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략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략집은 게임의 공략 정보를 담은 서적으로, 게임 플레이, 지도, 데이터, 공략 등을 제공한다. 1980년대 한국과 일본에서 동인지 형태로 시작되어, 패밀리 컴퓨터 붐과 함께 상업 출판물로 발전했다. 1990년대에는 게임의 복잡성 증가로 공략본의 필요성이 커졌지만,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발달로 판매량이 감소했다. 공략집은 공식 및 비공식 형태로 제작되며, 게임 매뉴얼의 보충, 숨겨진 아이템 위치, 퍼즐 공략, 적 정보 등을 담고 있다. 최근에는 게임 출시 전에 제작되어 부정확한 정보를 담는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편람 - 핵전쟁 생존 기술
핵전쟁 생존 기술은 핵 공격 상황에서 생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며, 심리적 준비, 대피 전략, 대피소 건설, 방사선 차폐, 물과 식량 확보, 위생 및 의약품 관리 등 다양한 생존 기술을 다룬다. - 편람 - 마녀 잡는 망치
1486년 독일에서 출판된 《마녀 잡는 망치》는 하인리히 크라머와 야코프 슈프렝어가 공동 저술한 마녀 재판 지침서로, 마녀의 존재를 기정사실화하고 색출 및 처벌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여 유럽의 마녀사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마법, 마녀, 악마학, 재판 절차 등을 다루고 고문과 처형 방법을 제시하며 여성 혐오적 내용으로 마녀사냥을 정당화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비디오 게임 책 - 레디 플레이어 원
어니스트 클라인의 SF 소설 레디 플레이어 원은 2040년대 암울한 현실을 배경으로 가상현실 게임 OASIS 내 이스터 에그를 찾는 경쟁을 다루며, 주인공 웨이드 와츠가 1980년대 팝 문화 지식을 활용해 거대 기업 IOI의 방해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이스터 에그를 찾아 나서는 이야기이다. - 비디오 게임 책 - 마인크래프트 (책)
마인크래프트 (책)은 마르쿠스 페르손의 전기이자 《마인크래프트》의 성공과 스웨덴 게임 산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페르손의 개발 과정과 다른 게임들의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공략집 | |
---|---|
개요 | |
유형 | 서적 |
미디어 | 인쇄물 |
하위 유형 | 게임 관련 서적 |
게임 관련 서적 | |
내용 | 팁 전략 연습 지도 아트 인터뷰 |
출판 | |
게시자 | 다양한 게시자 |
언어 | 다양한 언어 |
2. 역사
1970년대 말 스페이스 인베이더 붐과 함께 일본에서 처음으로 "게임을 공략하는 서적"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19] 그러나 특정 게임의 인기에 의존하지 않고 "공략본"이라는 장르를 구축한 것은 1980년대 동인지 문화의 영향이 크다.
1980년대 타지리 사토시의 『게임프리크』를 필두로 한 동인지 문화의 영향으로,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이 독자적으로 공략 정보를 정리한 동인 공략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게임 센터를 통해 컴퓨터 게임이 대중화되면서 복잡한 게임을 공략하려는 요구에 부응하여, 『제비우스 1000만 점으로 가는 해법』과 같은 유명 동인 공략본이 나왔다.[19]
1980년대 후반, 패밀리 컴퓨터 붐과 함께 상업 출판물로서의 공략본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특히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완전 공략본』(도쿠마 서점)은 발매 2개월 만에 60만 부 이상 판매되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9] 케이분샤의 "게임 필승법 시리즈"는 100권 이상 발매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1990년대에는 게임 내용의 복잡화와 롤플레잉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어드벤처 게임 등 데이터량이 방대한 장르가 부상하면서 공략본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페이지 수가 증가하고, 상하권으로 나뉘거나 설정 자료집, 팬 북 형태의 공략본도 등장했다. 장정이 호화로워지고 판형이 커지면서 가격도 상승했다.
2000년대에는 인터넷을 통한 공략 정보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공략본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한 작품의 공략본을 여러 권 구매하는 경향이 줄고, 내용이 얇은 '최속본'보다 '완전본'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20]
2010년대 이후 공략본 판매량은 더욱 감소했지만, 『요괴워치 2』[21], 『모여봐요 동물의 숲』[22] 등 인기 게임의 공략본은 여전히 큰 인기를 얻었다. 게임 잡지 시장이 축소되면서 공략본 출판사도 줄어드는 추세다.
상업적 공략집은 때때로 게임 자체보다 먼저 출판되기도 하는데, 이는 게임이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위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1월에 프리마(Prima)는 세가가 비디오 게임 콘솔인 드림캐스트 개발을 중단하면서 개발 후반부에 취소된 ''하프라이프'' 드림캐스트 버전 공략집을 출판했다.[2]
2. 1. 한국
1980년대 타지리 사토시의 『게임프리크』를 필두로 한 동인지 문화의 영향으로,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이 독자적으로 공략 정보를 정리한 동인 공략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게임 센터를 통해 컴퓨터 게임이 대중화되면서 복잡한 게임을 공략하려는 요구에 부응하여, 『제비우스 1000만 점으로 가는 해법』과 같은 유명 동인 공략본이 나왔다.[19]1980년대 후반, 패밀리 컴퓨터 붐과 함께 상업 출판물로서의 공략본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특히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완전 공략본』(도쿠마 서점)은 발매 2개월 만에 60만 부 이상 판매되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9] 케이분샤의 "게임 필승법 시리즈"는 100권 이상 발매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1990년대에는 게임 내용의 복잡화와 롤플레잉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어드벤처 게임 등 데이터량이 방대한 장르가 부상하면서 공략본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페이지 수가 증가하고, 상하권으로 나뉘거나 설정 자료집, 팬 북 형태의 공략본도 등장했다. 장정이 호화로워지고 판형이 커지면서 가격도 상승했다.
2000년대에는 인터넷을 통한 공략 정보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공략본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한 작품의 공략본을 여러 권 구매하는 경향이 줄고, 내용이 얇은 '최속본'보다 '완전본'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20]
2010년대 이후 공략본 판매량은 더욱 감소했지만, 『요괴워치 2』[21], 『모여봐요 동물의 숲』[22] 등 인기 게임의 공략본은 여전히 큰 인기를 얻었다. 게임 잡지 시장이 축소되면서 공략본 출판사도 줄어드는 추세다.
2. 2. 일본
일본에서 최초로 등장한 "게임을 공략하는 서적"은 1970년대 말 스페이스 인베이더 붐 때 발행된 것으로 보인다.[19] 그러나 특정 게임의 인기에 의존하지 않고 "공략본"이라는 장르를 구축한 것은 1980년대 동인지 문화의 영향이 크다.당시 고전생이었던 타지리 사토시가 1983년에 간행한 『게임프리크』를 시작으로, 전국에서 소규모 그룹이나 개인이 공략 정보를 독자적으로 정리하여 동인지 형태로 공략본을 발행했다. 그들 중 다수는 후에 게임 라이터나 크리에이터가 되었다. 당시 동인 공략본 중 특히 유명한 것은 타지리도 참여한 『제비우스 1000만 점으로 가는 해법』이다. 게임 센터를 통해 컴퓨터 게임이 일반인에게 친숙해지고, 게임이 발전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공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19]
패밀리 컴퓨터의 인기로 상업 출판물로서 공략본이 보급되었다. 수많은 상업 게임 잡지가 창간되면서 공략본도 다수 간행되었다. 특히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완전 공략본』(도쿠마 서점)은 발매 2개월 만에 60만 부 이상 판매되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9] 케이분샤에서는 "게임 필승법 시리즈"를 시작으로 100권 이상의 공략본을 발매했다. 당시에는 게임의 내용이 얇았기 때문에 1권으로 여러 게임을 묶어서 공략하는 경우도 많았다. 당시의 공략본은 종이 질이 좋지 않은 것이 많았고, 발행 부수도 적었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수가 적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게임 내용이 복잡해지고, 롤플레잉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어드벤처 게임 등 데이터량이 방대하고 클리어에 시간이 걸리는 장르가 인기를 얻으면서 공략본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페이지 수는 계속 증가했고, 상하권(「맵 편」, 「데이터 편」 등)으로 나뉘어 간행되는 것도 등장했다. 공략본과 같은 스타일로 게임의 「설정 자료집」이나 「팬 북」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이다.
이 시기부터 내용뿐만 아니라 장정도 점점 호화로워졌다. 판형도 한때 주류였던 B6판 정도에서 점차 B5판이나 A5판이 되었다. 모든 페이지가 컬러화되었고, 종이 질도 개선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제조 비용과 판매 가격이 상승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공략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기 시작하고, 게임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 변화로 인해 공략본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전까지 볼 수 있었던, 한 사람이 한 작품의 공략본을 여러 권씩 사는 경향이 줄어들었다.[20] 또한 게임 한 작품당 수명이 짧아지면서 내용이 얇은 '최속본'을 빨리 내는 것보다 '완전본'을 (가능하면 소프트웨어 발매 후 1개월 이내가 좋지만) 발매가 늦더라도 내는 것이 중요해졌고, 공략 사이트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읽을거리 내용이 요구되는 등, 공략본 구매자의 수요도 변화하고 있다.
2000년대에 이어 공략본 판매량은 더욱 감소했지만, 요괴워치 2[21]나 모여봐요 동물의 숲[22] 등 큰 인기를 얻은 게임 소프트의 공략본은 큰 인기를 얻었다. 게임 잡지가 2000년대에 비해 급감하면서, 공략본을 발매하는 회사는 줄어들고 있다.
2. 3. 세계
상업적 공략집은 게임과 동시에 출시하기 위해 최종 버전이 아닌 게임의 출시 전 버전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브래디게임스(BradyGames)의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공략집은 잘못된 아이템 위치와 약간 다른 지도를 포함하고 있어 일부 지침을 따르기가 불가능했다. 브래디게임스는 자사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무료 정오표 페이지를 제공하여 이러한 오류를 수정했다.[1]공략집은 때때로 게임 자체보다 먼저 출판되기도 하는데, 게임이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위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1월에 프리마(Prima)는 세가가 비디오 게임 콘솔인 드림캐스트 개발을 중단하면서 개발 후반부에 취소된 ''하프라이프'' 드림캐스트 버전 공략집을 출판했다.[2]
3. 구성
전략 공략집은 게임 장르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게임 플레이 정보, 지도, 진행 지침, 퍼즐 설명, 적 정보, 수집 아이템 체크리스트, 치트 코드, 공략, 멀티플레이어 전술 및 전략 등을 다룬다.[1] 게임 진행 차트, 스테이지나 던전 지도, 보스 캐릭터 공략법, 아이템이나 캐릭터・몬스터 데이터 등도 공략집의 주요 내용이다.[18]
공략집은 게임 잡지에 비해 제작 기간이 길어 편집 방침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공략과 직접 관련 없는 개발자 인터뷰, 일러스트, 만화, 소설, 설정 자료 등이 수록되기도 하며, 이러한 부가적인 콘텐츠를 위해 공략집을 구매하는 팬들도 많다. 공식 공략집은 게임의 2차 또는 3차 저작물이므로 판권 허가가 필요하며, 발행 부수와 판매량에 따라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한다.[18]
게임이 복잡해짐에 따라 공략집이 여러 권으로 나뉘거나, 게임 발매 전후로 내용의 깊이가 다른 여러 버전의 공략집("최속 본", "중간 본", "완전 본")이 출판되기도 한다. 이는 사용자들의 플레이 진행 상황을 고려함과 동시에 공략집 판매 전략의 일환이다.[18]
공략집에는 오자나 잘못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개발 중인 게임을 플레이하며 편집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양 변경 미반영 등이 오류의 원인이 된다.[18]
최근에는 레트로 게임이나 동인 게임 등 공략집 출판이 어려운 게임을 대상으로 한 동인지 형태의 공략집도 등장하고 있다.[18]
3. 1. 게임 정보
strategy guide영어는 게임 장르에 따라 내용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상세한 게임 플레이 정보: 게임 매뉴얼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 기술 등을 제공한다.[1]
- 게임 지도: 숨겨진 아이템과 찾기 어려운 아이템을 포함한 모든 아이템의 위치를 표시한다.[1]
- 특정 위치 진행 방법: 특정 위치에서 게임을 어떻게 진행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한다.[1]
- 퍼즐 설명: 게임 내 퍼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1]
- 적에 대한 세부 정보: 개별 적을 물리치는 기술(특히 보스)을 포함한다. 사소한 적에 대한 부분은 몬스터 도감이라고 한다.[1]
- 수집 가능한 아이템 체크리스트: 게임 내에서 수집할 수 있는 아이템 목록을 제공한다.[1]
- 치트 코드 및 게임 편집: 공식 가이드에서는 덜 일반적이지만, 치트 코드나 게임 편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1]
- 공략: 플레이어가 레벨을 완료하도록 돕는 공략을 제공한다.[1]
- 멀티플레이어 전술 및 전략: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전술 및 전략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1]
3. 2. 지도
모든 아이템(숨겨진 아이템과 찾기 어려운 아이템 포함)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의 완전한 지도.[1]3. 3. 공략
- 상세한 게임 플레이 정보 (예: 게임 메뉴얼에 자세히 설명되지 않은 기술)
- 모든 아이템(숨겨진 아이템과 찾기 어려운 아이템 포함)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의 완전한 지도
- 특정 위치에서 진행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지침
- 퍼즐에 대한 설명
- 개별 적을 물리치는 기술(특히 보스)을 포함한 적에 대한 세부 정보 (사소한 적에 대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몬스터 도감이라고 함)
- 수집 가능한 아이템의 체크리스트
- 치트 코드 및 게임 편집 (단, 공식 가이드에서는 덜 일반적임)
- 플레이어가 레벨을 완료하도록 돕는 공략
- 멀티플레이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술 및 전략에 대한 조언 (멀티플레이어 게임에만 해당)
3. 4. 데이터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게임 플레이 정보''': 매뉴얼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은 기술 등을 포함한다.
- '''아이템 위치''': 숨겨진 아이템과 찾기 어려운 아이템을 포함한 모든 아이템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 지도를 제공한다.
- '''진행 지침''': 특정 위치에서 게임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한다.
- '''퍼즐 설명''': 퍼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 '''적 정보''': 보스를 포함한 개별 적을 물리치는 기술 등 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사소한 적에 대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몬스터 도감이라고 한다.
- '''수집 아이템 체크리스트''': 수집 가능한 아이템 목록을 제공한다.
- '''치트 코드 및 게임 편집''': (공식 가이드에서는 덜 일반적) 치트 코드와 게임 편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공략''': 플레이어가 레벨을 완료하도록 돕는 공략을 제공한다.
- '''멀티플레이어 전술 및 전략''': (멀티플레이어 게임에만 해당) 멀티플레이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술 및 전략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4. 제작 과정
공략본 제작은 게임 제작사와 출판사의 협력, 또는 출판사의 자체 기획으로 이루어진다.[20][23] 스퀘어 에닉스, KADOKAWA와 같이 게임 제작과 출판을 겸하는 기업이 직접 기획하기도 한다.[24]
4. 1. 기획
출판사가 공략집 출판을 기획하는 경우, 우선 게임 발매 정보를 입수한다. 정보를 얻은 출판사는 해당 게임의 공략집을 출판했을 때 판매 전망이 있는지 검토한다. 게임의 장르, 시리즈 작품 여부, 실제 게임 시연 등을 검토 요소로 활용한다.[20][23] 출판이 결정되면, 게임 제작사에 발매 허가를 얻기 위한 협상이 진행된다. 판매가 기대되는 게임의 경우, 허가를 얻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기도 한다.허가를 얻으면 편집 스태프를 구성한다. 자사 스태프로 제작하거나, 편집 프로덕션이나 개인에게 위탁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업 체제로 편집이 진행된다.
역할 | 설명 |
---|---|
편집자 | 스태프 간 연락, 제작사와의 교류, 원고 및 디자인 검토 등 공략집 제작 총괄 |
라이터 | 공략 데이터를 원고화하거나 페이지 구성 담당. 게임 실력도 필요한 경우가 있음 |
게이머 | 게임을 깊이 파고들어 분석. 게임 화면 촬영 담당 |
디자이너 | 전체적인 페이지 디자인 담당. 다른 스태프의 작업 지연에 큰 영향을 받음 |
공략집 제작 과정에서 게임 제작사의 협력 정도는 제작사와 작품에 따라 다르다. 정보 관리가 철저하여 협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 스태프가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25]
원고는 편집자와 제작사의 검토를 거쳐 완성된다. 수정이 필요한 경우 발매가 연기되기도 하며, 제작 예산 문제로 오탈자를 수정하지 못하고 증쇄 시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4. 2. 제작
편집 스태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역할 | 담당 업무 |
---|---|
편집자 | 스태프 간 연락, 게임 메이커와의 협상, 원고 및 디자인 검토 등 공략집 제작 총괄 |
라이터 | 공략 데이터를 원고로 작성하고 페이지 구성. 게임에 대한 지식도 필요. |
게이머 | 게임 플레이 및 분석, 게임 화면 촬영. |
디자이너 | 전체적인 페이지 디자인 담당. 다른 스태프의 작업 지연 시 가장 큰 영향을 받음. |
공략집 제작에는 게임 메이커의 협력이 필요하다. 협력 정도는 게임 메이커나 작품에 따라 다르다. 정보 관리가 철저한 경우, 스태프가 직접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25]
원고는 편집자와 메이커 측의 검토를 거쳐 완성된다. 수정이 필요한 경우 발매가 연기되기도 한다. 제작 예산 문제로 오탈자를 수정하지 못하고, 증쇄 시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5. 공식 및 비공식 공략본
게임 제작사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공략본은 "공식 공략본", "공식 가이드북" 등으로 불린다.[18] 그러나 공식 공략본이라 하더라도 제공된 데이터와 실제 게임 데이터 사이에 차이가 있어 오류가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포켓몬스터의 경우, 게임의 인기로 인해 수많은 공략본이 출판되었지만, 속성 상성이나 기술 효과 부분에서 많은 오류가 모든 공략본에 존재했다.
한편, 게임 제작사의 허가 없이 독자적인 데이터나 치트 방법을 정리하여 발매되는 공략본도 존재하는데, 이를 "비공식" 공략본이라고 부른다. 비공식 공략본은 제작사의 허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게임 내 사진이나 공식 일러스트 등을 사용할 수 없다.[18]
6. 온라인 가이드
GameFAQs, IGN FAQ와 같은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가 생성한 온라인 전략 가이드와 FAQ를 제공한다.[1] 유튜브와 같은 비디오 공유 사이트에서는 비디오 공략이 인기를 얻고 있다.[1]
Fandom, Gamepedia와 같은 위키 팜에서는 비공식 비디오 게임 위키를 운영한다.[2] 일부 게임 개발사는 현실 세계 거래 문제 해결 등 여러 이유로 공식 위키를 운영하기도 한다. (예: ArenaNet의 ''길드 워'' 및 ''길드 워 2'' 공식 위키)[2] 팬 공략의 커뮤니티 측면은 게이머와 게임 팬에게 공유된 이야기를 제공하고, 게임에 대한 의미를 능동적으로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3]
7. 비판
일부 전략 공략집은 게임 매뉴얼에 있어야 할 내용을 담거나, 사용자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게임 퍼블리셔와 공략집 퍼블리셔가 제품을 서둘러 출시하려는 경향 때문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1]
게임과 동시에 출시하기 위해, 상업적 공략집은 종종 최종 소매 버전이 아닌, 게임의 출시 전 버전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브래디게임스(BradyGames)의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Grand Theft Auto: San Andreas) 공략집은 잘못된 아이템 위치와 약간 다른 맵을 포함하고 있어, 일부 지침을 따르는 것이 불가능했다. 브래디게임스는 자사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무료 정오표 페이지를 제공하여 이러한 오류를 수정했다.[1]
공략집은 때때로 게임 자체보다 먼저 출판되기도 한다. 게임이 결국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항상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비디오 게임 1월에 프리마(Prima)는 세가가 비디오 게임 콘솔인 드림캐스트의 개발을 중단하면서 개발 후반부에 취소된 ''하프라이프''(Half-Life)의 드림캐스트 버전에 대한 공략집을 출판했다.[1]
8. 최고 판매량을 기록한 공략집/시리즈
제목 | 저자 | 연도 | 판매량 | 게임 |
---|---|---|---|---|
파이널 판타지 VIII 얼티마니아 | 스튜디오 벤트스태프 | 1999년 | 220만 부 | 파이널 판타지 VIII |
마스터링 팩맨 | 켄 유스턴 | 1981년 | 170만 부 | 팩맨 |
파이널 판타지 VII 개체 신서 | 스튜디오 벤트스태프 | 1997년 | 170만 부 | 파이널 판타지 VII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완전 공략집 | 도쿠마 쇼텐, 야마모토 나오토 | 1985년 | 130만 부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미스트: 공식 공략집 | 러셀 드마리아, 릭 바르바 | 1993년 | 120만 부 | 미스트 |
파이널 판타지 X 시나리오 얼티마니아 | 스튜디오 벤트스태프 | 2001년 | 100만 부 | 파이널 판타지 X |
비디오 게임 마스터하기 | 톰 허쉬필드 | 1981년 | 65만 부 | 아케이드 게임 |
툼 레이더 III 전략 공략집 | 알 수 없음 | 1999년 | 35만 부 | 툼 레이더 III |
참조
[1]
웹사이트
Example of YouTube Video Re-posts
http://www.hiddenare[...]
[2]
웹사이트
About Guild Wars Wiki
http://wiki.guildwar[...]
[3]
논문
Zelda 64 and Video Game Fans: A Walkthrough of Games, Intertextuality, and Narrative
[4]
웹사이트
Square's Innovative Strategy Guide Strategy
http://archive.games[...]
[5]
웹사이트
Decline of Guides
http://www.alanemric[...]
2008-07-27
[6]
웹사이트
Master of Orion: The History of a Game Series — One Man's Telling of a Cosmic Tale
http://moo3.quicksil[...]
Master of Orion III - The Official Web Site
2001
[7]
웹사이트
会社沿革
http://www.bent.co.j[...]
2021-02-21
[8]
간행물
Arcade Games: Mastering Pac-Man Plus and Super Pac-Man
https://archive.org/[...]
1983-09-01
[9]
웹사이트
More on Tokuma's Mario Guide
http://magweasel.com[...]
2011-05-04
[10]
웹사이트
【1985】 スーパーマリオ狂騒曲 - ふぁみこん「雑誌」昔話
http://d.hatena.ne.j[...]
2021-02-22
[11]
서적
High Score! Expanded: The Illustrated History of Electronic Gam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12-07
[12]
웹사이트
Learn The Code Book And Beat Video Games
https://news.google.[...]
1982-03-01
[13]
간행물
DataStream
https://retrocdn.net[...]
1999-11-24
[14]
웹사이트
会社情報
http://www.bent.co.j[...]
2021-02-21
[15]
웹사이트
Nakagawa Report ~ Toward a Sustainable and Competitive Industrial Structure ~ (Summary)
https://www.rieti.go[...]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METI)
2021-01-27
[16]
뉴스
'Metal Gear Solid' film being forged at Columbia
https://www.hollywoo[...]
2007-02-09
[17]
뉴스
Viva virtuality
https://www.theguard[...]
2005-05-22
[18]
웹사이트
日本で一番訂正が多いゲーム攻略本「読んだら逆に迷う」
http://rocketnews24.[...]
[19]
웹사이트
攻略本の歴史
https://web.archive.[...]
[20]
문서
"「ゲーム攻略本の過去・現在・未来」"
[21]
웹사이트
【オリコン年間】『妖怪ウォッチ2』攻略本が1位 年間売上94.1万部
https://www.oricon.c[...]
2024-02-13
[22]
웹사이트
『あつ森』に登場する全アイテムを網羅した完全攻略本『あつまれ どうぶつの森 ザ・コンプリートガイド』が60万部を突破!! {{!}} ゲーム・エンタメ最新情報の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24-02-13
[23]
문서
『ゲームラボ』2001年7月号「攻略本のすべてがわかる本」
[24]
문서
[25]
웹사이트
ゲーム雑誌編集者に聞いた、「ドラクエ攻略本」製作裏話
https://www.excite.c[...]
excite
2010-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