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잔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잔역은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37년 수인선 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 1992년 안산선 전철역이 개통되었으며, 1994년 수인선 고잔역은 폐역되었다. 2020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운행된다. 주변에는 안산시청, 안산교육지원청, 병원, 문화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달월역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위치한 달월역은 지형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폐역 후 전철역으로 재개업하여 수인분당선이 운행되고, 주변에 아울렛과 차량사업소가 있다.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소래포구역
    소래포구역은 1937년 소래염전 소금 수송을 위해 소래역으로 시작하여 1994년 폐역되었다가, 2012년 수인선 재개통과 함께 현재 위치에서 소래포구역으로 영업을 재개했으며, 수인분당선이 운행되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 안산시의 전철역 - 달미역
    달미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으로, 석수골역으로 명명되었다가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달미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선부3동 행정복지센터, 안산운전면허시험장, 안산제1종합시장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안산시의 전철역 - 초지역
    초지역은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에 위치한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공단역으로 개통 후 2012년 역명 변경,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단원구청, 화랑유원지, 안산스마트허브 등과 인접한 주요 지역에 위치한다.
  • 1992년 개업한 철도역 - 개운포역
    울산광역시 남구 용연동에 위치한 개운포역은 1992년 선암신호장으로 개업하여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시작한 무배치 간이역으로, 역명은 인근 개운포성지에서 유래했다.
  • 1992년 개업한 철도역 - 도림천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에 위치한 도림천역은 1992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의 지하역으로, 역명은 인근 도림천에서 유래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신도림생활체육관 등이 있다.
고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판
역명판
주소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784 (고잔동 453-53)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
노선
승강장2
선로2
구조고가
개업1937년 8월 6일
4호선 개통4호선 개통
수인분당선 개통2020년 9월 12일
한국어 역명
로마자 표기Gojan-yeok
역 정보 (역 정보 2)
역 종류을종 위탁 판매소 (중앙역 관리)
역 등급해당 없음
전보 약호해당 없음
2면 2선
승차 인원통계 자료 없음
개업일1992년 3월 2일
노선 정보
소속 노선 1안산선
역 번호 1451
킬로미터 (衿井 기점)16.2 km
킬로미터 (榛接 기점)75.9 km
이전 역 1450 중앙
역간 거리 11.6 km
다음 역 1초지 452
역간 거리 21.5 km
소속 노선 2수인·분당선
역 번호 2K253
킬로미터 (水原 기점)21.9 km
킬로미터 (清凉里 기점)75.8 km
이전 역 2K252 중앙
역간 거리 31.6 km
다음 역 2초지 K254
역간 거리 41.5 km
비고안산선의 기점으로 간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기점으로 간주
수원기점
청량리역 기점

2. 역사

고잔역은 원래 수인선의 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개통 초기 이 부근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역에서 바다가 보일 정도로 전형적인 어촌 지역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8] 1988년 안산선이 처음 개통될 당시에는 이러한 지역 특성 때문에 전철역이 설치되지 않았으나, 이후 도시 개발과 함께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 증진 요구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1992년 안산선의 새로운 전철역으로 고잔역이 문을 열게 되었다. 기존의 수인선 역은 1994년 수인선 송도역-한대앞역 구간이 폐지되면서 함께 폐역되었다.[10] 이후 2020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 1. 수인선 고잔역 (1937년~1994년)

수인선의 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부근은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전형적인 어촌 지역으로, 역에서 바다가 보일 정도였다.[8] 안산선이 생길 때에도 고잔역 부근은 어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

날짜내용
1937년 8월 6일수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969년 4월 10일무배치간이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8][3][4]
1988년 10월 25일영업거리표 개정 (수원 기점 24km → 23.3km)[9]
1994년 9월 1일수인선 송도역 - 한대앞역 구간 폐지와 함께 폐역[10]


2. 2. 안산선 고잔역 (1992년~)

1990년대 초까지 고잔역 부근은 바다가 보일 정도의 전형적인 어촌 지역이었다. 1988년 안산선이 처음 개통될 당시에는 이곳에 전철역이 들어서지 않았으나, 1992년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 증진 요구에 따라 안산선의 전철역으로 새롭게 문을 열게 되었다.

날짜내용
1992년 3월 2일안산선 고잔역 개통
1994년 4월 1일서울 지하철 4호선 - 과천선 - 안산선 직결 운행 시작
1994년 9월 1일수인선 송도역 - 한대앞역 구간 폐지와 함께 기존 수인선 고잔역 폐역[10]
2020년 9월 12일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2. 3. 수인·분당선 환승역 (2020년~)

2020년 9월 12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고가역으로, 지상 1층에는 대합실과 역무 시설이 있고 지상 2층에 승강장이 위치한다. 대합실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등이 마련되어 있다. 지상으로 연결되는 출입구는 1번과 2번, 총 두 곳이 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4. 역 주변

1990년대 초반까지 어촌 지역이었으며, 역에서 바다가 보일 정도였으나 현재는 역의 남북으로 주택 단지가 펼쳐져 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5. 승차량 변동

석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4호선31234507630978427369792183278684900787198841896991629385981193739266917389968817656171738818[11]


6. 인접한 역

; 한국철도공사

: ● 안산선

:: 급행

::: '''통과'''

:: 완행

::: 중앙 (451) ← '''고잔역''' → 초지역 (453)

: ● 수인·분당선

:: 완행

::: 중앙 (K252) ← '''고잔역''' → 초지역 (K254)

참조

[1] 웹사이트 고잔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8-03-11
[2] 문서 Seoul dictionary of area name 2009-02-13
[3] 문서 Korea Korail notification N.96 1969-04-04
[4] 문서 大韓民国官報 鉄道庁告示 第96号(1969年4月4日)
[5]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6] 뉴스 행복주택 시범지구 윤곽…오류, 가좌 등 7곳 선정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7] 뉴스 안산 고잔 '행복주택→소형주택' 대체 공급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8] 문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96호 1969-04-04
[9] 문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호 1988-10-25
[10] 문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4-44호 1994-08-23
[11] 웹인용 수송통계 역별 승하차 https://info.korail.[...] 한국철도공사 2023-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