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톨로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톨로그는 온라인 언어 데이터베이스로, 421개의 구어 어족 및 고립어, 피진, 혼합어, 인공어, 수화 등을 분류한다. 어족 분류에 보수적이며, 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는 고립어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다. 2024년 5.0 버전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로 출시되었으며,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에서 호스팅하는 Cross-Linguistic Linked Data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지 데이터베이스 - 월드캣
월드캣은 OCLC가 개발한 전 세계 도서관의 자료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목록 데이터베이스이며, 오픈 월드캣, API 제공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였고, 도서관의 로컬 카탈로그와 동기화되며 다양한 목록 작성 도구를 사용한다. - 서지 데이터베이스 - 수학 리뷰
수학 리뷰는 오토 E. 노이게바우어가 나치 검열을 피하고자 1940년에 설립한 수학 학술지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 수학 연구 출판물에 대한 리뷰를 제공하며 MathSciNet을 통해 1940년 이후의 자료와 수학 인용 지수를 제공하지만 평가 주관성 및 지수 방식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글로톨로그 | |
|---|---|
| 개요 | |
| 유형 | 온라인 언어 데이터베이스 |
| 분야 | 언어학 |
| 언어 | 영어 |
| 제작자 | 막스 플랑크 인류사 과학 연구소 |
| 비용 | 무료 |
| 웹사이트 | Glottolog 공식 웹사이트 |
2. 글로톨로그의 어족 분류
글로톨로그는 다른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어족 분류에 있어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한다. 비교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유효성이 입증된 어족만을 인정하며, 분류가 불확실한 언어는 고립어로 분류한다.[10]
글로톨로그 4.8판에는 421개의 구어 어족 및 고립어가 실려 있으며, 주요 어족 외에도 피진(81개 언어), 혼합어(14개), 인공언어(28개), 사용역(10개), 수화(196개 언어, 이 가운데 1개는 피진, 3개는 보조어) , 미분류 언어 (123개), 미확인 언어 (66개), 관리용 목록(사용 중지된 ISO 항목 등 미상 언어 393개, 이 가운데 6개는 수화)등 다양한 분류를 사용한다.[5]
2. 1. 주요 어족 목록 (글로톨로그 4.8판 기준)
글로톨로그 4.8판에는 421개의 구어 어족 및 고립어가 등재되어 있다.[10] 주요 어족으로는 대서양콩고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인도유럽어족, 중국티베트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등이 있다.| 어족명 | 지역[11] | 언어 수 |
|---|---|---|
| 대서양콩고어족 |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1,410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아프리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 1,272 |
| 인도유럽어족 |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 585 |
| 중국티베트어족 | 유라시아 | 506 |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아프리카, 유라시아 | 382 |
| 핵심 트랜스뉴기니어족 | 오세아니아 | 317 |
| 파마늉아어족 | 오스트레일리아, 오세아니아 | 250 |
| 오토망게어족 | 북아메리카 | 181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유라시아 | 158 |
| 타이카다이어족 | 유라시아 | 96 |
글로톨로그는 어족과 고립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언어 유형을 분류한다.[9]
3. 기타 언어 분류
크리올은 기본 어휘를 제공한 언어와 함께 분류된다.
4. 글로톨로그의 특징
글로톨로그는 ''Ethnologue''와 달리, 확인된 언어만을 등재하고 민족지학적/인구통계학적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특히 덜 알려지거나 설명이 부족한 언어에 대한 포괄적인 참고 문헌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3] 대체 이름은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출처에 따라 제한적으로 나열된다.
참고 문헌 항목에 사용된 언어 이름은 ISO 639-3 코드 또는 글로톨로그 자체 코드(Glottocode)로 식별된다. 외부 링크를 통해 ISO, ''Ethnologue'' 등 다른 온라인 언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다.
글로톨로그는 다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어족 분류에 보수적이며, 분류가 확실하지 않은 언어를 고립어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10] 예를 들어 4.8판에는 421개의 구어 어족 및 고립어가 실려 있다.
| 이름 | 지역[11] | 언어 수 |
|---|---|---|
| 대서양콩고어족 |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1,410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아프리카, 유라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 1,272 |
| 인도유럽어족 |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 585 |
| 중국티베트어족 | 유라시아 | 506 |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아프리카, 유라시아 | 382 |
| 핵심 트랜스뉴기니어족 | 오세아니아 | 317 |
| 파마늉아어족 | 오스트레일리아, 오세아니아 | 250 |
| 오토망게어족 | 북아메리카 | 181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유라시아 | 158 |
| 타이카다이어족 | 유라시아 | 96 |
크리올은 기본 어휘를 제공한 언어와 함께 분류된다. 그 외에도 피진, 혼합어, 인공언어, 수화 등을 포함한다.
참조
[1]
간행물
Glottolog/Langdoc:Increasing the visibility of grey literature for low-density languages
http://www.lrec-conf[...]
European Language Resources Association (ELRA)
2012-05
[2]
웹사이트
About
https://glottolog.or[...]
2023-07-10
[3]
간행물
Glottolog: A Free, Onlin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www.mpi.nl/p[...]
2015
[4]
웹사이트
Cross-Linguistic Linked Data
http://clld.org
2020-02-22
[5]
웹사이트
Glottolog Families
https://glottolog.or[...]
2022-12-07
[6]
웹사이트
Glottolog: About Languoids
https://glottolog.or[...]
2019-01-27
[7]
웹사이트
Pseudo Family: Sign Language
https://glottolog.or[...]
2023-07-10
[8]
웹사이트
Glottolog Family: Bookkeeping
https://glottolog.or[...]
2023-07-10
[9]
URL
http://glottolog.org[...]
[10]
웹인용
Glottolog Families
https://glottolog.or[...]
2024-01-09
[11]
문서
글로톨로그의 지역 구분 중에는 “[[뉴기니섬|파푸아]]”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의 합성어인 “파푸네시아”가 있다. 이는 동남아시아의 섬들 및 오세아니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뺀 지역을 말하며, 여기서는 “오세아니아”로 옮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