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손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손공은 고자였으며, 204년 형인 공손강이 아버지를 이어 영녕향후에 봉해졌다. 공손강 사후 요동태수를 이었으며, 221년 위나라 황제 조비로부터 거기장군을 받았다. 228년 공손강의 차남 공손연에게 태수직을 빼앗겨 유폐되었으나, 238년 사마의가 공손연을 토벌하면서 구출되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원희, 원상 형제를 죽이려 하고, 정사대로 공손강의 직위를 이어받았다가 공손연에게 빼앗기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한의 향후 - 조곤
조곤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황족으로 조조의 아들이며, 문장력이 뛰어나 조비와 조예 시대에 여러 왕에 봉해졌고,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여 조예의 칭송을 받아 사후 공왕으로 추증되었다. - 후한의 향후 - 공손도
공손도는 후한 말 요동 지역의 군벌로, 요동태수를 거쳐 평주목을 자칭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고구려와 오환을 정벌하며 독립 의지를 드러내다 조조에게 무위장군으로 임명되었으나 불만을 품고 사망했다. - 공손탁 부자와 주변 인물 - 공손도
공손도는 후한 말 요동 지역의 군벌로, 요동태수를 거쳐 평주목을 자칭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고구려와 오환을 정벌하며 독립 의지를 드러내다 조조에게 무위장군으로 임명되었으나 불만을 품고 사망했다. - 공손탁 부자와 주변 인물 - 공손강
공손강은 후한 말 요동 지역 군벌로, 아버지 공손탁의 뒤를 이어 요동태수가 되어 세력을 확장하고 삼한과의 관계 강화, 대방군 설치, 원씨 형제 처단 등의 정책을 펼쳤으며 사후 조비에 의해 대사마로 추증되었다. - 조위의 거기장군 - 곽회
곽회는 위나라의 장군으로, 제갈량의 북벌을 막고 옹주와 양주에서 촉한의 침공을 방어하며 강족을 안정시키는 데 공헌하여 사후 대장군으로 추증되고 정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위의 거기장군 - 장합
장합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원소 휘하 장수였다가 조조에게 귀순하여 촉한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 제갈량의 4차 북벌 당시 전사했다.
공손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공손공 |
본명 | 공손공 |
로마자 표기 | Gongsun Gong |
출생 | 174년 |
사망 | 238년 |
국적 | 후한 → 위나라 |
아버지 | 공손탁 |
형제 | 공손강(형) |
친척 | 공손연(조카), 공손황 (조카) |
직업 | 군인, 정치가, 군벌 |
관직 | |
관직명 | 거기장군 (車騎將軍) |
임기 | 220년–228년 |
군주 | 조비 / 조예 |
관직명 | 요동태수 (遼東太守) |
임기 | 220년 12월–228년 |
군주 | 조비 / 조예 |
후임 | 공손연 |
관직명 | 요동태수 (遼東太守) |
임기 | 210년–220년 |
군주 | 헌제 |
이전 | 공손강 |
작위 | |
작위명 | 평곽후 (平郭侯) |
2. 생애
공손공은 고자였다. 204년(건안 9년) 형 공손강이 아버지 공손탁을 이으면서 영녕향후(永寧鄕侯)에 봉해졌다. 공손강 사후 그 아들들이 어려 대신 요동 태수를 이었다. 221년(황초 2년) 위나라 조비로부터 거기장군을 받았다.[7] 228년(태화 2년) 공손강의 차남 공손연에게 태수직을 빼앗기고 유폐당했다. 238년(경초 2년) 위나라 사마의가 공손연을 토벌하면서 구출되었다.[8] 이후의 삶은 알 수 없다.
2. 1.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에게 완전히 패해 공손강에게 의탁하러 온 원희, 원상 형제가 장차 공손강을 도모하려는 속셈을 품었다는 것을 눈치채고 ‘까치집을 빼앗으려는 비둘기와 같다’[9] 며 먼저 죽이자고 한다. 정사대로 공손강의 직위를 이었다가 공손연에게 태수직을 빼앗긴다.3. 가계
참조
[1]
wikisource
三國志/卷08#公孫度
[2]
wikisource
三國志/卷08#公孫淵
[3]
wikisource
三國志/卷24#高柔
[4]
wikisource
魏略輯本/卷七#公孫淵傳
[5]
wikisource
晉書/卷001#宣帝
[6]
wikisource
三國演義/第033回
[7]
서적
삼국지 2권 위서 제2 문제 조비 황초 2년
[8]
서적
진서 1권 제기 제1 고조선제 사마의
[9]
문서
구탈작소(鳩奪鵲巢). 《시경》의 〈작소〉(鵲巢)에서 유래한 말이다. 비둘기의 실제 습성이 그렇지는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