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중그네 (소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중그네'는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로, 신경과 의사 이라부 이치로와 그의 환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 심리를 다룬 작품이다. 이 소설은 2005년 일본에서 드라마로, 2009년에는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2008년부터는 연극으로도 공연되었다. 애니메이션은 이라부 이치로를 세 가지 모습으로 표현하고, 실사 영상을 섞는 등 독특한 연출 기법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 - 라라피포
    라라피포는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을 원작으로 미야노 마사유키 감독이 연출한 2009년 일본 영화로, 불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담아 현대 사회의 단면을 조명한다.
  •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 - 면장 선거
    면장 선거는 소설 공중그네에 등장하는 단편으로, 도쿄도청 직원 미야자키 료헤이가 낙도에서 면장 선거에 휘말려 정신과 의사 이라부에게 상담을 받는 이야기를 그린다.
  • 정신 질환을 소재로 한 소설 -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은 영원한 젊음을 얻는 대신 초상화가 늙어가는 도리언 그레이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아름다움의 덧없음과 쾌락주의의 허망함을 보여주고 19세기 말 영국 사회의 도덕적 위선을 비판하며, 파우스트 신화와 셰익스피어 작품 등 다양한 요소를 차용하고 동성애적 암시와 성 역할 묘사로 사회 규범에 도전하는 작품이다.
  • 정신 질환을 소재로 한 소설 - 돈 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발표한 소설 돈 키호테는 기사도 소설에 심취한 알론소 키하노가 돈 키호테로 자칭하며 겪는 모험담을 그린 작품으로, 익살스러운 행동과 종자 산초 판사의 이야기가 다양한 해석과 함께 사랑받으며 근대 소설의 효시로 평가받고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병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 - 연인들 (시트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된 MBC 시트콤 연인들은 한의원과 참치 횟집을 배경으로 30세 남녀의 사랑과 우정을 코믹하게 그렸으나, 표절 및 선정성 논란이 있었다.
  • 병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 - 라이프 (2018년 드라마)
    2018년 JTBC에서 방영된 의학 드라마 《라이프》는 상국대학병원을 배경으로 환자를 우선하는 의사 예진우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총괄사장 구승효의 신념 충돌, 그리고 병원 내 인간 군상과 권력 다툼을 그린다.
공중그네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도서 정보
제목공중그네
원제空中ブランコ (쿠츄 부랑코)
저자오쿠다 히데오
삽화가(정보 없음)
번역가이영미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장르드라마
출판사분게이슌주
발행일2004년 4월 25일
한국어 발행일2005년 1월 15일
미디어 종류(정보 없음)
쪽수272쪽
ISBN978-4-16-322870-9 (일본어판), 895660102X (한국어판)
OCLC(정보 없음)
이전 작품인 더 풀
다음 작품면장 선거

2. 원작 소설

2. 1. 등장인물

wikitext

  • '''이라부 이치로'''(일본어: 伊良部 一郎): 이라부 종합병원 신경과 의사. 주사를 좋아해 환자에게는 일단 주사를 놓는 버릇이 있다. 야마시타의 제지에도 "난 가벼우니까"라며 공중그네에 도전하는 등 대범한 성격을 지녔다.[4] 학창 시절에는 겉늙은 얼굴 때문에 동급생들 사이에서 강사로 오해받는 일이 많았다. 의학부의 재앙이라 불리며 성가신 취급을 받았으며, 대학 졸업 후에는 소아과 의사가 되었으나, 환자의 아이와 똑같은 정신연령으로 싸워 클레임이 쇄도하자 신경과로 옮겼다. 대학 졸업 자체가 아키시노노미야 친왕의 성혼특사였다거나, 의사 국가시험 합격에 프리메이슨이 관여했다는 등 성적에 많은 의혹이 있다.
  • '''마유미'''(일본어: マユミ): 신경과 간호사. F컵의 글래머로, 노출이 많은 옷을 즐겨 입는다. 이라부와 함께 왕진을 나갔을 때는 호피 무늬 핫팬츠를 입고 있었다.[5]
  • '''야마시타 코헤이'''(일본어: 山下 公平): 〈공중그네〉의 주인공으로, 서커스에서 공중그네 연기를 담당하고 있다. 플라이어 경력 7년으로, 공중그네 담당 단원 리더이다. 양친 모두 서커스 단원이었다. 거듭해서 실수를 반복하자 아내와 단원들이 정신과를 추천하여 방문하게 된다. 점프를 실패하는 것은 파트너가 심술을 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이노 세이지'''(일본어: 猪野 誠司): 〈고슴도치〉의 주인공으로, 시부야 일대를 거점으로 하는 야쿠자이다. 기노이 일가의 부두목으로, 과거에는 "시부야의 멧돼지"라 불리는 잘 나가는 건달이었다. 젓가락도 쓰지 못할 정도의 선단공포증이며, 식사를 할 때는 스푼을 사용한다. 내연의 아내에게 권유받아 신경과의 진찰을 받는다.
  • '''이케야마 타츠로'''(일본어: 池山 達郎): 〈장인의 가발〉 주인공으로, 대학 강사이며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경과 의사이다. 장인어른이 의학부 학부장으로 취임하여 전도양양하다. 이라부와는 의대생 시절 동급생이었다. 비상벨 버튼을 누르고 도망치고 싶은 충동이나, 질서정연하게 정돈된 것을 부수고 싶어하는 강박신경증을 앓고 있다. 장인어른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가발을 쓰고 있어, 볼 때마다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고 있다.
  • '''반도 신이치'''(일본어: 坂東 真一): 〈3루수〉의 주인공으로, 프로야구 선수이다. 프로 입단 10년 차의 베테랑 3루수이다. 어느 연습 시합에서 젊은 신인 루키에게 별나다는 야유를 듣고 폭투한 이후, 1루에 제대로 송구할 수 없게 된다.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고 속이고 지금은 부상자로 1군에서 빠져있다.
  • '''호시야마 아이코'''(일본어: 星山 愛子): 〈여류작가〉의 주인공으로, 도시 남녀의 심리 상태를 그린 당대 최고라 불리는 소설가이다. 신작을 집필하던 중 예전에 썼던 내용이 아닐까 불안해한다. 심원성 구토증을 앓았으며 완치했지만 2년 만에 증세가 재발하여 신경과에 찾아간다.

2. 1. 1. 이라부 종합병원

이라부 종합병원(일본어: 伊良部総合病院)은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에 등장하는 가상의 병원이다.

  • '''이라부 이치로'''(일본어: 伊良部 一郎)

: 이라부 종합병원 신경과 의사. 주사를 좋아해 환자에게는 일단 주사를 놓는 버릇이 있다. 야마시타의 제지에도 "난 가벼우니까"라며 공중그네에 도전하는 등 대범한 성격을 지녔다.[4]

: 학창 시절에는 겉늙은 얼굴 때문에 동급생들 사이에서 강사로 오해받는 일이 많았다. 의학부의 재앙이라 불리며 성가신 취급을 받았으며, 대학 졸업 후에는 소아과 의사가 되었으나, 환자의 아이와 똑같은 정신연령으로 싸워 클레임이 쇄도하자 신경과로 옮겼다. 대학 졸업 자체가 아키시노노미야 친왕의 성혼특사였다거나, 의사 국가시험 합격에 프리메이슨이 관여했다는 등 성적에 많은 의혹이 있다.

  • '''마유미'''(일본어: マユミ)

: 신경과 간호사. F컵의 글래머로, 노출이 많은 옷을 즐겨 입는다. 이라부와 함께 왕진을 나갔을 때는 호피 무늬 핫팬츠를 입고 있었다.[5]

  • '''야마시타 코헤이'''(일본어: 山下 公平)

: 〈공중그네〉의 주인공으로, 서커스에서 공중그네 연기를 담당하고 있다. 플라이어 경력 7년으로, 공중그네 담당 단원 리더이다. 양친 모두 서커스 단원이었다. 거듭해서 실수를 반복하자 아내와 단원들이 정신과를 추천하여 방문하게 된다. 점프를 실패하는 것은 파트너가 심술을 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이노 세이지'''(일본어: 猪野 誠司)

: 〈고슴도치〉의 주인공으로, 시부야 일대를 거점으로 하는 야쿠자이다. 기노이 일가의 부두목으로, 과거에는 "시부야의 멧돼지"라 불리는 잘 나가는 건달이었다. 젓가락도 쓰지 못할 정도의 선단공포증이며, 식사를 할 때는 스푼을 사용한다. 내연의 아내에게 권유받아 신경과의 진찰을 받는다.

  • '''이케야마 타츠로'''(일본어: 池山 達郎)

: 〈장인의 가발〉 주인공으로, 대학 강사이며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경과 의사이다. 장인어른이 의학부 학부장으로 취임하여 전도양양하다. 이라부와는 의대생 시절 동급생이었다. 비상벨 버튼을 누르고 도망치고 싶은 충동이나, 질서정연하게 정돈된 것을 부수고 싶어하는 강박신경증을 앓고 있다. 장인어른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가발을 쓰고 있어, 볼 때마다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고 있다.

  • '''반도 신이치'''(일본어: 坂東 真一)

: 〈3루수〉의 주인공으로, 프로야구 선수이다. 프로 입단 10년 차의 베테랑 3루수이다. 어느 연습 시합에서 젊은 신인 루키에게 별나다는 야유를 듣고 폭투한 이후, 1루에 제대로 송구할 수 없게 된다.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고 속이고 지금은 부상자로 1군에서 빠져있다.

  • '''호시야마 아이코'''(일본어: 星山 愛子)

: 〈여류작가〉의 주인공으로, 도시 남녀의 심리 상태를 그린 당대 최고라 불리는 소설가이다. 신작을 집필하던 중 예전에 썼던 내용이 아닐까 불안해한다. 심원성 구토증을 앓았으며 완치했지만 2년 만에 증세가 재발하여 신경과에 찾아간다.

2. 1. 2. 환자들


  • 이라부 이치로: 이라부 종합병원 신경과 의사. 주사를 좋아해 환자에게는 일단 주사를 놓는다. 야마시타의 제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난 가벼우니까"라며 공중그네에 도전하는 등 대범한 성격이다. 학창시절에는 겉늙은 얼굴때문에 동급생들 사이에서는 강사로 오해받는 일이 많았다. 의학부의 재앙이라 불리며 성가신 취급을 받았으며,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소아과 의사가 되었으나, 빈번하게 환자의 아이와 똑같은 정신연령으로 싸워 클레임이 쇄도하자, 신경과로 옮겼다. 대학졸업 자체가 아키시노노미야 친왕의 성혼특사였다, 의사국가시험 합격에 프리메이슨이 관여했다는 등 성적에 많은 의혹이 있다.
  • 마유미: 신경과 간호사. F컵의 글래머. 노출이 많은 옷을 즐겨입는다. 이라부와 함께 왕진을 나갔을 때는 호피 무늬의 핫팬츠를 입고 있었다.
  • 야마시타 코헤이: 〈공중그네〉의 주인공. 서커스에서 공중그네 연기를 담당하고 있다. 플라이어 경력 7년으로, 공중그네 담당단원 리더. 양친 모두 서커스 단원이었다. 거듭해서 실수를 반복하자 아내와 단원들이 정신과를 추천하여 방문하게 된다. 점프를 실패하는 것은 파트너가 심술을 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모리카와 토시유키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펭귄으로, 이유는 새인데 날 수 없기 때문이다.
  • 이노 세이지: 〈고슴도치〉의 주인공. 시부야 일대를 거점으로 하는 야쿠자. 기노이 일가의 부두목. 과거에는 "시부야의 멧돼지"라 불리는 잘 나가는 건달이었다. 젓가락도 쓰지 못할 정도의 선단공포증이며, 식사를 할 때는 스푼을 사용한다. 내연의 아내에게 권유받아 신경과의 진찰을 받는다. 타카하시 히로키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치와와로, 이유는 치와와의 내면이 섬세하기 때문이다.
  • 이케야마 타츠로: 〈장인의 가발〉주인공. 대학 강사로,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경과 의사. 장인어른이 의학부 학부장으로 취임하여 전도양양. 이라부와는 의대생 시절 동급생. 비상벨 버튼을 누르고 도망치고 싶은 충동이나, 질서정연하게 정돈된 것을 부수고 싶어하는 강박신경증. 장인어른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가발을 쓰고 있어, 볼 때바다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고 있다. 히라타 히로아키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카멜레온으로, 이유는 어떤 인간과도 융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극중에서는 옷을 제외하고 투명화도 한다.
  • 반도 신이치: 〈3루수〉의 주인공. 프로야구 선수. 프로입단 10년차의 베테랑 3루수. 어느 연습시합에서 젊은 신인 루키에게 별나다는 야유를 듣고 폭투한 이후, 1루에 제대로 송구할 수 없게 된다.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고 속이고 지금은 부상자로 1군에서 빠져있다. 나미카와 다이스케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로, 이유는 서러브레드는 부상을 입으면 처분되기 때문이다.
  • 호시야마 아이코(애니메이션에서는 호시야마 준이치): 〈여류작가〉(애니메이션에서는 '연애 소설가')의 주인공. 도시남녀의 심리상태를 그린 당대 최고라 불리는 소설가. 신작을 집필하던 중 예전에 썼던 내용이 아닐까 불안해진다. 심원성 구토증을 앓았으며 완치했지만 2년 만에 증세가 재발하여 신경과에 찾아간다. 미키 신이치로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으로, 이유는 가축 닭이 무정란을 계속 낳고 있기 때문이다 (본래의 삶과 다르다).
  • 타구치 테츠야: 제2화 '발딱 선 채'의 환자. 구청 직원. 증상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음경 발기증으로 고민한다. 이야기 속에서 전개가 다르다. 발기된 상태를 숨기기 위해 실내에서도 항상 코트를 착용하고, 걸을 때 허리를 굽힌다. 사쿠라이 타카히로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코뿔소로, 이유는 '발딱 선'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츠다 유우타: 제6화 '프렌즈'의 환자. 고등학생. 증상은 휴대폰 중독. 진학하기 전에는 히키코모리였으며, 고등학교에서 데뷔했다. 이리노 미유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딱따구리로, 이유는 휴대폰을 다루는 모습이 그것과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래서 휴대폰을 사용할 때 부리로 화면을 두드린다.
  • 이와무라 요시오: 제8화 '안절부절'의 환자. 스포츠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르포라이터. 증상은 강박 신경증. 어떤 일이든 몇 번이고 확인하고 싶어 하는 걱정많은 성격으로, 성실하다. 그 증상과 성격 때문에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 이라부를 찾아온다. 화재의 원인이 되지 않을까 걱정하면서도, 담배를 끊지 못하는 골초다. 이와타 미츠오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너구리로, 이유는 너구리의 신경질적인 면 때문이다.
  • 야스카와 히로미: 제9화 '천재 아역'의 환자. 한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전 천재 아역 배우. 증상은 자기애성 성격 장애. 아역 시절의 이미지를 그대로 간직한 채, 항상 웃는 얼굴로 일을 계속하며 주변으로부터 비웃음을 산다. 하타노 와타루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상징화는 물개.
  • 타나베 미츠오: 제10화 '오너'의 환자. 통칭 나베만. '대일본 신문사' 회장이자 '대일본 그레이트 파워스'의 구단주. 증상은 공황 장애. 환자 중 유일하게 동물로 상징화되지 않았지만, 실제 나이와 다른 젊은이의 모습이 되었다. 드문 경우인 듯, 이라부와 마유미도 이상하게 여겼다. 플래시백의 영향으로 시간 축이 일치하지 않아, 이라부가 노인이라고 했을 때도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못했다. 오키아유 료타로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 츠다 히데오: 최종화 '카나리아'의 주요 인물. '프렌즈'의 환자, 츠다 유우타의 아버지이기도 하며, 이라부 종합 병원의 응급 구조과 부부장. 증상은 표시되지 않으며, 이라부에게는 '가장 귀찮은 보통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가족 문제를 상담하기 위해 이라부를 찾아왔지만, 환자도 아닌데 주사를 맞는다. 가정을 돌보지 않고, 일에 도피하고 있다. 후루야 토오루가 연기 및 목소리를 담당했다.

3. TV 드라마

2005년 5월 27일 금요엔터테인먼트 특별기획으로 방영된 후지테레비 제작 특별 드라마이다.

어느날 갑자기 점프를 성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면증에 시달리는 공중그네 플라이어 야마시타 코헤이, 선단공포증의 야쿠자 이노, 과대 망상으로 자의식 과잉인 모델 히로미. 그들은 각자 고민을 안고 정신과 의사 이라부를 찾아가 카운셀링을 받는다. 하지만 치료법은 언제나 비타민 주사를 놓아줄 뿐, 호기심 왕성한 이라부의 기상천외한 행동에 환자들은 당황해 하며 해프닝에 휘말린다. 과연 그들의 병은 나을 것인지?


  • 이라부 이치로: 아베 히로시
  • : 파천황적인 치료를 하는 엉뚱한 정신과 의사. 호기심이 왕성하며 좋게 말하면 천진난만, 나쁘게 말하면 무모하다. 사실은 대병원의 후계자이다.
  • 마유미: 샤쿠 유미코
  • : 이라부의 파트너 간호사. 섹시하며 미니 간호사복을 입고 있다.
  • 야마시타 고헤이: 사카이 마사토
  • : 공중그네의 천재 플라이어. 갑자기 점프에 성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면증에 시달리며 이치로를 찾아온다.
  • 야스카와 히로미: 사토 히토미
  • : 모델. 과대망상으로 자의식이 과잉된 면이 있다. 스토커로 괴로워한다. 원작은 『인 더 풀』 수록.
  • 이노 세이지: 엔도 켄이치
  • : 야쿠자. 꽁치의 머리 끝을 보기만 해도 떨 정도로 첨단 공포증을 앓고 있다.
  • 엘리: 코쿠분 사치코
  • : 고헤이의 여자친구.
  • 우치다: 이이누마 세이지
  • : 공중그네 캐쳐.
  • 니와: 미츠이시 켄
  • 하토리: 니시카와 타다시
  • : 소아과 의사.
  • 하라구치 미도리: 아사노 마이코
  • : 켄타의 엄마.
  • 하라구치 켄타: 타케이 아키라
  • : 미도리의 아들.
  • 요시야스: 마츠시게 유타카
  • : 야쿠자로, 통칭 "얏파의 야스". 세이지의 조직과 적대하는 조직의 조직원.
  • 기타: 타와라기 토시타、잇쇼우 묘、쿠마베 요헤이、노구치 카오루、스즈키 하즈키、토자와 유스케、와타나베 아야 외

  • 원작: 오쿠다 히데오 《공중그네》(분게이슌주 판)
  • 기획: 아라이 아키히로, 호바라 켄이치로(후지 테레비)
  • 각본: 하시모토 히로시
  • 프로듀서:関口静夫、하시모토 후미 (공동 텔레비전)
  • 연출: 무라카미 마사노리 (공동 텔레비전)
  • 서커스 협력: 인터내셔널 슈퍼 서커스
  • 스턴트 코디네이터: 겐모치 마코토
  • 스턴트: 이세다 타카히로
  • 제작: 후지 테레비, 공동 텔레비전


KBS 2TV에서 박용순 PD가 연출을 맡아 방송될 예정이다.[1]
출연진 (한국판)
제작진 (한국판)

3. 1. 일본판 (2005)

2005년 5월 27일 금요엔터테인먼트 특별기획으로 방영된 후지테레비 제작 특별 드라마이다.

2005년5월 27일에 후지 텔레비전 제작의 스페셜 텔레비전 드라마로 금요 엔터테인먼트 특별 기획으로 방송되었다.

3. 1. 1. 줄거리 (일본판)

어느날 갑자기 점프를 성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면증에 시달리는 공중그네 플라이어 야마시타 코헤이, 선단공포증의 야쿠자 이노, 과대 망상으로 자의식 과잉인 모델 히로미. 그들은 각자 고민을 안고 정신과 의사 이라부를 찾아가 카운셀링을 받는다. 하지만 치료법은 언제나 비타민 주사를 놓아줄 뿐, 호기심 왕성한 이라부의 기상천외한 행동에 환자들은 당황해 하며 해프닝에 휘말린다. 과연 그들의 병은 나을 것인지?


갑자기 점프에 실패해 불면증으로 괴로워하는 공중그네 플라이어・코헤이, 첨단 공포증을 가진 야쿠자・이노, 과대망상으로 자의식이 과잉된 모델・히로미 등이 각자 고민을 안고 정신과 의사・이라부의 진찰을 받는다. 하지만 치료는 항상 비타민 주사를 맞는 것뿐이고, 그 후에는 호기심 넘치는 이라부의 기상천외한 행동에 환자들은 모두 당황하며 해프닝에 휘말린다. 과연 그들의 마음의 병은 나을 수 있을까?

3. 1. 2. 출연진 (일본판)


: 파천황적인 치료를 하는 엉뚱한 정신과 의사. 호기심이 왕성하며 좋게 말하면 천진난만, 나쁘게 말하면 무모하다. 사실은 대병원의 후계자이다.
: 이라부의 파트너 간호사. 섹시하며 미니 간호사복을 입고 있다.
: 공중그네의 천재 플라이어. 갑자기 점프에 성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면증에 시달리며 이치로를 찾아온다.

  • 야스카와 히로미: 사토 히토미

: 모델. 과대망상으로 자의식이 과잉된 면이 있다. 스토커로 괴로워한다. 원작은 『인 더 풀』 수록.
: 야쿠자. 꽁치의 머리 끝을 보기만 해도 떨 정도로 첨단 공포증을 앓고 있다.

  • 엘리: 코쿠분 사치코

: 고헤이의 여자친구.

  • 우치다: 이이누마 세이지

: 공중그네 캐쳐.
: 소아과 의사.

  • 하라구치 미도리: 아사노 마이코

: 켄타의 엄마.

  • 하라구치 켄타: 타케이 아키라

: 미도리의 아들.
: 야쿠자로, 통칭 "얏파의 야스". 세이지의 조직과 적대하는 조직의 조직원.

  • 기타: 타와라기 토시타、잇쇼우 묘、쿠마베 요헤이、노구치 카오루、스즈키 하즈키、토자와 유스케、와타나베 아야 외

3. 1. 3. 제작진 (일본판)


  • 원작: 오쿠다 히데오 《공중그네》(분게이슌주 판)
  • 기획: 아라이 아키히로, 호바라 켄이치로(후지 테레비)
  • 각본: 하시모토 히로시
  • 프로듀서:関口静夫、하시모토 후미 (공동 텔레비전)
  • 연출: 무라카미 마사노리 (공동 텔레비전)
  • 서커스 협력: 인터내셔널 슈퍼 서커스
  • 스턴트 코디네이터: 겐모치 마코토
  • 스턴트: 이세다 타카히로
  • 제작: 후지 테레비, 공동 텔레비전

3. 2. 한국판 (예정)

KBS 2TV에서 박용순 PD가 연출을 맡아 방송될 예정이다.[1]
출연진 (한국판)
제작진 (한국판)

3. 2. 1. 출연진 (한국판)

박신양 (예정)

3. 2. 2. 제작진 (한국판)

4. TV 애니메이션

2009년 10월 15일부터 후지테레비 노이타미나를 통해 방영되었다. 『인 더 풀』과 『시장 선거』에 수록된 에피소드를 섞어 영상화했으며, '''정신과 의사 이라부 시리즈'''를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다. 『공중그네』에서는 표제작을 포함한 모든 에피소드가 애니메이션화되었다.

제9회 영상 기술상 영상 기술 장려상, 카툰스 온 더 베이 풀치넬라상 2010 영 어덜트 대상 TV 시리즈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라부 이치로가 연출상 3가지 모습으로 휙휙 변신하는 독자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본작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본작을 애니메이션화할 때 이라부의 디자인 후보를 몇 가지 내놓았지만, 어느 것도 마음에 들지 않았고, 게다가 원작에도 지침이 될 만한 일러스트가 없었기 때문이다. 시리즈 디렉터인 나카무라 켄지는 "독자가 100명 있다면 100명 분의 이라부상이 있다"고 하며, 어떤 이라부상을 가진 사람에게도 같은 거리감을 유지할 수 있는 외모가 좋다고 생각한 결과, 세 가지 모습이 고안되었다. 대·중·소는 시나리오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며, 대는 거의 밖에서는 등장하지 않고, 중과 소가 주로 밖에서 등장하는 영업 부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한다.

공식 문헌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애니메이션』이라는 실사 영상을 섞은 애니메이션으로, 마유미 역의 스기모토 유미의 얼굴과 전신, 또한 환자로 등장하는 메인 캐스트 성우는 얼굴이 실사와 합성된 영상으로 부분적으로 출연한다. 일부 서브 캐릭터에게도 이 기법이 사용되었다. 후쿠이치, 즉 후쿠이 겐지도 얼굴이 실사 영상과의 합성이며, 해설역으로 등장한다.[2] 실사 부분은 성우가 전용 배경 안에서 수영모 같은 것을 쓰고 촬영한다고 한다[2]

시간축은 모든 에피소드가 2009년 12월 16일부터 12월 24일까지 그려지며, 주요 에피소드가 아닌 환자가 배경에 등장하거나 실제로 교류하기도 한다.

인터뷰 기사에서 "절찬과 거부 반응이 소용돌이친다"는 제목으로 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인터넷에서 열성적인 애니메이션 팬들이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원래 감독인 나카무라는 모든 사람에게 맞는 작풍이 아니라는 것을 예상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작품 만들기를 중시하며, "50%가 마음에 들어 하면 좋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그런 목소리는 전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원래는 좀 더 판타지적인 작품이었지만, 정신과라는 것을 다루는 데서 현실적인 요소를 도입하게 되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원작자로부터의 특별한 주문은 없었고, 아이디어는 모두 받아들여졌다[3]

4. 1. 개요 (애니메이션)

2009년 10월 15일부터 후지테레비 노이타미나 계열에서 방송된 애니메이션이다. 원작 소설의 여러 에피소드를 섞어 영상화했으며, 이라부 이치로를 세 가지 모습으로 묘사하는 독특한 연출 방식을 사용했다. 이라부 이치로는 연출상 곰인형 탈을 쓴 비만 체형(대), 곰 귀 머리띠를 쓰고 안경을 낀 마른 체형의 미청년(중), 헐렁한 백의를 걸치고 반바지를 입은 소년(소)의 세 가지 모습으로 등장한다. 《하이브리드 애니메이션》을 표방하여 실사 영상을 섞어 제작하였으며, 마유미 역의 스기모토 유미의 얼굴과 전신, 게다가 매회 환자로 등장하는 메인캐스트 성우는 실제 얼굴과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부분적으로 출연한다. 따라서 메인 캐스트의 캐릭터 디자인도 실제 얼굴을 원본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그 외에도 생물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장면도 있다. 후쿠이치, 즉 후쿠이 켄지도 실제 얼굴과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제작된 것이며 용어나 증상, 증세의 예시, 치료 현실이나 상이점 등을 해설하는 역으로 등장한다.

4. 2. 등장인물 및 성우 (애니메이션)

; 이라부 종합병원

이라부 이치로

: 원작과 사회적 지위는 동일하지만, 괴짜스러운 세 가지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크흐흐흐"하며 특이한 웃음소리를 낸다. 환자(자신이 담당인지 여부는 묻지 않는다)가 주사 맞는 것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설정으로 인해, 원작 이상으로 종잡을 수 없는 캐릭터가 되었다.

:; 대

:: 성우 - 미츠야 유지

:: 곰 인형 얼굴을 한 뚱뚱한 모습. 외모는 원작에 가까운 중년 체형으로 덩치가 크지만, 성격은 가장 어린아이 같고 천진난만하다. 환자를 맞이할 때는 대체로 이 모습이며, 톤 높은 목소리로 "어서 오세요"라고 맞이한다. 인형 머리이지만 표정이 바뀌기도 한다. 극중 신문에 사진이 게재되었을 때는 인형탈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중

:: 성우 - 미츠야 유지

:: 곰 귀 카츄샤를 하고 안경을 쓴 호리호리한 청년 모습. 냉정한 어조로, 음흉한 미소를 짓고 있다. 운동 능력을 발휘할 때 이 모습이 되기도 한다.

:; 소

:: 성우 - 박로미

:: 헐렁한 흰 가운에 반바지를 입은 소년 모습. 연기한 박로미는 "이라부의 소년 시절 역할"이라고 들었다고 한다. 차가운 눈으로 환자를 바라보며, 환자의 행동을 즐기는 듯한 언행을 보인다. 이라부(대)와 매우 닮은 인형을 끌고 다닌다.

:

; 마유미

: 연기/성우 - 스기모토 유미

: 실사 파트에서는 전신이 묘사된다. 짙은 핑크색 간호사복을 입고 하이힐을 신었으며, 펑키한 액세서리로 치장하고 있다. 그녀에게 비타민 주사를 맞은 상대의 머리가 상징화된다.

; 주요 환자

  • 야마시타 코헤이 (やました こうへい일본어)

: 연기・목소리 - 모리카와 토시유키

: 제1화 '공중그네'의 환자. 서커스의 공중그네 플라이어. 증상은 범불안 장애에 의한 수면 장애이다.

: 상징화는 펭귄으로, 이유는 새인데 날 수 없기 때문이다.

  • 타구치 테츠야 (たぐち てつや일본어)

: 연기・목소리 - 사쿠라이 타카히로

: 제2화 '발딱 선 채'의 환자. 구청 직원. 증상은 음경 발기증이다. 발기된 상태를 숨기기 위해 실내에서도 항상 코트를 착용하고, 걸을 때 허리를 굽힌다.

: 상징화는 코뿔소로, 이유는 '발딱 선'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호시야마 준이치 (ほしやま じゅんいち일본어)

: 연기・목소리 - 미키 신이치로

: 제3화 '연애 소설가'의 환자. 필명은 '호시야마'이며 본명은 '토리야마'이다. 강박 신경증 (심인성 구토증)을 앓고 있다. 제8화의 환자 이와무라와는 옛 친구라는 설정이다.

: 상징화는 으로, 이유는 가축 닭이 무정란을 계속 낳고 있기 때문이다 (본래의 삶과 다르다).

  • 반도 신이치 (ばんどう しんいち일본어)

: 연기・목소리 - 나미카와 다이스케

: 제4화 '핫 코너'의 환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소속의 프로 야구 선수 (3루수, 등번호 1). 증상은 이프스이다.

: 상징화는 로, 이유는 서러브레드는 부상을 입으면 처분되기 때문이다.

  • 이케야마 타츠로 (いけやま たつろう일본어)

: 연기・목소리 - 히라타 히로아키

: 제5화 '의붓아버지의 그것'의 환자. 대학 병원의 정신과 의사로, 이라부와는 대학 동창. 증상은 강박 신경증이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열렬한 팬이다.

: 상징화는 카멜레온으로, 이유는 어떤 인간과도 융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 츠다 유우타 (つだ ゆうた일본어)

: 연기・목소리 - 이리노 미유

: 제6화 '프렌즈'의 환자. 고등학생이며, 증상은 휴대폰 중독이다. 진학하기 전에는 히키코모리였다.

: 상징화는 딱따구리로, 이유는 휴대폰을 다루는 모습이 그것과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 이노 세이지 (いの せいじ일본어)

: 연기・목소리 - 타카하시 히로키

: 제7화 '고슴도치'의 환자. 전국 지정 폭력단 '기오이조'의 젊은 두목. 증상은 꽁치에조차 공포를 느끼는 말단 공포증이다.

: 상징화는 치와와로, 이유는 치와와의 내면이 섬세하기 때문이다.

  • 이와무라 요시오 (いわむら よし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이와타 미츠오

: 제8화 '안절부절'의 환자. 스포츠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르포라이터. 증상은 강박 신경증이다.

: 상징화는 너구리로, 이유는 너구리의 신경질적인 면 때문이다.

  • 야스카와 히로미 (やすかわ ヒロミ일본어)

: 연기・목소리 - 하타노 와타루

: 제9화 '천재 아역'의 환자. 증상은 자기애성 성격 장애이다.

: 상징화는 물개.

  • 타나베 미츠오 (たなべ みつ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오키아유 료타로

: 제10화 '오너'의 환자. 통칭 나베만. '대일본 신문사' 회장이자 '대일본 그레이트 파워스'의 구단주. 증상은 공황 장애이다.

  • 츠다 히데오 (つだ ひで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후루야 토오루

: 최종화 '카나리아'의 주요 인물. '프렌즈'의 환자, 츠다 유우타의 아버지이며, 이라부 종합 병원의 응급 구조과 부부장.

; 기타
; 후쿠잇치

: 배우 및 성우 - 후쿠이 켄지 (후지 TV 아나운서)

: 본 작품의 독자적인 해설 역. 용어, 증상, 증례, 치료법, 현실과 작중의 차이 등을 설명한다. 등장할 때는 이야기가 일시 정지되며, 화면 속 어딘가에서 문을 열고 등장하며, 문을 만들 때는 체인톱과 같은 것으로 열기도 한다.

4. 2. 1. 이라부 종합병원

이라부 이치로

: 원작과 사회적 지위는 동일하지만, 괴짜스러운 세 가지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크흐흐흐"하며 특이한 웃음소리를 낸다. 환자(자신이 담당인지 여부는 묻지 않는다)가 주사 맞는 것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설정으로 인해, 원작 이상으로 종잡을 수 없는 캐릭터가 되었다.

:; 대

:: 성우 - 미츠야 유지[4]

:: 곰 인형 얼굴을 한 뚱뚱한 모습. 외모는 원작에 가까운 중년 체형으로 덩치가 크지만, 성격은 가장 어린아이 같고 천진난만하다. 환자를 맞이할 때는 대체로 이 모습이며, 톤 높은 목소리로 "어서 오세요"라고 맞이한다. 인형 머리이지만 표정이 바뀌기도 한다. 극중 신문에 사진이 게재되었을 때는 인형탈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중

:: 성우 - 미츠야 유지

:: 곰 귀 카츄샤를 하고 안경을 쓴 호리호리한 청년 모습. 냉정한 어조로, 음흉한 미소를 짓고 있다. 운동 능력을 발휘할 때 이 모습이 되기도 한다.

:; 소

:: 성우 - 박로미

:: 헐렁한 흰 가운에 반바지를 입은 소년 모습. 연기한 박로미는 "이라부의 소년 시절 역할"이라고 들었다고 한다. 차가운 눈으로 환자를 바라보며, 환자의 행동을 즐기는 듯한 언행을 보인다. 이라부(대)와 매우 닮은 인형을 끌고 다닌다.

:

; 마유미

: 연기/성우 - 스기모토 유미[5]

: 실사 파트에서는 전신이 묘사된다. 짙은 핑크색 간호사복을 입고 하이힐을 신었으며, 펑키한 액세서리로 치장하고 있다. 그녀에게 비타민 주사를 맞은 상대의 머리가 상징화된다.

4. 2. 2. 주요 환자


  • 야마시타 코헤이 (やました こうへい일본어)

: 연기・목소리 - 모리카와 토시유키

: 제1화 '공중그네'의 환자. 서커스의 공중그네 플라이어. 증상은 범불안 장애에 의한 수면 장애이다.

: 상징화는 펭귄으로, 이유는 새인데 날 수 없기 때문이다.

  • 타구치 테츠야 (たぐち てつや일본어)

: 연기・목소리 - 사쿠라이 타카히로

: 제2화 '발딱 선 채'의 환자. 구청 직원. 증상은 음경 발기증이다. 발기된 상태를 숨기기 위해 실내에서도 항상 코트를 착용하고, 걸을 때 허리를 굽힌다.

: 상징화는 코뿔소로, 이유는 '발딱 선'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호시야마 준이치 (ほしやま じゅんいち일본어)

: 연기・목소리 - 미키 신이치로

: 제3화 '연애 소설가'의 환자. 필명은 '호시야마'이며 본명은 '토리야마'이다. 강박 신경증 (심인성 구토증)을 앓고 있다. 제8화의 환자 이와무라와는 옛 친구라는 설정이다.

: 상징화는 으로, 이유는 가축 닭이 무정란을 계속 낳고 있기 때문이다 (본래의 삶과 다르다).

  • 반도 신이치 (ばんどう しんいち일본어)

: 연기・목소리 - 나미카와 다이스케

: 제4화 '핫 코너'의 환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소속의 프로 야구 선수 (3루수, 등번호 1). 증상은 이프스이다.

: 상징화는 로, 이유는 서러브레드는 부상을 입으면 처분되기 때문이다.

  • 이케야마 타츠로 (いけやま たつろう일본어)

: 연기・목소리 - 히라타 히로아키

: 제5화 '의붓아버지의 그것'의 환자. 대학 병원의 정신과 의사로, 이라부와는 대학 동창. 증상은 강박 신경증이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열렬한 팬이다.

: 상징화는 카멜레온으로, 이유는 어떤 인간과도 융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 츠다 유우타 (つだ ゆうた일본어)

: 연기・목소리 - 이리노 미유

: 제6화 '프렌즈'의 환자. 고등학생이며, 증상은 휴대폰 중독이다. 진학하기 전에는 히키코모리였다.

: 상징화는 딱따구리로, 이유는 휴대폰을 다루는 모습이 그것과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 이노 세이지 (いの せいじ일본어)

: 연기・목소리 - 타카하시 히로키

: 제7화 '고슴도치'의 환자. 전국 지정 폭력단 '기오이조'의 젊은 두목. 증상은 꽁치에조차 공포를 느끼는 말단 공포증이다.

: 상징화는 치와와로, 이유는 치와와의 내면이 섬세하기 때문이다.

  • 이와무라 요시오 (いわむら よし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이와타 미츠오

: 제8화 '안절부절'의 환자. 스포츠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르포라이터. 증상은 강박 신경증이다.

: 상징화는 너구리로, 이유는 너구리의 신경질적인 면 때문이다.

  • 야스카와 히로미 (やすかわ ヒロミ일본어)

: 연기・목소리 - 하타노 와타루

: 제9화 '천재 아역'의 환자. 증상은 자기애성 성격 장애이다.

: 상징화는 물개.

  • 타나베 미츠오 (たなべ みつ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오키아유 료타로

: 제10화 '오너'의 환자. 통칭 나베만. '대일본 신문사' 회장이자 '대일본 그레이트 파워스'의 구단주. 증상은 공황 장애이다.

  • 츠다 히데오 (つだ ひでお일본어)

: 연기・목소리 - 후루야 토오루

: 최종화 '카나리아'의 주요 인물. '프렌즈'의 환자, 츠다 유우타의 아버지이며, 이라부 종합 병원의 응급 구조과 부부장.

4. 2. 3. 기타


; 후쿠잇치

: 배우 및 성우 - 후쿠이 켄지 (후지 TV 아나운서)

: 본 작품의 독자적인 해설 역. 용어, 증상, 증례, 치료법, 현실과 작중의 차이 등을 설명한다. 등장할 때는 이야기가 일시 정지되며, 화면 속 어딘가에서 문을 열고 등장하며, 문을 만들 때는 체인톱과 같은 것으로 열기도 한다.

4. 3. 제작진 (애니메이션)

원작은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 《인 더 풀》, 《공중그네》, 《시장 선거》 (분게이슌주 간)이다. 시리즈 디렉터는 나카무라 켄지가 맡았다. 캐릭터 디자인 및 총 작화 감독은 하시모토 타카후미가 담당했다. 시리즈 구성은 이시카와 마나부가, 미술 디자인은 토키와 쇼지가 담당했다. 색채 설계는 나가이 루미코, CG 프로듀서는 이마무라 사치야, CG 디렉터는 모리타 노부히로, 촬영 감독은 야마다 카즈히로이다. 음향 감독은 나가사키 유키오이며, 음악은 모리 에이지가 맡았다. 프로듀서는 죠노 마코토, 야마모토 코지, 와시오 텐이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제작은 공중그네 제작위원회 (후지 TV, 아스믹 에이스 엔터테인먼트,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덴츠, 토에이 애니메이션, 분게이슌주)에서 담당했다.

4. 4. 주제가 (애니메이션)

덴키 그루브가 오프닝 및 엔딩 테마를 모두 담당하였다. 오프닝 테마인 'Upside Down'은 CD 수록 버전과 편곡이 다르다. 극중에서는 '반복 옆뛰기', 모노노케 댄스, '딸기 소녀'와 같이 덴키 그루브가 과거에 발표한 악곡이 배경음악(BGM)으로 사용되었다.

  • 오프닝 테마 〈Upside Down〉


작사·작곡은 이시노 타쿠가, 편곡·노래는 덴키 그루브(큐운 레코드)가 담당하였다.

  • 엔딩 테마 〈Shangri-La (Y.Sunahara 2009 Remodel)〉


작사는 덴키 그루브(큐운 레코드), 작곡은 덴키 그루브와 베부 실베티, 편곡은 덴키 그루브와 Y.sunahara가 담당하였다.

4. 5. 각 화 목록 (애니메이션)

wikitable

화수부제(원제)부제(풀이)각본그림 콘티연출작화 감독
제1화空中ブランコ공중그네이시카와 마나부카쿠도 히로유키
나카무라 켄지
하타노 코헤이하시모토 타카시
草間英興
제2화勃ちっ放し아, 너무 섰다!무라야마 이사오우에다 히데히토岡辰也
渡部穏寛
스기후지 사유리
제3화恋愛小説家연애소설가타구치 토모코지오카 키미토시후쿠모토 키요시와타나베 나즈키
제4화ホットコーナー핫코너(소설 번역 제목: 3루수)무라야마 이사오오가와 코지사쿠마 신이치
제5화義父のアレ장인의 그것鈴木清祟타카다 아키라
제6화フレンズ프렌즈타구치 토모코카쿠도 히로유키이시하라 메구미
제7화ハリネズミ고슴도치이시카와 마나부우에다 히데히토岡辰也
渡部穏寛
스기후지 사유리
제8화いてもたっても이러지도 저러지도무라야마 이사오카쿠도 히로유키후쿠모토 키요시와타나베 나즈키
제9화天才子役천재 아역카이자와 유키오오가와 코지사쿠마 신이치
제10화オーナー오너이시카와 마나부하타노 코헤이草間英興
제11화カナリア카나리아카이자와 유키오
지오카 키미토시
나카무라 켄지
하시모토 타카시
岡辰也(협력)



각 화의 원작은 엔딩에서 크레딧으로 표기되어 있다. 최종화 "카나리아"는 "프렌즈"를 원작으로 하여 더욱 발전시킨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5. 연극

2008년 4월 20일부터 도쿄예술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후 일본 전국 각지에서 상연되고 있다. 주최는 TV 아사히, 덴츠이며, 기획 제작은 아틀리에 덩컨, 덴츠가 담당했다.
줄거리서커스의 꽃이라 불리는 '공중그네'의 에이스 플라이어로서 계속 날아온 야마시타 고헤이는 어느 순간부터인가 캐쳐인 우치다와 호흡이 맞지 않아 추락을 반복하게 된다.

점점 정서가 불안정해지는 고헤이를 본 아내 에리는 병원에서 진찰을 받도록 권유한다. 고헤이가 방문한 이라부 종합병원의 정신과 담당 의사는 이 병원의 금수저인 이라부 이치로였다. 이치로는 엉뚱하게 밝은 목소리로 고헤이를 진찰실로 맞이하며, 문진도 없이 간호사 마유미에게 주사를 지시한다.

당황하는 고헤이를 뒤로하고 서커스에 흥미를 느낀 이치로는 다음부터는 왕진을 가겠다고 흥분하며 말한다. 이윽고 오랫동안 닫혀 있던 서커스단의 공간은 함부로 들어서는 이치로와 마유미의 존재로 인해 위태로워진 단원들의 유대, 그 단원들이 가진 마음의 어둠, 더 나아가 서커스단 전체가 안고 있는 병을 드러내게 된다.
출연진


제작진

5. 1. 줄거리 (연극)

서커스의 꽃이라 불리는 '공중그네'의 에이스 플라이어로서 계속 날아온 야마시타 고헤이는 어느 순간부터인가 캐쳐인 우치다와 호흡이 맞지 않아 추락을 반복하게 된다.

점점 정서가 불안정해지는 고헤이를 본 아내 에리는 병원에서 진찰을 받도록 권유한다. 고헤이가 방문한 이라부 종합병원의 정신과 담당 의사는 이 병원의 금수저인 이라부 이치로였다. 이치로는 엉뚱하게 밝은 목소리로 고헤이를 진찰실로 맞이하며, 문진도 없이 간호사 마유미에게 주사를 지시한다.

당황하는 고헤이를 뒤로하고 서커스에 흥미를 느낀 이치로는 다음부터는 왕진을 가겠다고 흥분하며 말한다. 이윽고 오랫동안 닫혀 있던 서커스단의 공간은 함부로 들어서는 이치로와 마유미의 존재로 인해 위태로워진 단원들의 유대, 그 단원들이 가진 마음의 어둠, 더 나아가 서커스단 전체가 안고 있는 병을 드러내게 된다.

5. 2. 출연진 (연극)

5. 3. 제작진 (연극)

참조

[1] 웹사이트 パク・シニャン、日本の小説のリメイクドラマに出演検討中 http://ekr.chosunonl[...] chosun Online 2017-06-28
[2] 기타 WEBラジオによる
[3] 웹사이트 絶賛と拒否反応が渦巻くハイブリッドアニメ『空中ブランコ』の果てなき挑戦(前編) https://www.cyzo.com[...] サイゾー 2009-11-29
[4] 간행물 月刊ニュータイプ 2009年10月号 角川書店 2009-09-10
[5] 서적 10th Anniversary ノイタミナクロニクル 完全保存版 KADOKAWA 2014-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