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1급(성인용), 2급, 3급(고등학생용)으로 나뉘어 시행되었던 영어 능력 평가 시험이다. 1급은 TOEIC, TOEFL 등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2급과 3급은 고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실용 영어 능력을 평가했다. 2012년에는 모의평가와 본 시험이 실시되었으며, 2013년에는 대학 입시에서 일부 반영되기도 했다. 하지만 변별력 논란과 운영 미숙, 낮은 활용도로 인해 2014년 2급과 3급, 2015년 1급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 교육 - 굿모닝 팝스
    1988년 2월 1일 KBS에서 첫 방송된 《굿모닝 팝스》는 팝 음악과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코너로 사랑받은 영어 교육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2024년 6월 30일 종방 후 《상쾌한 아침》의 코너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영어 교육 - TEPS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하고 텝스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영어 능력 평가 시험으로, 청해, 문법, 어휘, 독해 영역을 평가하는 기존 TEPS와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TEPS Speaking & Writing, i-TEPS 시험도 운영하며 대한민국 외교부 UN 기구 채용 시험 채택, 서울대학교 신입생 교양필수 영어 과목 수강 자격 부여 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 영어 시험 - TOEIC Speaking
    TOEIC Speaking은 ETS에서 주관하는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시험으로, OPIc, G-TELP Speaking 등과 비교 가능하며 Advanced High부터 Novice Low까지 다양한 등급으로 나뉜다.
  • 영어 시험 - TEPS
    TEPS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하고 텝스관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영어 능력 평가 시험으로, 청해, 문법, 어휘, 독해 영역을 평가하는 기존 TEPS와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TEPS Speaking & Writing, i-TEPS 시험도 운영하며 대한민국 외교부 UN 기구 채용 시험 채택, 서울대학교 신입생 교양필수 영어 과목 수강 자격 부여 기준으로 활용되는 등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기본 정보
종류영어 능력 평가 시험
약칭NEAT
개발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현 교육부)
시행 기관국립국제교육원
목적
목표실용 영어 능력 측정
활용대학교 입시 (일부 대학에서 활용)
취업
승진
시험 구성
영역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급1~3급
역사
시작2012년 (시범 실시)
중단2016년 (사실상 폐지)
배경대한민국의 영어 교육 방식 개선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영어 능력 평가 필요성
특징
인터넷 기반 시험 (IBT)컴퓨터 기반 시험
실생활 영어 능력 평가단순 지식 암기보다 의사소통 능력 중시
정부 주도 개발기존 TOEFL, TOEIC 등 외국 시험 대체 목표
논란 및 문제점
낮은 활용도대학 입시 반영 저조
기업의 활용 부족
시험 준비 부담새로운 유형의 시험에 대한 수험생 부담 증가
평가의 공정성 논란말하기/쓰기 영역 채점의 객관성 문제 제기
관련 정보
관련 정책영어 교육 강화 정책
유사 시험TOEFL
TOEIC
TEPS
OPIC

2. 등급별 수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1급, 2급, 3급으로 나뉘어 시행되었다. 1급은 성인용으로, 대학 2~3학년 수준이며 TOEIC, TOEFL 등을 대체한다. 2급과 3급은 고등학생용으로, 2급은 영어가 많이 활용되는 학과, 3급은 실용영어 활용의 대학 수학 능력이 필요한 학과 요구 수준이다.

2. 1. 1급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대학 2~3학년 수준의 영어 능력을 평가한다. TOEIC, TOEFL 등을 대체하여 졸업시험, 취업, 유학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8] 이 시험은 대기업, 공사 및 외국계 기업 등의 수요조사 결과와 기업체의 자문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8]

2. 2. 2급

고등학생용으로, 영어가 많이 활용되는 학과 공부에 필요한 기초학술영어 능력을 평가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Ⅱ,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회화와 연계되며, 2009 개정 교육과정(2011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Ⅰ, 영어Ⅱ,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과도 연계된다.[9][10][11] 교육과정 기본어휘를 모두 포함한 3,000개의 어휘기본형을 포함한다.

2. 3. 3급

고등학생 대상의 시험으로, 실용영어 활용 및 대학 수학 능력이 필요한 학과 요구 수준의 실용영어 능력을 평가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영어Ⅰ, 실용 영어 회화와 연계되며, 2009 개정 교육과정(2011 개정 교육과정)의 실용 영어Ⅰ, 실용 영어Ⅱ, 실용 영어 회화,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과 연계된다.[9][10][11]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2,000여개의 기본 어휘를 포함한다.[9][10][11]

3. 시험 개요 (2급, 3급)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급과 3급은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 성취 수준에 따라 A, B, C, D 4개 등급으로 성적이 구분되어 통보된다.[1] 시험 성적은 시험일로부터 2년간 유효하다.

듣기·읽기는 채점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 채점되며, 말하기·쓰기는 전문 채점자가 온라인으로 복수 채점한다.[1][2] 2012년 6월에는 시험 대비 학습 안내서(NEAT 200)와 단어집(NEAT Voca 2000, 3000)이 개발, 보급되었다.[12]

3. 1. 시험 응시 대상 및 응시 횟수

시험 시행 초기에는 고등학교 3학년 및 대입 희망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2급 시험과 3급 시험 중 자신의 진로와 필요를 고려하여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응시할 수 있었다. 또한 시행 초기에는 2회의 응시 기회가 부여될 예정이었으므로, 2급 시험(또는 3급 시험)을 2회 응시하거나 2급 시험과 3급 시험에 각각 1회씩 응시할 수도 있었다. 시험이 안정적으로 정착된 이후 응시 대상 및 응시 기회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었다.[1]

3. 2. 성적 유효 기간

시험 일자로부터 2년 간이다.

3. 3. 성적 산출 방안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각 영역별로 학생들의 절대적인 성취 수준에 따라 4개 등급(A, B, C, D)으로 구분하여 통보하며, 이와 함께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기술(performance level description)하여 제공한다.[1]

3. 4. 출제 및 채점 방안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서 듣기·읽기 영역은 채점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채점이 이루어지며, 말하기·쓰기 영역은 전문 채점자가 온라인으로 직접 채점한다. 채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 채점을 한다.[1] 듣기, 읽기는 선다형이므로 자동 채점이 이루어진다.[2]

말하기, 쓰기는 채점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채점하며, 신뢰도가 높은 채점자를 연차적으로 5,000명까지 확보해나갈 예정이다.[2]

3. 5. 학습 자료 제공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에 출제되는 문장 유형(pattern)과 어휘(vocabulary)의 범위를 사전에 명확하게 제시하고, 시험 대비 학습 안내서(NEAT 200)와 단어집(NEAT Voca 2000, 3000)을 개발, 보급했다. (2012년 6월)[12]

4. 예비시험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시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차례 예비시험 및 모의평가를 실시하였다. 2012년 상반기까지 2차례의 모의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평가틀을 완성할 계획이었다.[8]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고등학생용 2, 3급 및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이 여러 차례 실시되었고,[13][14][15][16][17][18][19][8][20] 2012년에는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2급, 3급 모의 평가가 실시되었다.[21]

4. 1. 2009년

2009년에는 고등학생용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급과 3급의 예비시험이 세 차례 실시되었다.[13][14][15]

시행일대상 지역대상 학교 및 학생
5월 28일(목) ~ 29일(금)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33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4,000명
9월 10일(목) ~ 11일(금)전국 15개 시·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외)40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5,300명
12월 21일(월) ~ 22일(화)전국 15개 시·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외)80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10,000명


4. 2. 2010년

2010년 4월 24일, 서울·수도권 지역 대학생 및 직장인 등 약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이 실시되었다.[16] 9월에는 34개 고등학교 학생 약 2,900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이 실시되었다.[17]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는 전국 16개 시·도의 169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20,000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이 실시되었다.[17]

4. 3. 2011년

2011년 1월 29일, 전국 17개 주요 도시 25개 시험장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4,000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실시했다.[18] 3월에는 16개 고등학교 학생 1,900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실시했다. 5월 26일과 27일에는 전국 16개 시·도의 80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약 12,000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용 2급, 3급 예비시험을 실시했다.[19] 7월 30일에는 전국 45개 도시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실시했다.[8] 12월 17일에는 전국 44개 주요 도시의 48개 시험장에서 대학생, 직장인 등 일반인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1급 예비시험을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실시했다.[20]

4. 4. 2012년

2012년 5월 20일, 전국 16개 시도 109개 시험장에서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급, 3급 모의 평가가 실시되었다.[21]

5. 본 시험

현재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본 시험은 2012년과 2013년에 시행되었다.[22]

5. 1. 2012년

2012년 6월 24일에 고등학생용 2급, 3급 1차 시험이 실시되었다. 2012년 7월 29일에는 고등학생용 2급, 3급 2차 시험이, 2012년 9월 26일에는 성인용 1급 시험이 실시되었다.[22]

5. 2. 2013년

2013년 5월 11일에 성인용 1급 시험이 실시되었고, 고등학생용 2급, 3급 시험은 2013년 6월 2일에 1차, 7월 28일에 2차 시험이 실시되었다.

6. 대학입시제도 개편 논의

2013학년도부터 일부 대학들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수시모집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대진대학교, 동서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7개 대학이 201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시범적으로 반영했고,[23] 2014학년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등 27개 4년제 대학과 신구대학교 등 9개 전문대학에서 활용하였다.[24]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으로 대체할지 여부를 2012년 하반기에 최종 결정할 예정이었다. 2012년 첫 시험 결과를 보고 수능 대체 여부를 결정하고, 대체가 결정되면 최소 3년의 유예기간을 두어 2016학년도 수능부터 대체가 가능할 것이었다.[27][28] 그러나 준비 부족으로 2018학년도 대체가 유력하다는 보도가 있었다.[29]

2013년,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수능 대체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키우고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수능 대체 계획을 백지화하였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은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다소 쉽게 출제될 예정이었다. NEAT 2급의 경우 어휘 수는 현행 수능보다 1,000단어 이상 적었고, 읽기 영역의 예상 정답률은 수능보다 5~10% 정도 높았다(2011년 5월 26일 발표).[25][26]

6. 1. 수시모집 활용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대진대학교, 동서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 7개 대학이 201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시범적으로 반영했다.[23] 2014학년도부터는 동덕여자대학교 등 27개 4년제 대학과 신구대학교 등 9개 전문대학에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활용하였다.[24]

6. 2. 수능 외국어영역(영어) 대체 논란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으로 대체할지 여부를 시험의 공신력 인정 정도와 의견 수렴 결과를 종합하여 2012년 하반기에 최종 결정하기로 하였다. 2012년 첫 시험의 결과를 보고 수능 대체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며, 만약 수능을 대체하는 쪽으로 결정된다면 최소 3년의 유예기간을 둬야 하므로 2016학년도 수능 이후부터 대체가 가능할 것이었다.[27][28] 그러나 준비 부족으로 인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자문위원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2018학년도 대체가 유력하다는 보도가 있었다.[29]

2013년,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NEAT의 수능 대체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키우고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NEAT 수능 대체를 백지화하였다.

6. 3. 현행 수능 외국어영역(영어)과의 난이도 비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은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다소 쉽게 출제될 예정이었다. 어휘 수에서 NEAT 2급은 현행 수능보다 1,000단어 이상 적었으며, 2급 시험 읽기 영역의 예상 정답률은 수능보다 5~10% 정도 높았다(2011년 5월 26일 발표).[25][26]

7.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교육과정'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시행에 맞춰 2011년에 개정되었다.

7. 1. 적용 연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교육과정'이 2011년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시행에 맞춰 개정되었다. 개정된 교육과정은 2013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적용 시기는 다음과 같다.[1]

적용 연도대상 학년
2013년 3월 1일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2014년 3월 1일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2015년 3월 1일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2013년에는 초·중·고교 모두 2006년 8월 29일에 고시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과 교육과정'을 적용받았다. 다만,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은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았다.[1]

8. 논란

2012년에 두 차례 시행된 2~3급 시험에서 듣기·읽기·말하기·쓰기 4개 영역 모두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은 수험생은 2급 17.4%, 3급 29.9%로 나타나 변별력 문제가 제기되었다.[30][31] 이러한 변별력 문제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상위권 대학들은 NEAT 시험 반영을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급 시험의 경우, 국외에서 시험의 공신력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었다.[32][33][34]

2013년에 시행된 2~3급 시험에서는 전산 오류가 발생하여 수험생들이 시험이 끝난 후 답안을 작성하는 등 운영상의 미숙함이 드러나 비판을 받았다.[35]

9. 시험 결과

2010년 10월 5일 김선동 의원(한나라당)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9년 세 차례 실시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예비시험에서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성적이 듣기와 읽기 영역의 성적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6][37]

10. 폐지

박근혜 정부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낮은 활용도와 저조한 응시자 수를 이유로 예산 반영을 중단하였다. 2014년에 고등학생 대상 2급, 3급이 폐지되었고, 2015년에는 일반인 대상 1급이 폐지되었다.[38]

참조

[1] 웹사이트 NEAT to have positive impact on English learnin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3-04-10
[2] 논문 Maximiz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New Korean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o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rough Task-Based Instruction. University of Wisconsin at River Falls 2012
[3] 웹사이트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NEAT) http://www.niied.go.[...] niied 2013-11-01
[4] 웹사이트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 South Korean Education https://sites.google[...] 2013-11-01
[5] 웹사이트 '[인터넷교보문고] 꿈을 키우는 세상' http://www.kyobobook[...] Kyobobook.co.kr 2013-11-01
[6] 웹사이트 South Korea | International Education News http://international[...] Internationalednews.com 2013-11-01
[7] 웹사이트 Homegrown English tests in trouble https://koreatimes.c[...] The Korea Times 2013-11-01
[8]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3차 모의평가 실시 http://korea.kr/news[...]
[9] 문서 2007 개정 교육과정(영어과) http://cutis.mest.go[...]
[10] 문서 7차 교육과정(영어과) http://cutis.mest.go[...]
[11] 문서 2011 개정 교과 교육과정(영어과) http://cutis.mest.go[...]
[12]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012년 시행 계획 발표 http://www2.korea.kr[...]
[13]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예비시험 실시 http://korea.kr/news[...]
[14]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2차 예비시험 실시 http://korea.kr/news[...]
[15]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개발을 위한 3차 예비시험 실시 http://korea.kr/news[...]
[16]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1차 예비시험 실시 http://korea.kr/news[...]
[17]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ㆍ3급) 시범평가 실시(2010년 12월 20일) http://www.korea.kr/[...]
[18]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모의평가 실시 http://korea.kr/news[...]
[19] 문서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수준 설정 및 IBT 시행 시스템 점검 등(첨부파일의 15쪽) http://www.kice.re.k[...]
[20] 웹인용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성인용) 4차 모의평가 실시 http://www2.korea.kr[...] 2012-01-07
[21]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모의평가…"쉬웠다" https://news.naver.c[...]
[22] 뉴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인용 26일 첫 시행 https://news.naver.c[...]
[23] 뉴스 2013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2011년 12월 12일) http://www.kcue.or.k[...]
[24] 웹사이트 2014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발표(2012년 12월 11일) http://www.kcue.or.k[...]
[25] 뉴스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방안 발표 http://korea.kr/news[...]
[26] 블로그 2014 수능시험, 이렇게 달라집니다. http://blog.naver.co[...]
[27] 뉴스 수능영어 `한국형 토익'으로 대체 검토(종합) https://news.naver.c[...]
[28] 뉴스 "'한국판 토플' 국가영어평가시험 2012년 첫 시행" https://news.naver.c[...]
[29] 뉴스 NEAT 수능대체 시기 2018학년도 유력 http://segye.com/Art[...]
[30] 뉴스 수능 영어 대체 니트, 변별력 '논란' https://news.naver.c[...]
[31] 뉴스 “올A 너무 많다” vs “수학 자격 시험” https://news.naver.c[...]
[32] 뉴스 ‘한국형 토익·토플’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신뢰·난이도 검증 http://news.khan.co.[...]
[33] 뉴스 現 초등 6학년 대입영어 ‘한국형 토플’로 치를 것 http://news.donga.co[...]
[34] 웹인용 토익·토플 ‘국부 유출’…한국형 시험 성공 조건은? http://news.kbs.co.k[...] 2012-09-27
[35] 뉴스 "전산오류에 시험 끝나고 답안 입력"..NEAT 총체적 부실 사실로 https://news.naver.c[...]
[36] 뉴스 '수능 대체' 국가영어능력평가 어떻게 준비해야하나? http://www.asiae.co.[...]
[37] 블로그 미래교육연구소 블로그 http://blog.naver.co[...]
[38] 뉴스 한국형 토익 'NEAT' 결국 내년 폐지된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