |
2. 구조
고유판은 성긴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막밑층 기저의 결합조직만큼 섬유질이 많지는 않다.[19] 압축과 탄력성이 뛰어나 방광처럼 늘어나는 기관에서 발견된다.[20] 콜라겐은 이러한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광의 경우 복잡한 나선 구조를 통해 방광의 구조 유지, 인장력, 탄성에 기여한다.[21] 근섬유아세포는 평활근 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여러 기관의 고유판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22]
고유판에는 혈관, 림프관, 탄성섬유, 점막근에서 온 평활근 다발 등이 풍부하게 분포한다. 들신경섬유나 날신경섬유 말단, 림프절이나 림프모세관을 포함한 림프조직, 면역계 세포도 발견될 수 있다. 융털 같은 곳에는 평활근 섬유가 존재하기도 하지만, 지방세포는 거의 없다.[19] 림프관은 점막을 관통하여 상피 기저막 아래에서 고유판의 림프를 배출한다.[23] 상피 세포의 빠른 사멸과 재생으로 인해 남은 세포자멸소체는 고유판으로 들어가 대식세포 안에 존재한다.[24]
2. 1. 구성 세포
고유판은 성긴결합조직으로, 점막밑층 기저의 결합조직처럼 섬유성은 아니다.[19] 고유판의 결합조직과 구조는 압축이 잘 되고 탄성이 있는데, 이 때문에 방광 같이 늘어날 필요가 있는 기관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20] 고유판의 콜라겐이 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령 방광의 고유판에 있는 콜라겐은 복잡한 나선 구조로 인해 방광의 구조 유지, 인장력, 탄성 등의 형성에 기여한다.[21] 또한 근섬유아세포가 여러 기관의 고유판에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다. 근섬유아세포는 평활근 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22]혈관, 림프관, 탄성섬유, 점막근에서 온 평활근 다발 등이 고유판에 풍부하게 분포한다. 또한 들신경섬유나 날신경섬유 말단이 발견될 수도 있다.[21] 림프절이나 림프모세관을 포함한 림프조직, 면역계의 세포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융털 등의 고유판에는 평활근 섬유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지방세포는 존재하지 않는다.[19] 림프관은 점막을 관통하여 상피의 기저막 아래에 놓이며, 이곳에서 고유판의 림프를 배출한다.[23] 상피는 세포가 죽고 재생되는 속도가 빨라 많은 세포자멸소체가 남게 된다. 남은 세포자멸소체는 고유판으로 들어가며 그중 대다수는 고유판의 대식세포 안에 존재한다.[24]
2. 2. 기타 구성 요소
고유판은 성긴결합조직으로, 점막밑층 기저의 결합조직처럼 섬유성은 아니다.[19] 고유판의 결합조직과 구조는 압축이 잘 되고 탄성이 있는데, 이 때문에 방광 같이 늘어날 필요가 있는 기관들에서 발견될 수 있다.[20] 고유판의 콜라겐이 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령 방광의 고유판에 있는 콜라겐은 복잡한 나선 구조로 인해 방광의 구조 유지, 인장력, 탄성 등의 형성에 기여한다.[21] 또한 근섬유아세포가 여러 기관의 고유판에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다. 근섬유아세포는 평활근 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22]혈관, 림프관, 탄성섬유, 점막근에서 온 평활근 다발 등이 고유판에 풍부하게 분포한다. 또한 들신경섬유나 날신경섬유 말단이 발견될 수도 있다.[21] 림프절이나 림프모세관을 포함한 림프조직, 면역계의 세포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융털 등의 고유판에는 평활근 섬유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지방세포는 존재하지 않는다.[19] 림프관은 점막을 관통하여 상피의 기저막 아래에 놓이며, 이곳에서 고유판의 림프를 배출한다.[23] 상피는 세포가 죽고 재생되는 속도가 빨라 많은 세포자멸소체가 남게 된다. 남은 세포자멸소체는 고유판으로 들어가며 그중 대다수는 고유판의 대식세포 안에 존재한다.[24]
3. 기능
고유판은 여러 면역 세포를 가지고 있어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주된 장소이며, (특히 위장관계에서) 외부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내부 조직을 보호하는 방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19][26]
3. 1. 면역계에서의 역할
상피는 외부에서 오는 자극에 노출되며 손상되기도 쉽기 때문에 고유판은 여러 면역 세포를 가지고 있다.[19] 창자에서는 창자의 정상세균총에 대해 면역계가 관용을 가지면서도 병원균한테는 반응해야 한다. 이런 균형이 깨지면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염증 질환이 발생한다.[25] 대식세포와 림프구가 많은 고유판은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주된 장소 역할을 한다. 고유판은 (특히 위장관계) 외부의 병원성 미생물들로부터 내부의 조직을 보호하는 방벽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한다.[26]4. 임상적 중요성
상피 암의 진행은 종종 림프절 전이에 의존한다.[27] 고유판은 점막밑층을 보호하는 방벽 중 하나이다. 특히 위암에서 림프관으로의 침투는 림프절 전이의 독립적인 예측자이기 때문에, 고유판은 상피암 침범이 중요한 부위이다.[28] 종양이 기저막을 뚫고 고유판에 다다르면 림프관에 노출되게 되므로 전이와 암의 진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점막밑층까지 더 깊이 종양이 침범하게 되면 림프관으로의 노출은 더욱 증가한다.[23]
장기간의 염증은 암 발생의 위험 인자이다. 고유판의 대식세포가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암 발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염증성 신호를 방출한다. 이런 상황의 예시로는 대장염 관련 암과 연결되어 있는 IL-6/STAT3 경로의 과활성화가 있다.[29]
참조
[1]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
[2]
웹사이트
Blue Histology-Gastrointestinal Tract
http://www.lab.anhb.[...]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3]
서적
Junqueira's Basic Histology: Text & Atlas
McGraw Hill Professional
[4]
웹사이트
Study Guide: Hist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http://www.siumed.ed[...]
[5]
논문
Roles of the Lamina Propria and the Detrusor in Tension Transfer during Bladder Filling
[6]
논문
Lamina propria: The functional center of the bladder?
[7]
논문
The role of the human bladder lamina propria myofibroblast
[8]
논문
Esophageal Carcinoma: Depth of Tumor Invasion is Predictive of Regional Lymph Node Status
[9]
논문
Regulation of cell number in the mammalian gastrointestinal tract: The importance of apoptosis
http://jcs.biologist[...]
[10]
논문
Intestinal Lamina Propria Dendritic Cell Subsets Have Different Origin and Functions
[11]
논문
Intestinal permeability – a new target for disease prevention and therapy
2014-11-18
[12]
논문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bstaging according to the Depth of Lamina Propria Invasion in Primary T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13]
논문
Evaluation of lymphatic invasion in primary gastric cancer by a new monoclonal antibody, D2-40
[14]
논문
Essential Roles of IL-6 Trans-Signaling in Colonic Epithelial Cells, Induced by the IL-6/Soluble-IL-6 Receptor Derived from Lamina Propria Macrophages, on the Development of Colitis-Associated Premalignant Cancer in a Murine Model
[15]
문서
H.G. Burkitt et al., eds.,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3rd ed.''
[16]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https://archive.org/[...]
[17]
웹인용
Blue Histology-Gastrointestinal Tract
http://www.lab.anhb.[...]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2022-08-01
[18]
서적
Junqueira's Basic Histology: Text & Atlas
[19]
웹인용
Study Guide: Hist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http://www.siumed.ed[...]
[20]
논문
Roles of the Lamina Propria and the Detrusor in Tension Transfer during Bladder Filling
[21]
논문
Lamina propria: The functional center of the bladder?
[22]
논문
The role of the human bladder lamina propria myofibroblast
[23]
논문
Esophageal Carcinoma: Depth of Tumor Invasion is Predictive of Regional Lymph Node Status
[24]
논문
Regulation of cell number in the mammalian gastrointestinal tract: The importance of apoptosis
http://jcs.biologist[...]
[25]
논문
Intestinal Lamina Propria Dendritic Cell Subsets Have Different Origin and Functions
[26]
논문
Intestinal permeability – a new target for disease prevention and therapy
2014-11-18
[27]
논문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bstaging according to the Depth of Lamina Propria Invasion in Primary T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28]
논문
Evaluation of lymphatic invasion in primary gastric cancer by a new monoclonal antibody, D2-40
[29]
논문
Essential Roles of IL-6 Trans-Signaling in Colonic Epithelial Cells, Induced by the IL-6/Soluble-IL-6 Receptor Derived from Lamina Propria Macrophages, on the Development of Colitis-Associated Premalignant Cancer in a Murine Mod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