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육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부(工部)는 수나라 시대에 상서성의 여섯 부서 중 하나로 설립되어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를 거쳐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까지 존재했던 부서이다. 명나라 시기에는 도량형 관리, 교통 기반 시설 건설 및 유지 보수, 정부 건설 사업, 정부 장비 제조 및 조달, 천연 자원 개발, 기술자 및 노동자 고용 등의 기능을 담당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환관, 지방 조정관, 지사의 기관에 밀려 영향력이 감소하여 육부 중 가장 약한 부서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부 (육부) | |
---|---|
개요 | |
![]() | |
유형 | 정부 부처 |
관할 | 중국 제국 |
역사 | |
설립 | 수나라 |
역할 | |
주요 책임 | 공공 사업 프로젝트, 정부 건물 유지 관리, 엔지니어 고용, 장인, 노동자 |
구조 | |
장관 | 상서 |
차관 | 시랑 |
부서 | 영선사 선목사 둔전사 수부사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공부 (육부) 중국 역사 중국 정부 |
2. 역사
수나라 때 상서성의 여섯 기능 부서 중 하나로 설립된 육부는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에도 같은 부서에 속해 있었다. 삼성 육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가 통합된 후, 원나라와 명나라에서는 중서성(비서실)으로 재배치되었다.[1] 1380년, 비서실이 폐지되면서 공부를 포함한 각 부는 독립하여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다.[1]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환관, 지방 조정관, 지사의 기관에 밀려 영향력이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육부 중 가장 약한 부서로 여겨졌다.[1] 남송 및 원나라 등 일부 기간에는 형부와 통합되기도 했다.[2]
부의 장은 상서(중국어: 尚書, 병음: shàng shū, aliha amban|알리하 암반mnc)였으며, 시대별 품계는 다음과 같았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 상서와 한족 상서가 각각 한 명씩 있었다.[1] 상서는 시랑(중국어: 侍郎, 병음: shì lang, ashan-i amban|아샨이 암반mnc) 두 명의 보좌를 받았다.[3]
2. 0. 1. 수나라와 당나라
수나라 때 상서성의 여섯 기능 부서 중 하나로 설립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때에도 상서성에 속해 있었다. 삼성 육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가 통합된 후, 원나라와 명나라에서는 중서성(비서실)으로 재배치되었다.[1] 1380년 중서성이 폐지되면서 공부를 포함한 각 부는 독립하여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다.[1]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환관, 지방 조정관, 지사의 기관에 밀려 영향력이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육부 중 가장 약한 부서로 여겨졌다.[1] 남송 및 원나라 등 일부 기간에는 형부와 통합되기도 했다.[2]
부의 장은 상서(중국어: 尚書, pinyin: ''shàng shū'', aliha amban|알리하 암반mnc)였다. 상서의 품계는 시대별로 달랐는데, 창나라에서는 정3품(구품관인법), 송나라에서는 종2품, 금나라, 원나라 및 1380년까지의 명나라에서는 정1품, 1380년 이후의 명나라 및 청나라에서는 정2품, 1730년 이후의 청나라에서는 종1품이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 상서와 한족 상서가 각각 한 명씩 있었다.[1] 상서는 시랑(중국어: 侍郎, pinyin: ''shì lang'', ashan-i amban|아샨이 암반mnc) 두 명의 보좌를 받았다.[3]
2. 0. 2.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에 공부는 상서성의 여섯 기능 부서 중 하나였다. 삼성 육부(중서성, 문하성, 상서성)가 통합된 후, 원나라와 명나라에서는 ''중서성''(비서실)으로 재배치되었다. 1380년, 비서실이 폐지되면서 공부를 포함한 각 부는 독립하여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다.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환관, 지방 조정관, 지사의 기관에 밀려 영향력이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육부 중 가장 약한 부서로 여겨졌다. 일부 기간(남송 및 원나라) 동안에는 형부와 통합되기도 했다.
부의 장은 상서(중국어: 尚書, 병음: shàng shū, 만주어: aliha amban)로, 시대별 품계는 다음과 같았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을 위한 상서 한 명과 한족을 위한 상서 한 명이 있었다. 상서는 시랑(중국어: 侍郎, 병음: shì lang, 만주어: ashan-i amban)이라는 두 명의 차관의 보좌를 받았다.
2. 0. 3. 원나라와 명나라
수나라 시대에 상서성의 여섯 기능 부서 중 하나로 설립된 육부는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에도 같은 부서에 속해 있었다.[1] 삼성 육부 (''중서성'', ''문하성'' 및 ''상서성'')가 통합된 후, 원나라와 명나라에서는 ''중서성'' (비서실)으로 재배치되었다.[1] 1380년, 비서실은 폐지되었고 공부를 포함한 각 부는 독립하여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다.[1]2. 0. 4. 청나라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환관, 지방 조정관, 지사의 기관에 밀려 공부의 영향력이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육부 중 가장 약한 부서로 여겨졌다. 남송 및 원나라 기간에는 형부와 통합되기도 했다.[1]청나라 시대 공부의 장은 상서(尚書|shàng shū중국어, ᠠᠯᡳᡥᠠ
ᠠᠮᠪᠠᠨ|aliha ambanmnc)로, 정3품(구품관인법)이었다. 만주족 상서와 한족 상서가 각각 한 명씩 있었다. 상서는 시랑(侍郎|shì lang중국어, ᠠᠰᡥᠠᠨ ᡳ
ᠠᠮᠪᠠᠨ|ashan-i ambanmnc) 두 명의 보좌를 받았다.[2]
2. 0. 5.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왕실에서 사용하는 그릇과 진보(珍寶)를 담당하는 관청인 중상서가 있었다.[3] 왕실에 자기를 만들어 바치던 자기소라는 특수 행정 구역도 있었다.[4]3. 기능
명나라 시기 공부는 도량형 관리, 교통 기반 시설(특히 도로와 운하) 건설 및 유지 보수, 치수 등 정부 건설 사업, 정부 장비 제조 및 조달, 천연 자원 공공 개발, 기술자 및 노동자 임시 고용 등을 담당했다.[1] 정규직 고용은 이부가 담당했다.[1]
3. 1. 도량형 관리
명나라 시기 공부는 도량형 관리[1], 교통 기반 시설(특히 도로와 운하)의 건설 및 유지 보수, 기타 정부 건설 사업(특히 치수 사업), 정부 장비의 제조 및 조달, 천연 자원의 공공 개발, 임시 고용을 위한 기술자 또는 노동자 고용을 담당했다.3. 2. 교통 기반 시설 건설 및 유지 보수
명나라 시기 공부는 도로와 운하 등 교통 기반 시설의 건설 및 유지 보수를 담당했다.[1]3. 3. 정부 건설 사업
명나라 시기 공부는 도량형 관리, 도로와 운하 등 교통 기반 시설 건설 및 유지 보수를 담당했다. 또한 치수 사업을 비롯한 기타 정부 건설 사업, 정부 장비 제조 및 조달, 천연 자원의 공공 개발, 기술자 또는 노동자 임시 고용을 담당했다.[1] 정규직 고용은 이부 관할이었다.[1]3. 4. 정부 장비 제조 및 조달
명나라 시기 공부는 정부 장비의 제조 및 조달을 담당했다.[1] 정규직 고용은 이부의 관할이었다.[1]3. 5. 천연자원 개발
명나라 시기 공부는 천연자원의 공공 개발을 담당했다.[1]3. 6. 기술자 및 노동자 고용
명나라 시기 공부는 기술자 또는 노동자를 임시로 고용하는 일을 담당했다.[1] 정규직 고용은 이부가 담당했다.[1]참조
[1]
서적
隋書 百官志下
[2]
서적
旧唐書 職官志2
[3]
웹인용
중상서 (中尙署)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21
[4]
웹인용
청자장 (靑瓷匠)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