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모으기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모으기 운동은 1997년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해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금을 모아 국가에 기증한 운동이다. 새마을부녀회의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으로 시작되어 KBS의 캠페인 확산을 통해 전국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업, 유명인사, 일반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약 227톤의 금을 모아 IMF 차입금 조기 상환에 기여했으나, 경제 위기의 근본 원인을 가리고 국민에게 책임을 전가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경제 -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대한민국이 외환 부족에 직면하여 IMF에 긴급 자금 지원을 요청한 사건으로, 대기업 연쇄 부도, 외환 보유고 부족, 환율 폭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1997년 경제 - 1997년 외환 위기의 연표
    1997년 외환 위기는 태국 바트화 폭락과 대기업 부실, 외환 시장 불안으로 인해 대한민국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고 혹독한 구조조정을 겪은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제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교육 투자 등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1997년 대한민국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김대중 후보가 당선되어 최초의 평화적인 여야 정권 교체를 이루었으며, IMF 외환 위기 속에서 전두환·노태우 사면 논란, 병역 비리 의혹, 비자금 의혹 등 여러 논란과 후보 단일화, 지역주의 투표 양상을 보였다.
  • 1997년 대한민국 - BBK 주가 조작 사건
    BBK 주가 조작 사건은 김경준이 설립한 BBK와 관련된 사건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연루 의혹이 핵심 쟁점이며, 자금 횡령 및 주가 조작 혐의로 기소되었고, 2007년 대선에 영향을 미쳤다.
금모으기 운동
캠페인 개요
이름금 모으기 운동
로마자 표기geum moeugi undong
기간1998년 1월 ~ 1998년 4월
배경
상황1997년 IMF 외환 위기
내용
목표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달러 확보
방법국민들이 금을 자발적으로 기증
결과
참여수많은 대한민국 국민 참여
효과외환 위기 극복에 기여
관련 운동
유사 운동국채보상운동 (대한제국 말의 모금운동)

2. 배경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의 여파로 대한민국은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 외채 상환이 불가능한 일부 금융 기관, 달러 부족, 대한민국 원화 환율 폭등 등의 문제가 발생했고, 대한민국은 단독으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외화 차입이 막히면서 장기 외채 상환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7년 11월 20일 새마을운동 단체 중 하나인 '새마을부녀회 중앙연합회'가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을 선포했고, 이는 금모으기 운동의 시초가 되었다. 12월 3일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외환위기 극복 계획이 보고되었고, 정부는 이를 민간단체 차원의 바람직한 활동으로 평가했다.[20]

2. 1. 외환 위기의 발단

1997년 7월 2일 태국의 고정환율제도가 변동환율제도로 바뀜에 따라 태국 바트화의 시세가 폭락한 것이 동아시아 금융 위기의 직접적인 계기였다.[20] 같은 해 11월 21일,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 통화 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했다.[3] 당시 외환 유동성 문제의 실질적인 원인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3] 국내 외환 시장은 달러가 부족했고, 대한민국 원 환율이 상승했으며, 일부 금융 기관은 외채를 상환할 수 없었다.[3] 금융 기관의 외화 차입이 막히면서 단기 외채 300억달러와 장기 외채 450억달러를 상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

2. 2. 금 모으기 운동의 제안

1997년 11월 20일, 새마을운동 단체 중 하나인 '새마을부녀회 중앙연합회'에서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을 선포하였다. 이는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국민들의 애국심과 단결력을 통해 외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었다. 회원들은 12월 8일까지 금으로 된 물건들을 모아 국가에 헌납하기로 결의했다.[21]

1998년 1월 5일, KBS는 'KBS 금 모으기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금 모으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종전의 헌납 방식이 아닌, 금을 내놓으면 전문 감정가의 확인서를 받고, 수출 후 달러를 당시 환율과 국제 금 시세로 평가하여 나중에 원화로 돌려받는 보상 체계로 바뀌었다.[21]

3. 전개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새마을부녀회의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으로 시작된 금모으기 운동은, 이후 여러 단체와 언론사들이 참여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새마을부녀회의 금모으기 운동은 당시 대한민국 국민들의 긍정적인 평가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998년 1월 5일부터는 'KBS 금 모으기 캠페인'이 시작되었고 종전의 헌납이 아닌 보상의 체계로 운동의 성격도 바뀌었다. 금모으기 운동에 참여하는 일반인들은 금(순금 24K)을 내놓으면, 전문 감정가가 직접 을 감정한 확인서를 받게 되며, 수출 후 달러를 당시 환율과 국제금시세로 평가해 나중에 원화로 돌려받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1] 3월 14일 공식적으로 종료된 금모으기 운동은 농협에 의해 계속 진행되었다.[22]

언론에서는 사회 각계의 금모으기 운동 참여 소식을 전했고, 국민에게 금모으기 운동에 동참할 당위성을 부여했다. 3월 이후의 보도는 금모으기 운동을 통해 외환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22]

1998년 3월 캠페인이 일단락된 이후부터는 주로 성과 위주로 보도가 이루어진다. 보도의 내용은 주로 금모으기 운동으로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내용을 보도한다.[22] 금모으기 운동은 자발적 참여와 애국심을 강조하며 참여의 간편함 등의 이유로 온 국민에게 참여를 독려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3. 1. 초기: 새마을부녀회의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

1997년 11월 20일, 새마을운동 단체 중 하나인 '새마을부녀회 중앙연합회'가 '애국가락지 모으기 운동'을 선포했다. 이는 1907년 대한제국의 국채를 갚기 위해 벌어진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국민들의 애국심과 단결력을 이끌어내고자 한 것이었다. 회원들은 12월 8일까지 금으로 된 물건들을 모아 국가에 헌납하기로 결의했다.[21]

12월 3일,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이러한 외환위기 극복 계획이 보고되었고, 정부는 이를 민간단체 차원의 바람직한 활동으로 평가했다. 12월 10일 열린 헌납식에서는 금 2445돈, 은 133돈, 외화 28달러, 한화 701만 2천 이 모여 총 1.3094999999999999억이 모금되었다. 모금액은 중소기업진흥청에 중소기업지원금으로 전달되었다.[21]

3. 2. 전국적 확산: KBS 금 모으기 캠페인

1998년 1월 5일, KBS는 주택은행과 함께 'KBS 금 모으기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금모으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21] 이전의 헌납 방식과 달리, 금을 내면 전문 감정사가 을 감정하여 확인서를 발급하고, 나중에 달러를 당시 환율과 국제 금 시세로 평가하여 원화로 돌려받는 보상 체계로 바뀌었다.[21]

KBS의 보도 이후, 농협, MBC, SBS 등 다른 언론사와 단체들도 금 모으기 캠페인에 동참했다.[22]

삼성그룹, 대우그룹, LG그룹 등 대기업과 이종범 선수, 김대중 대통령 당선인, 이건희 회장 부부 등 유명 인사들도 금 모으기 운동에 참여했다.[22]

KBS 금 모으기 캠페인 개요
구분내용
주관KBS, 주택은행
시작일1998년 1월 5일
방식금을 내면 감정 확인서를 받고, 나중에 원화로 돌려받는 보상 체계
참여농협, MBC, SBS 등 언론사 및 단체, 대기업, 유명 인사 등


3. 3. 참여 현황

1998년 1월 5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351만 명이 금모으기 운동에 참여하였다.[8][10] 이 기간 동안 약 225톤의 금이 모였다.[10] 월별 금 모금량은 다음과 같다.

모금량 (톤)
1월165
2월53
3월5
4월0.8



이는 1월에 가장 많은 금이 모였고, 시간이 지날수록 참여가 줄어들었음을 보여준다.[8] 모금된 금의 양은 당시 시세로 21억 7천만 달러에 해당한다.[10]

각 기관별 금 모으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주관 방송사 및 기업모금량 (톤)
주택은행KBS-대우그룹136.4[15]
농협MBC-삼성그룹48.24[15]
국민은행/새마을금고SBS-LG그룹33.68[15]
한국외환은행4.25[15]
IBK기업은행1.98[15]


4. 결과

금모으기 운동은 1998년 4월 말 농협중앙회를 마지막으로 공식 종료되었다.[23] 이 운동은 '제2의 국채보상운동'이라 불릴 만했다.[23]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IMF으로부터 지원받은 차입금을 조기에 상환할 수 있었다.[25]

4. 1. 경제적 성과

1998년 1월 5일부터 4월 말까지 진행된 금모으기 운동으로 약 227t의 금이 모였다. 월별로는 1월에 165.65t으로 가장 많이 걷혔고, 2월 53.96t, 3월 5.38t, 4월 800kg 순으로 줄었다.[23] 이를 통해 약 18.2억달러의 외화를 확보했다.[24] 전국적으로 351만여 명이 참여하여, 4가구당 1가구꼴로 평균 65g의 금을 냈다.[23] 이 중 2만 1천 명은 금 187kg을 헌납했으며, 1,735명은 131kg을 국채 매입 형식으로 위탁했다.[23]

수집기관별 금 수집량은 다음과 같다.[23]

수집기관수집량
주택은행(KBS-대우)136.4ton
농협(MBC-삼성)48.24ton
국민은행과 새마을금고(SBS-LG)33.68ton
외환은행4.25ton
기업은행1.98ton



금모으기 운동을 통해 대한민국은 국제 통화 기금(IMF)으로부터 지원받은 차입금 195억 달러를 예정보다 3년 앞당긴 2001년 8월에 모두 상환했다.[25]

4. 2. 사회적 영향

금모으기 운동은 1998년 4월 말 농협중앙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23] 1998년 1월 5일부터 4월 말까지 약 227t의 금이 모였으며, 이를 통해 약 18.2억달러의 외화를 확보했다.[24] 전국적으로 351만여 명이 참여하여, 4가구당 1가구꼴로 평균 65g의 금을 냈다.[23]

수집기관연계 기업/방송수집량
주택은행KBS-대우136.4t
농협MBC-삼성48.24t
국민은행, 새마을금고SBS-LG33.68t
외환은행4.25t
기업은행1.98t

[23]

금모으기 운동은 '제2의 국채보상운동'이라 불릴 만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으며,[23]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IMF으로부터 지원받은 차입금 195억 달러를 예정보다 3년 앞당겨 2001년 8월에 모두 상환할 수 있었다.[25]

5. 평가

금모으기 운동은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힘이 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모은 금을 헐값에 팔아넘겨 부가가치세를 탈루하려다 적발된 사건도 있었다.[27]

5. 1. 긍정적 평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IMF 외환위기 발생 20년을 맞아 실시한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IMF 외환위기' 하면 가장 먼저 '국민의 금모으기 운동(42.4%)'을 연상했다.[26] 외환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게 한 원동력으로 금모으기 운동 등 국민의 단합(54.4%)을 가장 많이 꼽았다.[26]

금모으기 운동은 국민들이 외환 위기를 극복하도록 이끈 원동력으로 여겨진다.[17]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4%가 회복의 원동력으로 국민적 단결을 꼽았고, 42.4%는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를, 15.2%는 구조 조정 및 개혁 노력을 언급했다.[17]

5. 2. 비판적 평가

금 모으기 운동은 경제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인 재벌의 부실 경영, 정경유착 등을 가렸다는 비판을 받는다.[18] 구조 조정의 필요성을 희석시키고, 국민들에게 책임을 전가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18]

2010년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IMF 외환위기의 원인을 국민들의 과소비로 기술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27] 이는 기업이 IMF 외환위기의 원인이었음에도, 이를 국민의 잘못으로 돌리고 국가가 이를 묵인했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당시 언론 기사들은 국가적 위기 극복을 위한 자발적인 참여와 국가를 위한 희생을 강조하며 한국인의 애국심을 내세웠지만, 이는 경제 위기의 진정한 원인을 감성적인 호소로 가리는 결과를 낳았다.[18] 금 모으기 운동이 종료된 후 구조 조정이 문제로 떠올랐고, 이 운동에 대한 집단 기억은 재벌, 노동 유연성, 과소비, 그리고 박정희 정권에 대한 향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사건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은 무시되었다는 지적도 있다.[18]

6. 갤러리

참조

[1] 뉴스 '전국민 달러 모으기' 애국인가 망국인가 http://www.imaeil.co[...] 2008-10-18
[2] 뉴스 "[위크엔드] 換亂극복 '눈물의 금모으기'…한국은 울고, 세계는 감동했다" http://news.heraldco[...] 2013-05-03
[3] 논문 A Study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Focusing on NRC and CGC http://www.dbpia.co.[...] 2007
[4] 서적 South Koreans in the Debt Crisis: The Creation of a Neoliberal Welfare Society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09-08-18
[5] 논문 Rok President Kim Dae-Jung's Keynote Address on the Korean Economy
[6] 학위논문 국가위기시 상징적 통합에 대한 연구 : 금모으기 운동 (1998) 과 국채보상운동 (1907-1908) 의 담론분석 (A Study on the Symbolic Integration at the Time of State Crisis –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ing Golds Campaign (1998) and the Compensation Movement for National Debt (1907-1908)) http://s-space.snu.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학위논문 국가위기시 상징적 통합에 대한 연구 : 금모으기 운동 (1998) 과 국채보상운동 (1907-1908) 의 담론분석 (A Study on the Symbolic Integration at the Time of State Crisis –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ing Golds Campaign (1998) and the Compensation Movement for National Debt (1907-1908)) http://s-space.snu.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학위논문 국가위기시 상징적 통합에 대한 연구 : 금모으기 운동 (1998)과 국채보상운동 (1907-1908)의 담론분석 (A Study on the Symbolic Integration at the Time of State Crisis – Discourse Analysis on the Collecting Golds Campaign (1998) and the Compensation Movement for National Debt (1907-1908)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뉴스 ㈜대우.주택은행.고려아연, 장롱속 金 수집운동 (Daewoo Corporation, A housing bank, Goryeo zinc. A campaign to collect gold in a wardrobe) http://news.naver.co[...] 1997-12-30
[10]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Social Memory of IMF's Bailout in 1997 : Recollection of 'gold-collection campaign') http://www.dbpia.co.[...] 2017-10-31
[11]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Social Memory of IMF's Bailout in 1997: Recollection of 'Gold-Collection Campaign') 2017-10-31
[12]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Social Memory of IMF's Bailout in 1997: Recollection of 'Gold-Collection Campaign') https://ssrn.com/abs[...] 2017-10-31
[13]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Social Memory of IMF's Bailout in 1997: Recollection of 'Gold-Collection Campaign') https://ssrn.com/abs[...] 2017-10-31
[14] 뉴스 본전도 못건진 금모으기운동 (The gold collecting campaign that can not find the principal) http://legacy.h21.ha[...] 1998-05-21
[15] 뉴스 금모으기 운동 2백25t 수집...외화가득 18억달러 (Collecting gold 225 tons through gold collecting campaign ... Foreign exchange is worth $ 1.8 billion) http://news.naver.co[...] 1998-03-14
[16] 뉴스 EBS '인터뷰 대한민국'- IMF 20년, 98년생 청춘에게 대한민국의 현재는? (EBS 'Interview Korea' - IMF 20 years,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to youth born 1998?) http://www.mediaus.c[...] 2018-01-28
[17] 뉴스 국민 10명중 6명 "외환위기, 삶에 부정적 영향"…비정규직 등 심화 (6 out of 10 Koreans "Foreign Currency Crisis, Negative Impact on Life" ... Deepening of irregular employment) http://www.asiae.co.[...] 2017-11-14
[18]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Social Memory of IMF's Bailout in 1997: Recollection of 'Gold-Collection Campaign') 2017-10-31
[19] 웹인용 IMF 외환위기 극복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2021-03-19
[20] 논문 집합기억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 - 국채보상운동과 금모으기운동을 중심으로 http://www.dbpia.co.[...]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04
[21] 뉴스 ㈜대우.주택은행.고려아연, 장롱속 金 수집운동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12-30
[22] 논문 IMF 외환위기 기억의 사회적 구성 - 조선일보의 ‘금 모으기 운동’ 기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7-10-01
[23] 뉴스 본전도 못건진 금모으기운동 http://legacy.h21.ha[...] 한겨레21 1998-05-21
[24] 뉴스 금모으기 운동 2백25t 수집...외화가득 18억달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8-03-14
[25] 뉴스 EBS ‘인터뷰 대한민국’- IMF 20년, 98년생 청춘에게 대한민국의 현재는?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6] 뉴스 국민 10명중 6명 "외환위기, 삶에 부정적 영향"…비정규직 등 심화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7-11-14
[27] 뉴스 본전도 못건진 금모으기운동 http://legacy.h21.ha[...] 2023-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