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다라노코니키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다라노코니키시 씨는 백제 의자왕의 왕자 선광의 후손으로, 백제 멸망 후 일본에 정착하여 백제 왕실의 혈통을 이은 씨족이다. 나라 시대 말기부터 헤이안 시대 중기까지 일본 동북 지방을 경영하며 중급 귀족으로 존속했다. 간무 천황은 이 씨족을 "결혼으로 맺어진 친족"으로 대우하며 후원을 했고, 이후 천황의 후궁을 배출하며 번영을 누렸다. 구다라노코니키시 씨는 다양한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오늘날 구다라오 신사의 신주 집안이 이 씨족의 후예를 자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씨 (일본) - 신찬성씨록
    신찬성씨록은 일본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씨족 계보서로, 수도와 주변 지역의 1,182개 씨족의 계보를 황별, 신별, 제번으로 분류하여 기록하고 있으며, 제번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 등 한반도계 씨족이 포함되어 있다.
  • 씨 (일본) -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는 명경박사 기요하라 히로스미를 시조로 하는 일본 씨족으로, 그의 후손들은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아 번성했으며, 가마쿠라 막부를 섬기고 공경의 지위에 오르기도 했고, 국학, 유학 연구에 업적을 남겼으며, 에도 시대 초기에는 분가하기도 했다.
  • 도래인계 씨족 - 하타씨
    하타 씨는 6~7세기 교토 분지의 유력한 도래계 씨족으로, 재정과 기술에 능통하여 양잠 및 직조 기술을 전파하고 야마토 조정의 재정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다양한 기원설과 함께 여러 신사와 사찰 건립 및 무사 가문 분화에 기여했다.
  • 도래인계 씨족 - 제번
    제번은 특정한 체계에 따라 건물이나 토지 등에 붙이는 번호이며, 주소 체계의 일부로 사용되어 위치를 식별하고 찾기 쉽게 한다.
  • 구다라노코니키시씨 - 구다라노코니키시 엔포
    구다라노코니키시 엔포는 백제 왕족 출신으로 일본의 관료였으며, 지토 천황 시대에 물품을 하사받고 몬무 천황 시대에 히타치 국사를 역임했으며, 최종 관위는 종4위였다.
  • 구다라노코니키시씨 - 구다라노코니키시 안기
    구다라노코니키시 안기는 사가 천황 시대에 종5위하에 서작되었고 닌묘 천황 시대에 우병위독을 역임했으며, 838년에 사망하여 최종 관위는 종4위하였다.
구다라노코니키시씨
개요
씨족 이름 (일본어)百済王 (くだらのこにきし)
부계부여
창시자선광왕
설립 연도기원후 691년경
본관가와치국 오사카 (난바), 가와치국 가타 군
역사
기원백제
씨조구다라노코니키시 젠코(백제 의자왕의 왕자)
관련 인물젠코(善光), 젠코(禅広)
후손
주요 후손스가노씨, 야마토씨, 미마쓰씨(신사 가문)
기타
관련 유적백제왕신사(오사카부 히라카타시) - 백제왕씨의 조상을 모시는 신사

2. 역사

구다라오 진쟈. 일본의 신인 스사노오노 미코토(進雄命)와 함께, 역대 백제왕들을 신으로 모시고 있다.


신찬성씨록》에는 '구다라(百濟)'를 성씨로 쓰는 씨족이 여러 곳에서 나타난다.[9] 하지만 '고니키시(王)'라는 카바네(姓)를 사용한 것은 고마노고니키시(高麗王) 외에는 유일한 사례로, 한때 일본 내에서 백제를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10] 엔랴쿠 9년(790년) 스가노노 아손(菅野朝臣)의 개성상표에는 당사자인 스가노노 사네미치(菅野眞道)뿐 아니라 구다라노고니키시 닌죠(百濟王仁貞) 등이 후견인으로 나오는데, 이는 그들이 일본 내 백제계 도래 씨족들 사이에서 '종가'의 입장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구다라노고니키시 씨족의 본거지는 원래 나니와(難波)였으나, 이후 가와치노쿠니 가타노군(交野郡) 나카노미야노사토(中宮鄕)로 옮겨[11] 그곳에 사묘와 절을 지었다. 절은 중세에 소실되었고, 현재는 사묘인 구다라오(百濟王) 진쟈만 일본 오사카부 히라카타시에 남아 있다.

구다라노고니키시 일족의 선조는 백제 의자왕의 왕자 선광으로, 풍장(豊璋)을 따라 왜국으로 왔다. 660년 신라·당(唐)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가 멸망한 뒤, 풍장은 부흥군에 의해 새 백제왕으로 추대되어 백제로 돌아갔으나 선광은 그대로 왜국에 남았다. 663년 백강구 전투에서 백제와 왜 연합군은 나·당 연합군에게 패하고 풍장은 고구려로 망명하면서 백제 부흥은 사실상 끝났다.[12] 선광은 일본에 남아 백제 왕실의 혈통을 이었다.

나라 시대 말, 구다라노고니키시 슌테츠(百濟王俊哲)는 무쓰노카미(陸奧守) 겸 진슈쇼군(鎭守將軍)·정이부사(征夷副使) 등으로 임명되었고, 구다라노고니키시 부쿄(百濟王武鏡)는 데와노카미(出羽守)가 되는 등, 교후쿠 이후 일본 도호쿠 지방 경영과 에미시 토벌(정이, 征夷) 사업을 맡아 헤이안 중기까지 중급 귀족으로 존속했다.

헤이안 시대 초기, 간무(桓武) 천황의 생모가 백제계 도래 씨족 출신이었기에 천황의 외척으로 후대받았다.[13] 또한 일족 여자를 간무 천황·사가(嵯峨) 천황 등의 후궁으로 들여보내, 천황과 사적인 연줄을 맺어 번영했다.[14] 구다라노고니키시 진쟈의 신주(神主, 제주) 집안인 미마쓰(三松) 집안은 구다라노고니키시 씨족의 후예로 자처하고 있다.

3. 주요 인물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및 특이사항
백제왕선광601년 ~ 687년지토 천황에게서 구다라노코니키시 씨를 하사받음, 사후 정3위 추증
백제왕창성? ~ 674년
백제왕 원보? ~ ?700년 종5위하 히타치노카미(常陸守), 708년 정5위상 좌위사독, 713년 종4위하, 734년 사망
백제왕 랑우661년 ~ 737년703년 종5위상 이요노카미(伊予守), 704년 대학두, 715년 정5위상, 717년 종4위하 셋쓰노시키(攝津職)[15], 산미(散位)로 사망
백제왕 남전666년 ~ 758년708년 종4위하 히젠노카미(備前守), 715년 종4위상, 721년 하리마노아제치, 723년 정4위하, 735년 정4위상, 737년 종3위, 758년 사망
백제왕 자경? ~ ?735년 종5위하
백제왕 효충? ~ ?736년 종5위하, 738년 도토미노카미(遠江守), 746년 다자이노다이니(大宰大貳), 747년 정5위상, 748년 종4위하, 749년 시비츄다이소필(紫微中臺少弼), 750년 종4위하 이즈모노카미
백제왕 경복697년 ~ 766년739년 종5위하, 743년 무쓰노카미, 746년 카모우사노카미, 749년 무쓰노카미에서 일본 최초 금광 발견 및 황금 9백 냥 진상, 750년 궁내경, 종3위 형부경(刑部卿)
백제왕리백? ~ ?771년 종4위하 이세노카미, 774년 우경대부, 776년 사망
백제왕무경? ~ ?771년 종5위하 주계두, 774년 데와노카미, 776년 종5위상
백제왕명신? ~ 815년상시(尙侍), 후지와라노 쓰구나와(藤原継縄)에게 시집감
백제왕준철? ~ ?775년 무쓰 국 에미시 격퇴 공으로 훈6등, 778년 데와 국 에미시 격퇴 공으로 훈5등, 780년 종5위하, 진수부장군(鎭守副將軍)
백제왕인정? ~ ?771년 종5위하, 에몬노곤노스케(衛門員外佐)
백제왕교법? ~ ?간무 천황뇨고(女御)
백제왕교인? ~ ?간무 천황의 후궁
백제왕교덕? ~ ?
백제왕 교준? ~ ?
백제왕 귀명? ~ ?사가 천황뇨고(女御), 쿄우슌의 딸
백제왕 경명? ~ ?사가 천황의 후궁, 상시(尙侍)
백제왕 승의779년 ~ 855년
백제왕정련? ~ ?


4. 계보

위키 텍스트 형식과 지침에 따라 이전 결과물을 수정했습니다.

```text

위 계보는 《쇼쿠니혼키》 덴표진고(天平神護) 2년(766년) 6월 임자조에 실린 구다라노코니키시 쿄후쿠 사망 당시의 기록에 의거한 것이다.

《구다라노고니키시미마츠씨계도(百済王三松氏系図)》에 수록된 계보는 다음과 같다.

style="white-space:nowrap" |《구다라노고니키시미마츠씨계도》
의자왕
창성
낭우의 아들
엔보우의 아들
고우츄의 아들
경복의 아들
암(麿)의 아들
젠죠우의 아들
죠손의 아들
겐푸(玄風)
센죠(善貞)의 아들
쇼우기의 아들
젠기의 아들
쇼테츠의 아들



구다라노고니키시 씨족은 자세한 계보가 전해지지 않고, 계보 관계가 불분명한 인물도 많다. 《속군서유종(続群書類従)》 계보부에 구다라노고니키시 집안의 계보도가 수록되어 있었다고는 하지만, 오늘날에는 전해지지 않는다. 구다라노고니키시 씨족의 후예를 자처하는 미마츠씨의 계보 《구다라노고니키시 미마츠씨 계도(百済王三松氏系圖)》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 사료 가치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어, 오늘날 일본의 주요 사전류에서도 채택받지 못하고 있다.

백제를 씨(氏)로 칭하는 씨족은 여럿 있는데(백제(百濟) 아손, 백제(百濟) 공, 백제(百濟) 련, 백제(百濟) 숙녜), '''왕'''이라는 특수한 성(姓)이 가리키는 대로, 과거 백제 왕족 출신의 씨를 가리킨다. 또한 엔랴쿠 9년(790년) 간노 아손의 개성(改姓) 상표에서, 백제왕 인정 등이 후견자처럼 이름을 나란히 하고 있다[4]는 점에서, 백제계 도래 씨족의 종가적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왕씨(百濟王氏)의 혈통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인 의자왕의 왕자 백제왕선광의 후손이 일본 황실을 통해 현대에도 전해져 내려오며, 의자왕 - 백제왕선광 - 백제왕창성 - 백제왕랑우 - 백제왕경복 - 백제왕리백 - 백제왕준철 - 백제왕교준 - 백제왕경명(사가 천황 뇨고) - 미나모토노 사다메(사가 6대 겐지) - 미나모토노 쇼 - 미나모토노 주시 - 미나모토노 다카아키라 - 미나모토노 아키코 - 후지와라노 타카코(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 - 미나모토노 아키후사 - 후지와라노 겐시(시라카와 천황주궁) - 호리카와 천황 - (이후 역대 천황)이 된다.

참조

[1] 논문 "Kudara no Konishiki" sei no seiritsu to Kudara no Konikishi shi no gakubu sōjō
[2] 서적 Nihon kodai kokka no minzoku shihai to toraijin
[3] 서적 Kudara no Konikishi shi to kodai Nihon
[4] 간행물 続日本紀
[5] 뉴스 朝刊 関西発:大阪・百済寺跡 百済王氏の邸宅か 大型建物跡が初の出土 壊した後に建立 http://osaka.yomiuri[...] 2007-09-18
[6] 웹사이트 http://contents.nahf[...]
[7] 뉴스 濊倭同系論 古代文字資料館 2021-07
[8] 간행물 続日本紀
[9] 문서 구다라노아손(百濟朝臣), 구다라노기미(百濟公), 구다라노무라치(百濟連), 구다라노스쿠네(百濟宿禰) 등이 있다.
[10] 문서 중국의 《주서》백제전에 실려있는, 백제의 평민이 왕을 부르던 호칭이라 전하는 '건길지(鞬吉支)'라는 말에서 '코니키시(王)'라는 훈독법이 유래했다는 것이 오늘날의 통설이다.
[11] 문서 이주하게 된 경위는 구다라노고니키시 쿄후쿠가 무츠에서 황금을 발견한 공으로 가와치노카미로 임명되었던 것이 계기라고 하지만 사료상의 근거는 없으며, 이주한 시기에 대해서도 이설이 있다.
[12] 문서 《구당서》에 나오는 당나라 장수 유인궤의 상소문에, 풍장의 아우로서 왜국에 머무르며 백강구 전투 이후에도 계속 풍장과 내응하고 있었다는 왕자 부여용(扶餘勇)이, 다름아닌 선광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13] 문서 《속일본기》엔랴쿠 9년 9월 27일조 『百濟王等者朕之外戚也.』
[14] 문서 구다라노고니키시 씨족의 본관지인 가와치 국 가타노로 천황이 나가 사냥했다는 기사는 간무 천황 이후로 빈번하게 등장한다.
[15] 문서 종4위하가 된 그 해 10월에 봉호를 증액받지만, 이후 사망할 때까지 승진하지 못하고 관직에도 임명되지 못했다.
[16] 문서 [[오사카]] [[난바]]가 백제인 중심지로 발전한 단계의 핵심적 인물은 백제왕족인 백제왕씨(百濟王氏) 가문이라고 밝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