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기능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기능주의는 사회학의 고전 이론 중 하나로, 사회를 유기체와 유사하게 보고 각 사회 제도와 구조가 사회 전체의 기능 유지에 기여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오귀스트 콩트, 에밀 뒤르켐, 허버트 스펜서 등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며, 래드클리프-브라운,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탈콧 파슨스, 로버트 K. 머튼 등이 주요 이론가로 꼽힌다. 구조기능주의는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강조하며, 사회 현상을 기능적인 측면에서 분석한다. 그러나 사회 변동, 갈등, 개인의 주체성을 간과하고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는 비판을 받으며, 페미니즘, 갈등 이론, 마르크스주의 등 다양한 학문적 시각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기능주의 - 빌프레도 파레토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로, 로잔 학파를 이끌며 일반균형이론 발전과 후생경제학 개척에 기여했고, '파레토 효율성', '파레토 법칙' 등의 개념을 제시했으며, 《일반사회학 논고》에서 엘리트 순환 이론을 제시하며 사회학 발전에도 공헌했지만, 만년에 파시즘을 옹호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 구조기능주의 - 에밀 뒤르켐
에밀 뒤르켐은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로, 사회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정립하고 사회적 사실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구조 기능주의와 구조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회학 이론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사회학 이론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구조기능주의 | |
---|---|
사회학 이론 | |
핵심 개념 | |
정의 | 사회 구조와 기능에 초점을 맞춘 사회학 이론 |
사회체계 | 사회를 상호 의존적인 부분들로 구성된 체계로 간주 |
기능 | 각 사회 구성 요소가 사회 전체 유지에 기여하는 역할 |
항상성 | 사회체계는 균형과 안정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짐 |
합의 | 사회 구성원 간의 가치 및 규범에 대한 합의 강조 |
사회 통합 |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된 가치와 규범을 공유함으로써 사회가 통합된다고 봄 |
역사적 맥락 | |
등장 배경 | 19세기 후반 에밀 뒤르켐과 허버트 스펜서의 연구에서 발전 |
전성기 | 20세기 중반 미국 사회학에서 지배적인 이론 |
주요 학자 | 에밀 뒤르켐 탈콧 파슨스 로버트 K. 머턴 허버트 스펜서 |
주요 가정 | |
사회 구조 | 사회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구조를 가짐 |
기능적 필요 | 모든 사회 체계는 생존과 유지를 위해 충족해야 할 기능적 필요를 가짐 |
사회화 | 사회 구성원들은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함 |
사회적 합의 | 사회 통합은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합의에 의존 |
주요 관심사 | |
사회 질서 | 사회 질서가 어떻게 유지되는가에 대한 연구 |
사회 안정 | 사회 안정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사회 통합 | 사회 통합을 강화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사회 변동 | 사회 변동이 사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사회 제도 | 사회 제도(가족, 교육, 종교, 정치, 경제)의 기능에 대한 분석 |
비판 | |
보수적 성향 | 사회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현상 유지를 옹호한다는 비판 |
변화 설명의 한계 | 사회 변화와 갈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 |
개인의 역할 무시 | 개인의 자유 의지와 창의적인 행동을 무시한다는 비판 |
전체론적 관점 | 사회를 개별 요소들의 단순 합 이상으로 봄 |
기능주의의 문제점 | 사회적 갈등, 불평등, 변화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 |
응용 분야 | |
사회 문제 연구 | 사회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데 활용 |
사회 정책 개발 | 사회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 |
교육 분야 | 교육 제도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는 데 활용 |
보건 사회학 | 보건 제도와 건강 관련 행동을 분석하는 데 활용 |
가족 사회학 | 가족 제도의 기능과 변화를 분석하는 데 활용 |
종교 사회학 | 종교 제도의 기능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 |
정치 사회학 | 정치 제도의 기능과 권력 관계 분석 |
경제 사회학 | 경제 제도의 기능과 사회적 영향 연구 |
기타 | |
관련 이론 | 갈등 이론, 상징적 상호작용, 사회구성주의 |
관련 용어 | 구조, 기능, 사회화, 합의, 사회 통합 |
2. 구조기능주의의 학설사적 전개
사회학에서 고전 이론은 생물학적 유추와 사회 진화론 개념에 대한 경향으로 정의된다.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는 콩트 이후의 기능주의 사상이 사회과학에 가장 가깝고 호환되는 모델을 제공하는 과학으로 생물학을 주목해 왔다고 언급했다. 생물학은 사회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개념화하고 적응 메커니즘을 통한 진화 과정을 분석하는 지침으로 여겨졌다.[6]
기능주의는 루소와 같은 정치철학자들이 제시한 사회에 대한 유기적 유추의 논리적 연장선으로 볼 수 있지만, 사회학은 산업화된 자본주의 사회, 즉 근대에 고유한 제도에 더욱 주목한다.
오귀스트 콩트는 사회가 생물학 및 무기물과는 별개의 "수준"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회 현상에 대한 설명은 이 수준 내에서 구성되어야 하며, 개인은 비교적 안정적인 사회적 역할의 일시적인 거주자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콩트는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에게 영향을 주었다.
뒤르켐은 특정 사회가 내부 안정성을 유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존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사회가 공유된 가치, 공통된 상징, 또는 (조카 마르셀 모스(Marcel Mauss)가 주장했듯이) 교환 시스템에 의해 결합된다고 보았다. 뒤르켐은 전산업 사회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감정과 도덕적 가치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를 "기계적 연대"라고 불렀다.[1] 반면,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상호 의존성이 강해진다. 뒤르켐은 이러한 사회를 "유기적 연대"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전문화와 상호 의존성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를 의미한다.[1]
구조 기능주의는 사회가 견뎌내는 데 필요한 안정성과 내부 응집력을 설명하는 듀르크하임의 과업을 연속적으로 다룬다. 사회는 유기체처럼 기능하는 일관성 있고, 경계가 명확하며, 근본적으로 관계적인 구성체로서, 다양한 (또는 사회 제도)가 무의식적이고 준자동적인 방식으로 전체 사회적 평형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따라서 모든 사회적 및 문화적 현상은 함께 작용하는 의미에서 기능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자체적인 "삶"을 가진다. 개인은 그 자체로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회 관계 패턴에서의 위치, 그리고 그 지위와 관련된 행동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사회 구조는 관련 역할에 의해 연결된 지위의 네트워크이다.
기능주의는 마르셀 모스,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 래드클리프-브라운(Radcliffe-Brown)과 같은 이론가들의 작업에서 인류학적 기반을 가진다. '구조'라는 접두어는 래드클리프-브라운의 특정 용법에서 등장했다.[7] 래드클리프-브라운은 강력한 중앙 집중식 제도가 부족한 대부분의 무국가 "원시" 사회는 각 사회의 인정된 혈연 집단인 기업 하강 집단의 연합을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했다.[8] 구조 기능주의는 또한 말리노프스키의 주장, 즉 사회의 기본 구성 요소는 핵가족이며,[8] 씨족은 그 결과가 아니라 그 반대라고 주장했다.
"응집력 있는 시스템"을 강조하는 경향은 기능주의 이론을 사회 문제와 불평등을 강조하는 "갈등 이론"과 대조적으로 만든다.
2. 1. 기능주의에서 구조기능주의로
기능주의는 사회 현상을 설명할 때 부분과 전체의 기능적 연관성에 주목하여 귀납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반면, 파슨스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기능주의는 "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시스템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사회 구조의 유지와 변동을 연역적으로 설명하려 한다.[9] 즉, 사회 현상을 단순히 부분과 전체의 기능적 관계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시스템의 유지와 변동이라는 더 큰 틀에서 이해하려 한다.2. 2. 오귀스트 콩트
“실증주의의 아버지” 오귀스트 콩트는 많은 전통이 사라짐에 따라 사회를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지적했다. 그는 사회학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었다.[1] 콩트는 사회학이 3단계의 발전 과정의 산물이라고 제안한다.[1]- '''신학 단계''': 인류 역사의 시작부터 유럽 중세 말기까지 사람들은 사회가 신의 뜻을 표현한다는 종교적인 견해를 가졌다.[1] 신학 단계에서는 존재의 본질, 모든 결과의 첫 번째이자 최종 원인(기원과 목적), 즉 절대적인 지식을 추구하는 인간의 정신은 모든 현상이 초자연적 존재의 직접적인 행위에 의해 생성된다고 가정한다.[10]
- '''형이상학 단계''': 사람들은 사회를 초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 시스템으로 보기 시작했다. 이것은 계몽과 토마스 홉스, 존 로크, 루소의 사상과 함께 시작되었다. 사회에 대한 인식은 신의 완벽함이 아니라 이기적인 인간 본성의 결함을 반영했다.[11]
- '''실증적 또는 과학적 단계''': 과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사회를 묘사한다.[11]
2. 3. 허버트 스펜서
허버트 스펜서(1820–1903)는 사회에 자연 선택 이론을 적용한 영국의 철학자였다. 스펜서는 사회를 인체에 비유하며, 사회 구조가 사회 유지를 위해 함께 작용한다고 보았다.[1]스펜서는 진화 모델이 순환적이며, 분화와 복잡성 증가로 시작하여 평형과 불평형 상태를 거쳐 붕괴 또는 해체 단계에 이른다고 보았다. 그는 토마스 맬서스의 인구 원리에 따라 사회가 내부 및 외부의 선택압에 직면하여 내부 구조를 분화시켜 적응한다고 결론지었다.
스펜서는 선택압을 생성하는 세 가지 기능적 요구 사항으로 규제적, 작동적(생산적), 분배적 요구를 제시했다. 그는 모든 사회가 통제 및 조정, 재화 생산, 서비스 및 이념 문제, 그리고 자원 분배 방법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부족 사회에서는 혈족 시스템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는 주요 구조였으나, 인구 증가와 함께 새로운 조직이 필요하게 되었다. 스펜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더욱 전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의 분화를 제시했다. 족장이나 "거물"을 시작으로 왕과 관리들이 등장하는 식이다. 그는 사회 구조가 상호 의존적으로 기능하여 사회 기능을 돕는다고 보았다.[1]
2. 4. 에밀 뒤르켐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은 특정 사회가 내부 안정성을 유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존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사회가 공유된 가치, 공통된 상징, 또는 교환 시스템에 의해 결합된다고 보았다. 뒤르켐은 전산업 사회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감정과 도덕적 가치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를 "기계적 연대"라고 불렀다.[1] 반면,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상호 의존성이 강해진다. 뒤르켐은 이러한 사회를 "유기적 연대"라고 정의했는데, 이는 전문화와 상호 의존성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를 의미한다.[1]2. 5. 래드클리프-브라운
(래드클리프-브라운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음)3. 구조기능주의 사회학의 특징
구조기능주의는 사회학에서 고전 이론 중 하나로, 에밀 듀르크하임(Émile Durkheim)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듀르크하임은 사회가 어떻게 내부 안정성을 유지하고 시간이 지나도 생존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사회가 공유된 가치, 상징, 교환 시스템 등에 의해 결합된다고 보았다. 듀르크하임은 이러한 사회적 유대를 "기계적 연대"라고 불렀는데, 이는 전산업 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공통된 감정과 도덕적 가치에 기반한다.[1] 현대의 복잡한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상호 의존성이 강해진다. 듀르크하임은 이러한 사회를 "유기적 연대"라고 불렀으며, 이는 전문화와 상호 의존성에 기반한 사회적 유대이다.[1]
구조기능주의는 사회를 유기체처럼 기능하는 일관되고 경계가 명확한 구성체로 본다. 다양한 사회 제도는 전체 사회적 평형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며, 모든 사회적, 문화적 현상은 기능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개인은 그 자체보다는 사회적 관계 패턴에서의 위치와 역할에 따라 중요하게 여겨진다.
구조기능주의는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 래드클리프-브라운(Radcliffe-Brown) 등의 이론가들에 의해 인류학적 기반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래드클리프-브라운은 중앙 집중식 제도가 없는 "원시" 사회가 혈연 집단의 연합을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했다.[8]
"응집력 있는 시스템"을 강조하는 경향은 기능주의 이론을 사회 문제와 불평등을 강조하는 "갈등 이론"과 대조적으로 만든다.
3. 1. 구조
구조는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비교적 변화하기 어려운 부분(다양한 사회 관계가 패턴화되어 통합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교과서적으로는 “사회의 뼈대”라고 설명되어 있다(문장으로 말하자면 "문법 규칙"에 해당한다).[28]3. 2. 기능
기능이란 그러한 구조가 서로 다른 구조에 대해, 또 사회 전체에 대해 수행하고 있는 공헌 또는 작용으로 정의할 수 있다.[30]이로부터 구조기능주의 사회학은 여러 구조가 어떻게 사회 전체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해명하려는 사회학 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주요 이론가
킹즐리 데이비스(Kingsley Davis), 마이클 덴턴(Michael Denton), 에밀 뒤르켐(Émile Durkheim), 데이비드 킨(David Keen),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 로버트 K. 머튼(Robert K. Merton), 윌버트 E. 무어(Wilbert E. Moore), 조지 머독(George Murdock),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 알프레드 레지널드 래드클리프-브라운(Alfred Reginald Radcliffe-Brown), 허버트 스펜서(Herbert Spencer), 페이 자오퉁(Fei Xiaotong) 등이 구조기능주의의 주요 이론가로 꼽힌다.
이 중 로버트 K. 머튼(Robert K. Merton)은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중범위 이론을 제시하였고, 가브리엘 알몬드와 빙엄 파월은 정치 체제 분석에 구조 기능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였다.
4. 1. 로버트 K. 머튼
로버트 K. 머튼(Robert K. Merton)은 탈콧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이론에 동의하면서도, 파슨스의 이론이 지나치게 일반화되었다고 비판했다.[23] 그는 거대 이론보다는 중범위 이론을 강조하여 파슨스 이론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했다.머튼은 모든 사회 구조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그중 일부는 다른 기능보다 명확하다고 보았다.[1] 그는 기능적 통합, 보편적 기능주의, 필수불가결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한계를 지적하고 비판했다.[24]
- 기능적 통합 비판: 머튼은 현대 복잡한 사회에서 모든 부분이 사회의 기능적 통합을 위해 작동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어떤 제도나 구조는 특정 집단에게는 기능적이지만, 다른 집단에게는 역기능적일 수 있다.[25]
- 사회적 역기능: 머튼은 사회 운영을 방해하는 사회적 패턴, 즉 사회적 역기능이 존재한다고 보았다.[1]
머튼은 사회적 패턴의 결과에 따라 기능을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 현상 기능: 사회적 패턴이 의도되고 인식되는 결과[1] (예: 교육을 통한 진로 준비)
- 잠재 기능: 사회적 패턴이 의도되지 않고 인식되지 않는 결과[1] (예: 교육을 통해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
또한, 머튼은 사회의 운영을 방해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인 "사회적 역기능" 개념을 제시했다.[1] 그는 사회의 역기능적 측면을 조사함으로써 대안의 발전과 지속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23]
머튼은 현재 사회의 기능을 충족하는 제도와 구조에 대한 기능적 대안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기존 제도가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는 기능주의가 현상 유지를 암시하는 경향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23]
머튼은 에밀 듀르크하임(Émile Durkheim)의 아노미(anomie) 개념을 발전시켜 일탈 이론을 제시했다. 아노미는 문화적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용 가능한 방법 사이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머튼은 개인이 직면하는 상황을 다섯 가지로 유형화했다.
유형 | 설명 |
---|---|
순응 | 문화적 목표와 수단을 모두 수용 |
혁신 | 문화적 목표는 수용하지만, 새로운 수단을 사용 |
의례주의 | 목표 달성을 포기하고, 사회가 규정한 일만 수행 |
퇴행 | 사회의 목표와 수단을 모두 거부 |
반항 | 사회의 목표와 수단을 거부하고, 새로운 목표와 수단으로 대체 |
머튼은 혁신이나 반항을 통해 사회 내부에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회가 이러한 변화를 통제하려 하지만, 변화가 추진력을 얻으면 사회는 적응하거나 해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4. 2. 가브리엘 알몬드와 빙엄 파월
가브리엘 알몬드와 빙엄 파월은 정치 체제를 비교 분석하는 데 구조 기능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1] 그들은 정치 체제를 이해하려면 제도(구조)뿐만 아니라 각 제도의 기능도 함께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1] 이러한 제도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 있고 역동적인 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이러한 관점은 데이비드 이스턴의 국제 관계 체계 이론의 영향을 받은, 당시 비교 정치학 분야에서 널리 퍼져 있던 국가-사회 이론 및 종속 이론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이었다.[1] 이 이론들은 모든 정치 체제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자극과 반응"(혹은 투입과 산출)이라는 동일한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는 기계론적 관점을 취하면서, 각 정치 체제가 가지는 독특한 특성에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1] 반면, 구조 기능주의적 접근 방식은 정치 체제가 이해 집단, 정당, 정부 부처 등 여러 핵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견해를 바탕으로 한다.[1]
알몬드와 파월은 정치 체제가 구조 외에도 정치 사회화, 모집, 소통 등 다양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제시했다.[1] 여기서 사회화는 사회가 가치관과 신념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사회가 시민적 미덕이나 효과적인 시민의 습관을 심어주는 과정을 뜻한다.[1] 모집은 정치 체제가 시민들로부터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소통은 체제가 그 가치와 정보를 알리는 방식을 의미한다.[1]
5. 한국 사회와 구조기능주의
Structural functionalism영어적 관점에서 한국 사회는 가족, 교육, 정치, 경제 등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각 부분은 사회 전체의 유지와 안정을 위해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서로 의존한다. 예를 들어, 가족은 사회 구성원을 재생산하고 양육하는 기능을, 교육은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고 사회화하는 기능을, 정치는 질서를 유지하고 공공 정책을 결정하는 기능을, 경제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급속한 경제 성장은 각 부분이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상호 협력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주의적 관점은 사회 불평등, 갈등, 변화의 역동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한국 사회의 높은 교육열, 경쟁 심화, 불평등 심화 등의 현상은 기능주의적 관점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구조기능주의는 사회의 각 부분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의 가족 구조 변화, 교육 제도의 변화, 정치 체제의 변화 등은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기능주의적 관점만으로는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6. 비판
구조기능주의는 사회 변화와 갈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고, 개인의 행위 주체성을 간과하며, 보수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한다는 비판을 받는다.[36][23]
- 사회 변화와 갈등 설명의 한계: 구조기능주의는 사회를 안정된 체계로 보고, 사회 구성 요소들이 상호 의존하며 조화롭게 기능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사회 변동과 갈등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인종, 성별, 계급 불평등으로 인한 갈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36]
- 개인의 행위 주체성 간과: 구조기능주의는 개인을 사회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본다. 이는 개인이 사회 규범을 따르는 이유나, 반대로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게 만든다.[23] 일본 사회학자 후나츠 마모루(船津衛)는 현대 사회학이 인간을 '사회화 과잉 인간관'으로 파악한다고 비판하며, 파슨스를 중심으로 한 사회학이 인간을 사회에 의해 획일화된 존재로 본다고 지적했다.
- 보수적 이데올로기 옹호: 구조기능주의는 사회의 각 부분이 전체의 안정과 유지에 기여한다고 보기 때문에,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고 사회 불평등을 옹호하는 보수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3] 갈등 이론가, 마르크스주의자, 페미니스트들은 이러한 점을 비판했다.[23]
- 목적론적 설명의 문제: 사회 현상을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만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비판도 있다.[38] 이는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는 순환 논리에 빠질 수 있다.
6. 1. 사회 변화와 갈등 설명의 한계
구조기능주의는 1960년대에 사회 변동이나 구조적 모순과 갈등을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36] 예를 들어, 인종, 성별, 계급 등의 불평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긴장과 갈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지적이었다.[36]파슨스의 이론은 사회 변화를 '이동 평형'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려 했지만, 사회 질서의 유지 또는 빠른 회복에 지나치게 중점을 두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파슨스가 활동했던 2차 세계 대전 이후와 냉전 초기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회 질서가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36]
뒤르켐은 기능주의적 설명과 함께 길드 사회주의의 급진적인 형태를 지지했고, 마르크스주의도 사회적 모순을 인정하면서 기능주의적 설명을 사용했다. 파슨스 역시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의 분화와 재통합을 통해 일시적인 갈등을 설명하려 했다.[37]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기능 분석이 본질적으로 보수적이거나 급진적인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7]
하지만 기능주의는 사회 제도의 발전을 그것이 가져오는 효과에만 의존하여 설명하려 한다는 점에서 동어반복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8] 머튼은 기능 분석이 행위의 최초 발생 이유가 아니라 지속 및 재생산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라고 반박했지만, 사회 현상이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에 (재)생산된다는 논리는 기능주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38]
또한, 기능주의는 사회가 인간처럼 "필요"를 가질 수 없으며, 설령 필요가 있다 해도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존재론적 비판에도 직면했다.[23] 앤서니 기든스는 기능주의적 설명이 개인의 인간 행동과 결과에 대한 역사적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능주의는 개인의 행위 개념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는 비판도 받았다. 즉, 개인이 사회적 역할에 따라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존재로 묘사된다는 것이다.[23] 홀름우드는 정교한 기능주의가 발달된 행동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고 반박했지만, 개인이 규범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이유, 그리고 자신의 행위를 선택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갈등 이론가, 마르크스주의자, 페미니스트, 포스트모더니스트 등 다양한 학자들은 기능주의가 사회 통합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독립성과 갈등을 무시한다고 비판했다.[23] 특히 갈등 이론은 파슨스의 이론이 시스템 모순 개념을 간과했다고 지적했다.[23]
마르크스주의는 기능주의와 갈등 이론을 포함한 전문 사회학이 복지 자본주의에 편향되어 있다고 비판했다.[23] 골드너는 파슨스의 이론이 복지 자본주의의 지배적 이해관계를 대변하며, 사회적 기능을 통해 제도를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23]
페미니즘은 기능주의가 가족 구조 내 여성 억압을 간과한다고 비판했다. 홀름우드는 파슨스가 긴장과 갈등 상황을 설명했지만 명확히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고,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파슨스가 이러한 상황을 정확히 묘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3] 그러나 파슨스가 여성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과도하게 단순화하고 가족의 긍정적 기능에만 초점을 맞췄다는 비판은 여전히 제기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객관성에 대한 주장을 비판하며, 사회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거대 이론과 거대 서사에 회의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는 거대 이론이 특정 관점에 갇힐 위험을 경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제프리 알렉산더는 기능주의를 특정 방법론이 아닌 광범위한 학파로 보면서, 평형(안정성)을 가정이 아닌 참조점으로 삼고 구조적 분화를 사회 변화의 주요 형태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9] 이는 기능주의에 대한 결정론적 비판을 완화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6. 2. 개인의 행위 주체성 간과
구조기능주의는 개인을 사회 구조에 의해 수동적으로 결정되는 존재로 간주하여 개인의 능동성과 창조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3] 즉, 개인은 마치 인형처럼 역할이 요구하는 대로 행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3] 이는 개인이 수용된 규범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이유,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행위를 행사하기로 선택하는 이유는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가장 정교한 형태의 기능주의는 "매우 발달된 행동 개념"[23]에 기반하고 있으며, 파슨스는 개인과 그들의 행동을 출발점으로 삼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개인이 수용된 규범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이유,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행위를 행사하기로 결정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여전히 부족하며, 이는 해당 이론의 중요한 한계점으로 남아있다.
일본의 사회학자 후나츠 마모루(船津衛)는 현대 사회학에서 인간을 ‘사회화 과잉 인간관’(oversocialized conception of man)으로 규정한다고 비판했다.[23] 그는 T. 파슨스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 사회학이 인간을 사회라는 주형에 끼워 맞춰지고, 개성이나 독자성을 빼앗긴 획일화된 존재로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6. 3. 보수적 이데올로기 옹호
구조기능주의는 사회의 각 부분이 상호 의존하며 전체의 안정과 유지에 기여한다는 관점을 가진다. 이러한 관점은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고 사회 불평등을 옹호하는 보수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3][36]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사회 개혁과 평등을 중시하는 정당으로서, 구조기능주의의 보수적 성향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다.갈등 이론가, 마르크스주의자, 페미니스트들은 구조기능주의가 사회 통합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독립성과 갈등을 무시한다고 비판했다.[23] 갈등 이론에서는 파슨스의 이론이 시스템 모순 개념을 놓쳤다고 지적하며, 시스템 일부에서 부적응 경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23]
마르크스주의는 구조기능주의를 포함한 전문 사회학이 진보된 복지 자본주의에 편향되어 있다고 비판했다.[23] 골드너는 파슨스의 이론이 복지 자본주의의 지배적인 이해관계를 대변하며, 사회에 대한 기능을 통해 제도를 정당화한다고 주장했다.[23]
페미니즘은 구조기능주의가 가족 구조 내에서 여성의 억압을 무시한다고 비판했다. 홀름우드는 파슨스가 긴장과 갈등 상황을 설명했지만 명확하게 다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23] 일부 페미니스트는 파슨스가 이러한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했다고 주장하지만,[23] 파슨스 자신도 여성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가족의 긍정적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여성에 대한 기능 장애는 간과했음을 인정했다.
6. 4. 목적론적 설명의 문제
사회 현상을 설명할 때, 그것이 수행하는 기능에만 의존하여 순환 논리에 빠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38] 예를 들어, 특정 사회 제도가 하는 일 때문에 그 제도가 존재한다고 설명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머튼은 어떤 현상이 처음 발생한 이유가 아니라, 왜 그것이 계속 유지되거나 다시 나타나는지를 설명하려고 노력한다고 주장한다.참조
[1]
서적
Sociology
Pearson Prentice Hall
1944–2011
[2]
웹사이트
The Structural-Functional Theoretical Approach
https://www.wisc-onl[...]
2012-09-20
[3]
서적
Sociology beyond societies: mobiliti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4]
서적
Social systems and the evolution of action theory
Free Press
1977
[5]
서적
The sociology of Talcott Pars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6]
서적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7]
웹사이트
Functionalism
http://anthropology.[...]
2018-09-20
[8]
웹사이트
Structural Functionlism
http://www.integrate[...]
2012-02-23
[9]
서적
Defending the Durkheimian tradition : religion, emotion, and morality
Ashgate
2005
[10]
서적
Auguste Comte and positivism : the essential writings
Transaction Publishers
1998
[11]
서적
Sociology
Pearson
2012
[12]
서적
Herbert Spencer : a renewed appreciation
Sage Publications
1985
[13]
서적
Human societies: an introduction to macrosociology
Paradigm Publishers
[14]
학술지
The social cage: Human nature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1994-03
[15]
서적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51
[16]
서적
Modern social theory: from Parsons to Habermas
St. Martin's Press
1992
[17]
서적
Perspectives in sociology
G. Allen & Unwin
1979
[18]
웹사이트
Notes on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Parsons
http://uregina.ca/~g[...]
1999
[19]
서적
Sociological Theory, 6th edition
McGraw-Hill
2004
[20]
학술지
Some Principles of Stratification
1945
[21]
서적
Health and social theory
Palgrave Macmillan
1976–2010
[22]
학술지
Some Principles of Stratification: A Critical Analysis
1953
[23]
서적
Modern social theory: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서적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1988
[25]
문서
In sociology, another term for describing a ''positive function'', in opposition to a ''dysfunction'', is eufunction.
[26]
서적
The invention of primitive society : transformations of an illusion
Routledge
1988
[27]
서적
Pul Eliya : a village in Ceyl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8]
웹사이트
The Meaning of "Life"
http://www4.ncsu.edu[...]
2009-08-23
[29]
웹사이트
Comparing "The Strong Program in Cultural Theory
http://www.the-ratho[...]
2009-08-23
[30]
웹사이트
Biological Adaptation in Human Societies: A 'Basic Needs' Approach
http://www.complexsy[...]
2009-08-23
[31]
서적
Handbook of Sports Studies
SAGE
[32]
서적
Key ideas in sociology
Nelson Thornes
2003
[33]
서적
The constitution of society :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34]
서적
The elements of social theory
[35]
서적
The Giddens read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36]
서적
STRUCTURAL FUNCTIONAL PERSPECTIVE IN SOCIOLOGY
http://subedi.orgfre[...]
TU Nepal
[37]
서적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38]
서적
Masters of sociological thought : ideas i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39]
학술지
The Myth of Functional Analysis as a Special Method in Sociology and Anthropology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